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모두 스핀들 모터와 클램퍼는 1대 1로 대응하여 중심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최근 비디오 대신에 녹화 재생 기기로서의 DVD의 놀라운 보급에 수반하여, 제조업체에 있어서도 디스크 장치의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고, 보급에 수반하는 비용 삭감으로의 노력이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와 클램퍼가 1대 1로 대응하는 종래 구성이면, 새롭게 기종 전개를 행할 때마다 스핀들 모터뿐만 아니라 클램퍼도 새롭게 설계하여 생산해야 하게 되어 비용 삭감의 장해가 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종류가 상이한 스핀들 모터와 조합해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퍼 및 종류가 상이한 클램퍼와 조합해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램퍼는, 클램퍼 본체부와 복수의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퍼 본체부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둔다.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클램퍼 본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스핀들 모터의 각각과 클램퍼 본체부와의 반경 방향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퍼는 복수의 스핀들 모터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클램퍼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램퍼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볼록부와 환형의 경사 오목부로 구성된다. 볼록부는 제1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환형의 경사 오목부는 제2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환형의 경사 볼록부에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구멍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등에 설치되어 있다.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보스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멍부를 구비하는 제1 스핀들 모터 및 환형의 경사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2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클램퍼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램퍼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로 구성된다. 제1 볼록부는 제1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1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제2 볼록부는 제1 볼록부보다 큰 직경의 볼록부로서, 제2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2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제1 구멍부 및 제2 구멍부는, 예컨대 제1 또는 제2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등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1 구멍부를 구비하는 제1 스핀들 모터 및 제2 구멍부를 구비하는 제2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클램퍼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램퍼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구멍부와 환형의 경사 오목부로 구성된다. 구멍부는 제1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원주형상의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환형의 경사 오목부는 제2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환형의 경사 볼록부에 끼워맞춤하여 클램퍼 본체부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원주형상의 볼록부는, 예컨대, 제1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등에 설치되어 있다.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예컨대, 제2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보스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원주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1 스핀들 모터 및 환형의 경사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2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는, 디스크 유지부와 모터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유지부는 본체부와 복수의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다. 본체부는 클램퍼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유지한다.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본체부에 형성되고, 본체부와 복수의 클램퍼의 각각과의 반경 방향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모터 본체부는 디스크 유지부에 고정되고 디스크 유지부 및 디스크를 회전 구동시킨다.
디스크 유지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클램퍼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에 의해 복수의 클램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구멍부와 환형의 경사 볼록부로 구성된다. 구멍부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로서, 제1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제1 클램퍼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제2 클램퍼에 설치된 환형의 경사 오목부에 끼워맞춤하여 제2 클램퍼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구멍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등에 설치되어 있다.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보스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1 클램퍼 및 환형의 경사 오목부를 구비하는 제2 클램퍼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로 구성된다. 제1 구멍부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로서, 제1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1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제1 클램퍼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제2 구멍부는 제1 구멍부보다 큰 직경의 구멍부로서, 제2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2 볼록부에 끼워맞춤하여 제2 클램퍼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등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1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1 클램퍼 및 제2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2 클램퍼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클램퍼 또는 스핀들 모터는, 청구항 2 또는 4 또는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램퍼 또는 스핀들 모터로서,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디스크가 스핀들 모터에 재치(載置)될 때에 디스크의 중심 구멍에 끼워넣는다.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예컨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의 보스부에 설치되어 있고, 디스크를 배치할 때에 디스크의 유인을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해, 환형의 경사 볼록부는 디스크의 유인을 행하고 디스크의 배치를 용이하게 시킨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클램퍼는, 클램퍼 본체부와 복수의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퍼 본체부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둔다.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클램퍼 본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스핀들 모터의 각각과 클램퍼 본체부가 디스크를 끼워두지 않은 흡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축방향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를 끼워두지 않은 흡착 상태에서의 클램퍼와 스핀들 모터와의 축방향 상대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클램퍼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클램퍼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제1 규제부와 제2 규제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규제부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환형의 축방향면을 갖는다. 제2 규제부는 제1 규제부와 동심으로 배치된 원뿔대형의 오목부이다.
본 발명에 의해, 예컨대,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있어서, 제1 규제부의 환형의 축방향면과 대향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및 제2 규제부와 대향하는 원뿔대형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클램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는 디스크 유지부와 모터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유지부는 본체부와 복수의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다. 본체부는 클램퍼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유지한다.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본체부에 형성되고, 본체부와 복수의 클램퍼의 각각이 디스크를 끼워두지 않은 흡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축방향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모터 본체부는 디스크 유지부에 고정되고, 디스크 유지부 및 디스크를 회전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클램퍼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를 끼워두지 않은 흡착 상태에서의 클램퍼와 스핀들 모터와의 축방향 상대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스핀들 모터로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는 제1 규제부와 제2 규제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규제부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환형의 축방향면을 갖는다. 제2 규제부는 제1 규제부와 동심으로 배치된 원뿔대형의 볼록부이다.
본 발명에 의해, 예컨대 회전 중심에 있어서 제1 규제부의 환형의 축방향면과 대향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클램퍼 및 제2 규제부와 대향하는 원뿔대형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클램퍼에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에 의하면, 1개의 클램퍼를 종류가 다른 스핀들 모터와 조합해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개의 스핀들 모터를 종류가 다른 클램퍼와 조합해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수적인 효과로서 스핀들 모터와 클램퍼가 1대 1로 대응하는 종래 구성에 비교하여, 새롭게 기종 전개를 행해도 종래의 스핀들 모터 또는 클램퍼를 유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형편 상, 각 도면의 상하 방향을 축방향 상하, 좌우 방향을 반경 방향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은 각 도면에 도시하는 클램퍼, 스핀들 모터 등의 부착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클램퍼를 어떤 스핀들 모터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0은 디스크, 100은 클램퍼, 210은 스핀들 모터이다. 디스크(10)에는 중심 부근에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센터 구멍(10w)이 개구하고 있다. 클램퍼(100)는 수지 성형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클램퍼 본체(104)와, 클램퍼 본체(104)에 끼워넣어진 마그넷(101) 및 백 요크(102)에 의하여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장치에 설치된 클램퍼 홀더(301)에 의해 지지된다. 스핀들 모터(210)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장치에 고정되는 스테이터(218), 이 스테이터(218)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심(219b), 철심(219b)에 감겨지는 스테이터 코일(219a), 스테이터(218)의 베어링부(218c)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모터 축(215), 모터 축(215)에 고정되는 턴테이블(214), 턴테이블(214)에 끼워넣어지는 철판 등의 자성체로 만들어진 흡착판(213), 턴테이블(214) 및 모터 축(215)에 고정되는 로터 케이스(216), 로터 케이스(216)에 부착된 로터 마그넷(21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210)는 스테이터 코일(219a)에 통전함으로써 턴테이블(214), 모터 축(215), 로터 케이스(216) 및 로터 마그넷(217)을 스테이터(218)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크(10)는 센터 구멍(10w)이 턴테이블(214)의 보스부(214b)의 주위측면 (214v)에 끼워맞춤되어 반경 방향의 중심이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턴테이블(214)의 디스크 받침면(214t)에 재치되고, 스핀들 모터(210)에 대한 위치 결정이 완료된다. 또한 이 디스크(10)를 턴테이블(214) 상에 고정하기 위해 클램퍼 홀더(301)가 강하하면, 클램퍼(100)가 마그넷(101)과 흡착판(213)의 자력에 의해 스핀들 모터(210)측으로 흡착되고, 디스크(10)를 디스크 받침면(214t)에 가압하여 턴테이블(214) 상에 고정한다. 이 때 클램퍼 홀더(301)는 클램퍼(100)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강하하기 때문에, 클램퍼(100)는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10)가 턴테이블(214)에 일체로 부착되면, 스핀들 모터(210)를 구동하여 턴테이블(214) 및 디스크(10)를 회전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헤드에 의해 디스크(10)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거나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스핀들 모터(210)와 클램퍼(100)가 흡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04h1)이 턴테이블(214)의 보스부(214b)의 상부면(214h)과 맞닿아, 클램퍼(100)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하, 높이 결정이라 함)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04h1)은 클램퍼 본체(104)의 외주측에 있어서 축방향 하측에 설치된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에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 하측을 향하는 환형면이다.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는 높이 규제면(104h1)과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 지는 경사면을 갖는 원추형의 오목부(104c1)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는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원뿔대형의 오목부를 구성한다.
상부면(214h)은 보스부(214b)의 축방향 상측에 설치된 환형면이다. 또한, 보스부(214b)에는 상부면(214h)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면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원뿔대 형상(214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스부(214b)는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원뿔대형의 볼록부를 구성한다.
이상의 높이 규제면(104h1)과 상부면(214h)에 의해 마그넷(101)과 흡착판(21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여, 클램퍼(100)와 스핀들 모터(21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퍼(100)의 박리력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박리에 수반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1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1)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클램퍼(100)의 높이 결정을 행하는 것에는 흡착력이 너무 커지지 않는 것과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유지 갭으로 하는 것 두 가지의 목적이 있다.
또한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0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104c1)가 스핀들 모터(210)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보스부(214b)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214c)과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00)의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하, 중심 위치 결정이라 함)을 행한다.
이로써 스핀들 모터(21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0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원추형의 오목부(104c1)와 원뿔대 형상(214c)과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1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0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도 3은 도 2에서의 클램퍼(100)를 다른 스핀들 모터(22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04h2)이 턴테이블(224)에 설치된 단차면(224h)과 맞닿아 클램퍼(10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04h2)은 클램퍼 본체(104)의 회전 중심에 있어서 돌출한 돌출부가 갖는 제1 볼록부(104c2)와 제2 볼록부(104c3)의 외주면을 연속시키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여기서, 제2 볼록부(104c3)는 클램퍼 본체(104)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된 원주형 부재이다. 또한, 제1 볼록부(104c2)는 제2 볼록부(104c3)의 축방향 하측에 있어서 동심형으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부재이고, 제2 볼록부(104c3)보다도 작은 직경의 부재이다.
단차면(224h)은 턴테이블(22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24c)의 내주면과, 구멍부(224c)의 축방향 상측에 인접하고 구멍부(224c)보다도 직경이 큰 환형부 (226)의 내주면을 연속하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이 높이 규제면(104h2)과 단차면(224h)에 의해 마그넷(101)과 흡착판(223)의 거리를 적당히 유지하여 클램퍼(100)와 스핀들 모터(22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2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2)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0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제1 볼록부(104c2)가, 턴테이블(22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24c)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0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제1 볼록부(104c2)는 환형의 외주부를 갖는 부재이다.
구멍부(224c)는 환형의 내주면을 갖는 부재이고, 내주면의 축방향 하부에는 모터 축(225)이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 제1 볼록부(104c2)와 구멍부(224c)에 의해 스핀들 모터(22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0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 볼록부(104c2)와 구멍부(224c)와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2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2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0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클램퍼(100)를 스핀들 모터(210)에 대해서도 스핀들 모터(220)에 대해서도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클램퍼(100) 를 스핀들 모터(210)에도 스핀들 모터(22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의 클램퍼(100)를 별도의 스핀들 모터(23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부(104h3)가, 스핀들 모터(230)의 모터 축(235)의 선단부(235h)와 맞닿아 클램퍼(10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부(104h3)는 제1 볼록부(104c2)의 축방향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볼록부(104c2)는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을 줄이는 부재로서, 높이 규제부(104h3)의 근방에서의 제1 볼록부(104c2)의 외주면은 대략 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것은 일례이고, 제1 볼록부(104c2)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부(235h)는 모터 축(235)의 축방향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35h)는, 예컨대, 만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높이 규제부(104h3)와 선단부(235h)에 의해 마그넷(101)과 흡착판(23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고, 클램퍼(100)와 스핀들 모터(23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3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3)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0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제2 볼록부(104c3)가 턴테이블(23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34c)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0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제2 볼록부(104c3)는 환형의 외주면을 갖는 부재이다.
구멍부(234c)는 환형의 내주면을 갖는 부재로서, 내주면의 축방향 하부에는 모터 축(235)이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 제2 볼록부(104c3)와 구멍부(234c)에 의해 스핀들 모터(23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0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볼록부(104c3)와 구멍부(234c)와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00)와 턴테이블(23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0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클램퍼(100)를 스핀들 모터(210)에 대해서도 스핀들 모터(230)에 대해서도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클램퍼(100)를 스핀들 모터(210)뿐만 아니라 스핀들 모터(23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의 클램퍼 본체(104)를 별도의 스핀들 모터(24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와 상이한 것은, 스핀들 모터(240)에 흡착판이 아니라 마그넷(241)과 백 요크(242)가 끼워넣어져 있는 점이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클램퍼 본체(104)에는 마그넷 대신에 흡착판(143)을 끼워넣어 클램퍼(140)로 하고 있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04h1)이 턴테이블(244)의 보스부(244b)의 상부면(244h)과 맞닿아 클램퍼(14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04h1)은 클램퍼 본체(104)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설치된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에 형성되는 축방향 하측을 향하는 환형면이다.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는 높이 규제면(104h1)과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원추형의 오목부(104c1)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환형의 위치 결정부(106)는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원뿔대형의 오목부를 구성한다.
상부면(244h)은 보스부(244b)의 축방향 상측의 외주측에 설치된 환형면이다. 또한, 보스부(244b)에는 상부면(244h)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면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원뿔대 형상(244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스부(244b)는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원뿔대형의 볼록부를 구성한다.
이상의 높이 규제면(104h1)과 상부면(244h)에 의해, 마그넷(241)과 흡착판(14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고, 클램퍼(140)와 스핀들 모터(24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40)와 턴테이블(24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4)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4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104c1)가 스핀들 모터(240)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보스부(244b)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244c)과 끼워맞춤하고 클램퍼(14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이로써 스핀들 모터(24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4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원추형의 오목부(104c1)와 원뿔대 형상(244c)과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40)와 턴테이블(24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4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4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마그넷 대신에 흡착판(143)을 넣고, 스핀들 모터(210)에 대해서도 스핀들 모터(240)에 대해서도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클램퍼 본체(104)를 스핀들 모터(210)뿐만 아니라 스핀들 모터(24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의 클램퍼 본체(104)를 별도의 스핀들 모터(25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와 상이한 것은, 스핀들 모터(250)의 마그넷(251)의 위치가 낮기 때문에, 충분한 흡착력을 얻기 위해서 클램퍼 본체(104)에는 마그넷(251)을 향하여 코이닝(coining)에 의한 볼록부(153p)가 설치된 흡착판(153)을 끼워넣어 클램퍼(150)로 하고 있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 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04h2)이 턴테이블(254)에 설치된 단차면(254h)과 맞닿아 클램퍼(15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04h2)은 클램퍼 본체(104)의 회전 중심에 있어서 돌출한 돌출부가 갖는 제1 볼록부(104c2)와 제2 볼록부(104c2)의 외주면을 연속시키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여기서, 제2 볼록부(104c3)는 클램퍼 본체(104)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된 원주형 부재이다. 또한, 제1 볼록부(104c2)는 제2 볼록부(104c3)의 축방향 하측에 있어서 동심형상으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부재로서, 제2 볼록부(104c3)보다도 작은 직경의 부재이다.
단차면(254h)은 턴테이블(25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54c)의 내주면과, 구멍부(254c)의 축방향 상측에 인접하고, 구멍부(254c)보다도 직경이 큰 환형부(256)의 내주면을 연속하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이 높이 규제면(104h2)과 단차면(254h)에 의해 마그넷(251)과 흡착판(15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여 클램퍼(150)와 스핀들 모터(25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50)와 턴테이블(25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5)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5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제1 볼록부(104c2)가 턴테이블(25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54c)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5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이로써 스핀들 모터(25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5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 볼록부(104c2)와 구멍부(254c)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50)와 턴테이블(25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5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5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스핀들 모터(250)의 마그넷(251)과의 거리에 따라 볼록부(153p)를 설치한 흡착판(153)을 넣고, 스핀들 모터(210)에 대해서도 스핀들 모터(250)에 대해서도 적정한 흡착력과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클램퍼 본체(104)를 스핀들 모터(210)뿐만 아니라 스핀들 모터(25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스핀들 모터(250)에 큰 자력의 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효해진다. 즉, 스핀들 모터의 고기능화에 의해 스핀들 모터(250)가 큰 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도 스핀들 모터(250) 방향(축방향 하측)에 돌출한 형상의 흡착판(153)을 클램퍼가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흡착력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의 클램퍼 본체(104)를 별도의 스핀들 모터(26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상이한 것은, 스핀들 모터(260)의 마그넷(261)의 위치가 낮고 작기 때문에, 충분한 흡착력을 얻기 위해서 클램퍼 본체(104)에는 마그넷(261)을 향하여 크게 드로잉 가공된 볼록부 (163p)가 설치된 흡착판(163)을 끼워넣어 클램퍼(160)로 하고 있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설치된 높이 규제부(104h3)가 스핀들 모터(260)의 모터 축(265)의 선단부(265h)와 맞닿아 클램퍼(16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부(104h3)는 제1 볼록부(104c2)의 축방향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볼록부(104c2)는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을 줄이는 부재로서, 높이 규제부(104h3)의 근방에서의 제1 볼록부(104c2)의 외주면은 대략 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일례이고, 제1 볼록부(104c2)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부(265h)는 모터 축(265)의 축방향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65h)는 예컨대는, 만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높이 규제부(104h3)와 선단부(265h)에 의해 마그넷(261)과 흡착판(16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여, 클램퍼(160)와 스핀들 모터(26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60)와 턴테이블(26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16)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클램퍼 본체(104)에 클램퍼(16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제2 볼록부(104c3)가, 턴테이블(26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264c)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6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제2 볼록부(104c3)는 환형의 외주면을 갖는 부재이다.
구멍부(264c)는 환형의 내주면을 갖는 부재로서, 내주면의 축방향 하부에는 모터 축(265)이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 제2 볼록부(104c3)와 구멍부(264c)에 의해 스핀들 모터(26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6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볼록부(104c3)와 구멍부(264c)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60)와 턴테이블(26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6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6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클램퍼 본체(104)에 스핀들 모터(260)의 마그넷(261)과의 거리나 마그넷(261)의 자력에 따라 볼록부(163p)를 설치한 흡착판(163)을 넣고, 스핀들 모터(210)에 대해서도 스핀들 모터(260)에 대해서도 적정한 흡착력과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클램퍼 본체(104)를 스핀들 모터(210)뿐만 아니라 스핀들 모터(26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흡착판이 끼워넣어진 스핀들 모터에 대해서도 마그넷이 끼워넣어진 스핀들 모터에 대해서도, 또한 상이한 높이 및 평면 위치 결정 형상을 갖는 스핀들 모터에 대해서도, 적어도 동일한 클램퍼 본체를 이용하여 공용할 수 있고,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스핀들 모터를, 어떤 클램퍼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110은 클램퍼, 200은 스핀들 모터이다. 클램퍼(110)는 수지 성형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클램퍼 본체(114)와, 클램퍼 본체(114)에 끼워넣어진 마그넷(111) 및 백 요크(112)에 의해 구성된다. 스핀들 모터(200)는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모터 축(205), 모터 축(205)에 고정되는 턴테이블(204), 턴테이블(204)에 끼워넣어지는 흡착판(203) 등으로 구성된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11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클램퍼 본체(114)에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114ch)의 경사면이, 턴테이블(204)의 보스부(204b)에 설치된 스핀들 모터(200)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 형상인 원뿔대 형상(204ch)과 맞닿아 클램퍼(11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원추형의 오목부(114ch)는 클램퍼 본체(114)의 외주측에 있어서 축방향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원뿔대 형상(204ch)은 보스부(204b)의 축방향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클램퍼(110)의 높이 결정을 행할 때에는, 원뿔대 형상(204ch)의 경사면과 원추형의 오목부(114ch)의 경사면이 맞닿는다.
이로써 마그넷(111)과 흡착판(203)의 거리를 적당히 유지하고, 클램퍼(110)와 스핀들 모터(20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 램퍼(110)와 턴테이블(20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21)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14)에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114ch)가 원뿔대 형상(204ch)과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1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 결정될 때에는 원뿔대 형상(204ch)의 경사면과 원추형의 오목부(114ch)의 경사면이 대향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스핀들 모터(20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1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원추형의 오목부(114ch)와 원뿔대 형상(204ch)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10)와 턴테이블(20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0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은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1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도 9는, 도 8에서의 스핀들 모터(200)를 별도의 클램퍼(17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과 상이한 것은, 클램퍼(170)의 마그넷(171)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충분한 흡착력을 얻기 위해서 턴테이블(204)에는 두꺼운 흡착판(273)을 끼워넣어 스핀들 모터(270)로 하고 있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7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74h)이 턴테이블(204)에 설치된 단차면 (204h7)과 맞닿아 클램퍼(17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74h)은 클램퍼 본체(174)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되는 큰 직경 볼록부(174c2)와, 큰 직경 볼록부(174c2)의 축방향 하측에 동심 형상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큰 직경 볼록부(174c2)보다도 작은 직경인 볼록부(174c)와의 외주면을 연속시키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단차면(204h7)은 턴테이블(20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1 구멍부(204c7)의 내주면과, 제1 구멍부(204c7)의 축방향 상측에 인접하고, 제1 구멍부(204c7)보다도 직경이 큰 제2 구멍부(204c8)의 내주면을 연속하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이 높이 규제면(174h)과 단차면(204h7)에 의해 마그넷(171)과 흡착판(273)의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여, 클램퍼(170)와 스핀들 모터(27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70)와 턴테이블(20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27)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클램퍼 본체(174)에 클램퍼(17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볼록부(174c)가 턴테이블(20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1 구멍부(204c7)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7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볼록부(174c)는 환형의 외주부를 갖는 부재이다.
제1 구멍부(204c7)는 환형의 내주면을 갖는 부재로서, 내주면의 축방향 하부에는 모터 축(205)이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 볼록부(174c)와 제1 구멍부(204c7)에 의해 스핀들 모터(27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7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볼록부(174c)와 제1 구멍부(204c7)와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70)와 턴테이블(20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7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7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204)에 클램퍼(170)의 마그넷(171)과의 거리에 따른 두께의 흡착판(273)을 넣고, 클램퍼(110)에 대해서도 클램퍼(170)에 대해서도 적정한 흡착력과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턴테이블(204)을 클램퍼(110)뿐만 아니라 클램퍼(17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의 스핀들 모터(200)를 별도의 클램퍼(18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과 상이한 것은, 클램퍼(180)의 마그넷(181)의 위치가 더욱 높기 때문에, 충분한 흡착력을 얻기 위해서 턴테이블(204)에는 마그넷(181)을 향하여 절곡된 볼록부(283p)가 설치된 흡착판(283)을 끼워넣어 스핀들 모터(280)로 하고 있다.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 본체(184)에 설치된 높이 규제면(184h)이 턴테이블(204)의 보스부(204b)의 상부면(204h8)과 맞닿아 클램퍼(180)의 높이 결정을 행한다.
높이 규제면(184h)은 클램퍼 본체(184)의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되는 직 경이 큰 볼록부(184c2)와, 직경이 큰 볼록부(184c2)의 축방향 하측에 동심 형상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직경이 큰 볼록부(184c2)보다도 작은 직경인 볼록부(184c)와의 외주면을 연속시키는 환형의 축방향면이다.
상부면(204h8)은 보스부(204b)의 축방향 상측의 내주측에 설치된 환형면이다. 상부면(204h8)의 내주 가장자리는 제2 구멍부(204c8)의 내주면의 상단과 연속한다.
이 높이 규제면(184h)과 상부면(204h8)에 의해 마그넷(181)과 흡착판(283)의 거리를 적당히 유지하여, 클램퍼(180)와 스핀들 모터(280)의 흡착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클램퍼(180)와 턴테이블(204)의 디스크 유지 갭의 거리(G28)는 사용하는 가장 얇은 디스크(10)의 두께(T0)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얇은 디스크이어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크(10)를 끼워 흡착한 경우, 클램퍼 본체(184)에 클램퍼(180)의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볼록부(184c)가, 턴테이블(20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제2 구멍부(204c8)와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8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볼록부(184c)는, 환형의 외주면을 갖는 부재이다.
제2 구멍부(204c8)는 턴테이블(20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있어서 모터 축(205)이 삽입 부착되는 제1 구멍부(204c7)의 축방향 상측에 인접하고 있으며, 제1 구멍부(204c7)의 내주면보다도 직경이 큰 내주면을 갖고 있다.
이 볼록부(184c)와 제2 구멍부(204c8)에 의해 스핀들 모터(28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80)의 중심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볼록부(184c)와 제2 구멍부(204c8)과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80)와 턴테이블(20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8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80)가 클램퍼 홀더(3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204)에 클램퍼(180)의 마그넷(181)과의 거리에 따라 절곡된 볼록부(283P)를 설치한 흡착판(283)을 넣고, 클램퍼(110)에 대해서도 클램퍼(180)에 대해서도 적정한 흡착력과 높이 규제와 중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턴테이블(204)을 클램퍼(110)뿐만 아니라 클램퍼(18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에서의 스핀들 모터(200)를, 별도의 클램퍼(190)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의 개요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 클램퍼(190)는 카트리지(400)에 디스크(10)와 함께 내장되고, 카트리지(400)에 고정된 클램퍼 홀더(401)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과 상이한 것은, 클램퍼(190)가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모양을 정돈한 철판 등의 흡착판인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턴테이블(204)에는 흡착판 대신에 마그넷(291)과 백 요크(292)가 끼워넣어져 스핀들 모터(290)로 하고 있다.
클램퍼(190)는 카트리지(400)에 반드시 내장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없는 상태에서 클램퍼(190)가 스핀들 모터(290)에 흡착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디스크(10)가 있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클램퍼(190)에 중심과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190c)가, 원뿔대 형상(204ch)과 끼워맞춤하여 클램퍼(190)를 중심 위치 결정한다.
원추형의 오목부(190c)는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원뿔대 형상(240ch)은 보스부(204b)의 축방향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클램퍼(190)의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할 때에는, 원뿔대 형상(204ch)인 경사면과 원추형인 오목부(190c)의 경사면이 대향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스핀들 모터(290)가 회전했을 때의 클램퍼(190)의 중심 흔들임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원추형의 오목부(190c)와 원뿔대 형상(204ch)과의 반동에 의한 클램퍼(190)와 턴테이블(204)의 중심 어긋남은, 스핀들 모터(29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레벨일 뿐만 아니라, 클램퍼(190)가 클램퍼 홀더(401)와 접촉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204)에 흡착판 대신에 마그넷(291)을 넣고, 클램퍼(110)에 대해서도 클램퍼(190)에 대해서도 적정한 흡착력과 높이 규제와 중심위치 결정을 할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턴테이블(204)을 클램퍼(110)뿐만 아니라 클램퍼(190)에도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인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1>
도 1, 도 2, 도 5, 도 8, 도 11에 도시한 원뿔대 형상은 클램퍼의 중심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디스크가 끼워넣어질 때의 유인 형상도 겸하고 있어도 좋다.
<2>
도 6, 도 7, 도 10, 도 11에 도시한 흡착판의 볼록부는 코이닝, 드로잉 가공, 절곡에 의한다고 했지만, 버링(burring)이나 헤더 등 다른 가공법이어도 좋고, 또한 흡착판이 아니라 마그넷에 동일한 볼록부를 설치하여 흡착력을 적정화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3>
도 3, 도 4, 도 6, 도 7, 도 9, 도 10에 있어서, 클램퍼의 볼록부가 스핀들 모터의 구멍부에 끼워넣는 것으로 했지만, 반대로 스핀들 모터의 볼록부가 클램퍼의 구멍부에 끼워넣는 것으로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클램퍼와 스핀들 모터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클램퍼(450)와 스핀들 모터(500)가 흡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을 덧붙인 구성 요소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클램퍼(450)는 클램퍼 본체(404)와, 클램퍼 본체(404)에 있어서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환형의 돌기부(405)와, 클램퍼 본체(404)의 외주측에 설치되는 환형의 위치 결정부(406)와, 클램퍼 본체(404), 돌기부(405), 위치 결정부(406)에 의해 끼워지는 환형의 공간에 관입되는 마그넷(101) 및 백 요크(102)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장치에 설치된 클램퍼 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환형의 돌기부(405)는 클램퍼 본체(404)로부터 축방향 하측에 연장되는 부재 이다. 환형의 돌기부(405)는 내주측에 환형의 내주면으로 구성되는 구멍부(404c2)와, 축방향 하측에 환형의 축방향면인 높이 규제면(404h2)을 갖고 있다.
위치 결정부(406)는 내주측에 축방향 하측을 향하는 환형면인 높이 규제면(404h1)을 갖는 환형부(408)와, 높이 규제면(404h1)의 외주측으로부터 축선 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넓어지면서 연장되는 경사면(404ch)을 갖는 경사부(409)로 구성된다.
스핀들 모터(500)는 모터 축(515)과, 턴테이블(514)에 있어서 특징을 갖고 있다. 그 밖의 부재는 도 1에 도시한 스핀들 모터(2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 축(515)은, 턴테이블(514)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518)에 있어서, 상단부를 턴테이블(514)로부터 축방향 상측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삽입 부착되어 있다. 턴테이블(514)에는 회전 중심과 동심으로, 거의 원뿔대 형상인 보스부(5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턴테이블의 내주측에는 보스부(514b)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상측에 돌출하는 환형 돌출부(5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 돌출부(517)는 축방향 상측에 환형의 상부면(514h)을 갖고 있다.
클램퍼(450)와 스핀들 모터(500)는 디스크가 없는 상태에서 흡착한 경우, 높이 규제면(404h2)과 상부면(514h)이 축방향에 맞닿아 클램퍼(450)의 축방향의 높이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모터 축(515)의 상단부가 구멍부(404c2)에 끼워넣어지고, 모터 축(515)의 상단부 외주면(515c)과 구멍부(404c2)가 맞닿아 클램퍼(450)의 반경 방향의 중심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클램퍼(450)는 스핀들 모터(500) 이외의 스핀들 모터와 조합해도 높이 결정 및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다른 스핀들 모터에 대해서 경사면(404ch)을 이용하여 반경 방향의 중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다른 스핀들 모터에 대하여 높이 규제면(404h1)이나 환형의 돌기부(405)의 내주측에서의 클램퍼 본체(404)의 일부인 높이 규제면(404h3)이나, 경사면(404ch)을 이용하여 축방향의 높이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발명은, 이하와 같이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기 1>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클램퍼는 상기 스핀들 모터와는 별도의 스핀들 모터에 대하여 다른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2>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클램퍼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상기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볼록부와, 별도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으로 끼워넣어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원추형의 오목부를 겸비하고 있는 부기 1 기재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3>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클램퍼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상기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제1 볼록부와, 별도의 스핀들 모터의 별도의 크기의 구멍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제2 볼록부를 겸비하고 있는 부기 1 기재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4>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클램퍼와는 별도의 클램퍼에 대하여 다른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5>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 모터는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구멍부와, 별도의 클램퍼에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원뿔대 형상을 겸비하고 있는 부기 4 기재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6>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 모터는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1 구멍부와, 별도의 클램퍼의 별도의 크기의 볼록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 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구멍부를 겸비하고 있는 부기 4 기재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7>
스핀들 모터의 보스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은 상기 보스가 디스크의 중심 구멍에 끼워넣을 때의 디스크의 유인도 겸하고 있는 부기 2 또는 5 기재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8>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클램퍼는 디스크 없이 상기 스핀들 모터와 흡착했을 때, 규제 수단에 의해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별도의 스핀들 모터와 흡착했을 때에는 다른 규제 수단에 의해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9>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는 디스크 없이 상기 클램퍼가 흡착했을 때, 규제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퍼에 대하여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별도의 클램퍼와 흡착했을 때에는 다른 규제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디스크 두께 방향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10>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클램퍼에 내장하는 자성체의 일부에 드로잉 가공 또는 코이닝 가공 또는 버링 가공 또는 굽힘 가공에 의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핀들 모터와는 별도의 스핀들 모터에 내장하는 자성체에 대해서도 적절한 흡착력으로 한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 11>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에 내장하는 자성체의 일부에 드로잉 가공 또는 코이닝 가공 또는 버링 가공 또는 굽힘 가공에 의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클램퍼와는 별도의 클램퍼에 내장하는 자성체에 대해서도 적절한 흡착력으로 한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
<부기의 설명>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클램퍼가 별도의 스핀들 모터에 대하여 다른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클램퍼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상기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볼록부와, 별도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으로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원추형의 오목부를 겸비하고 있다.
어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 부를 구비하고, 클램퍼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상기 구멍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제1 볼록부와, 별도의 스핀들 모터의 별도의 크기의 구멍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제2 볼록부를 겸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클램퍼와는 별도의 클램퍼에 대하여 다른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어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 모터는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구멍부와, 별도의 클램퍼에 설치된 원추형의 오목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에 위치 결정되는 원뿔대 형상을 겸비하고 있다.
어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는 회전 중심에 설치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 모터는 클램퍼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1 구멍부와, 별도의 클램퍼의 별도의 크기의 볼록부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면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2 구멍부를 겸비하고 있다.
어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의 보스에 설치된 원뿔대 형상은, 상기 보스가 디스크의 중심 구멍에 끼워넣어질 때의 디스크의 유인도 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클램퍼는 디스크 없이 상기 스핀들 모터와 흡착했을 때, 규제 수단에 의해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별도의 스핀들 모터와 흡착했을 때에는 다른 규제 수단에 의해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는 디스크 없이 상기 클램퍼가 흡착했을 때, 규제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퍼에 대하여 디스크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별도의 클램퍼와 흡착했을 때에는 다른 규제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디스크 두께 방향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클램퍼에 내장하는 자성체의 일부에 드로잉 가공 또는 코이닝 가공 또는 버링 가공 또는 굽힘 가공에 의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핀들 모터와는 별도의 스핀들 모터에 내장하는 자성체에 대해서도 적절한 흡착력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 및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디스크를 끼워두는 클램퍼로서, 상기 스핀들 모터에 내장하는 자성체의 일부에 드로잉 가공 또는 코이닝 가 공 또는 버링 가공 또는 굽힘 가공에 의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클램퍼와는 별도의 클램퍼에 내장하는 자성체에 대해서도 적절한 흡착력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