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8798B1 -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798B1
KR101038798B1 KR1020080111328A KR20080111328A KR101038798B1 KR 101038798 B1 KR101038798 B1 KR 101038798B1 KR 1020080111328 A KR1020080111328 A KR 1020080111328A KR 20080111328 A KR20080111328 A KR 20080111328A KR 101038798 B1 KR101038798 B1 KR 10103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ewage
toilet
pipe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357A (ko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대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7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7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의 상측에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본체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출입문과 히팅수단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대의 외면에는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점등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를 밝혀주고,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누출오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오수받이통을 설치하여 누출되는 오수를 집수하여 받침대의 내부와 지표의 오염을 방지하며, 받침대의 외측에는 컨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상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를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통하여서는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을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검검 및 개보수할 수 있고, 상수공급가지관과 상수관의 연결부분 및 오수가지관과 오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으며,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와 상수관 및 오수관을 한기로 부터 부호하고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효율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화장실본체. 받침대. . 화장실분할벽. 상수관. 하수관. 남자화장실. 여자화장실. 수세식양변기. 수세식소변기. 세면대. 점검출입문. 오수받이통. 컨트롤박스. 히팅코일. 단열재.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A movable toilet}
본 발명은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의 상측에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본체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출입문과 히팅수단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에 화장실본체가 안치되는 받침대의 외면에는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대의 내부에는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하되, 점등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를 밝혀주고,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누출오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오수받이통을 설치하여 누출되는 오수를 집수하여 받침대의 내부와 지표의 오염을 방지하며, 상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간이로 설치되어 화장실로 사용되도록 된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84214호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2-43202호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92240호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6949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4)의 상측에는 상면에 지붕(3)이 안치된 화장실본체(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장실본체(2)의 내부는 중앙의 화장실분할벽(6)에 의해 출입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각각 구비된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남자화장실(10)에는 출입문(12-1)이 구비된 개별화장실(11)의 내부에 수세식양변기(12)가 설치되어 있고 유아소변기(15)와 수세식소변기(13) 및 세면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자화장실(20)에는 출입문(21-1)이 구비된 각 개별화장실(21)의 내부에 수세식양변기(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유아소변기와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본체(2)가 상측에 설치되는 받침대(4)의 밑면 모서리에는 유압짹으로 된 수평조절다리(9)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받침대(4)의 내부에는 화장실본체(2)의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 설치된 수세식양변기(15)(22) 및 세면대(14) 등의 설비시설에 상수가지관을 통해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7)과, 수세식양변기(15)(22) 및 세면대(14) 등의 설비시설의 오수가지관(12-1)(14-1)(15-1)(22-1)로 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관(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이동식화장실(1)은 화장실본체(2)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에는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관(7)과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관(8)만 설치되어 있고 점검용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수공급가지관과 상수관의 연결부분 및 오수가지관(12-1)(14-1)(15-1)(22-1)과 오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장실본체(2)와 받침대(4)를 해체시킨 상태에서만 수리가 가능하였고, 일상적인 점검 및 개보수를 전혀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받침대(4)의 내부와 상수관(7) 및 오수관(8)을 한기로부터 부호 하기 위한 보온(히팅)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절기에는 받침대(4)의 내부가 영하 이하로 떨어져 상수관(7)과 오수관(8)이 동결되어 동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와 같이 발생하는 동파를 전혀 보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설비장치를 개선시킨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의 상측에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본체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출입문과 히팅수단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는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대의 내부에는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하되, 점등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를 밝혀주고,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누출오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오수받이통을 설치하여 누출되는 오수를 집수하여 받침대의 내부와 지표의 오염을 방지하며, 상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통하여서는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을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검검 및 개보수할 수 있고, 상수공급가지관과 상수관의 연결부분 및 오수가지관과 오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와 상수관 및 오수관을 한기로 부터 부호하고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효율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4)의 상측에 수세식소변기(13)와 수세식양변기(12)(22) 및 세면대(14)가 설치된 화장실본체(2)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의 내부를 작업자가 출입하면서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받침대(4)의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점검출입문(30);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어 받침대(4)의 내부를 밝혀주는 점등장치(50);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4)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 시설물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전열히팅장치;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서 각 수세식소변기(13)와 수세식양변기(12)(22) 및 세면대(14)의 하측에 설치되어 누출되는 오수를 감지하는 누출오수감지센서(36)가 구비된 다수의 오수받이통(35);
상기 받침대(4)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등장치(50)와 전열히팅장치의 작동과, 오수받이통(35)의 누출오수감지센서(36)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화장실(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의 상측에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본체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출입문과 히팅수단 및 오수받이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의 외면에는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고,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점등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를 밝혀주고,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누출오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오수받이통을 설치하여 누출되는 오수를 집수하여 받침대의 내부와 지표의 오염을 방지하며, 받침대의 외측에는 컨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상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를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컨트롤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투시창이 구비된 다수의 점검출입문을 통하여서는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을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검검 및 개보수할 수 있고, 상수공급가지관과 상수관의 연결부분 및 오수가지관과 오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으며, 전열히팅장치에 의해서는 받침대의 내부와 상수관 및 오수관을 한기로 부터 부호하고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등장치와 전열히팅장치 및 오수받이통의 누출오수감지센서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효율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화장실(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화장실(1)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받침대(4)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화장실(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4)의 상측에는 화장실외벽(5)의 상측에 지붕(3)이 안치된 화장실본체(2)를 설치하였고, 상기 화장실본체(2)의 내부 중앙에는 화장실분할벽(6)을 설치하여 화장실본체(2)의 내부를 출입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각각 구비된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로 구분하였다.
상기 남자화장실(10)에는, 출입문(10-1)이 구비된 개별화장실(11)을 여러개 설치하였고, 각 개별화장실(11)의 내부에 수세식양변기(12)를 설치하였으며, 유아소변기(15)와 수세식소변기(13) 및 세면대(14)를 설치하였다.
또 여자화장실(20)에는 출입문(21-1)이 구비된 개별화장실(21)을 여러개 설치하였고, 각 개별화장실(21)의 내부에는 수세식양변기(22)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유아소변기와 세면대를 설치하였다.
화장실본체(2)가 상측에 설치되는 받침대(4)의 밑면 모서리에는 유압짹으로 된 수평조절다리(9)를 각각 장착하여 받침대(4)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때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받침대(4)의 내부에는 화장실본체(2)의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 설치된 수세식양변기(15)(22) 및 세면대(14) 등의 설비시설에 상수가지관을 통해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7)과, 수세식양변기(15)(22) 및 세면대(14) 등의 설비시설의 오수가지관(12-1)(14-1)(15-1)(22-1)로 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관(8)을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이동식화장실과 동일한 설비(구성)이므로 설비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받침대(4)의 외면에는 다수의 점검출입문(30)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점검출입문(30)을 통해 받침대(4)의 내부를 출입하면서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점검출입문(30)에는 투시창(31)을 설치하여 받침대(4)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는 점등장치(50)을 설치하여 컨트롤박스(40)의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ON/OFF 하면서 받침대(4)의 내부를 밝혀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는 전열히팅장치로서 히팅코일(46:46-1, 46-2, 46-3, 46-4)을 설치하여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4)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의 시설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히팅코일(46:46-1, 46-2, 46-3, 46-4)은 전선(45)에 의해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히팅장치로서는,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부에 히팅코일(41)을 감아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측에는 단열재(42)를 설치하여 히팅코일(41)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측에는 단열재(42)로서는 스티로폼ㆍ부직포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서 각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오수감지누출오수감지센서(36)가 구비된 오수받이통(35)을 각각 설치하여 받침대(4)의 내부와 지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누출오수감지센서(36)에 의해서는 누출되어 수집되는 오수의 량을 감지하여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정보를 제공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화장실(1)의 사용상태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화장실(1)의 사용상태는 종래의 이동식화장실과 동일하게 사용되므로 사용상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받침대(4)의 외면에는 다수의 점검출입문(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점 검출입문(30)에 설치된 투시창(31)을 통해 받침대(4)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점검출입문(30)을 통해 받침대(4)의 내부를 출입하면서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는 컨트롤박스(40)의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ON/OFF 하는 점등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받침대(4)의 내부를 확인하거나 상수관 및 오수관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때에 받침대(4)의 내부를 밝힌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는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전열히팅장치로서, 전선(45)에 의해 컨트롤박스(40)에 연결되는 히팅코일(46:46-1, 46-2, 46-3, 46-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4)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의 시설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서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된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부에 히팅코일(41)이 감아져 있고, 그 외측을 단열재(42)가 감싸 보호하므로,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4)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의 시설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서 각 수세식 소변기와 수세식양변기 및 세면대의 하측에는 누출오수감지센서(36)를 갖는 오수받이통(3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수여부를 감지하여 오수가 누수될 때에 이를 신속히 수리하여 누출되는 오수에 의해 받침대(4)의 내부와 지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누출오수감지센서(36)에 의해서는 누출되어 수집되는 오수의 량을 감지하여 컨트롤박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정보를 제공하여 표시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외부에 표시하여 주므로 오수의 충진상태를 외부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정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측단면도 및 받침대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동식화장실 2: 화장실본체 3: 지붕
4: 받침대 5: 화장실외벽 6: 화장실분할벽
7: 상수관 8: 오수관 9: 수평조절다리
10: 남자화장실 11. 21: 개별화장실 12. 22: 수세식양변기
13: 수세식소변기 14: 세면대 20: 여자화장실
30: 점검출입문 35: 오수받이통 40: 컨트롤박스
41. 46: 히팅코일 42: 단열재

Claims (6)

  1. 지표에 안치되는 받침대(4)의 상측에 수세식소변기(13)와 수세식양변기(12)(22) 및 세면대(14)가 설치된 화장실본체(2)를 형성한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의 내부를 작업자가 출입하면서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받침대(4)의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점검출입문(30);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어 받침대(4)의 내부를 밝혀주는 점등장치(50);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어 환절기와 동절기에 받침대(4)의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상수관(7) 및 오수관(8) 등 시설물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전열히팅장치;
    상기 받침대(4)의 내부에서 각 수세식소변기(13)와 수세식양변기(12)(22) 및 세면대(14)의 하측에 설치되어 누출되는 오수를 감지하는 누출오수감지센서(36)가 구비된 다수의 오수받이통(35);
    상기 받침대(4)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등장치(50)와 전열히팅장치의 작동과, 오수받이통(35)의 누출오수감지센서(36)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대(4)의 외면에 설치되는 각 점검출입문(30)에는;
    받침대(4)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히팅장치는;
    각기 전선(5)에 컨트롤박스(40)의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다수의 히팅코일(46:46-1, 46-2, 46-3, 4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히팅장치는;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부에 감아 설치되는 히팅코일(41)과;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측에 설치되어 히팅코일(41)을 보호하는 단열재(4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수관(7) 또는 오수관(8)의 외측에 설치되는 단열재는:
    스티로폼ㆍ부직포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20080111328A 2008-11-10 2008-11-10 이동식 화장실 Expired - Fee Related KR10103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28A KR101038798B1 (ko) 2008-11-10 2008-11-10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28A KR101038798B1 (ko) 2008-11-10 2008-11-10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57A KR20100052357A (ko) 2010-05-19
KR101038798B1 true KR101038798B1 (ko) 2011-06-03

Family

ID=4227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3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8798B1 (ko) 2008-11-10 2008-11-10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13B1 (ko)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KR101855447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제이케이 이동식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2830A (zh) * 2020-11-11 2021-03-12 潘勇 一种环保型能够快速增加坑位的旅游旱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32A (ja) * 1996-04-01 1997-10-14 Fusao Yamada 移動式ユニットトイレ
JP2001353102A (ja) 2000-04-12 2001-12-25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同装置用溜水槽
KR200293116Y1 (ko) 2002-04-29 2002-10-25 주식회사 두남이.엔.씨 이동식화장실
KR20020093116A (ko) * 2000-05-02 2002-12-12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와이드 커트 피셔-트롭시 디젤 연료
KR100825510B1 (ko) 2006-11-08 2008-04-28 (주)으뜸산업 이동식 간이 화장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32A (ja) * 1996-04-01 1997-10-14 Fusao Yamada 移動式ユニットトイレ
JP2001353102A (ja) 2000-04-12 2001-12-25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同装置用溜水槽
KR20020093116A (ko) * 2000-05-02 2002-12-12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와이드 커트 피셔-트롭시 디젤 연료
KR200293116Y1 (ko) 2002-04-29 2002-10-25 주식회사 두남이.엔.씨 이동식화장실
KR100825510B1 (ko) 2006-11-08 2008-04-28 (주)으뜸산업 이동식 간이 화장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13B1 (ko)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KR101855447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제이케이 이동식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57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2009187E (pt) INSTALAÆO SANITáRIA COM UM ESCOAMENTO DE CH†O, BEM COMO PROCESSO PARA MONTAGEM DA INSTALAÆO SANITáRIA DESTE TIPO
KR101038798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1146505B1 (ko)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CN208455736U (zh) 一种用于卫生间的侧立式中水储水及处理回用系统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US11389033B2 (en) Bathtub installation aide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CN216075365U (zh) 一种酒店卫生间下排外检结构
KR100860128B1 (ko) 급배수 통합 기능을 갖는 육가 하우징 및 그 육가 하우징을이용한 급배수 통합 배관 시스템
CN100497851C (zh) 一种厨卫模块化同层给排水节水装置
CN208917976U (zh) 一种无积水排水系统
KR20040072518A (ko) 자동개폐식 변기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실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CN217028260U (zh) 一种架空装配式厕所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EP0521885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ue to plumbing leaks in buildings.
CN113775002B (zh) 一种酒店卫生间给排水系统
KR200192905Y1 (ko) 생활 폐수의 재 활용 장치
KR200421792Y1 (ko) 매립형 배관 점검함
KR20120020581A (ko) 배관 연결구조
CN201050096Y (zh) 一种厨卫模块化同层给排水节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5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2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