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8483B1 - Pointing device - Google Patents

Poi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83B1
KR101038483B1 KR1020090110649A KR20090110649A KR101038483B1 KR 101038483 B1 KR101038483 B1 KR 101038483B1 KR 1020090110649 A KR1020090110649 A KR 1020090110649A KR 20090110649 A KR20090110649 A KR 20090110649A KR 101038483 B1 KR101038483 B1 KR 10103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operating
restraint
operating mag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4122A (en
Inventor
박규순
Original Assignee
파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코스(주) filed Critical 파코스(주)
Priority to KR102009011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8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8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2036/0093Micromechanical switches actuated by a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제품의 내구성 및 조작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되, 상면 일측에 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외곽부가 이격되어 수용되되, 상면에 상기 이동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돌기와 하단부에 상기 작동돌기와 일체로 수평 이동되는 작동자석이 구비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작동자석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수평 고정되게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 및 복원에 작용되는 구속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작동자석에 자기 인력을 제공하는 구속자석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기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ed therein, the cover member formed through the movement hole on the upper surface side; A moving member accommodated with an out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cover member, and having a working protrusion protruding through the mov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operating magnet moved horizontally integrally with the working protrusion at a lower end thereof; The magnetic forc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magnet so as to maintain a restraint force appli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vable member by being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magnet.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restraining magnet; And a substrate member disposed below the fixing member, the substrate member including a sensor unit detecting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s an electrical signal.

포인팅 장치, 작동자석, 구속자석 Pointing device, working magnet, restraint magnet

Description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Pointing device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의 입력 장치에 사용되며 제품의 내구성과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inting device which is used in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which significantly improves durability and operability of a product.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 터치패드,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the pointing device refers to an input device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use, a touch pad, a mobile phone, and the like, to control a movement of a pointer on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reby enabl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method. .

이러한 포인팅 장치 중에서 자석의 이동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입력 장치가 근래에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pointing devices,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pointer on the screen by detecting a two-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gnet by using a magnetic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magnet has been recently used.

또한, 이러한 자기 검출식 포인팅 장치는 자석의 이동 및 복원을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for moving and restoring a magnet have been disclosed.

구체적으로, 하나는 특허공보 제10-2004-002918호에 개시된 것으로 기판상이 구비되는 고무 등의 실리콘 수지와, 상기 실리콘 수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석과, 상기 기판 하부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one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918 includes a silicone resin such as rubber provided on a substrate, a magnet disposed on the silicone resin, and a sensor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따라서, 상기 실리콘 수지의 외력 변형과 원형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자석의 이동이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Therefore, the structure which can move the said magnet by the external force deformation and circular restoring force of the said silicone resin is disclosed.

다른 하나는 특허공보 제10-2009-0088770호에 개시된 것으로 기판상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매개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자석과, 상기 기판 하부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한다.The other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8770 and includes a plastic member provided on a substrate, a magnet disposed on the media member, and a sensor attached to the substrate.

따라서, 상기 매개 부재의 외력 변형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자석의 이동이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Therefore, the structure which can move the said magnet by the external force deformation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aid medial member is disclosed.

그러나, 자석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탄성력을 지닌 실리콘 수지나 플라스틱 매개 부재 등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자석의 일정 거리 이동을 위한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사이즈 이상의 부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반하는 문제점과 계속적인 사용에 따른 빈번한 접촉에 따른 마모나 부품 손상으로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using a component such as a silicone resin or a plastic media member having elastic force to move the magnet is required to use a part of a certain size or more in order to secure the elastic force for a certain distance movement of the magnet, and the problem of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ife is short due to wear or damage to parts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continuous use.

더욱이, 실리콘 수지는 열화되면 둔해지는 느낌으로 작동감이 저하되며 플라스틱 재질의 매개 부재는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한 작동감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ilicone resin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feeling is reduced to a dull feeling when deteriorated, and the media member of the plastic material is difficult to adjust the operating feeling for easy operation of the user.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구속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 및 복원으로 접촉에 따른 마모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하므로 제품의 내구성과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wear or damage due to contact by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operating magne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restraint magnet and facilitates the adjust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to provide a smooth feeling of 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dura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produc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되, 상면 일측에 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외곽부가 이격되어 수용되되, 상면에 상기 이동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돌기와 하단부에 상기 작동돌기와 일체로 수평 이동되는 작동자석이 구비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작동자석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수평 고정되게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 및 복원에 작용되는 구속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작동자석에 자기 인력을 제공하는 구속자석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기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ed therein, the cover member formed through the moving hol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 moving member accommodated with an out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cover member, and having a working protrusion protruding through the mov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operating magnet moved horizontally integrally with the working protrusion at a lower end thereof; The magnetic forc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magnet so as to maintain a restraint force appli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vable member by being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magnet.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restraining magnet; And a substrate member disposed below the fixing member, the substrate member including a sensor unit detecting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s an electrical signal.

여기서, 상기 구속자석은 상기 센서부에 원주상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자기 센서 내측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이 상기 기판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돔에 탄성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돔은 상기 구속자석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부가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어 스위치접점에 접촉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스위치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되는 어느 일면에는 상기 작동자석 및 상기 구속자석의 자기력을 유지시키면서 접촉 마찰력을 완화시키도록 부착된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속자석의 외측에는 상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에 따라 자화되어 자기장의 세기를 증대시키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자기유도 매개체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strained magnet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provided in the sensor portion circumferentially and the bottom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dom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In addition, the elastic dome is preferably operated dome switch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is concave elastically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estraint magnet.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ed member provided with a sliding member attached to alleviate contact friction while maintaining magnetic forces of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restraining magnet. And, the outer side of the restraint magnet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ic induction medium arranged in pairs so as to 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s magnetized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자기 인력에 의한 구속력으로 자기 검출을 위한 작동자석을 이동 및 복원시키도록 배치된 구속자석이 구비됨으로써, 기존의 탄성력 제공을 위한 부품의 변형에 따른 마모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오랜 사용에도 동일한 작동감으로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straint magnet disposed to move and restore the operation magnet for magnetic detection by the restraint force by the magnetic attraction, thereby essentially eliminating wear or damage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component for providing the existing elastic force Not only does it significan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but it also gives the user confidence with the same feeling of operation even after long use.

둘째, 작동자석과 구속자석 상호 간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재의 동작성을 조절하여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by adjusting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restraint magnet can be easily operated by adjusting the operability of the moving memb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the user's operation convenience.

셋째, 구속자석이 자기 검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다수 개의 자기 센서 내측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탄성돔에 탄성지지됨으로써 작동자석에 대응되는 소형의 구속자석이 돔스위치 기능까지 병행하여 더욱 컴팩트한 조립 구성으로 제품이 소형 화되고 슬림화되어 제작될 수 있다. Third, the constrained magnet is placed inside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so as not to affect the magnetic detec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dome so that the small constrained magnet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magnet can be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the dome switch. It can be made compact and slim.

넷째, 작동자석과 구속자석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나 갭을 구비하여 상호 간의 접촉 마찰력을 완화시킴으로써, 긴밀하게 접촉되면서 이동성은 개선되므로 부품 간의 접촉 완화에 따른 내구성은 물론 조작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Fourth, by providing a sliding member or a gap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restraint magnet to alleviate contact friction between each other, the mobility is improved whil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urability and the operation feeling can be further improved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par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는 커버부재(1), 이동부재(2), 고정부재(3) 및 기판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member 1, a moving member 2, a fixing member 3, and a substrate member 4. Is done.

상세히, 상기 커버부재(1)는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관통되는 이동홀(111)과 센서장착홀(121)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cover member 1 has a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moving hole 111 and a sensor mounting hole 121 penetrate through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브라켓(12)이 결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내부에 이동부재(2), 고정부재(3) 및 기판부재(4)가 조립 설치된다. Here, the cover member 1 is preferab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combined with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bracket 12, the moving member 2, the fixing member 3 and the substrate member 4 therein. Is assembled and installed.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1)에는 작동돌기(21)가 관통 돌출되어 원주상의 수평 방향으로 제한된 이동거리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돌기(21)의 최외곽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이동홀(111)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11 has a moving hol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operating protrusion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operating protrusion 21 is protruded through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11 is provided.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상면은 슬림화 구조를 위해서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최외곽부로부터 상기 이동홀(111) 측으로 단면 경사진 것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돌기(21)의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상단에 거의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nclined cross section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upper case 11 to the moving hole 111 for the slimming structure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21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1 is preferably made of a height almost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함몰된 경사면 내측에 돌출된 작동돌기(21)를 원주상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operation protrusion 21 protruding inside the inclined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in the circumferential horizontal direction.

더욱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외주에는 결합돌기(112a)가 형성된 다수 개의 제1결합부(112)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결합부(112)가 하부브라켓(12)에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제2결합부(122)와 대향 접촉되면서 상기 결합돌기(112a)가 결합홈(122a)에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커버부재(1)의 결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부케이스 및 하부브라켓의 결합은 이에 한정됨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case 11 is preferably forme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12a),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2 protrudes on the lower bracket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member 1 is coupled by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2a to the coupling groove 122a while facing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ortions 122. Of course,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bracket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 외주테두리의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홈(113)은 고정부재(3)의 외주상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33)에 형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11)와 상기 하부브라켓(12)의 결합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3)를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3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1 outer periphery border, and the fixing grooves 113 protrud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member 3. By fitting to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bracket 12 can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3 at the same time.

더욱이, 상기 상부케이스(11) 외주테두리의 하단부 일측에는 기판부재(4)의 일측에 형합되는 형합홈(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형합홈(114)에 상기 기판부재(4)의 일측이 형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1)는 상기 기판부재(4)를 고정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 fitting groove 114 to be join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member 4 is preferably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upper case 11, and one side of the substrate member 4 is formed in the matching groove 114. The upper case 11 can fix the substrate member 4 by the matching.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12)의 내측에는 센서장착홀(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센서장착홀(121)은 고정부재(3)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센싱홀(32)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장착홀(121)에 자기 센서(도 5의 45a 참조)가 구비되며 기판부재(4)의 하면에 배치되는 센서부(45)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sensor mounting hole 121 is formed inside the lower bracket 12, and the sensor mounting hole 121 corresponds to an outer shape of a plurality of sensing holes 32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 It is preferably made in the shape. A magnetic sensor (see 45a of FIG. 5) is provided in the sensor mounting hole 121, and a sensor unit 45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4 is coupled.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12)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구속돌기(123)가 형성되는데, 상기 구속돌기(123)는 기판부재(4)의 구속홈(4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판부재(4)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며 기판부재(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training protrusions 123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12, and the restraining protrusions 123 are coupled to the restraining grooves 43 of the substrate member 4. Guide the coupling direction and stably fix the substrate member (4).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1)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사이에 이동부재(2), 고정부재(3) 및 기판부재(4)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조립되면서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를 비롯한 모든 부품들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moving member 2, the fixing member 3, and the substrate member 4 are sequentially disposed and assembled between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bracket inside the cover member 1. do. Here, all the parts including the cover member 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한편, 상기 커버부재(1)의 내측에 이동부재(2)가 외곽부가 이격되어 수용되는데, 상기 이동부재(2)는 상면에 상기 이동홀(111)을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돌기(21)와 하단부에 상기 작동돌기(21)와 일체로 수평 이동되는 작동자석(2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member 2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member 1 is spaced apart, the moving member 2 and the operating projection 21 protruding through the moving hole 111 on the upper surface; An operating magnet 22 which is horizontally mov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protrusion 2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2)는 상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작동돌기(21)와 상기 작동돌기(21)의 하단부로부터 원주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11)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는 몸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ing member (2) extends circumferenti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protrusion 21 and the actuating protrusion 21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1 ( 23) is preferably included.

또한, 상기 이동부재(2)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24)에 상기 작동자 석(22)이 삽입 고정되며, 이때 작동자석(22)의 하면과 상기 이동부재(2)의 하면을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or seat 2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24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or magnet 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 are the same surface. It is desirable to achieve.

여기서, 상기 작동자석(22) 및 구속자석(32)은 상호 대응되는 원통 형상의 얇은 자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면을 가지는 다각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작동자석(22)과 구속자석(32)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hin cylindrical magn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but also provided as a polygon having a face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Moreover, the work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is preferably made of a permanent magnet.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는 단면 모자 형상으로 상기 커버부재(1)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작동돌기(21) 역시 상기 이동홀(111)에 의해 한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2)와 상기 작동돌기(21)의 이동거리는 작동자석(22)과 구속자석(32)의 상호 접촉 유지되는 면의 너비를 결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ving member 2 has a cross-sectional cap shape, preferably moved within the range def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1, in this case, the actuating projection 21 is also in the moving hole 111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member 2 within the range define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member 2 and the actuating protrusion 21 determines the width of the surface of the operator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작동돌기(21)가 상기 이동홀(111)과 원주상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몸체(23)가 상기 커버부재(1)의 내측면과 원주상으로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distance from which the actuating protrusion 21 is circumferentially spaced from the moving hole 111 is preferably made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of the body 23 circumferentially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 Do.

한편, 상기 이동부재(2)의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3)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는 상기 작동자석(22)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34)에 수평 고정되게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2)의 수평 이동 및 복원에 작용되는 구속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작동자석(22)에 자기 인력을 제공하는 구속자석(3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vided a fixing member 3 disposed below the moving member 2, the fixing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4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magnet 22 to be fixed horizontally Constraints magnet 32 is provided to provide a magnetic attraction to the operating magnet 22 to maintain the restraining force acting on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ving member (2).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의 내곽부에는 상기 작동자석(22)의 이동에 따른 자속 밀도의 변화를 기판부재(4)의 자기 센서(도 5의 45a 참조)가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자기 센서의 위치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센싱홀(32)이 구비된다.Here, the magnetic sensor of the substrate member 4 (see 45a in FIG. 5) of the magnetic sensor may easily detect a change in magnetic flux density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in the inn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3. A sensing hole 32 is formed to penetrate to face the position.

또한, 상기 작동자석(22)의 수평이동에 따른 구속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작동자석(22) 및 상기 구속자석(32)은 상하 방향으로 동일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이동부재(2)가 상기 커버부재에 걸림되는 수평 방향의 최대 이동시에도 상호 엇갈리며 겹침 부위가 유지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traint for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is preferably arranged to have the same polar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ing member (2) ) Is preferably arranged so that the overlapping portions are staggered even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ver member is he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상기 작동자석(22)은 상기 구속자석(32)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operating magnet 22 is preferably mov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contact with the restraint magnet 32 is maintained.

이에 따라, 이동부재(2)의 이동 및 복원은 작동자석(22)과 이동자석(32)의 자기 인력에 의한 구속력 하에서 이루어진다. Accordingly, the moving and restoring of the moving member 2 is performed under the restraint force by the magnetic attraction of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moving magnet 32.

이를 통하여, 마모나 손상가능한 기구적인 탄성 부품에 의한 이동 및 복원이 아니라 오랜 사용에도 손상됨 없이 동일하게 작용되는 자기 인력에 의한 이동 및 복원으로 수명이 오래갈 뿐만 아니라 조작감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not only movement and restoration by wearable or damaging mechanical elastic parts but also movement and restoration by magnetic attraction acting in the same manner without being damaged even for long time use may not only last a long life but also maintain a feeling of operation.

한편, 상기 이동부재(2) 및 상기 고정부재(3)의 대향되는 어느 일면에는 상기 작동자석(22) 및 상기 구속자석(32)의 접촉 마찰력을 완화시키면서 자기력을 유지시키도록 부착된 슬라이딩부재(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member attached to any one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 and the fixing member 3 to maintain the magnetic force while alleviating the contact friction force of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 It is preferable that 5) is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5)는 낮은 마찰계수 특성을 가지는 테프론 등의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테프론 재질의 테잎(tape)을 부착하는 것이다.Here, the sliding member 5 is preferably made of a thin plate-like shap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Teflon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characteristics. This is actually to attach a tape made of Teflon.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5)는 상기 작동자석(22)과 상기 구속자석(32)의 사 이에 접촉 배치되어 상기 작동자석(22)의 이동에 따른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이동부재(2)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5 is disposed in contact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to reduc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the moving member 2 is It can slide smoothly.

더욱이, 상기 작동자석(22)은 이동부재(2)의 하면에 본딩 등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작동자석(22)을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gnet 22 is also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2 by bonding or the like also serves to fix the operation magnet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물론, 상기 작동자석(22)과 상기 구속자석(32)의 마찰 완화 구성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동자석과 구속자석의 사이가 일정 간극으로 이격된 갭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Of course, the friction relaxation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gap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restraint magnet spaced at a predetermined gap. It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5)는 상기 자석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윤활제의 역할을 한다.Thus, the sliding member 5 serves as a lubricant for mitigating frictional force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magnets.

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속자석(32)에 접촉 이동되던 상기 작동자석(22)의 이동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지면서 동작감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조작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t magnet 32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2 is smooth and soft,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and the user's operation feeling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기존의 실리콘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비교적 무리한 힘이 사용되지 않으면서 상기 이동부재(2)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가벼운 조작이 가능하여 조작 편의성 역시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member 2 is possible without using a relatively excessive force for deforming the existing silicon or plastic material, the user's light operation is possible an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자석(22)과 구속자석(32)의 사이에 슬라이딩부재(5)나 상호 간의 이격 배치에 의한 공기층의 갭을 구비하여 상호 간의 접촉 마찰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member 5 or a gap of the air layer due to the spaced-apart arrangement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constraining magnet 32 to alleviate the contact friction force between them.

이를 통하여, 작동자석(22)과 구속자석(32)은 안정적으로 긴밀하게 접촉되면서 부드러운 이동에 의해 이동성은 개선되므로 부품 간의 접촉 완화에 따른 내구성 은 물론 조작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perating magnet 22 and the constrained magnet 32 is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mobility is improved by smooth movement, and durability as well as ease of operation due to relaxation of contact between parts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고정부재(3)의 하측에 기판부재(4)가 배치되는데, 상기 기판부재(4)는 상기 작동자석(21)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45)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member 4 is disposed below the fixing member 3, the substrate member 4 is a sensor unit 45 for detec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1 and outputs it as an electrical signal 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기판부재(4)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등의 기판을 말하는 것으로서 기판몸체(41)와 상기 기판몸체(41)의 하면에 상기 센싱홀(31)에 대향되도록 다수 개의 자기 센서(도 5의 45a 참조)가 배치된 센서부(45)와 상기 기판몸체(41)의 상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돔(42)과 상기 기판몸체(4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연결된 신호출력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bstrate member 4 refers to a substrate such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which is opposed to the sensing hole 31 on the substrate body 4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41. A sensor unit 45 hav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see 45a of FIG. 5) disposed thereon and an elastic dome 42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41 and detected from the substrate body 41 may be us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gnal output section 44 connected to output a signal.

한편, 상기 구속자석(32)은 상기 센서부(45)에 원주상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자기 센서(도 5의 45a 참조) 내측부에 고정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이 상기 기판부재(4)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돔(42)에 탄성지지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ained magnet 32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see 45a of FIG. 5) provided in the sensor portion 45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4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dome 42 is elastically supported.

또한, 상기 탄성돔(42)은 상기 구속자석(32)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부가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어 스위치접점에 접촉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스위치 작동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dome 42 is preferably a dome switch is operat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is concave elastically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estraint magnet (32).

상세히, 상기 구속자석(32)은 상기 장착홀(34)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자석(22)의 하면은 상기 이동부재(2)의 하면과 동일 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구속자석(32)은 상기 작동자석(2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와 고정부재(3)의 사이에는 이동부재(2)의 상하이동을 위한 간격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restraint magnet 32 is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34 so as to be movable.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actuating magnet 22 is provid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 and the restraint magnet. 32 protrudes in contact with the operator magnet 22 in a direction opposite thereto. Accordingly, a gap between the movable member 2 and the stationary member 3 is formed for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

또한, 도 5를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자기 센서(45a)는 작동자석(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의 자기장이 인가되면 일정 신호를 발생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다수의 자기 센서(45a)의 내측부이며 상기 작동자석(22)의 하측에 고정 배치된 상기 구속자석(32)은 자기 검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partially, the magnetic sensor 45a is disposed outside the operating magnet 22 and preferably comprises a Hall sensor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pplied. The restraint magnet 32, which is an inner part of the magnetic sensor 45a and is fixedly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magnet 22, does not affect magnetic detection.

그리고, 상기 탄성돔(42)은 하단부가 고정접점에 상시 접촉되고 돌출된 상단부가 스위치접점 상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작동돌기(21)를 기판부재(4) 방향으로 누름동작시키면 상기 작동자석(22)에 접촉된 상기 구속자석(32)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돔(42)의 돌출된 상단부를 가압하면 상단부가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치접점에 접촉되어 ON 상태가 되고, 작용력을 제거하면 탄성돔(42)의 상단부가 다시 돌출되게 원상 복귀되어 OFF 상태가 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And, The elastic dome 42 is the lower e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and the protruding upper end is located above the switch contact. Accordingly, when the user pushes the actuating protrusion 21 toward the substrate member 4, the elastic dome 42 protrudes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estraint magnet 32 in contact with the actuating magnet 22. When the upper end portion is pressed, the upper end portion is concave and elastically de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and the ON state is remove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astic dome 4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o generate a signal that becomes OFF.

이와 같이, 작동자석(22)의 하측에 구속자석(32) 및 탄성돔(42)이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배치되고, 탄성돔(42)의 하측 주위로 다수 개의 자기 센서(도 5의 45a 참조)가 배치되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uch, the restraint magnet 32 and the elastic dome 42 are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magnet 22, and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are dispos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dome 42 (see 45a of FIG. 5). It consists of a compact configuration in which it is arranged.

따라서, 구속자석(32)은 자기 검출에 영향을 주지않는 자기 인력에 의한 구속력이 작용되면서 상하이동에 의한 돔스위치 구동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straint magnet 32 can drive the dome switch by the shangdong while the restraint force is applied by the magnetic attrac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detection.

이를 통하여, 작동자석(22)에 대응되는 소형의 구속자석(32)이 돔스위치 기능까지 병행하여 더욱 컴팩트한 조립 구성으로 제품이 더욱 소형화되고 슬림화되어 제작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mall constrained magnet 32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magnet 22 can be manufactured in a more compact and slimmer configuration with a more compact assembly configuration in parallel with the dome switch function.

더욱이, 오랜 사용으로 인한 작동자석(22)의 빈번한 수평이동에도 불구하고 작동돌기(21)와 구속자석(32)이 자기 인력에 의해 일체로 상하이동되므로 돔스위치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기존 부품간의 돔스위치 구동이 마모나 손상으로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것과 달리 내구성이 우수하며 동작성능도 뛰어나다.Moreover, despite frequ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due to long use, the actuating protrusion 21 and the constraining magnet 32 are moved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so that the dome switch drive is stable and the dome between the existing parts Switch operation is frequently caused by wear or damage Unlike failures,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excellent perform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작동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상의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끝으로 작동돌기(21)를 조작하면 작동돌기(21)는 원주상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작동돌기(21)와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작동자석(22)의 움직인 거리를 센서부(45)가 감지하며 제어부(미도시)가 감지된 신호를 입력 신호로 사용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감지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3 and 4,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protrusion 21 with the fingertips to move the pointer on the screen to a desired position, the operation protrusion 21 is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nsor unit 45 detec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operating magnet 22 slidingly integrated with 21) and outputs the detected signal as an electrical signal for use as an input signal. The detection principle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이동부재(2)에 고정 결합된 작동자석(22)의 수평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센서부(45)에 구비된 자기 센서(45a)가 감지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작동자석(22)은 이동부재(2)가 한정된 범위를 이동함에 따라 구속자석(32)과 접촉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sensor 45a provided in the sensor unit 45 detects and outpu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 and the operating magnet 22 is As the moving member 2 moves in a limited range, the moving member 2 moves within a range in which contact with the restraint magnet 32 is maintained.

이에 따라, 작동자석(22)은 사용자가 자기력에 의한 구속력을 이기는 힘을 가하여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동되며 계속적인 자기 인력의 구속력이 유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돌기(21)를 놓으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Accordingly, the operating magnet 22 is moved by the user moving by applying a force that overcomes the restrain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restraint force of the continuous magnetic attraction is maintained so that the user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actuating protrusion 21 is released.

즉, 작동자석(22)의 이동과 복원이 자기 인력의 구속력 하에서 수행됨으로써 작동자석(22)의 계속적인 동작에도 불구하고 기구적인 마모나 손상이 배제되므로 수명이 오래갈 뿐만 아니라 작동감의 동일성으로 사용자에게 만족스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since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operating magnet 22 are performed under the binding force of the magnetic attraction, mechanical wear or damage is eliminated despite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operating magnet 22, so that the service life is long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the same. It can provide a satisfactory quality to the user.

또한, 고정 배치된 구속자석(32)의 자속 밀도는 자기 검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동작감 조절을 위한 자기력의 조절에 사용되는데 작동자석(22)과 같거나 낮은 자속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자석(32)과 상기 작동자석(22)의 자기력 조절은 크기, 면적, 부피 등을 바꾸는 것에 의해 조절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fixedly arranged restraint magnet 32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detection and i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he magnetic force for controlling the feeling of motion, and preferably has the same or lower magnetic flux density as the working magnet 22. Magnetic force control of the restraint magnet 32 and the working magnet 22 is adjustable by changing the size, area, volume and the lik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작동자석과 센서부에 내장된 자기센서 상호 간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Meanwhile,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between an operating magnet of a pointing device and a magnetic sensor embedded in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부(45)는 각기 작동자석(22)의 X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 좌표치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X1, X2)와,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좌표치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Y1, Y2)를 포함한다. 즉, 출력된 X좌표치와 Y좌표치를 통해 작동자석(22)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으며, 작동자석(22)이 상이한 위치로 이동시 이동량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출력해준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sensor unit 45 respectively detects a magnetic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in the X-axis direction and outputs corresponding X coordinate values (X1, X2). And magnetic sensors Y1 and Y2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Y coordinate valu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magnet 22 can be determined by the output X coordinate value and the Y coordinate value, and when the operation magnet 22 moves to a different position, it output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또한, 상기 자기 센서(45a)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복수의 자기 센서(X1, X2, Y1, Y2)를 상기 장착홀(34)을 중심점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자기 센서(45a)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45a)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자기 센서(45a)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응용한 것으로서 홀센서를 흐르는 전류에 자기장이 수직 방향으로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amplifies the output of the magnetic sensor 45a, aggregates, and detects and outputs a change in the final magnetic fiel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X1, X2, Y1, and Y2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hole 34 as a center point. As the above-described magnetic sensor 45a,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a Hall element, a semiconductor magnetoresistive element, a potato magnetoresistive element, or a GMR (Giant Magneto Resistive) element. The magnetic sensor 45a preferably uses an element whos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with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The magnetic sensor 45a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employs a hall effect, and uses a Hall element in which an output voltage generated as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hang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돔스위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ome switch driving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2)를 기판부재(4)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이동부재(2)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자석(22)을 통해 구속자석(32)도 함께 하강하여 그 하부의 탄성돔(42)을 클릭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속자석(32)은 상기 고정부재(3)에 형성된 장착홀(34)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외부에서 인가되었던 힘 사라지게 되면 상기 탄성돔(4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속자석(32)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고 이동부재(2)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화면상의 포인터가 클릭에 의한 선택기능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6, when the moving member 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member 4, the moving member 2 is lowered and thus the constraining magnet 32 is also provided through the operating magnet 22. It descends and clicks on the elastic dome 42 below. At this time, the restraint magnet 32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mounting hole 34 formed in the fixing member (3). Subsequently, when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disappears, the restraint magnet 3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ome 42, and the moving member 2 is also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the pointer on the screen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selection function by clicking.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자기유도 매개체(7)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특징은 홀센서가 상술한 일실시예의 리니어 타입(linear type)이 아닌 래치 타입(latch type)을 사용시에 저감도로 인한 제어가 어려운 것을 보완하기 위해 배치되는 금속체의 자기유도 매개체(7)가 구비된 것이다.Th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magnetic sensor is a magnetic induction medium of the metal body arranged to compensate for the difficulty of control due to the low sensitivity when the Hall sensor uses a latch type other than the linear typ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7). ) Is provided.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속자석(32)의 외측에는 작동자석(22)의 수평 이동에 따라 자화되어 자기장의 세기를 증대시키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자기유도 매개체(7)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magnetic induction mediators are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finement magnet 32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magnetiz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working magnet 22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t is preferable that (7) is further provided.

예를 들어, 상기 자기유도 매개체(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자석(32)의 원주상의 외측에 일측이 개구된 동일한 고리형상의 부재가 상하좌우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ame annular member having one side open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strained magnet 32 faces up, down, left, and right as shown.

상세히, 래치 타입의 홀센서를 자기 센서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동부재(2)가 이동홀(111) 내에서 이동하며 홀센서의 축이 X축과 Y축을 갖는 경우에 X축, Y축 이동시와 대각선측 이동시에 센서가 인식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에 자기유도 매개체(7)를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자기유도 매개체(7)에 의해 X축, Y축 방향과 대각선 방향의 동일한 이동 감지를 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latch type Hall sensor is used as a magnetic sensor, the moving member 2 moves within the moving hole 111 and when the axis of the Hall sensor has X and Y axes,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is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perceived by the sensor during the diagonal movement. Accordingly,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can detect the same movement in the X-axis, Y-axis direction and diagonal direction.

물론, 상기 자기유도 매개체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자기 유도 매개체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자기 센서에 미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Of course,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Furthermor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on the magnetic sensor.

따라서, 작동자석(22)의 이동에 따라 자기유도 매개체(7)가 자화되면 자기장이 발생하여 작동자석(22)이 자기유도 매개체(7)상에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감도가 개선되어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is magnetiz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agnet 22,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so that the effect of the operation magnet 22 on the magnetic induction medium 7 can be obtained. Can be facilita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 인력에 의한 구속력으로 자기 검출을 위한 상기 작동자석(22)을 이동 및 복원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동일 극성으로 배치된 상기 구속자석(32)이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strained magnets 32 arranged in the same polar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and restore the operating magnets 22 for magnetic detection by the constraining force by the magnetic attraction.

이를 통하여, 기존의 탄성력 제공을 위한 실리콘체, 플라스틱체 등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부품의 사용을 배제하여 계속적인 사용에 따른 부품의 마모나 손상을 원척적으로 배제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 of parts that act as mediators such as silicone body or plastic body to provide the existing elastic force can be excluded, and the dur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excluding the wear or damage of parts due to continuous use. have.

더욱이, 작동자석(22)의 이동에 기구적인 마모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배제됨으로써 제품의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동작감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동작감의 동일성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를 가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mechanical wear or damage is essentially excluded in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22, so that the same operational feeling can be maintained despite the long use of the product, so that the user can have confidence in the product with the same operational feel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has a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 pers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작동자석과 센서부에 내장된 자기센서 상호 간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between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magnetic sensor built in the sensor unit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돔스위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ome switch driving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포인팅 장치 1: 커버부재10: pointing device 1: cover member

11: 상부케이스 111: 이동홀11: upper case 111: moving hole

12: 하부브라켓 121: 관통홀12: lower bracket 121: through hole

2: 이동부재 21: 작동돌기2: moving member 21: working projection

22: 작동자석 23: 몸체22: working magnet 23: body

3: 고정부재 31: 센싱홀3: fixing member 31: sensing hole

32: 구속자석 33: 고정돌기32: redemption magnet 33: fixed protrusion

34: 장착홀 4: 기판부재34: mounting hole 4: substrate member

41: 기판몸체 42: 탄성돔41: substrate body 42: elastic dome

44: 신호출력부 5: 슬라이딩부재44: signal output unit 5: sliding member

Claims (5)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되, 상면 일측에 이동홀이 관통 형성된 커버부재; A cover member provided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rein, the cover member having a mov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외곽부가 이격되어 수용되되, 상면에 상기 이동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돌기와 하단부에 상기 작동돌기와 일체로 수평 이동되는 작동자석이 구비된 이동부재; A moving member accommodated with an out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cover member, and having a working protrusion protruding through the mov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operating magnet moved horizontally integrally with the working protrusion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작동자석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수평 고정되게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 및 복원에 작용되는 구속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작동자석에 자기 인력을 제공하는 구속자석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The magnetic forc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magnet so as to maintain a restraint force appli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vable member by being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magnet.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restraining magnet; And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기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인팅 장치.A pointing devic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comprising a substrate member hav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속자석은 상기 센서부에 원주상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자기 센서 내측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이 상기 기판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돔에 탄성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The constraining magnet is dispos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circumferentially provided in the sensor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lastic dome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탄성돔은 상기 구속자석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부가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어 스위치접점에 접촉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스위치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The elastic dome is a po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me switch operation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is concave elastically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estraint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되는 어느 일면에는 상기 작동자석 및 상기 구속자석의 자기력을 유지시키면서 접촉 마찰력을 완화시키도록 부착된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And a sliding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ed member to relieve contact friction while maintaining magnetic forces of the operating magnet and the restraint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속자석의 외측에는 상기 작동자석의 수평 이동에 따라 자화되어 자기장의 세기를 증대시키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자기유도 매개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And a plurality of magnetic induction mediator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strained magnet in pairs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by being magnetiz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rating magnet.
KR1020090110649A 2009-11-17 2009-11-17 Pointing device Active KR101038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49A KR101038483B1 (en) 2009-11-17 2009-11-17 Po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49A KR101038483B1 (en) 2009-11-17 2009-11-17 Poi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22A KR20110054122A (en) 2011-05-25
KR101038483B1 true KR101038483B1 (en) 2011-06-01

Family

ID=4436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649A Active KR101038483B1 (en) 2009-11-17 2009-11-17 Poi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8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018A (en) 2001-12-28 2003-07-11 Asahi Kasei Corp Operation adapter for pointing device
JP2003316512A (en) 2002-04-24 2003-11-07 Asahi Kasei Corp pointing device
KR20050100622A (en) * 2003-01-20 2005-10-19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oi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018A (en) 2001-12-28 2003-07-11 Asahi Kasei Corp Operation adapter for pointing device
JP2003316512A (en) 2002-04-24 2003-11-07 Asahi Kasei Corp pointing device
KR20050100622A (en) * 2003-01-20 2005-10-19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ointing device
KR20070094022A (en) * 2003-01-20 2007-09-19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o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22A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128B1 (en) Pointing device
JP4108401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3165997B1 (en) Automotive input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US8698738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JP5765640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6216428B2 (en) Button mechanism
US10234960B1 (en) Variable response key and keyboard
JP2008311199A (en) Non-contact type switch device
JP5131777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612281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JPWO2009014027A1 (en) Input device
KR101038483B1 (en) Pointing device
US7663271B2 (en) Actuator with hit prevention mechanism
JP2006049015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it
JP7266041B2 (en) Operating device and vibration generator
KR20090011668A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45439B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5662328B2 (en) Analog pointing key structure
KR101160942B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201886A (en) Analog pointing device
JP4721915B2 (en) Operation member for slide input device and slide input device
JP5585148B2 (en) Pointing key
KR100833269B1 (en)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0852161B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4525502B2 (en) Trackbal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