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6856B1 -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856B1
KR101036856B1 KR1020087018099A KR20087018099A KR101036856B1 KR 101036856 B1 KR101036856 B1 KR 101036856B1 KR 1020087018099 A KR1020087018099 A KR 1020087018099A KR 20087018099 A KR20087018099 A KR 20087018099A KR 101036856 B1 KR101036856 B1 KR 10103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fiber
heat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217A (ko
Inventor
다카하루 이리에
이쿠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1Including other strand or fiber material in a different layer not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1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8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1Multiple nonwoven fabric layers composed of the same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 Y10T442/692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하기 (a)층, (b)층 및 (c)층의 부직포가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 부직포로서, 하기의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a)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b)층: (a)층과 같은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c)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1) (a) 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차가 30℃ 이하임;
(2)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가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이,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보다 40∼150℃ 낮음.
적층 부직포, 가열 밀봉,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 열가소성 수지, 열접착성, 극세섬유

Description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HEAT-BONDABLE LAMINATED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편면(片面)이 열접착성을 가지는 적층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주체로 한 장섬유 부직포는, 다른 부직포에 비해, 자루 물품, 용기 뚜껑 등으로 가공했을 때, 강도가 높고, 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접착 가공에 의한 접합이 가능해서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저융점의 수지를 사용한 부직포 혹은 필름 등과의 열접착성은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에서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필터 성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미세한 입자가 누설되어 필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필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부직포의 밀도를 높이면, 부직포의 두께가 커지고, 가열 밀봉(heat seal) 성능이 저하되고, 자루 물품 등으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202011호 공보에는, 통풍성 및 투광성을 가지는 2장의 시트를 포개어, 복수 개소를 일체로 접합해서 흡수 실을 설 치하고, 탈취제와 제습제를 충전한 탈취제습 시트가 제안되어 있고, 요 등에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충전하는 물질의 입자가 미세할 경우나, 입자가 부서지기 쉬울 경우에는, 분진 누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하고, 열접착 가공에 의해 자루 물품을 제조할 때, 통상은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 압착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자루제조 공정에 있어서 장시간에 걸쳐 고온으로 제조 장치를 운전할 필요가 있고, 히트 롤이나 열판 히터에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 부착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되고, 가공 속도를 올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열접착 온도를 낮게 하면, 소정의 밀봉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므로, 복잡한 온도 관리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 200I-315239호 공보에는,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을 접합시킨 구조의 부직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부직포에 사용하는 복합 섬유의 저융점 성분의 접착 작용에 의해,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의 접합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끼리의 상용성에 따라 접착성이 크게 좌우된다. 그 결과, 저융점 성분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로 열압착을 해도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의 층간에서 박리되기 쉽고, 완전히 융착한 상태에서 접착시킬 수 없다.
또한, 접합시키기 위해서 용융한 저융점 성분이 비가열 밀봉층으로 이면(裏面) 누락되어, 양호한 편면 가열 밀봉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에 있 어서는, 필터 성능 및 가열 밀봉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 없어서, 이러한 성능이 모두 개선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가 요망되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미세섬유 구조를 가지고, 필터 성능, 배리어 성능, 가열 밀봉성 등이 우수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즉, 미세한 입자나 부서지기 쉬운 입자에 대하여도 분진 누설이 없고, 파열 강도가 높고, 편면 가열 밀봉성이 우수하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가열 밀봉이 가능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집중 검토한 결과, (a)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 (b)층으로서 (a)층과 같은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 (c)층으로서 특정한 융점 범위의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을 적층한 구조의 적층 부직포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a)층, (b)층 및 (c)층의 부직포가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 부직포로서, 하기의 (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a)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진다.
(b)층: (a)층과 같은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진다.
(c)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진다.
(1) (a) 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차가 30℃ 이하임.
(2)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가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이,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보다 40∼150℃ 낮음.
2. 상기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섬유의 양(중량%)이 상기 적층 부직포 전체의 섬유량에 대하여 5∼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3. 상기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이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4. 상기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가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5. 상기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가, 저융점 성분을 쉬스(sheath) 성분으로 하는 쉬스-코어(sheath-core)형 복합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6. 상기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7. 상기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이 폴리에틸렌이며,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8. 상기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며,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항에 기재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9. 상기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c)층의 외측 표면을 서로 포개서 가열 밀봉했을 때, 가열 밀봉 온도가 125∼230℃인 범위에서의 가열 밀봉 강도가 0.2(N/25mm폭·밀도[㎡]) 이상이며, 상기 가열 밀봉 강도의 변동률(R/x)이 8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한편, R은 변동값, x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란, 높은 배리어성 및 편면에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적층 부직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a)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 (b)층으로서 (a)층과 같은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 및 (c)층으로서 특정한 융점 범위의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층이,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 부직포이다.
상기 적층 부직포에 있어서,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의 융점차가 0∼30℃ 이내인 동일 계통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또,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 장섬유는 저융점 성분을 가지며,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이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보다 40∼150℃ 낮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에 있어서, (a)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이외에는,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고, 또 생산성이 낮아진다.
(a) 층의 부직포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섬유 형성능을 가지고, 통상의 용융 방사장치를 사용해서 방사할 수 있는 것일 필요가 있다.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그의 공중합체,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부틸렌 텔레프타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린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생분해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을 비롯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흡수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알킬렌글리콜과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ω-아미노산의 중축합반응으로 합성되는 나일론6,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공축중합반응으로 합성되는 나일론66, 나일론610, 더 나아가, 나일론612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이하, PE라 함), 폴리프로필렌(이하, PP이라 함), 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 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은, 일반적인 지글러 낫타(Ziegler Natta) 촉매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머일 수도 있고, 메탈로센으로 대표되는 싱글 사이트 활성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머일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LDPE(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중에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한 폴리머일 수도 있다.
(a) 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은, 7㎛ 이상의 비교적 굵은 섬유직경을 가지는 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직경이 7㎛ 이상이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부직포가 높은 생산성에서 얻어진다. 비교적 저밀도로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스펀 본드법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PET 장섬유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에 있어서, 중간층인 (b)층의 극세섬유 부직포층은, 본 발명의 특이한 효과인 필터 작용과 접합 강화 작용을 만들어 낸다고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한 특징적인 섬유 구조를 가진다.
즉, (b)층의 부직포는 극세섬유로 구성되고 있어, 열압착 시, 상기 극세섬유가, (a)층의 부직포와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비교적 굵은 섬유의 간극에 침입하고, 서로 교락(交絡)해서 열압착됨에 따른 강고한 앵커 효과 및 접합 강화 작용에 의해, (a)층의 부직포와 (c)층의 부직포를 견고하게 열압착하고,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가열 밀봉 시에 (c)층의 저융점 성분이 (a)층측으로 이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가, 수지 등의 이면 누락 방지성, 필터 성능, 배리어 성능을 충분히 발현되게 하기 위해서, (b)층의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진다. 극세섬유의 비율은, 적층 부직포 전체의 섬유량에 대하여 5∼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이다. 극세섬유의 비율이 상기의 범위이면, 수지 등의 이면 누락 방지성이 얻어지고, 필터 성능, 배리어 성능 및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적층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 극세섬유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다.
극세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직경이 1∼3㎛이이면, (a)층과 (c)층의 부직포의 섬유 간극에 극세섬유가 충분히 침입할 수 있으므로, 앵커 효과 및 접합 강화 작용이 향상된다. (a)층과 (c)층의 부직포에 대한 강고한 앵커 효과 및 접합 강화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b)층의 극세섬유 부직포는 멜트 블로우법에 의한 극세섬유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층과 (b)층의 부직포는, 적층하여 일체화한다는 관점에서, 동일한 정도의 열압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 온도에서 용이하게 열압착을 하기 위해서는,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같은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부직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는, (a)층의 부직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층의 부직포와 동일하게 비교적 낮은 밀도로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b)층의 부직포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용액 점도의 범위로서는, 0.2∼0.8 ηsp/c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6 ηsp/c이다. 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방사 공정에 있어서 연신이 불충분해지고, 그 결과, 극세의 섬유직경으로 만들기 어려워진다. 또, 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조 공정중에 풍면(fly)이 발생되기 쉬워져서, 안정한 방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차는 30℃ 이하이다.
적층 부직포로 할 때는, (a)층의 부직포와 (b)층의 부직포가 열압착되기 때문에, 융점차가 30℃를 넘으면, 열압착 온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고융점의 섬유에 적합한 열압착 온도에서는, 저융점의 섬유의 열적 열화(劣化)나 섬유 형태가 파괴되어 용출이 생기기 쉬워지고, 저융점의 섬유에 적합한 열압착 온도에서는, 고융점의 섬유의 용융이 불충분하게 되어 접합 강도가 부족하고, 마찰 보풀 강도의 저하(마찰에 의한 보풀의 문제)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적층 부직포로 할 때에 있어서, (b)층의 부직포와 (c)층의 부직포의 열압착에 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층의 부직포층은, 우수한 가열 밀봉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중요한 층이며, 특정한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복합 장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융점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적층 부직포의 (c)층의 외측 표면이 우수한 가열 밀봉성을 가진다.
(c)층의 부직포는, (a)층의 부직포와 동일하게 굵은 섬유직경을 가지고, 강도,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우수한 편면 가열 밀봉성을 얻기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합 장섬유는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은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보다 40∼150℃ 낮다.
열압착 시, 고융점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및 저융점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의 양자를 열압착해서 일체화할 경우, 융점차가 150℃를 초과하여 커지면, 압착 온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높은 온도로 열압착하면, 저융점의 섬유의 열적 열화가 생겨 쉬워지고, 저융점의 섬유에 적합한 열압착 온도에서는, 고융점의 섬유가 충분히 연화 및 용융되지 않으므로, 접합 강도의 저하 및 마찰 보풀 강도의 저하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c)층의 부직포로서는, 비교적 저밀도에서 높은 강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스펀 본드법에 의한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또, 양호한 가열 밀봉성을 얻기 위해서는, 쉬스부가 저융점 성분이며, 코어부가 고융점 성분인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로 구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저융점 성분의 함유 비율은, 복합 섬유에 대하여, 20∼8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60 중량%이다. 저융점 성분의 비율이 상기의 범위이면, 충분한 가열 밀봉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방사성이 양호해서 충분한 강도의 섬유가 얻어지므로, 부직포의 강도가 높아진다.
저융점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하, PE라 함),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함), 에틸렌/폴리프로필렌 다 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하, COPET라 함) 등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PP로서는, 일반적인 지글러 낫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머, 메탈로센으로 대표되는 싱글 사이트 활성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PE로서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LDPE(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등, 및 PP와 PE와의 공중합체, PP 중에 PE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린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이 중합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생분해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을 비롯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쉬스 성분과 코어 성분의 조합의 예로서는, 쉬스부가 PE이고 코어부가 PET(융점차가 약 133℃)인 것, 쉬스부가 COPET이고 코어부가 PET(융점차가 약 55℃)인 것, 쉬스부가 PP이고 코어부가 PET(융점차가 약 103℃)인 것,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 장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은, 7㎛ 이상의 열가소성 복합 장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직경이 7㎛ 이상이면, 충분한 강도의 부직포가 높은 생산성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를 얻기 위해서는, 각층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해서 적층 일체화하면 되고, 압착부는 (a)층, (b)층, (c)층과의 경계가 필름형으로 용융된 상태로 되고, 그 결과, 적층 부직포로서의 형태가 유지되어, 강도의 향상, 보풀 발생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압착에 의해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지된 엠보스 롤과 평활 롤 사이에서 가열, 압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가열 온도는, 섬유의 연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융점이하의 온도 범위, 선압(線壓)은 10∼1000 N/cm이 바람직하다. 압착 면적률은, 5∼40%의 엠보스 면적률 범위에서 부분 접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의 범위이다. 압착 면적률이 상기의 범위이면, 충분한 접합 면적을 가지는 적층이 달성되어서, 우수한 마모 강도가 얻어지고, 또, 종이형이 아닌 양호한 질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c)층의 외측 표면을 가열 밀봉면으로 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예를 들면, 자루 형상으로 가공할 경우는, 적층 부직포의 (c)층의 외측 표면을 서로 중첩하여 가열 밀봉한다. 따라서, (c)층의 외측 표면이 가열 밀봉성에 크게 기여하고, 특별히,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부의 저융점 성분이 용융되고, 서로의 가열 밀봉면에서 용착되어 가열 밀봉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고, 코어부의 고융점 성분은 용융되지 않고 섬유상 형태를 유지하여 적당한 보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밀봉 후에는, (a)층의 부직포는 섬유상 형태를 유지하고, 부직포의 질감을 유지하고 있고, (b)층의 극세섬유 부직포층은 섬유상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필터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가공품, 예를 들면, 자루형 물품은, 높은 가열 밀봉 강도가 얻어지므로, 충전물을 수납한 자루형 물품이 낙하했을 경우나, 충전물을 수납한 자루형 물품 위에 더욱 중량물이 실렸을 경우 등에도, 자루형 물품이 파손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가열 밀봉 성능에 있어서의 제1의 특징은, 가열 밀봉 온도가 넓은 범위에서 안정하여 높은 가열 밀봉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에 있어서, (c)층의 외측 표면을 가열 밀봉면으로서, 열접착 온도가 110∼230℃의 범위에서 가열 밀봉을 행했을 때, 가열 밀봉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2(N/25mm폭·밀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N/25mm폭·밀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1(N/25mm폭·밀도[㎡])이다. 한편, "(N/25mm폭·밀도[㎡])"은, 단위 밀도당 가열 밀봉 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밀도가 50 g/㎡인 부직포의 경우, 가열 밀봉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0 N/25mm폭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N/25mm폭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N/25mm폭이다. 가열 밀봉 강도가 상기의 범위이면, 밀봉 부분의 박리가 없고, 자루에 충전된 내용물이 외부에 누설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또, 가열 밀봉 강도의 변동률(R/x: R은 변동값, x는 평균값을 나타냄)은,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후기하는 실시예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밀봉의 온도 범위를 125∼230℃와 같이 넓은 범위로 설정해도, 가열 밀봉 강도는 22∼38 N/25mm폭의 범위에서 가열 밀봉 강도의 변동률 (R/x)이 매우 작고, 광범위한 가열 밀봉 온도에서 안정한 높은 가열 밀봉 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a)층과 (c)층의 부직포 내부에 (b)층의 극세섬유가 침입함으로써,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의 층간 박리 강도가 향상하고, 가열 밀봉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층간 박리 강도는, 2.0 N/25mm폭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N/25mm폭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가열 밀봉 성능에 있어서의 제2의 특징은, 후기하는 실시예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 태크 강도가 우수하여, 0.5초라고 하는 순간적인 가열 밀봉에 의해서도, 우수한 가열 밀봉 강도가 얻어지는 점이다. 지극히 단시간에 가열 밀봉이 가능하다는 것은, 가열 밀봉 가공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고속 가열 밀봉 가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업 생산에 지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밀도는, 목적으로 하는 강도, 통풍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00 g/㎡이다. 밀도가 상기의 범위이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양호한 질감 및 통풍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최대 개방 공경(孔經)은,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이다. 최대 개방 공경이 상기의 범위이면, 섬유 간극이 적절하기 때문에, 우수한 필터 성능 및 배리어 성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통풍성은, 바람직하게는 1∼100 ㎤/c㎡·sec, 보다 바람직하게는 5∼90 ㎤/c㎡·sec이다. 통풍성이 상기의 범위이면, 양호한 통풍성이 얻어지고, 또 우수한 배리어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분진 누설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파열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k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000 kPa이다. 파열 강도가 상기의 범위이면, 가열 밀봉 등에서 자루체에 내용물을 충전한 것을 낙하시켰을 경우, 그 위에 사람이 탔을 경우 등에도 파괴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우수한 파열 강도, 필터 성능, 배리어 성능 및 편면 가열 밀봉성을 가지고, 자루제조 가공에 있어서, 가열 밀봉 자루제조기의 가공 속도의 향상과, 장시간 안정한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가열 밀봉 온도와 가열 밀봉 강도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가열 밀봉 온도와 핫 태크 강도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측정 방법,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밀도(g/㎡) JIS-L-1906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부직포의 양단부 10cm를 제외하고, 세로 20cm×가로 20cm의 샘플을 3개 절취 하고 질량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단위 면적당의 질량으로 환산해서 구했다.
(2) 섬유직경(㎛) 부직포의 양단부 10cm를 제외하고, 천 폭 20cm 마다의 구역으로부터 각각 1cm 평방의 샘플을 10개 절취했다. 각 샘플에 대해서, 섬유의 지름을 각 30점씩 기엔스제 마이크로스코프 VH-8000을 사용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해서 섬유직경으로 했다.
(3) 융점(℃)
샘플로서 섬유를 약 8mg 칭량하고, 샘플 팬에 넣어, 샘플 실러를 사용해서 샘플을 조정했다. SII 나노테크놀로지사제: DSC210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융해 흡열 피크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온도를 측정하고(측정 분위기: 질소 가스 50ml/min, 승온 속도: 10℃/min, 측정 온도 범위: 25∼300℃), 융점(℃)으로 했다.
융해 흡열 피크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는, 측정 전에 샘플 팬을 120℃, 24시간 열처리해서 측정했다.
(4) 통풍성( ㎤/c㎡·sec)
JIS-L-1906(프라쥴법)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부직포의 양단부 10cm를 제외하고, 천 폭 방향으로 5점의 샘플을 채취해서 측정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을 산출(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했다.
(5) 분진 누설율(%)
JIS-Z-8901 시험용 분체 더스트 7종을 약 10g 취하고, 질량(W1)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한편, 천으로부터 사방 25cm의 샘플을 절취하고, 진동기에 설치하고, 10분간 진동시켜 샘플을 통과한 분체 더스트의 질량(W2)을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부터 구했다.
분진 누설율(%) = (W2/W1)×100
(6) 파열 강도(kPa)
JIS-L-1906(뮬렌형법)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부직포의 양단부 10cm를 제외하고, 약 15cm×15cm의 샘플을 5매 채취하고, 뮬렌형 시험기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냈다(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7) 최대 공경(㎛)
JIS-K-3832(버블 포인트법)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지름 40mm의 원형 샘플을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i) 샘플을 액체로 채우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샘플의 모든 세공에 액체가 들어 있는 상태로 만든다.
ii) 이 샘플의 하면으로부터 점차로 공기압을 걸어 기체압력이 모세관 내의 액체 표면장력을 초과했을 때, 거품이 나온다.
ⅲ) 이때, 최초로 거품이 나오는 것은 가장 큰 세공으로부터이며, 그때의 기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최대 개방 공경을 산출한다.
(8) 기체 중의 입자의 포집 효율(%)
지름 10cm의 샘플에, 유량 23.6 l/min으로, 각 입자경의 먼지를 흐르게 하고, 각 입자경(0.3㎛미만, 0.3∼0.5㎛미만, 0.5∼1.0㎛미만, 1.0∼2.0㎛미만)에 있어서의 입자의 포집률을 측정했다.
(9) 층간 박리 강도(N/25mm폭)
JIS-L-1089(박리 강도)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폭 25mm, 길이 150mm의 샘플을 절취했다. 이 샘플을 길이 방향으로 변으로부터 50mm의 길이로 비가열 밀봉층과 가열 밀봉층의 층간을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했다.
샘플을 정장 인장시험기에 달고, 붙잡음 간격 50mm, 인장속도 10c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세로 5개소 측정하여 층간 박리 강도로 했다.
층간에서의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것은, "층간 박리안됨"으로 평가했다.
(10) 가열 밀봉 강도(N/25mm폭)
가열 밀봉층을 서로 밀봉면으로 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 밀봉한 후, 폭 25mm 길이 20mm의 샘플을 절취했다. 이 샘플을 사용하여, 가열 밀봉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180도 박리하도록 정장 인장시험기에 달고, 붙잡음 간격 100mm, 인장속도 10cm/min으로, 가열 밀봉 부분을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세로 5개소 측정하고, 최대 강도의 평균값을 구하여 가열 밀봉 강도로 했다.
(11) 핫 태크 강도(N/25mm폭)
폭 25mm 길이 400mm의 샘플을 절취하고, H.W. Theller Inc.의 핫 테크 테스터(Theller Model HT)를 사용하고, 다이의 밀봉 면적 0.25c㎡, 밀봉 압력 5000 kPa, 밀봉 실측 시간 500 msec으로 가열 밀봉하고, 200 cm/min에서의 순간적인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12) 용액 점도(ηsp/c)
0.025g의 샘플을 오르토클로로페놀(OCP) 25ml에 용해했다. 용해는 90℃에서 행하고, 충분히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120℃로 가온했다.
측정은, 점도관을 사용해서 35℃에서 행하고, 다음 식으로 계산했다. 3회의 측정 결과를 산술평균하고, 소수점 3 자리를 반올림해서 산출했다.
ηsp/C = [(t-t0)/t0]/c
식에서, t0: 용매 통과 시간(초), t: 용액 통과 시간(초), c: 1000ml당 용질(g)을 나타낸다.
(13) 부직포의 보풀 등급(내보풀성)(급)
JIS-L-0849(마찰 견뢰도시험법: Test methods for co1or fastness to rubbing)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폭 25mm, 길이 300mm의 샘플을 절취했다. 일본 학술진흥회형 견뢰도 시험기를 사용하고, 마찰자의 하중 500g으로 100회 마찰한 후의 보풀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1급: 샘플이 파손될 수록 섬유가 벗겨진다.
2급: 샘플이 얇아질수록 심하게 섬유가 벗겨진다.
3급: 확실하게 한 섬모가 나오기 시작하거나, 작은 섬모가 복수개 보인다.
4급: 섬유의 보풀이 조금 있지만 뚜렷하지 않다.
5급: 섬유의 보풀이 없다.
(14) 열판 히터에 대한 수지 부착의 평가
폭 100mm, 길이 7mm의 열판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 밀봉층을 서로 밀봉면으로 하고, 130℃, 밀봉 압력 5000 kPa, 밀봉 시간 1초로 가열 밀봉한 후, 열판 히터 에 대한 수지 부착 상태를 평가했다.
[실시예 1]
적층 부직포의 (c)층으로서, 스펀 본드용의 2성분 방사 꼭지쇠를 사용하고, 쉬스 성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융점 130℃),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융점 263℃)로 이루어지고, 평균 섬유직경 16㎛의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 부직포를 제작했다.
(b)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융점 260℃)를 사용하고, 상기PET를 방사온도 300℃, 가열 공기 320℃, 1000N㎥/hr의 조건 하에서 멜트 블로우용 분사 꼭지쇠로부터 토출했다. 얻어진 평균 섬유직경 2㎛의 극세섬유 부직포를, (c)층 상에 적층했다.
(a) 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융점 263℃)를 사용하고, 상기PET를 방사온도 300℃에서 스펀 본드용 방사 꼭지쇠로부터 토출했다. 얻어진 평균 섬유직경 14㎛의 PET 부직포를, (b)층 상에 적층한 결과, 전체로서 3층으로 이루어지고, 밀도 50 g/㎡인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3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압착 면적률이 15%인 엠보스 롤로, 선압 350N/cm, 상하 온도를 230℃/110℃의 조건으로 열압착해서 일체화하여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c)층의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융점 160℃)에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도 50 g/㎡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했다. 얻어진 3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압착 면적률이 15%인 엠보스 롤로, 선압 350N/cm, 상하 온도 230℃/130℃에서 부분 열압착하여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c)층의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융점 208℃)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도 50 g/㎡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했다. 얻어진 3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압착 면적률이 15%인 엠보스 롤로, 선압 350N/cm, 상하 온도 230℃/130℃에서 부분 열압착하여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a)층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융점 230℃)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도 50 g/㎡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했다. 얻어진 3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압착 면적률이 15%인 엠보스 롤로, 선압 350N/cm, 상하 온도 200℃/110℃에서 부분 열압착하여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5 및 6]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층 부직포 전체의 섬유량에 대한 극세섬유의 비율을 10 중량%(실시예 5), 30 중량%(실시예 6)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도 50 g/㎡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b)층의 PET를, 방사온도 300℃, 가열 공기 300℃, 1000 N㎥/hr의 조건 하에서 멜트 블로우용 분사 꼭지쇠로부터 토출하여 평균 섬유직경 5㎛의 극세섬유 부직포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도 50 g/㎡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단층의 부직포의 예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 부직포의 제조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쉬스 성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섬유직경 16㎛인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a)층의 부직포 및 (c)층의 부직포의 제조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c)층으로서 밀도 25 g/㎡의 부직포 상에, (a)층으로서 밀도 25 g/㎡의 부직포를 적층해서 2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부직포의 특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5에 나타냈다.
표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a)층의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층과, (c)층의 열가소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 사이에, (b)층의 폴리에스테르계 극세섬유층을 삽입해서 열접착함으로써 얻어진 적층 부직포는, 편면 열접착성이 우수하고, 파열 강도가 400∼530 kPa, 가열 밀봉 강도가 22 N/25mm폭 이상인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동시에, 필터 성능이 우수하고, 미세한 입자나 부서지기 쉬운 입자에 대하여도 분진 누설이 없다.
이에 반하여, 폴리에스테르계 극세섬유층((b)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교예 1, 2에서는, 본 발명의 적층 부직포(실시예 1∼7)에 비해서 성능이 뒤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표 4 및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부직포는, 저온으로부터 고온까지, 가열 밀봉 가능한 온도 범위가 넓고, 가열 밀봉 강도의 변동률(R/x)이 53% 이내로서, 안정되고 높은 가열 밀봉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5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부직포는, 비교예에 비해, 0.5초라고 하는 순간적인 가열 밀봉 성능을 나타내는 핫 태크 강도가 우수하며, 따라서 고속 가열 밀봉 가공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는, 파열 강도 및 가열 밀봉 강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차폐 성능으로서의 필터 성능, 배리어 성능도 우수하고,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한 높은 가열 밀봉성과, 순간적인 가열 밀봉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사용하여, 차폐성과 가열 밀봉성의 두 가지 성능이 요구되는 포장 재료 분야(예를 들면, 건조제 포장재 등), 필터 분야(예를 들면, 커피 필터, 차 필터, 우려낸 국물 자루 등), 메디컬 분야, 생활 자재(예를 들면, 숯 자루, 제습제 포장재 등) 등, 많은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08052887204-pct00001
[표 2]
Figure 112008052887204-pct00002
[표 3]
Figure 112008052887204-pct00003
[표 4]
Figure 112008052887204-pct00004
[표 5]
Figure 112008052887204-pct00005

Claims (9)

  1. 하기 (a)층, (b)층 및 (c)층의 부직포가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 부직포로서, 하기의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a)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b)층: (a) 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의 융점차가 3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c)층: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층을 1개 이상 가짐;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가 저융점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이,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융점보다 40∼150℃ 낮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섬유의 양(중량%)이 상기 적층 부직포 전체의 섬유량에 대하여 5∼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이 1∼3㎛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장섬유가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장섬유가, 저융점 성분을 쉬스(sheath) 성분으로 하는 쉬스-코어(sheath-core)형 복합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층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이 폴리에틸렌이며,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코어형 복합 섬유의 쉬스 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며,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의 (c)층의 외측 표면을 서로 포개어 가열 밀봉(heat seal)했을 때, 가열 밀봉 온도가 125∼230℃인 범위에서의 가열 밀봉 강도가 0.2(N/25mm폭·밀도[㎡]) 이상이며, 상기 가열 밀봉 강도의 변동률(R/x)(여기서, R은 변동값, x는 평균값을 나타냄)이 8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KR1020087018099A 2006-01-25 2007-01-24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Active KR101036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5882 2006-01-25
JP2006015882 2006-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17A KR20080080217A (ko) 2008-09-02
KR101036856B1 true KR101036856B1 (ko) 2011-05-25

Family

ID=3830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099A Active KR101036856B1 (ko) 2006-01-25 2007-01-24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13148B2 (ko)
EP (1) EP1977884B1 (ko)
JP (1) JP4658148B2 (ko)
KR (1) KR101036856B1 (ko)
CN (1) CN101374651B (ko)
TW (1) TWI349614B (ko)
WO (1) WO20070864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301B1 (ko) * 2012-04-06 2014-01-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팬형식 냉각장치용 필터조립체
KR101379069B1 (ko) * 2012-04-06 2014-04-0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팬형식 냉각장치용 필터조립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6156A1 (de) * 2005-06-06 2006-12-28 Carl Freudenberg Kg Filterschlauch
KR101052810B1 (ko) * 2008-09-26 2011-07-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부직포층이 합포된 엠보제품용 원단
KR101258492B1 (ko) * 2010-10-05 2013-04-26 한경희 스팀청소기 메인 패드용 보호 패드
KR101293908B1 (ko) * 2011-03-28 2013-08-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EP2899777B1 (en) 2012-09-19 2017-11-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ion secondary cell
US9796154B2 (en) * 2013-10-25 2017-10-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ilmless backsheets with good barrier properties
EP3086943A4 (en) 2013-12-23 2017-10-04 The North Face Apparel Corporation Textile constructs formed with fusible filaments
WO2015151168A1 (ja) 2014-03-31 2015-10-08 ユニチカ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ー材
US10259190B2 (en) * 2015-03-31 2019-04-16 Freudenberg Performance Materials Lp Moldable composite mat
WO2016159266A1 (ja) * 2015-04-03 2016-10-06 旭化成株式会社 単層又は複層ポリエステル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用フィルター
JP6560095B2 (ja) * 2015-10-22 2019-08-14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913439T3 (es) 2016-02-25 2022-06-02 Asahi Chemical Ind Material de envasado para esterilización
JP6370328B2 (ja) * 2016-04-11 2018-08-08 ユニチカ株式会社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一次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62384B (zh) * 2016-07-27 2020-06-16 佛山金万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汽隔病毒面料接缝处的液体不能渗透的缝合方法
CN106319761A (zh) * 2016-08-24 2017-01-11 长兴恒月无纺布有限公司 一种et无纺布的生产工艺
JP6867019B2 (ja) * 2017-04-26 2021-04-28 ユニチカ株式会社 透気防水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192764A (ja) * 2017-05-22 2018-12-06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構造体
WO2019124231A1 (ja) * 2017-12-22 2019-06-27 旭化成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これを表皮材として用いた複合吸音材
JP6899453B2 (ja) * 2018-01-24 2021-07-07 旭化成株式会社 偏心鞘芯型複合繊維を少なくとも片方の面に用いた複合長繊維不織布
CN111757966B (zh) * 2018-02-22 2023-01-03 洛博纳公司 复合声学层
SE542990C2 (en) * 2019-03-18 2020-09-22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A packaging material and an oral pouched nicotine product
CN113748019A (zh) * 2019-04-16 2021-12-03 电化株式会社 绑带
KR20210007248A (ko) * 2019-07-10 2021-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제형 흡기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EP3769954B1 (en) * 2019-07-22 2023-04-12 Carl Freudenberg KG Nonwoven laminate
KR20210097036A (ko) *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부직포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56404A (ko) * 2021-04-15 2023-11-1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현상 매체, 열현상 방법, 및 열현상 시스템
CN116815418A (zh) * 2023-06-29 2023-09-29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纤维发泡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7847A (ja) * 1992-06-10 1995-08-31 ファイバーウェブ、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82930A1 (ja) * 2003-03-19 2004-09-30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高耐水圧ポリエステル不織布
WO2004094136A1 (ja) * 2003-04-22 2004-11-04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高強力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450B2 (ja) 1992-10-05 2000-10-23 ユニチカ株式会社 三層構造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5650B2 (ja) 1995-11-20 2007-08-08 チッソ株式会社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738870D1 (de) 1996-09-06 2008-09-11 Chisso Corp Verbundbahn aus vliesstoff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m herstellen
JPH11170467A (ja) 1997-12-12 1999-06-29 Miki Tokushu Seishi Kk ポリエステル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02011A (ja) 1999-01-11 2000-07-25 S T Chem Co Ltd 消臭除湿シ―ト
JP2001315239A (ja) 2000-05-01 2001-11-13 Shinwa Kk ヒートシール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01287A (ja) * 2000-05-11 2004-01-15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メルトブローンウェブ
US20030026927A1 (en) * 2001-07-31 2003-02-06 Reemay, Inc. Laminate for vacuum cleaner outer bag
JP2003053871A (ja) 2001-08-09 2003-02-26 Idemitsu Unitech Co Ltd 通気性積層体および吸水性物品
US7790641B2 (en) * 2005-07-29 2010-09-07 Fiberweb, Inc. Bicomponent sheet material having liquid barrier proper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7847A (ja) * 1992-06-10 1995-08-31 ファイバーウェブ、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82930A1 (ja) * 2003-03-19 2004-09-30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高耐水圧ポリエステル不織布
WO2004094136A1 (ja) * 2003-04-22 2004-11-04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高強力不織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301B1 (ko) * 2012-04-06 2014-01-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팬형식 냉각장치용 필터조립체
KR101379069B1 (ko) * 2012-04-06 2014-04-0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팬형식 냉각장치용 필터조립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7884A4 (en) 2011-12-21
US8513148B2 (en) 2013-08-20
JP4658148B2 (ja) 2011-03-23
CN101374651B (zh) 2013-06-12
EP1977884B1 (en) 2019-08-28
JPWO2007086429A1 (ja) 2009-06-18
KR20080080217A (ko) 2008-09-02
TW200734176A (en) 2007-09-16
CN101374651A (zh) 2009-02-25
US20100189936A1 (en) 2010-07-29
EP1977884A1 (en) 2008-10-08
WO2007086429A1 (ja) 2007-08-02
TWI349614B (en) 201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56B1 (ko)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CN100473771C (zh) 无纺布及茶叶包
US20080081090A1 (en) Brewing bag and use thereof
RU2654183C2 (ru) Лист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экстрагирующие фильтр и пакет из него
JP5075679B2 (ja) フィルタ不織布
JP6551918B2 (ja) 抽出用シート材、抽出用フィルター及び抽出用バッグ
JP2008054840A (ja) 食品用フィルター材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封入袋体の製法
AU2019406297A1 (en) Vacuum cleaner filter bag having improved weld seam strength
JP2004154760A (ja) フイ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抽出パック
JP4748838B2 (ja) 熱接着性複合シート
JPH09195154A (ja) 面ファスナ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97028A (ja) 袋体
JP5110999B2 (ja) 使い捨てカイロ
JP4359372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熱融着物品
JP2004242944A (ja) 液体フィルター材
JP2006138046A (ja) ヒートシール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JP4201131B2 (ja) 吸水能力に優れた食品用吸水マット
JP2007321311A (ja) ヒートシール用不織布
JP2008307469A (ja) 食品用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封入袋体
JP6775863B1 (ja) 抽出用シート材
JP2006182838A (ja) 通気性シート状接着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40485A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1862A (ja) 長繊維不織布および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複合体
JP2006083497A (ja) 食品抽出用複合エアレイドシート
JP2002036472A (ja) 通気性包装用積層材料およ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