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5169B1 -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69B1
KR101035169B1 KR1020040100898A KR20040100898A KR101035169B1 KR 101035169 B1 KR101035169 B1 KR 101035169B1 KR 1020040100898 A KR1020040100898 A KR 1020040100898A KR 20040100898 A KR20040100898 A KR 20040100898A KR 101035169 B1 KR101035169 B1 KR 10103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ail
auxiliary
refrigerator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2148A (en
Inventor
손민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69B1/en
Publication of KR2006006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6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납되는 주서랍이 전방 인출시에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main drawer in which food is stored is drawn out at an angle at an angle downward when the main drawer is pulled out.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납되어 보관되는 주서랍(460)과; 상기 주서랍(460)을 지지하고, 주서랍(46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보조서랍(440)과; 상기 보조서랍(440)의 전후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주서랍(460)은 전방 인출시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주서랍(460)의 측면에는 회전 가능한 제2구름부재(462)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서랍(440)에는 상기 주서랍(460)의 제2구름부재(462)가 구름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인출레일(450)이 형성되며, 이러한 인출레일(450)은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서랍(440)의 선단부에는 상기 주서랍(460)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448)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수납과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rawer 460 is stored food is stored; An auxiliary drawer 440 supporting the main drawer 460 and guiding the front and rear sliding of the main drawer 460;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uide rail 420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main drawer 460 has a configuration that is drawn out inclined downward when the front drawer 460. A side of the main drawer 460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second cloud member 462, and the auxiliary drawer 440 guides the second cloud member 462 of the main drawer 460 to perform a rolling motion. The withdrawal rail 450 is formed, and the withdrawal rail 45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ading end thereof is lower than the rear end. 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clined support portion 448 for supporting the main drawer 460 in an inclin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food becomes easier.

냉장고, 이중서랍, 주서랍, 인출, 경사Refrigerator, Double Drawer, Drawer, Drawer, Tilt

Description

냉장고의 이중서랍{Double drawer for refrigerator}Double drawer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wer-typ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pened.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인출서랍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wer drawer draw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drawn to the fro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200. 냉장실100. main body 200. refrigerator

220. 회전식도어 300. 서랍실220. Rotating door 300. Drawer room

320. 서랍식도어 340. 저장박스320. Drawer door 340. Storage box

360. 3단레일 400. 이중서랍 360. 3-stage rail 400. Double drawers                 

420. 가이드레일 422. 구름안내부420. Guide rails 422. Cloud guidance

440. 보조서랍 442. 제1구름부재440. Supplementary drawers 442. First cloud members

444. 슬라이딩가이드 446. 걸림후크444. Sliding guide 446. Hook

448. 경사지지부 450. 인출레일448. Inclined support 450. Pull-out rail

452. 안착부 460. 주서랍 452. Seating Section 460. Drawer

462. 제2구름부재 464. 전면플레이트 462. Second cloud member 464. Front plate

466. 냉기유입구466. Cold air inle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주서랍이 전방 인출시에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main drawer in which food is stored is pulled out at an angle at an angle downward when drawn out.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or refrig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od to be stored.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is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refrigerator while repeatedly performing a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nd the supplied refrigerant is supplied by convection. It is evenly distributed inside the refrigerator to store food in the refrigerator at a desired temperatur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 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좌우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회전식도어(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며 인출/입될 수 있는 틸팅도어(12)가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wer-type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pen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1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 rotary door 10 tha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s formed, and a tilting door 12 that can be pulled out and drawn in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다양한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할 수 있도록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며, 각각의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특성에 맞도록 다양한 선반이나 서랍, 트레이(Tray) 등이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formed inside the refrigerator body 1 to store various foods in a refrigerator or freezer, and various shelves or drawers in each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to suit various food characteristics. , A tray and the like are configured.

이때, 상기 각각의 냉장실과 냉동실에서도 위치에 따라서 온도가 다르게 되는데,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선반, 서랍 및 트레이 등에 의해서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대류하는 냉매의 흐름이 조절되어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1)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냉기의 전달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게 된다.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onv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 by the shelves, drawers and trays partitioning each spa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Will be different. In general, the lower the refrigerator body (1), the less the transfer of cold air i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한편,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에는 틸팅도어(12)에 의해 인출/입 되며,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서랍실(20)이 형성된다. 상기 서랍실(20)은 냉동실로 사용되는 곳으로 주로 육류나 생선 또는 장기간의 보관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이 보관되며, 크기가 큰 음식물부터 작은 음식물까지 다양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수납공간들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 is withdrawn / drawn by the tilting door 12, the drawer chamber 20 for storing food is formed. The drawer room 20 is a place used as a freezer compartment mainly stores meat or fish or food that requires long-term storage,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of different sizes to store a variety of food from large to small food It consists of

상기 서랍실(20)에는 비교적 큰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박스(30)와, 상기 저장박스(30)에 보관되는 음식물보다 작은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인출서랍 (40)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박스(30)는 크기가 큰 음식물이나 분류가 필요없는 음식물들이 보관된다.The drawer chamber 20 is provided with a storage box 30 for storing relatively large food and a drawer drawer 40 for storing food smaller tha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30. The storage box 30 is a large sized food or food that does not require classification is stored.

상기 저장박스(30)는 상기 틸팅도어(12)의 하측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틸팅도어(12)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틸팅도어(12)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틸팅도어(12)의 인출만으로 상기 저장박스(30) 내부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고,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저장박스(30)를 인출/입할 수 있게 된다.The storage box 30 is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tilting door 12 and pulled forward with the tilting door 12 when the tilting door 12 is pulled forward. 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30 only by drawing out the tilting door 12, and can withdraw / receive the storage box 30 without any manipulation.

그리고, 상기 저장박스(30)의 양측면 상단은 3단으로 구성된 레일(Rail,50)의 일측과 고정되며, 상기 레일(50)의 타측은 냉장고 본체(1)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박스(30)가 상기 틸팅도어(12)와 연동하여 인출/입될 때 상기 레일(50)에 의해 가이드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torage box 30 are fixed to one side of a rail (Rail, 50) consisting of three stages, and the other side of the rail 50 is fixed to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refrigerator body (1). Accordingly, the storage box 30 is guided by the rail 50 when the storage box 30 is pulled out / in conjunction with the tilting door 12.

한편, 상기 저장박스(30)의 상단에는 인출서랍(40)이 설치되는데, 상기 인출서랍(40)을 도 2 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출서랍(40)은 다수개의 와이어(Wire)가 교차, 절곡되어 서랍형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awer drawer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box 30, the drawer drawer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drawer drawer 40 is a plurality of wires ( Wires are crossed and bent to form a drawer shape.

상기 인출서랍(40)의 상방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서랍(40)의 전면에는 상기 인출서랍(4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서랍(40)의 양측면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이동레일(54")이 고정되는 레일장착브라켓(44)이 형성된다.The upper side of the drawer drawer 40 is open, and the front plate 42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drawer drawer 40 to form a part of the front appearance of the drawer drawer 40. And,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drawer drawer 40 is formed with a rail mounting bracket 44 to which the second moving rail 54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상기 인출서랍(40)은 상기 레일(50)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인출/입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awer drawer 40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rail 50 while being withdrawn / inlet, allowing the user to store desired food.

그리고, 상기 레일(50)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고정레일(52)과 전후방으 로 슬라이딩 하면서 움직이는 이동레일(54)로 구성된다.And, the rail 50 is composed of a fixed rail 52 which is fixed without moving and a moving rail 54 while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고정레일(52)은 냉장고 본체(1)의 내측 즉, 상기 서랍실(20) 내측의 좌우측 벽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54)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fixed rail 52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1, that is, the drawer chamber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erves as a guide for sliding the movable rail 54.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레일(52)의 내측에 상기 이동레일(54)이 장착되면, 상기 이동레일(54)에 구비된 구름부재와 상기 고정레일(52)의 일측면이 서로 접하게 되어 상기 이동레일(54)이 고정레일(52)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movable rail 54 is mounted inside the fixed rail 52, the rolling member provided on the movable rail 54 and one side of the fixed rail 5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ail 54 slides along the fixed rail 52.

한편, 상기 이동레일(54)은 제1이동레일(54')과 제2이동레일(54")로 구성된다. 제1이동레일(54')은 상기 고정레일(52)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레일(52)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2이동레일(54")은 상기 제1이동레일(54')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rail 54 is composed of a first movable rail 54 ′ and a second movable rail 54 ″. The first movable rail 54 ′ is mounted on the fixed rail 52 to fix the movable rail 54 ′. It is formed to be slidable forward along the rail 52, the second moving rail 54 "is mounted on the first moving rail 54 'is formed to be slidable forward.

이때, 상기 제1이동레일(54')과 제2이동레일(54")에는 구름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제1이동레일(54')을 가이드하는 고정레일(52)과 상기 제2이동레일(54")을 가이드 하는 제1이동레일(54')의 일측과 각각 접촉하면서 회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rail 54 'and the second moving rail 54 "are provided with a rolling member. The rolling member is a fixed rail 52 for guiding the first moving rail 54'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rails 54 'guides the second moving rail 54' to ro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2이동레일(54")은 상기 레일장착브라켓(44)에 고정되어 상기 인출서랍(40)이 상기 레일(50)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50)의 인출길이에 따라 상기 인출서랍(40)이 외부로 인출되는 정도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출서랍(40)의 크기가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ovable rail 54 "is fixed to the rail mounting bracket 44 so that the drawer drawer 40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50. The rail 50 The withdrawal drawer 40 deter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drawer drawer 40 is drawn outwardly, there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drawer drawer 40.

또한, 상기 인출서랍(40)의 레일장착브라켓(44)에 제2이동레일(54")이 고정 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54")과 제1이동레일(54') 및 고정레일(52)이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레일(50)과 인출서랍(40)은 한꺼번에 상기 서랍실(20) 내부에 장착된다. In addition, a second moving rail 54 ″ is fixed to the rail mounting bracket 44 of the drawer drawer 40, and the second moving rail 54 ″ and the first moving rail 54 ′ and the fixed rail ( 52 is connected in turn, and the rail 50 and the drawer drawer 40 coupled as described above are mounted inside the drawer chamber 20 at onc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의 인출서랍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rawer drawer of the refrig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인출서랍(40)은 상기 제1이동레일(54')과 제2이동레일(54") 그리고 고정레일(52)에 의해 전후방으로 수평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서랍(40)의 설치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거나 키가 작은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출서랍(40) 내부의 음식물 인출/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The drawer drawer 40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moving rail 54 ′, the second moving rail 54 ″ and the fixed rail 52. Thu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rawer drawer 40 is provided. If a relatively high position or a small person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thdrawal of food in / out of the drawer 40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서랍이 전방 인출시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main drawer is inclined to the lower side at the time of forward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납되어 보관되는 주서랍과; 상기 주서랍을 지지하고, 주서랍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보조서랍과; 상기 보조서랍의 전후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주서랍은 전방 인출시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awer in which food is stored and stored; An auxiliary drawer that supports the main drawer and guides the front and rear sliding of the main drawer;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auxiliary drawer; The main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is inclined downward when the front drawer.

상기 주서랍의 측면에는 회전 가능한 구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서랍에 는 상기 주서랍의 구름부재가 구름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인출레일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of the main drawer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rolling member, the auxiliary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rail for guiding the rolling member of the main drawer to cloud movement.

상기 보조서랍의 인출레일은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ithdrawal rail of the auxiliary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ar end.

상기 보조서랍의 인출레일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레일부와, 상기 수평레일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부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레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thdrawal rail of the auxiliary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rizontal rail portion formed horizontally, and an inclined rail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rail portion.

상기 보조서랍의 선단부에는 상기 주서랍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tip of the auxiliary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drawer in an inclined state is further form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수납과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food becomes easi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ouble draw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100)는 냉장실(200)과 서랍실(300)로 구성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0 includes a refrigerator compartment 200 and a drawer compartment 300. It consists of

상기 냉장실(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좌우측의 두 부분으로 구획된다. 상기 냉장실(20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트레이(Tray)와 선반 및 서랍들이 상기 냉장실(200)의 공간을 구획하며 설치된다. 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0, various types of trays, shelves, and drawers are installed to partition the sp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0 in order to efficiently store various kinds of foods.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와 선반 및 서랍들에 의해서 그 흐름이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냉기의 대류가 제한 또는 조절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냉기공급의 차이로 인한 온도특성에 따라 적합한 음식물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ld air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affected by the flow of the tray, the shelf and the drawers, thereby limiting or adjusting the convection of the cold air. The user can store and store suitable food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ld air supply.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부 냉장실(200)을 차폐하는 회전식도어(220)는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식도어(2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에서 힌지결합 되어 외측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oor 220 to shield the upper refrigerating chamber 200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the respective rotary doors 220 ar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is hinged at the en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outward.

따라서, 상기 회전식도어(220)는 상기 냉장실(200)의 좌우측을 개별적으로 차폐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냉장실(200)의 한쪽 부분을 냉동실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the rotary door 220 separately shield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and if necessary, one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may be used as the freezing chamber.

상기 회전식도어(220)의 일측에는 손잡이(222)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식도어(2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도어(220)에는 필요에 따라 술이나 음료 등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홈바 또는 음료를 정수하는 정수기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기도 한다.Handles 222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ry door 220 to allow the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rotary door 220. In addition, the rotary door 2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a home bar or a water purifier for purifying a beverag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needed.

한편, 상기 냉장실(200)이 형성된 본체(100)의 하부에는 서랍실(300)이 형성된다. 상기 서랍실(300)은 서랍의 형태로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저장 공간으로 주로 냉동실로 사용된다. 상기 서랍실(300)에는 생선이나 육류 또는 장기간의 보관이 필요한 음식물을 얼려서 보관하기 위한 곳으로 별도의 냉기공급구가 있어 강한 냉각능력을 발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drawer chamber 300 is formed below the main body 100 in which 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is formed. The drawer chamber 300 is mainly used as a freezer compartment as a storage space that can be pulled out in the form of a drawer. The drawer room 300 has a separate cold air supply port for freezing and storing fish or meat or foods that require long-term storage to exhibit a strong cooling capacity.

그리고, 상기 서랍실(300)은 냉동실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냉장실로의 전용(轉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공간이 넓게 구성되어 용기에 담기가 어려운 과일이나 야채 또는 비교적 크기가 크거나 무거운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rawer room 300 is not only a freezer, but also can be used as a refrigerator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space may be configured to store fruits or vegetables or foods that are relatively large or heavy, which are difficult to contain in a container.

상기 서랍실(300)의 전면에는 상기 서랍실(300)의 내부를 차폐하는 서랍식도어(320)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식도어(320)의 하단은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박스(340)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저장박스(340)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단으로 연장되는 3단레일(360)이 장착된다.A drawer type door 3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chamber 300 to shield the inside of the drawer chamber 300. The lower end of the drawer door 32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box 340 for storing food, the storage box 340 is equipped with a three-stage rail 360 extending in multiple stages while sliding back and forth.

그리고, 상기 3단레일(360)의 일측은 상기 서랍실(300)의 내측 양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박스(340)가 상기 3단레일(360)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랍식도어(320) 상방에 형성된 손잡이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상기 저장박스(340)와 상기 서랍식도어(320)가 함께 인출/입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hree-stage rail 360 is fixed to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drawer room 300 so that the storage box 340 can slide back and forth along the three-stage rail 360, The storage box 340 and the drawer door 320 are pulled out / retracted together by pushing or pulling a handle formed above the drawer door 320.

한편, 상기 서랍실(300)의 상부는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며, 좌측에는 자동으로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게 되는 제빙기가 형성되며, 우측에는 저장박스(340)에 저장하기에는 다소 작은 음식물들이나 다른 음식물과 섞이지 않도록 분리 저장이 필요한 음식물들을 저장하기 위한 이중서랍(40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chamber 30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he left side is formed with an ice maker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store ice, on the right side is somewhat smaller food or other foods to store in the storage box 340 and A double drawer 400 is formed to store foods that need to be separated and stored so as not to mix.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이중서랍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doubl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서랍(400)은 가이드레일(420)과 보조서랍(440) 그리고 주서랍(4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아래에 서 상세히 설명할 보조서랍(440)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ouble drawer 400 is composed of a guide rail 420, an auxiliary drawer 440, and a main drawer 460. The guide rail 420 is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th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측면에는 구름안내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구름안내부(4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구름부재(442)와 슬라이딩가이드(444)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일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전방이 개구된 '⊃'자(측방에서 볼 때)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구름안내부(422)에 제1구름부재(442)가 수용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cloud guide 422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guide rail 420. The rolling guide 422 guides the flow of the first cloud member 442 and the sliding guide 444 to be described below, and protrudes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guide rail 420. That is, the front is molded in a shape of '⊃' (viewed from the side), the first cloud member 442 is accommodated in the cloud guide portion 422 to perform the cloud movement.

상기 구름안내부(422)의 선단부에는 걸림턱(424)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름안내부(422)의 하단면 선단에는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걸림턱(424)이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턱(424)은 아래에서 설명할 슬라이딩가이드(444)에 형성되는 걸림후크(446)가 걸어지는 부분이다.A locking jaw 42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loud guide 422. That is, as shown 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loud guide 422 is formed a locking projection 424 protruding a predetermined portion upward, the locking projection 424 is formed in the sliding guide 444 to be described below The hook hook 446 is a portion to be walked.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랍실(300) 내부의 좌우측 벽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20)에 형성되는 구름안내부(422)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The guide rails 420 are provided in pairs and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100, more specifically, inside the drawer room 300. Therefore, the cloud guide portion 422 form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420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상기 가이드레일(420)에 보조서랍(440)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서랍(440)은 전방과 상방 그리고 후방의 일부분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수용공간(440')이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44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주서랍(460)이 수용되어 슬라이딩한다.An auxiliary drawer 440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420. The auxiliary drawer 44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upper and rear portions are opened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440 ′ in a predetermined size. The main drawer 460 to be described below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40 'and slides.

상기 보조서랍(440)의 양측면 후단부에는 제1구름부재(442)가 형성된다. 상 기 제1구름부재(442)는 상기 구름안내부(422)의 하단과 접촉하면서 구름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구름부재(442)가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구름안내부(422) 내부에서 구름운동을 하면, 상기 보조서랍(440)이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전후로 유동하게 된다.First cloud members 442 are formed at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first cloud member 44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cloud guide 422 is to move the cloud. As such, when the first cloud member 442 performs a cloud movement inside the cloud guide part 422 of the guide rail 420, the auxiliary drawer 440 flow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420.

상기 제1구름부재(442)는 롤러 또는 베어링 등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부재로서, 롤러로 형성될 경우 상기 보조서랍(44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cloud member 442 is a member capable of smoothly sliding, such as a roller or a bearing, and when formed as a roller, the first cloud member 44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uxiliary drawer 440.

상기 제1구름부재(442)의 앞쪽에는 슬라이딩가이드(444)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444)는 상기 제1구름부재(442)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구름안내부(422)에 수용되어 전후로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서랍(440)이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될 때 보조서랍(440)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444)는 상기 구름안내부(4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liding guide 444 is formed long in front and rear of the first cloud member 442. The sliding guide 444 is accommodated in the cloud guide portion 422 of the guide rail 420 together with the first cloud member 442 and guided back and forth, and the auxiliary drawer 440 is guide rail 420. Also,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drawer 440 may be prevented from sagging downward when drawn forward. Therefore, the sliding guide 444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loud guide 422.

상기 슬라이딩가이드(444)는 상기 제1구름부재(442)가 설치된 곳에서부터 상기 보조서랍(440)의 선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446)가 형성된다.The sliding guide 444 extends from the place where the first cloud member 442 is installed to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drawer 440, and a hook hook 446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s shown.

상기 걸림후크(446)는 상기 걸림턱(424)과 서로 맞닿아 상기 보조서랍(440)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42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hook hook 446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424 so that the auxiliary drawer 440 is no longer pulled forwar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424, protrudes downward Is formed.

한편 상기 보조서랍(440)의 양측면에는 인출레일(450)이 형성된다. 상기 인 출레일(4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주서랍(46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제2구름부재(462)를 수용하게 된다. Meanwhile, withdrawal rails 450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withdrawal rail 450 guides the main drawer 460 to be slid forward and backward, and accommodates the second cloud member 462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인출레일(450)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444) 보다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서랍(440)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출레일(450)은 상기 보조서랍(440)의 양측면 후단부에서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된다.The withdrawal rail 450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sliding guide 444, and is formed recessed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drawer rail 450 extends from the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o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또한 상기 보조서랍(440)의 인출레일(450)은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서랍(440)의 인출레일(450)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레일부(450')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레일부(4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출레일(450)의 후반부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평레일부(450')를 이루며, 이러한 수평레일부(450')의 선단은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레일부(450")를 이루고 있다.In addition, the lead rail 450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is lower than the rear end. In more detail, the withdrawal rail 450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ncludes a horizontal rail portion 450 'that is formed horizontally and an inclined rail portion 450 ″ that is formed obliquely. The second half of the lateral side is formed horizontally to form a horizontal rail portion 450 ', and the tip of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n inclined rail portion 450 '.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부(450')의 후단에는 안착부(45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52)는 상기 주서랍(460)의 제2구름부재(462)가 수용되어 정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주서랍(460)이 닫힌 상태에서 저절로 전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주서랍(460)이 상기 보조서랍(440)과 완전히 겹쳐지면, 상기 제2구름부재(462)가 안착부(452)에 수용되어 정지된다. 따라서 주서랍(460)은 전방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 is formed with a recess 452 recessed downward. The seating portion 452 is a portion in which the second cloud member 462 of the main drawer 460 is accommodated and stopped, and serves to prevent the main drawer 460 from opening forward by itself in a closed state. That is, when the main drawer 460 completely overlaps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art 452 and stopped. Therefore, the main drawer 460 is to remain stopped unless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한편, 측면에서 볼때 상기 인출레일(450)의 타측단부 즉, 상기 보조서랍 (440)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단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주서랍(460)에 장착되는 제2구름부재(462)가 상기 보조서랍(440)의 후측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other end of the take-out rail 450, that is,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s formed to be vertically bent upwardly extending, the extended end is formed to be open. Accordingly, the second cloud member 462 mounted to the main drawer 46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erted down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drawer 440.

그리고, 상기 보조서랍(440)의 후면은 상부에 해당하는 대략 절반 정도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출레일(450)에 주서랍(46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출레일(45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레일(420)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s formed such that approximately half of the upper drawer is opened so that the main drawer 46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withdrawal rail 450, and the withdrawal rail 450 The guide rail 420 is not affected by the.

상기 보조서랍(440)의 하면 선단 부분에는 경사지지부(448)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지지부(448)는 상기 주서랍(460)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보조서랍(44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n inclined support portion 448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inclined support part 448 supports the main drawer 460 in an inclined state,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wer 440.

따라서 상기 주서랍(460)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인출레일(450)의 수평레일부(450')를 거쳐 경사레일부(450") 선단에 위치되므로, 상기 주서랍(460)은 전방으로 일정부분 경사지게 되며, 이때 상기 경사지지부(448)가 상기 주서랍(460)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한다.Accordingly, when the main drawer 460 is pulled forward,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inclined rail portion 450 ″ via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 of the drawing rail 450. The main drawer 460 is inclin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forward, and the inclined support 448 supports the main drawer 460 in an inclined state.

상기 보조서랍(440)의 내측에는 주서랍(460)이 안착된다. 상기 주서랍(460)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곳으로 상방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460')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보조서랍(44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서랍(440)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진다.The main drawer 460 is seated inside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main drawer 460 is formed to have a box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to where food is stored. Therefore, an inner receiving space 460 ′ is formed to accommodate food, and has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auxiliary drawer 440 so as to be entirely seated on the auxiliary drawer 440.

상기 주서랍(460)의 상단 테두리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으며, 전면에 는 전면플레이트(464)가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464)는 내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주서랍(460)을 사용자가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The upper edge of the main drawer 460 is vertically bent to the outside, the front plate 464 is formed on the front to form a front appearance. The front plate 464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contents stored therein, and also serves a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when the user wants to withdraw the main drawer 460.

상기 주서랍(460)의 양측면에는 제1구름부재(442)와 동일한 형상의 제2구름부재(46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구름부재(462)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출레일(450)에 수용되어 상기 인출레일(450)의 일측과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주서랍(460)이 상기 보조서랍(440)의 내측에서 인출/입 될 수 있도록 한다.Second cloud members 46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loud members 442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drawer 460.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rotatably install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withdrawal rail 450 and move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ithdrawal rail 450, and the main drawer 460 is the auxiliary drawer. 440 may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상기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주서랍(460) 양측면의 후측 대략 중앙부 즉, 상기 인출레일(45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주서랍(460)을 상기 보조서랍(440)에 안착하였을 때 자연스럽게 상기 인출레일(45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drawer 460 on both sides,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draw rail 450 is formed. In other words, when the main drawer 460 is seated on the auxiliary drawer 440,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installed to be naturally accommodated in the withdrawal rail 450.

상기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제1구름부재(442)와 같이 롤러 또는 베어링 등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부재로서 롤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주서랍(46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a member capable of smoothly sliding, such as a roller or a bearing, like the first cloud member 442, and when formed of a roller,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drawer 460.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주서랍(460)의 후면에는 후방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주서랍(46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냉기유입구(466)가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 cold air inlet 466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main drawer 460 to allow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rear to smoothly flow into the main drawer 46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중서랍의 작용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먼저 상기 이중서랍(400)이 냉장고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살펴보면, 도 6과 같이 상기 주서랍(460)은 상기 보조서랍(440)에 수용되어 있으며, 주서랍(460)의 후면과 보조서랍(440)의 후면이 서로 접하고 있다.First, when the double drawer 400 is inserted into the refrigerator, as shown in FIG. 6, the main drawer 460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drawer 440, and a rear side of the main drawer 460 and the auxiliary drawer ( 44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보조서랍(440)의 제1구름부재(442)는 상기 가이드레일(420)의 구름안내부(422)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서랍(460)의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인출레일(450)의 수평레일부(450') 후단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cloud member 442 of the auxiliary drawer 44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loud guide 422 of the guide rail 420, the second cloud member 462 of the main drawer 460 It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 of the withdrawal rail 45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플레이트(46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주서랍(460)이 보조서랍(440)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2구름부재(462)가 상기 인출레일(450)의 수평레일부(450')를 거쳐 경사레일부(450")로 구름운동을 한다.When the front plate 464 is pulled forward in a state of holding in the above state, the main drawer 460 is slid from the auxiliary drawer 440 to be pulled forward. In this case, the second cloud member 462 performs a rolling motion to the inclined rail portion 450 ″ via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 of the pull-out rail 450.

한편 상기 보조서랍(440)도 상기 가이드레일(420)에 안내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며 도 7에는 이러한 주서랍(460)과 보조서랍(440)이 완전히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drawer 440 is also guided to the guide rail 420 and drawn out to the front,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drawer 460 and the auxiliary drawer 440 are completely drawn out.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름부재(462)가 상기 보조서랍(440)의 인출레일(450) 선단부, 즉 상기 인출레일(450)의 경사레일부(450") 선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서랍(460)의 하면은 상기 보조서랍(440)의 경사지지부(448)에 의해 지지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cloud member 462 is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lead rail 450 of the auxiliary drawer 440, that is, the tip of the inclined rail part 450 ″ of the lead rail 4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drawer 460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448 of the auxiliary drawer 440.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주서랍(460)에 음식물을 수납 또는 인출한 다음, 상기 주서랍(460)을 냉장고 내부로 인입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인출과정의 역순에 의한다. 즉 상기 주서랍(460)의 선단부를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 주서랍(460)의 제2구름부재(462)는 상기 인출레일(450)의 경사레일부(450") 및 수평레일부(450') 에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주서랍(460)과 보조서랍(440)이 완전히 인입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Next, the user stores or withdraws food in the main drawer 460, and then draws the main drawer 460 into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user draws the food drawer into the refrigerator. That is,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drawer 460 is pushed backward, the second cloud member 462 of the main drawer 460 is the inclined rail portion 450 "and the horizontal rail portion 450 'of the drawer rail 450; In the cloud movement, and when the main drawer 460 and the auxiliary drawer 440 are completely inserted,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6.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이중서랍(400)이 냉장고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이중서랍(400)이 냉장고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above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ouble drawer 40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However, the double drawer 40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중서랍은 주서랍과 보조서랍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서랍은 전방 인출시에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다.The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composed of a main drawer and an auxiliary drawer, and the main drawer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time of forward drawing.

따라서 사용자는 주서랍 인출시에 주서랍에 수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며, 더불어 음식물의 수납이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즉 이중서랍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거나, 사용자의 키가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물을 수납/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food stored in the main drawer when the drawer is withdrawn, and it is easy to store or withdraw the food. That is, the double drawer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high position, or even if the user's height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store / withdraw food.

Claims (5)

음식물을 수용하는 주서랍;A drawer to accommodate food; 상기 주서랍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구름부재;First roll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rawer; 상기 주서랍이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저면과 좌우측면 그리고 후면이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서랍;The sub drawer is accommodated in the drawer, the auxiliary drawer is formed in a box shape of the bottom and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is formed in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상기 보조서랍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서 함몰되며, 상기 제 1 구름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주서랍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레일;A pull-out rail recessed at right and left sides of an inner side of the auxiliary drawer and receiving the first drawer member to guide the drawer of the main drawer; 상기 보조서랍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가이드;Sliding guide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drawer; 상기 보조서랍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구름부재;Second rolling member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 of the auxiliary drawer; 고내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구름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보조서랍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It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rolling member is accommodated and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auxiliary drawer, 상기 인출레일의 전반부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서랍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half of the withdrawal rail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and the main drawer is inclined downward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서랍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서랍의 성형시 상기 인출레일과 슬라이딩가이드가 함께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The auxiliary drawer is injection molded of a plastic material, the drawer of the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rail and the sliding guide is molded together when forming the auxiliary draw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출레일은,The withdrawal rail,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레일부와,A horizontal rail extending horizontally; 상기 수평레일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rail extending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rai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출레일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The drawer is 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rear e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서랍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레일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서랍의 인출시 상기 주서랍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이중서랍.The lower drawer of the auxiliary drawer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withdrawal rail is a double drawer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drawer is further formed when the main drawer is withdrawn.
KR1020040100898A 2004-12-03 2004-12-03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035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98A KR101035169B1 (en) 2004-12-03 2004-12-03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98A KR101035169B1 (en) 2004-12-03 2004-12-03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148A KR20060062148A (en) 2006-06-12
KR101035169B1 true KR101035169B1 (en) 2011-05-17

Family

ID=3715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5169B1 (en) 2004-12-03 2004-12-03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9759B2 (en) 2007-03-14 2013-06-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19109B1 (en) * 2013-04-11 2019-09-0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Drawer device for home-bar of refrigerator
KR101706812B1 (en)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KR101702169B1 (en)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KR20150043573A (en)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KR101662377B1 (en)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oiner
KR101588126B1 (en) *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ehumidifier
KR200489380Y1 (en) * 2015-02-02 2019-06-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Thaw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2519038B1 (en) * 2016-06-10 202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lift up drawer for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421A (en) * 1996-12-27 1998-07-14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KR19990037687U (en) * 1998-03-11 1999-10-15 윤종용 Vegetable box take out device of refrigerator
JP2001012847A (en) 1999-06-28 2001-01-19 Toshiba Corp Refrigerator
JP2003279243A (en) 2002-03-25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421A (en) * 1996-12-27 1998-07-14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KR19990037687U (en) * 1998-03-11 1999-10-15 윤종용 Vegetable box take out device of refrigerator
JP2001012847A (en) 1999-06-28 2001-01-19 Toshiba Corp Refrigerator
JP2003279243A (en) 2002-03-25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148A (en)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373B1 (en) Refrigerator
KR102472387B1 (en) Refrigerator
KR101995427B1 (en) Refrigerator
KR20140055197A (en) Refrigerator
KR20140110489A (en) Refrigerator
KR100709406B1 (en) Drawer / Inle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rawer
KR101035169B1 (en)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KR102043201B1 (en) Refrigerator
KR20080055255A (en) Refrigerator
KR100782183B1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CN1888793B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KR20080066452A (en) Door open / close structure of refrigerator
KR101055883B1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KR100705091B1 (en)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KR100651278B1 (en) Drawer mount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KR100765551B1 (en)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KR101096820B1 (en) Double drawer for refrigerator
KR100518427B1 (en) drawer type door open/close structure for refrigerator
JP3668114B2 (en) refrigerator
KR20100001250A (en) Structure for instituting drawer of refrigerator
KR20060022430A (en) Double drawer in refrigerator
KR100705090B1 (en) Double drawer of refrigerator
KR100709405B1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KR20060022427A (en) Refrigerator Double Drawer
KR200186564Y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