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2473B1 - 문구용 안전칼 - Google Patents

문구용 안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473B1
KR101032473B1 KR1020080053536A KR20080053536A KR101032473B1 KR 101032473 B1 KR101032473 B1 KR 101032473B1 KR 1020080053536 A KR1020080053536 A KR 1020080053536A KR 20080053536 A KR20080053536 A KR 20080053536A KR 101032473 B1 KR101032473 B1 KR 10103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ery
blade
angle
safety
knif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513A (ko
Inventor
길석면
Original Assignee
길석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석면 filed Critical 길석면
Priority to KR102008005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7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7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5Straightedges combined with other drawing a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문구용 안전칼에 관한 것으로, 문구류 등을 절단하는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은 얇은 종이 등을 절단하는 칼날(11)과 상기 칼날(11)이 구비되는 칼날몸체(12)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2)는 하부면(13)과 상부면(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면(13)과 상부면(14)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15)의 각도 즉 칼날의 안전각도는 65°내지 84°가 형성되도록 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67°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칼날부위에 손 등과 같은 신체부위가 접촉되더라도 상처가 입게 되는 것을 사전에 막아줄 수 있는 문구용 안전칼에 관한 것이다.
칼, 안전칼, 문구용 안전칼

Description

문구용 안전칼{A Safety Knife}
본 발명은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구용 칼의 칼날이 형성되는 각도를 특정각도의 범위로 하여 칼날을 형성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손과 같은 신체부위 등에 상처를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문구용 안전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구 또는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칼은 그 칼날이 매우 날카롭고 예리하여 사용상 부주의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바, 기존의 이러한 문구용 칼은 그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예리한 칼날을 보호몸체 내부에 내장시켜 두고 사용시에만 칼날을 노출시켜 종이나 기타 문구류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구용 칼은 사용자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칼날이 매우 날카로워 손이나 신체 부위에 상처를 입힐 수 있고 특히 어린이 등과 같이 나이 어린 사람이 사용할 경우 약간의 부주의 만으로도 신체부위에 쉽게 상처를 입게되어 상시적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칼날의 몸체를 다소 두껍게 하고 칼날의 형성각도를 안전각도(여기서 안전각도라 함은 통상적으로 칼날을 손이나 신체부위에 접촉하더라도 상처가 발생 되지 않게 되는 각도를 말함) 범위로 형성하여 종이 등과 같은 얇은 종류의 문구류 등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칼날을 부주의로 접촉하게 되더라도 쉽게 손이나 신체부위 등이 상처를 입지않게 됨으로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문구용 안전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구류 등을 절단하는 칼날(11)과 상기 칼날(11)이 구비되는 칼날몸체(12)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2)는 하부면(13)과 상부면(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면(13)과 상부면(14)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15)의 각도 즉 칼날의 안전각도가 65°내지 84°가 형성되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67°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칼날부위에 손 등과 같은 신체부위가 접촉되더라도 상처가 입게 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구용 안전칼(10)은 문구용 가위나 스틸자 기타 여러가지 도구에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어 그 쓰임새의 효용성이 매우 다양하고 사용자가 부주의로 칼날부위에 손 등과 같은 신체부위가 접촉되어 상처가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구류 등의 얇은 종이 재질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11)과 상기 칼날(11)을 구성하는 칼날몸체(12)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2)는 하부면(13)과 상부면(14)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면(13)과 상부면(14)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의 각도 즉 칼날각도를 안전각도인 65°내지 84°로 구성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67°가 되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은 가장 위험이 적고 안전한 상기 칼날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표1>과 같은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구 분 조 건 비 고
일반 문구용 칼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커터날
-칼날각도 약20°
-칼날두께 약 0.5mm
-연필깍기용 칼
실험용칼 -스테인레스 스틸자
-두께 약1mm
-공구연삭기로 가고
-절삭속도 10㎝/sec
실험종이 -80g/㎡복사용지
-0.1mm 두께
인조피부 -1mm두께의 레자
-1.5mm두께의 소가죽
-사람의 피부로 가정함
구 분 20~25gf 비 고
일반 문구용 칼
종이 잘라짐
-인조피부의 상처는 사용자의
피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가정함.
인조피부 잘라지거나 상처가 남
상기 <표2>에서는 문구용 종이와 인조피부에 20~25gf의 힘을 가하여 종이와 인조피부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았는바, 기존 일반 문구용 칼은 약간의 힘만 주어도 종이가 잘라지거나 인조피부에 상처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일반 문구용 칼은 그 칼날의 각도가 약 20°정도로 약간의 힘만 가하여도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입히게 되는바, 이러한 칼날의 각도에 변화를 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칼날의 각도 즉 안전각도(H)의 범위를 구할 수 있게 되었다.
<표3>은 <표1>의 실험 조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용 칼을 일반 문구용품인 스테인레스 스틸자의 일부 끝단면에 칼날의 각도를 58°에서부터 90°까지 1°~2°간격으로 변형시켜가면서 상기 일반 문구용 칼에 가했던 하중보다 8~10배인 200gf의 하중과 10cm/sec의 속도를 가해 각 각도별로 10회 반복 실험하여 종이가 잘라지거나 인조피부에 상처가 난 경우의 결과치를 보여주고 있다.
각 도(°) 58 60 62 64 65 66 67 68 69 70 72 74 76 78 80 82 84 86 90 비고
종이가잘라진 횟수
10 10 9 9 10 9 8 2 3 1 2 1 2 2 1 1 1 0 0
인조피부의
상처회수
10 7 9 8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표3>에 의하면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은 일반 문구용 칼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8~10배 정도 크기의 하중을 가하게 될 경우 종이와 같이 얇은 문구류는 용이하게 잘라지면서 인조피부에는 상처를 주지 않게 되는 칼날의 안전각도(H)를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상기 <표3>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각도(H)는 약 65°내지는 84°인 것을 알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각도는 65°내지 67°가 가장 바람직한 각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각도(H) 즉 65°내지 67°의 칼날 각도를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의 형성각도로 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문구용 도구에 결합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바, 그 응용 범위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각도의 구조로 형성된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의 구체적인 적용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3는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을 측정 기자재인 스틸자(19)에 적용된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자(19)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양측면이나 한쪽면에 측정 눈금이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스틸자(19)는 그 끝단면을 굴곡지게 형성시키고 그 굴곡면(20)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안전각도(H)를 65°내지 84°형성하여 구성시키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내지 67°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틸자(19)는 측정자의 기능과 문구용 칼의 이중적인 복합기능을 갖추어 사용할 수 있다.
도4은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을 문구용 가위(16)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문구용 가위(1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날(17)의 끝단면이 사용자 즉 어린이들의 사용안전을 위해 약간 굴곡된 형태로 제작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위(16)의 끝단면의 굴곡부위(18)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안전각도(H)를 65°내지 84°형성하여 구성시키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내지 67°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위(16)의 끝단면에 65°내지 67°의 칼날각도가 형성되도록 구성시켜 줌으로서 얇은 종이류 등을 자를 때 가위 기능과 문구용 칼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을 스틸제 홍보용 거울(21)에 적용된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현금카드 모양의 두께와 크기로 제작되는 스틸 제품류의 홍보용 거울은 간편하게 지갑 등에 넣어 다닐 수 있도록 얇게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는바, 상기 거울(21)은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부(22)를 굴곡되게 형성하고 상기 굴곡된 사각부(22)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안전각도(H)를 65°내지 84°형성하여 구성시키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내지 67°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거울의 기능과 문구용 칼의 기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10)은 매우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여 활용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따라서 안전 칼날 각도가 형성된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은 그 적용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신체부분에 접촉되어도 상처가 나지 않는 안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문구용 안전칼에 대한 사사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문구용 안전칼의 A부확대도(2a) B방향 확대단면도(2b).
도3은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이 스틸자에 응용된 제1실시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이 문구용 가위에 응용된 제2실시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문구용 안전칼이 거울에 응용된 제3실시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문구용 안전칼 11:칼날 12:칼날몸체 13:하부면 14:상부면
15:경사면 16:문구용가위 17:가위날 18:굴곡부위 19:스틸자
20:굴곡면 21:거울 22:사각부

Claims (8)

  1. 삭제
  2. 얇은 종이 등을 절단하는 문구용 안전칼(10)에 있어서;
    얇은 종이 재질을 절단하는 상기 문구용 안전칼(10)은 절단부를 이루는 칼날(11)과 상기 칼날(11)이 구비되는 칼날몸체(12)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2)는 하부면(13)과 상부면(14) 및 경사면(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칼날(11)은 상기 하부면(13)과 상부면(14)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15)의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5)이 이루어지는 각도는 65°내지 67°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안전칼.
  3. 삭제
  4. 측정도구로 사용되는 문구용 스테인레스 스틸자(19)에 있어서;
    측정 눈금이 구비되어 있는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자(19)의 한쪽 끝단면을 굴곡지게 하여 굴곡면(20)을 형성시키고 상기 굴곡면(20)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각도를 65°내지 67°로 형성하여 문구용 안전칼(10)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스틸자.
  5. 삭제
  6. 문구류를 절단하는 문구용 가위(16)에 있어서,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가위(16)의 끝단면에 형성된 굴곡부위(18)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각도가 65°내지 67°로 형성되어 문구용 안전칼(10)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가위.
  7. 삭제
  8. 현금카드 모양의 두께와 크기로 제작되는 스틸 제품류의 홍보용 거울(21)에 있어서,
    상기 거울(21)은 사각부(22)를 굴곡되게 형성하고 상기 굴곡된 사각부(22)의 일정 길이 부분에 칼날의 각도가 65°내지 67°로 형성되어 문구용 안전칼(10)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용 거울.
KR1020080053536A 2008-06-09 2008-06-09 문구용 안전칼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36A KR101032473B1 (ko) 2008-06-09 2008-06-09 문구용 안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36A KR101032473B1 (ko) 2008-06-09 2008-06-09 문구용 안전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13A KR20090127513A (ko) 2009-12-14
KR101032473B1 true KR101032473B1 (ko) 2011-05-04

Family

ID=4168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5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473B1 (ko) 2008-06-09 2008-06-09 문구용 안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9469U (ko) * 1987-11-13 1989-05-29
KR950032470U (ko) * 1994-05-19 1995-12-14 안전가위
JPH10315688A (ja) * 1997-05-16 1998-12-02 Kunpei Inoko 修正テープ用定規
JP2000296278A (ja) * 1999-04-14 2000-10-24 Yukio Ito 情報生活カ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9469U (ko) * 1987-11-13 1989-05-29
KR950032470U (ko) * 1994-05-19 1995-12-14 안전가위
JPH10315688A (ja) * 1997-05-16 1998-12-02 Kunpei Inoko 修正テープ用定規
JP2000296278A (ja) * 1999-04-14 2000-10-24 Yukio Ito 情報生活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13A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624B1 (en) Knife with ergonomic handle
KR101032473B1 (ko) 문구용 안전칼
US6305088B1 (en) Scissor cutting edge safeguard
KR102021809B1 (ko) 손톱깎이
US2879778A (en) Shaving guide for trimming sideburns
CN206080640U (zh) 一种汗腺切除手术专用组织剪
US2463990A (en) Twine or cord cutter
US20160288345A1 (en) Compact Cutter with Ceramic Blade
CN111051019A (zh) 切割刀用的刀片
KR200444343Y1 (ko) 칼 달린 자
JP2014208382A (ja) シート打抜刃
KR20110007945U (ko) 눈금자
KR20200074803A (ko) 종이를 자를 수 있는 펜
JP2006075453A (ja) 剃刀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9488Y1 (ko) 기능성 눈금자
KR20230000876A (ko) 어린이 및 시각장애인용 다용도 안전가위
JP3151585U (ja) 指先損傷保護具
KR940005957Y1 (ko) 종이 캇터가 형성된 자
KR20220002472U (ko) 손이 다치지 않는 기역 모양 자
KR200415910Y1 (ko) 손가락 삽입 파지형 손톱깎이
KR200286505Y1 (ko) 한쪽에 금속판을 붙이고 한면에 미끄럼 방지용 고무를도포한 자(尺).
KR200394015Y1 (ko) 안전자
KR200177025Y1 (ko) 이동식 절단용 칼을 부착한 자
JPH03165794A (ja) 回転カッタ
ES1270985U (es) Accesorio de cuchil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