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1627B1 - 스티어링 칼럼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627B1
KR101031627B1 KR1020080106641A KR20080106641A KR101031627B1 KR 101031627 B1 KR101031627 B1 KR 101031627B1 KR 1020080106641 A KR1020080106641 A KR 1020080106641A KR 20080106641 A KR20080106641 A KR 20080106641A KR 101031627 B1 KR101031627 B1 KR 10103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am
ring
inner tube
clamp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058A (ko
Inventor
요타 우에사카
Original Assignee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6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너 튜브의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를 제공한다.
어퍼 클램프(7)와, 아우터 튜브(4)에 고정된 디스턴스 브라켓(8)과, 어퍼 클램프(7)의 틸트용 장공 및 디스턴스 브라켓(8)의 텔레스코핑용 장공에 통과된 축부(9b)를 가진 클램프용 볼트(9)와, 볼트(9)와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10)와, 축부(9b) 위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의 치수가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변화되는 편심캠(41) 및 편심캠(41)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42)으로 이루어진 캠체(11)를 구비하고, 캠체(11)를 회전시켜 누름으로써 이너 튜브(5)를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로킹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 장치{Steering column assembly}
본 발명은, 운전자의 체형 및 기호에 맞춰 가장 운전하기 쉽도록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텔레스코핑 조정 기능을 갖춘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 자세 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를 조정하는 틸트 조정 기능과,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이른바 텔레스코핑 조정 기능을 부가한 스티어링 칼럼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텔레스코핑 조정과 동시에 스티어링 칼럼을 구성하는 이너 튜브에 클램프용 볼트의 외주에 해당 볼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한 편심캠을 압접 계합시킴으로써, 이너 튜브를 아우터 튜브 내주에 눌러, 이너 튜브를 아우터 튜브에 대해 로킹하기 때문에 이너 튜브와 아우터 튜브의 가터(직경 방향의 틈)가 제거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783524호 공보).
그런데 일본 특허 제378352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편심캠의 회전축이 되는 클램프용 볼트의 축부를 아우터 튜브의 바깥쪽에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축부와 이너 튜브의 간격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편심캠의 직경 방향의 치수(회전 중심에서 캠 외주면까지의 치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로킹시에 편심캠을 회전시켜 캠 외주면으로 이너 튜브를 누르는 힘을 얻을 때, 클램프용 볼트가 큰 조임 토크를 필요로 하여 조작 레버를 큰 힘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편심캠에 의해 이너 튜브를 아우터 튜브에 대해 로킹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에 수축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이너 튜브가 마찰력으로 편심캠을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편심캠이 회전되고 상기 이너 튜브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이른바 조작 레버 복귀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 및 그 해제 조작을 하는 조작 레버의 조작력을 줄여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너 튜브와 아우터 튜브의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로서, 이하를 구비한다:
일단이 차체에 지지됨과 동시에 로어(lower) 샤프트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이너 튜브;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클램프에 의해 일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어퍼 샤프트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여, 텔레스코핑 조정 가능하게 상기 이너 튜브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너 튜브와 겹치는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관통공을 가진 아우터 튜브;
상기 아우터 튜브에 고정 배치된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부(長孔部)와 상기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를 가진 클램프용 볼트;
상기 클램프용 볼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클램프용 볼트의 상기 축부 위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의 치수가 둘레 방 향을 따라 점차 변화되는 편심캠;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상기 구성에서,
상기 조작 레버를 회동 조작하고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켜 상기 링을 상기 이너 튜브에 누름으로써 상기 이너 튜브를 상기 아우터 튜브에 압접 계합시키고, 상기 링은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 전체와 접하고 있다.
상기 제1형태에 종속되는 제2형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서, 상기 클램프는, 틸트 조정 가능하게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른 원호형 장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에 기초한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 따르면, 조작 레버를 로킹 해제 위치에서 로킹 위치로 회동 조작하고 클램프용 볼트를 매개하여 편심캠을 로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편심캠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주위 방향을 따라 점차 증대되어 링을 매개하여 이너 튜브를 아우터 튜브의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이너 튜브가 아우터 튜브에 대해 압접 계합되어 로킹된다. 또 조작 레버를 로킹 위치에서 로킹 해제 위치로 회전 조작하고 클램프용 볼트를 매개하여 캠체를 로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편심캠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점차 감소되어 링이 이너 튜브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이너 튜브가 아우터 튜브에 대해 압접 계합(로킹)된 상태가 해제되고, 이너 튜브에 대해 아우터 튜브를 작은 조작력으로 텔레스코핑 조정 가능(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편심캠의 외주에 장착된 링을 매개하여 이너 튜브에 압접 계합시키기 때문에 편심캠의 직경 방향의 치수를 줄일 수 있으며 로킹시에 편심캠을 회전시켜 링의 외주면을 이너 튜브에 누를 때, 클램프용 볼트의 조임 토크를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의 조작력을 경감시켜 조작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링의 외주면을 이너 튜브에 누름으로써 이너 튜브를 아우터 튜브에 대해 로킹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 튜브에 수축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이너 튜브를 매개하여 마찰력으로 링이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써 링이 회전하는데, 링과 편심캠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편심캠의 로킹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너 튜브와 아우터 튜브의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링을 매개하지 않는 편심캠에 대해 편심캠의 직경 방향의 치수를 줄임으로써 링을 매개하여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었을 때 편심캠을 로킹 해제 방향으로 구동하는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편심캠의 로킹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에 종속된 제3형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서 상기 볼트와 상기 편심캠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제3형태에 기초한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 의하면, 볼트 및 편심캠을 별도로 구성하기 때문에, 각 부품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볼트 및 편심캠을 다른 재질이나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형태 내지상기 제3형태 중 한 형태에 종속되는 제4형태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서, 상기 편심캠에는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상기 링이 회전 가능하게 계합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제4형태에 기초한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 의하면, 편심캠의 외주에 장착한 링을 편심캠에 마련된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편심캠에 링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장치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너 튜브의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티어링 칼럼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II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동일 스티어링 칼럼 장치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축방향의 단면도로서, 도 3의 좌측은 로킹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의 우측은 로킹 해제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편심캠 및 링으로 이루어진 캠체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캠체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 VI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캠체의 평면도이며, 도 8은 편심캠에서 링을 벗긴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편심캠에서 링을 벗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클램프용 볼트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 XI에서 본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은 설명을 위해서 일부를 삭제한 상태에서 도시하였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티어링 칼럼 장치(1)는 축방향 상단(도 1의 오른쪽 끝)에 스티어링 휠(미도시)이 고정된 스티어링 샤프트(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 튜브(3)를 구비한다. 스티어링 샤프트(2)는 어퍼 샤프트(2a)와 로어 샤프트(2b)로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스티어링 칼럼 튜브(3)는 축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아우터 튜브(4) 및 이너 튜브(5)를 구비한다. 이들 튜브(4, 5)는 내부에 스티어링 샤프트(2)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너 튜브(5)의 축방향 하단부(6)는 로어 서포트 브라켓(2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틸트축(22) 등을 매개하여 차체(23)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로써 스티어링 칼럼 튜브(3) 전체가 틸트축(22) 주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스티어링 칼럼 장치(1)는, 스티어링 칼럼 튜브(3)의 축방향 상단쪽에 더 배치되어 차체(23)에 고정된 아래쪽으로 개방된 ㄷ자형 클램프로서의 어퍼 클램프(7)와, 스티어링 칼럼 튜브(3)의 아우터 튜브(4)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어퍼 클램프(7)의 안쪽에 배치된 디스턴스 브라켓(8)과, 어퍼 클램프(7) 및 디스턴스 브라켓(8)을 관통하는 클램프용 볼트(9)와, 그 볼트(9)의 축선 둘레에 회동 조작되는 조작 레버(10)와, 그 조작 레버(11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여 이너 튜브(5)를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누르는 캠체(11)를 구비한다.
어퍼 클램프(7)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판(12, 13)과, 이들 측판(12, 13)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판(14)을 가지고 있으며, 설치 브라켓(16)으로 차체(23)에 고정되어 있다. 어퍼 클램프(7)의 양 측판(12, 13)에는 차량 상하 방향에 따른 원호형의 틸트용 장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턴스 브라켓(8)은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을 이루고, 한쌍의 측판(31, 32)과 측판(31, 32)의 하단끼리 연결하는 바닥판(33)을 가지고 있다. 디스턴스 브라켓(8)의 측판(31, 32)을 따라 스티어링 칼럼 튜브(3)의 축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핑용 장공(34, 長孔)(공부(孔部))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용 볼트(9)는 헤드부(9a) 및 축부(9b)로 이루어져 어퍼 클램프(7)의 한쪽에서 다른 쪽을 향해 관통되어 있다. 헤드부(9a)는 단부에 육각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외주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serration)(9d)가 형성되고, 축부(9b)는 끝단에 나사부(9e)를 가짐과 동시에 길이 방향의 중간부 외주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9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9) 끝단의 나사부(9e)에 너트(9g)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볼트(9)의 헤드부(9a)와 너트(9g) 사이에 어퍼 클램프(7) 및 디스턴스 브라켓(8)이 협지되어 있다.
캠체(11)는 볼트(9)의 축부(9b) 위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의 치수가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변화되는 수지제 편심캠(41) 및 편심캠(41)의 외주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42)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심캠(41)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쌍의 원통부(43, 44)로 이루어지고, 원통부(43, 44)의 연결 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편심되는 대직경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43a)의 외직경은 원통부(43, 44)의 외직경보다 크게 설정됨과 동시에 링(42)의 내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1)은 회전 중심(C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 회전 중심(C1)에서 대직경부(43a)의 중 심(C2)이 직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D1) 편심되어 있다.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시에 대직경부(43a) 및 링(42)은 아우터 튜브(4)의 이너 튜브(5)와 겹치는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4a)을 매개하여 아우터 튜브(4) 안으로 진입하고, 링(42)이 이너 튜브(5)에 압접 계합(로킹)됨으로써 이너 튜브(5)가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눌려있다. 또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해제시에 대직경부(43a) 및 링(42)은 아우터 튜브(4)의 외부로 후퇴하여 링(42)이 이너 튜브(5)에서 이탈함으로써 이너 튜브(5)가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눌린 상태가 해제되어 있다. 상기 로킹시 및 로킹 해제시에 링(42)이 이너 튜브(5)에 계합되어 있을 때 이너 튜브(5)와의 마찰에 의해 링(42)의 회전이 정지되고, 반면 링(42)이 이너 튜브(5)에 계합되어 있지 않을 때, 링(42)은 편심캠(41)과 함께 회전한다. 더우기, 상기 편심캠(41)을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상태로 180°회전시킴으로써 캠 리프트량(D2)(D1×2)을 얻을 수 있다.
원통부(43, 44)의 내주에는 톱니(43b, 44b)가 형성되고, 원통부(43, 44)의 내주에 볼트(9)가 삽입됨과 동시에 축부(9b) 외주의 톱니(9f)가 원통부(43, 44) 내주의 톱니(43b, 44b)와 맞물림으로서 볼트(9)의 회전력이 편심캠(41)에 전달된다.
링(42) 내주의 양단에는 각각 계합 홈(42a, 42b)이 마련되어 있다. 원통부(43, 44)에는 링(42)을 축방향의 양쪽에서 끼우도록 배치되고, 상기 계합 홈(42a, 42b)에 계합된 플랜지형 부재(43c, 44c)가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쪽 원통부(44)의 연결 단부, 및 플랜지형 부재(44c) 중 직경 방향으로 가장 편심되어 있 는 부분 및 대향하는 부분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칼집(44d)을 설치함으로써 플랜지형 부재(44c)의 일부를 포함한 탄성 후크(44e)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체(11)를 조립할 때,한쪽 원통부(44)쪽에서 플랜지형 부재(43c)에 부딪칠 때까지 링(42)을 삽입하고, 플랜지형 부재(43c)를 링(42)의 계합 홈(42a)에 계합시켜 대직경부(43a)의 외주에 링(42)을 장착한다. 이 때, 플랜지형 부재(44c)의 테이퍼부에 링(42)이 닿음으로써 링(42)이 한쌍의 탄성 후크(44e)를 내직경쪽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플랜지형 부재(44c)를 링(42)의 계합 홈(42b)에 계합시킨 후 한쌍의 탄성 후크(44e)가 탄성력으로 원래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다른 쪽 원통부(44)가 삽입된다. 이로써 편심캠(41)의 외주에 장착된 링(42)이 편심캠(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 레버(10)를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한 로킹 위치에 회동 조작하여 볼트(9)를 조임으로써 볼트(9)의 헤드부(9a)와 너트(9g) 사이에서 어퍼 클램프(7)와 디스턴스 브라켓(8)을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협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의 틸트 조정(차량 상하 방향으로 요동)과 텔레스코핑 조정(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을 함께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1)이 로킹 방향(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링(42)이 이너 튜브(5)의 방향(화살표(A2)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너 튜브(5)에 압접 계합됨으로써 이너 튜브(5)가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눌리기 때문에, 이너 튜브(5)와 아우터 튜브(4)의 가터(직경 방향의 틈)가 제거된다.
또 조작 레버(10)를 도 1의 점선으로 도시한 로킹 해제 위치로 회동 조작하 여 볼트(9)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볼트(9)의 헤드부(9a)와 너트(9g) 사이에서 어퍼 클램프(7)와 디스턴스 브라켓(8)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스티어링 휠의 틸트 조정과 텔레스코핑 조정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1)이 로킹 해제 방향(화살표(A3)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너 튜브(5)에서 이탈하는 방향(화살표(A4)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너 튜브(5)가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눌리는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이너 튜브(5)에 대해 아우터 튜브(4)를 작은 조작력으로 텔레스코핑 조정 가능(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1)의 외주에 장착한 링(42)을 매개하여 이너 튜브(5)에 압접 계합시키기 때문에 편심캠(41)의 직경 방향의 치수(R)를 줄일 수 있고, 로킹시에 편심캠(41)을 회전시킬 때에 클램프용 볼트(9)의 조임 토크를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0)의 조작력을 경감시켜 조작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링(42)의 외주면을 이너 튜브(5)에 누름으로써 이너 튜브(5)를 아우터 튜브(4)에 대해 로킹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 튜브(3)에 수축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이너 튜브(5)를 매개하여 마찰력으로 링(42)이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써 링(42)이 회전하는데, 링(42)과 편심캠(41)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편심캠(41)의 로킹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너 튜브와 아우터 튜브의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편심캠(41)의 직경 방향의 치수(R)가 링(42)을 매개하지 않는 편심캠에 대해 작아지고, 링(42)을 매개 하여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었을 때에 편심캠(41)을 로킹 해제 방향으로 구동하는 토크가 작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편심캠(41)의 로킹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볼트(9) 및 편심캠(41)을 별도로 구성하기 때문에, 각 부품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볼트(9) 및 편심캠(41)을 다른 재질이나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9)는 금속제이고, 편심캠(41)은 수지제이다.
또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편심캠(41)의 외주에 링(42)를 장착함과 동시에 편심캠(41)에 설치되는 탄성 후크(44e)에 링(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이들 편심캠(41) 및 링(42)으로 이루어진 캠체(11)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심캠(41)의 외주에 링(42)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했으나, 편심캠(41) 및 링(42) 사이에 저마찰재의 코팅 또는 그리스를 개설(介設)하거나, 혹은 베어링을 개설하여 편심캠(41) 및 링(42)간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조작 레버(10)의 조작력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트(9) 및 편심캠(41)을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했으나, 별도로 구성하는 대신에 볼트 및 편심캠을 일체로 구성하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심캠(41)의 외주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42)을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으나, 직경 방향의 판두께가 다른 링을 더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편심캠(41)을 사용하여 조작 레버(10)와 스티어링 칼럼 튜브(3)의 이너 튜브(5)와의 거리가 다른 차종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틸트 및 텔레스코핑 조정이 가능한 구조이지만, 텔레스코핑 조정뿐일 경우라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 외에 상술한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기타 여러가지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일본특허출원 제2007- 283851호(2007년 10월 3l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티어링 칼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II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스티어링 칼럼 장치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축방향의 단면도로서, 좌측은 로킹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우측은 로킹 해제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편심캠 및 링으로 이루어진 캠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캠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VI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캠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편심캠에서 링을 벗긴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편심캠부터 링을 벗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클램프용 볼트의 정면도이다.
도 1l은 도 10의 XI- XI에서 본 단면도이다.

Claims (8)

  1. 일단이 차체에 지지됨과 동시에 로어(lower) 샤프트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이너 튜브;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클램프에 의해 일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어퍼 샤프트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고 텔레스코핑 조정 가능하게 상기 이너 튜브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이너 튜브와 겹치는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관통공을 가진 아우터 튜브;
    상기 아우터 튜브에 고정 배치된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부와 상기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를 가진 클램프용 볼트;
    상기 클램프용 볼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클램프용 볼트의 상기 축부 위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의 치수가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변화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레버를 회동 조작하고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켜 상기 링을 상기 이너 튜브에 누름으로써 상기 이너 튜브를 상기 아우터 튜브에 압접 계합시키고,
    상기 링은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 전체와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틸트 조정 가능하게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른 원호형 장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상기 편심캠이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상기 편심캠이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에는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상기 링이 회전 가능하게 계합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에는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상기 링이 회전 가능하게 계합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에는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상기 링이 회전 가능하게 계합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에는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후크와 플랜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캠의 외주에 상기 링이 회전 가능하게 계합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장치.
KR1020080106641A 2007-10-31 2008-10-29 스티어링 칼럼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31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3851 2007-10-31
JP2007283851 200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058A KR20090045058A (ko) 2009-05-07
KR101031627B1 true KR101031627B1 (ko) 2011-04-27

Family

ID=402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6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1627B1 (ko) 2007-10-31 2008-10-29 스티어링 칼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7782B2 (ko)
EP (1) EP2055612B1 (ko)
KR (1) KR101031627B1 (ko)
CN (1) CN101423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5369A2 (en) * 2008-03-25 2009-09-30 NSK Ltd. Steering apparatus
JP5293737B2 (ja) * 2008-06-24 2013-09-18 日本精工株式会社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US8632098B2 (en) * 2009-12-11 2014-01-21 Trw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steering assemblies
JP5279743B2 (ja) * 2010-02-19 2013-09-04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装置
JP5328695B2 (ja) * 2010-02-26 2013-10-30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FR2958614B1 (fr) * 2010-04-13 2012-03-16 Jtekt Europe Sas Mecanisme de reglage d'un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CN101817360B (zh) * 2010-05-06 2012-06-1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方向控制装置及交通工具
EP2433847B1 (en) 2010-09-28 2013-03-06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AB Steering column assembly
JP5685124B2 (ja) * 2011-03-26 2015-03-18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1054196B3 (de) * 2011-10-05 2012-12-20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mit einem ersten Nockenträger
KR101334956B1 (ko) * 2011-10-10 2013-12-05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락 장치 및 그 조립방법
DE102011056674B3 (de) * 2011-10-19 2012-12-06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2013126832A (ja) * 2011-12-19 2013-06-27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GB201208791D0 (en) * 2012-05-18 2012-07-04 Trw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390522B1 (ko) * 2012-09-11 2014-05-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5999427B2 (ja) * 2012-11-28 2016-09-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21185B1 (ko) 2013-03-29 2015-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장치
EP2998191B1 (en) * 2013-09-30 2017-07-19 NSK Ltd. Steering wheel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5892302B2 (ja) 2014-01-30 2016-03-23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EP2965970B1 (en) * 2014-04-11 2017-03-29 NSK Ltd. Steering device
DE102014016510B4 (de) 2014-11-10 2016-02-18 Thyssenkrupp Ag Lenksäule mit Längsanschlag mit einstellbarer Freigabefunktion für Crash
US10046789B2 (en) * 2015-05-19 2018-08-14 Nsk Ltd. Telescopic steering device
DE102015216536B3 (de) * 2015-08-28 2017-02-16 Thyssenkrupp Ag Klemmvorrichtung einer verstellbaren Lenksäule für Kraftfahrzeuge
US10065671B2 (en) * 2015-10-21 2018-09-04 Nsk Ltd. Telescopic steering column and steering device
WO2018016491A1 (ja) 2016-07-19 2018-01-25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654521B1 (ko) * 2016-11-02 2024-04-0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
CN107521549A (zh) * 2017-09-20 2017-12-29 江苏华骋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机总成的升降机构
US11186307B2 (en) * 2019-10-31 2021-11-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ake lever assembly
WO2021099595A1 (fr) * 2019-11-22 2021-05-27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Vendôme Système de réglage d'un effort résistant s'opposant à un mouvement relatif de translation entre deux éléments téléscopiqu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52A (ja) 2000-05-16 2001-11-20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40061322A1 (en) 2002-09-30 2004-04-01 Nastech, Inc.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JP2007038833A (ja) * 2005-08-03 2007-02-15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68708A (ja) 2005-12-26 2007-07-0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2284A (en) 1999-07-19 2001-01-24 Delphi Tech Inc Clamp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7503234B2 (en) * 2005-05-26 2009-03-17 Delphi Technologies, Inc. One lever tilt and telescope mechanism
JP4882127B2 (ja) 2005-11-16 2012-0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83851A (ja) 2006-04-14 2007-11-01 Tokai Kogyo Co Ltd 長尺シール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52A (ja) 2000-05-16 2001-11-20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40061322A1 (en) 2002-09-30 2004-04-01 Nastech, Inc.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JP2007038833A (ja) * 2005-08-03 2007-02-15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68708A (ja) 2005-12-26 2007-07-0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7283A1 (en) 2009-04-30
KR20090045058A (ko) 2009-05-07
EP2055612B1 (en) 2011-08-17
CN101423068B (zh) 2010-07-21
US8037782B2 (en) 2011-10-18
EP2055612A3 (en) 2009-12-30
CN101423068A (zh) 2009-05-06
EP2055612A2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627B1 (ko) 스티어링 칼럼 장치
US6467807B2 (en) Steering device for car
JP3783524B2 (ja)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505055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70883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54129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9637160B2 (en) Steering system
US9714048B2 (en) Steering device
JP201003057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810561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1375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51353A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7338079B2 (en) Extendable and contract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JP200630626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509721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15478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728913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4703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2073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40084886A1 (en) Extendable and contract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JP200715308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450847B (zh) 转向装置
JP200830803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7279581B2 (ja) カム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28504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