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96B1 - Inner bag for container container - Google Patents
Inner bag for container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1196B1 KR101031196B1 KR1020050016403A KR20050016403A KR101031196B1 KR 101031196 B1 KR101031196 B1 KR 101031196B1 KR 1020050016403 A KR1020050016403 A KR 1020050016403A KR 20050016403 A KR20050016403 A KR 20050016403A KR 101031196 B1 KR101031196 B1 KR 101031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inner bag
- discharge
- nozzle
- st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과제] 컨테이너 용기에서의 배출통 내로의 노즐의 삽입 작업을 간단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폐 수단을 필요없게 하여 컨테이너 용기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용기용 이너백을 제공한다.[PROBLEMS] To provide an inner bag for a container container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insert a nozzle into a discharge container from a container container and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container by eliminating the need for opening and closing means. .
[해결수단] 용기 본체 (3) 의 하부에 배출통 (4) 을 갖는 컨테이너 용기 (1) 의 내부에 장착하는 이너백 (5) 이, 용기 본체 (3) 내에 위치시키는 이너백 본체 (6) 와, 배출통 (4) 내에 삽입하도록 이너백 본체 (6) 의 저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장착된 노즐 (7) 로 이루어지고, 이 노즐 (7) 이, 하단부 외주에 칼라부 (10) 가 설치된 신축 자유로운 주름통 (11) 과, 이 주름통 (11) 의 하단 부근의 외면에 그 일방 단부를 접합하여 주름통 (11) 의 외면 상에 절첩되고, 늘렸을 때에는 주름통 (11) 의 하단부를 덮는 가요 통형상체 (12) 와, 분리 가능한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주름통 (11) 에 장착된 소요 길이를 갖는 끈형상 부재 (13) 로 형성되어 있다.[Solution] The inner bag main body 6 plac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3 by the inner bag 5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container 1 having the discharge container 4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main body 3. And a nozzle 7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bag main body 6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4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and the nozzle 7 is provided with a collar portion 10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The one end is joined to the stretchable free corrugation tube 11 and the outer surface near the lower end of this corrugation tube 11, and it is f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ion tube 11, and when it is extended, It is formed of a flexible cylindrical body 12 covering the lower end portion and a string-like member 13 having a required length attached to the corrugated container 11 through detachable connecting means.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이너백을 장착한 컨테이너 용기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of a container container equipped with an inner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에 있어서, (A) 는 완성된 이너백을 절첩한 상태의 정면도, (B) 는 이너백 본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In FIG. 2, (A)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which folded the completed inner bag, (B) is a partial notch front view which disassembles and shows an inner bag main body.
도 3 은 노즐의 선단부 부근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near the tip of the nozzle.
도 4 에 있어서, (1)∼(4) 는 본 발명의 이너백의 컨테이너 용기로의 장착 및 분리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In FIG. 4, (1)-(4)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attachment and the removal to the container container of the inner bag of this invention in order.
도 5 에 있어서, (5)∼(8) 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용기로의 장착 및 분리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n FIG. 5, (5)-(8)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attachment and the removal to the container container of this invention in order.
도 6 은 노즐을 배출통 내에 삽입한 끈형상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6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string member having a nozzl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is removed.
도 7 은 배출통의 개구를 개폐 밸브로 폐쇄한 상태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7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vessel is closed by an on / off valve.
도 8 은 이너백의 교환시를 위해 자루형상 부재의 단부를 묶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nd portions of the bag-shaped members are tied together for replacement of the inner bag.
도 9 에 있어서, (A) 는 다른 실시예의 노즐의 요부를 확대한 일부 절결 정면도이고, (B) 는 상기와 동일한 도면의 사시도이다.In FIG. 9, (A) is the partial notch front view which expanded the main part of the nozzle of another Example,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me drawing as the above.
도 10 은 또 다른 노즐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nother nozzle.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the Drawing)
1 : 컨테이너 용기 1: container container
2 : 지지 다리2: support leg
3 : 용기 본체3: container body
4 : 배출통4: discharge bin
5 : 이너백 (inner bag)5: inner bag
6 : 이너백 본체6: inner bag body
7 : 노즐7: nozzle
8 : 칼라부8: collar part
9 : 장착통9: mounting barrel
10 : 칼라부10: collar part
11 : 주름통11: wrinkles
12 : 가요 통형상체 12: flexible cylindrical body
13 : 끈형상 부재13: string member
14 : 주름부14 wrinkles
15 : 원통부15: cylindrical part
16 : 원통부16: cylindrical part
17 : 체결 벨트17: fastening belt
18 : 끈18: string
19 : 추19: weight
20 : 체결 금구(締結金具)20: fastening bracket
21 : 보강 부재21: reinforcing member
22 : 자석22: magnet
23 : 봉23: rod
24 : 개폐 밸브24: on-off valve
25 : 끈25: string
26 : 접착 고정부26: adhesive fixing part
27 : 끈형상 부재27: string member
28 : 테이프28: tape
29 : 끈29: string
30 : 끈형상 부재30: string member
31 : 칼라부31: collar
32 : 구멍32: hole
33 : 주름통33: pleated pain
34 : 원통부34: cylindrical part
35 : 훅35: hook
36 : 끈 36: string
본 발명은 각종 유체의 수송이나 수납에 사용하는 컨테이너 용기의 이너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bag of a container container us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various fluids.
각종 유체의 수송이나 수납에 사용하는 컨테이너 용기는, 금속제 용기 본체의 하부에 배출통과 밸브를 설치한 구조를 갖고, 이 용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한 이너백 내에 유동물을 수납하고, 이너백 본체의 저부에 내부와 연통하는 상태로 장착된 노즐을 배출통 내에 위치시키고,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유동물을 빼내는 것으로, 이너백 내에 유동물을 수납함으로써 유동물과 용기 본체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고, 수납하는 유동물의 종류를 교환할 때는, 이너백을 바꾸면 되므로, 용기 본체의 세정이 필요없게 되어, 세정 비용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The container container us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various fluids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container and a valve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etal container body, and accommodates the fluid in the inner bag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By placing the nozzle mounted in the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in the discharge vessel and removing the fluid by opening the valve, by storing the fluid in the inner bag, there is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fluid and the container body, Since the inner bag needs to be changed when changing the kind of fluid to be ma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of the container body is not necessary, and the cleaning cost can be reduced.
종래의 이너백에 있어서의 노즐은, 배출통의 굽은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그 상단이 이너백 본체의 저부에 용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이너백 본체와 일체화 구조로 되어 있고, 컨테이너 용기 내와 그 배출통 내와 내용물인 유동물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The nozzle in the conventional inner bag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at can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discharge container, and its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bag main body by welding or the like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inner bag main body. In addition, the inside of a container container, the in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and the contact of the fluid which is a content are prevented (for example, refer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91534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2915342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68888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168888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22389호 [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122389
그런데, 상기 이너백은, 컨테이너 용기 내에 장착할 때에 노즐을 배출통 내에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배출통은,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저부로부터 수직 으로 늘어지고 도중에서 수평으로 굴곡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 내에 상단 개구로부터 이너백을 삽입하고, 그 하단에 위치하는 노즐을 배출통에 삽입하는 것은, 노즐에 가요성이 있어도 작업시에 매우 실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when the inner bag is mounted in the container container, the nozzle must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but the discharge container is shaped to be vertically stretch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bent horizontally in the middle, for example. Inserting the inner bag from the upper end opening into the container body and inserting the nozzle located at the lower end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have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arry out at the time of work even if the nozzle is flexible.
또, 컨테이너 용기의 내용물을 교환하기 위해 이너백을 꺼낼 때에는 노즐이 배출통 내로 끌려오는데, 노즐 선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내에 잔류되었던 유동물이 노즐 선단으로부터 유출되어 배출통 내 또는 컨테이너 용기 내부를 오염시키고, 그 후 배출통이나 컨테이너 용기를 세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bag is taken out to replac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the nozzle is drawn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Since the nozzle tip is open, the fluid remaining in the nozzle flows out of the nozzle tip and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or inside the container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of contaminating the filter and then cleaning the discharge container or container container.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배출통 내로의 노즐의 삽입 작업을 간단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너백을 꺼낼 때에도 배출통 내 등을 오염시키지 않아, 세정 작업을 필요없게 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용기용 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nozzle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fficiently, and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eliminated without contaminati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even when the inner bag is taken out. An inner bag for container containers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의 발명은, 용기 본체의 하부에 배출통을 갖는 컨테이너 용기의 내부에 장착하는 이너백으로서, 용기 본체 내에 위치시키는 이너백 본체와, 배출통 내에 삽입되도록 이너백 본체의 저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장착된 노즐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하단부 외주에 칼라부가 설치된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통과, 이 주름통의 하단 부근의 외면에 그 일방 단부를 접합하여 주름통의 외면 상에 절첩되고, 늘렸을 때에는 주름통의 하단부를 덮는 가요 통형상체와, 분리 가능한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주름통에 장착한 소요 길이를 갖는 끈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ion of
상기 노즐에 있어서의 주름통은,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한 이너백 본체와 별체의 것이어도 되고, 이너백 본체와 일체 성형된 어떠한 것이어도 되며, 양단에 스트레이트한 원통부를 갖고, 하단부에 설치한 칼라부는, 컨테이너 용기의 배출통의 선단 개구에 걸 수 있는 외경으로 되어 있다.The corrugated tube in the nozzle may be separate from the inner bag body using polyethylene or the like, or may be any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bag body, and has a cylindrical portion straight at both ends, and the collar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The outer diameter can be hooked to the tip opening of the discharge container of the container container.
상기 가요 통형상체는,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여 주름통의 직경과 대략 같은 직경을 갖는 양단이 개방된 통상으로, 일방 단부를 주름통의 하단 원통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접합하고, 통상시에는 주름통의 외면 상에 절첩되어 있으나, 타방 단부를 늘리면, 내부에 주름통 하단부를 포함한 상태로 통상으로 되고, 이 타방 단부를 적절한 수단으로 봉쇄하면, 노즐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lexible tubular body is generally open at both ends having a diameter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orrugation barrel by using polyethylene or the like, and joins one end portion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corrugation tube. Although it is folded on an outer surface, when the other end is extended, it becomes normal in the state containing the inside of a corrugated container lower end part, and when this other end is sealed by appropriate means, a nozzle opening part can be closed.
또, 끈형상 부재는, 예를 들면 절단 가능한 끈이나 테이프, 또는 끈형상 부재와 주름통 사이에서 형성된 구멍과 훅에 의한 걸림 수단 등의 각종 분리 가능한 접속 수단을 통해 주름통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rrugation cylinder through various detachable connection means, such as a cutting | disconnection string or tape, or the locking means by a hole and a hook formed between the string member and a corrugation cylinder, for example.
이와 같이, 컨테이너 용기는, 용기 본체의 내면이 이너백 본체로 차단되고, 배출통의 내부에 노즐이 존재하므로, 수납된 유동물과 컨테이너 용기의 접촉은 없고, 유동물의 교환시에 이너백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용기 본체 내 및 배출통 내의 세정은 필요없게 된다.In this way, the container container ha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blocked by the inner bag body, and the nozzle is present inside the discharge container, so that there is no contact between the contained fluid and the container container. By simply replacing, cleaning in the container body and in the discharge container is not necessary.
다음으로, 청구항 2 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컨테이너 용기용 이너백에 있어서, 끈형상 부재는, 선단부의 추와, 접속 수단으로서 주름통을 권회(卷回)하여 조임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갖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Next, the invention of
끈형상 부재는, 그 선단에 설치된 추에 의해, 중력에 의해 배출통의 안을 추에 의해 하강하고, 이것에 접속된 주름통을 배출통 내로 도입하게 된다.The cord-shaped member descends the in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by the weight by the weight provided at its tip, and introduces the corrugated container connected thereto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또, 접속 수단을, 주름통의 외주면에 감아 조이는 체결 부재로 함으로써, 이 체결 부재의 체결에 의해 끈형상 부재는 주름통에 고정되고, 주름통 하단의 칼라부의 존재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어 벗겨지는 일이 없고, 컨테이너 용기에 이너백을 장착한 후는, 체결 부재의 체결 해제에 의해 주름통으로부터 끈형상 부재를 떼어내 재사용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rugated container, the string member is fixed to the corrugated container by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After the inner bag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container without any work, the str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corrugated container by the release of the fastening member and can be reus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너백 본체의 저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장착된 노즐을, 하단부 외주에 칼라부가 설치된 신축 자유로운 주름통과, 이 주름통의 하단 부근의 외면에 그 일방 단부를 접합하여 주름통의 외면 상에 절첩되고, 늘렸을 때에는 주름통의 하단부를 덮는 가요 통형상체와, 분리 가능한 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주름통에 장착한 소요 길이를 갖는 끈형상 부재로 형성한다.The nozzle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bag main body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ne end portion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near the lower end of the corrugation tube by a stretchable corrugation tube provided with a collar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and f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ion tube. In addition, when extended, it is formed with the flexible cylindrical body which covers the lower end part of a corrugated container, and the cord-shaped member which has a required length attached to the said corrugated container via removable connection means.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끈형상 부재를, 선단부의 추와, 접속 수단으로서 주름통을 감아 조임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Moreover, the string member in the said embodiment can also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has the weight of the front-end | tip part, and the fastening member which winds up and tightens a corrugation container as a connection means.
[실시예 1]Example 1
도 1 과 같이, 컨테이너 용기 (1) 는, 복수의 지지 다리 (2) 로 자립하도록 한 금속제의 용기 본체 (3) 와, 이 용기 본체 (3) 의 저부에 설치한 배출통 (4) 으로 이루어지고, 배출통 (4) 은, 원통 파이프를 사용하고, 용기 본체 (3) 의 저부로부터 수직으로 늘어지고 도중에서 수평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컨테이너 용기 (1) 의 내부에 장전하는 이너백 (5) 은, 도 2 와 같이 용기 본체 (3) 의 내부에 수납되는 이너백 본체 (6) 와, 이 이너백 본체 (6) 의 저부에 접속된 노즐 (7) 로 형성되고, 이너백 본체 (6) 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밀성이 있는 수지를 사용하고, 상단에 개구부를 갖고, 저부가 폐쇄된 자루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노즐 (7) 은, 도 2 및 도 3 과 같이 상단의 외주에 이너백 본체 (6)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의 칼라부 (8) 를 갖는 짧은 장착통 (9) 과, 상단을 상기 장착통 (9) 의 하단에 접속하고, 하단부 외주에 칼라부 (10) 가 설치된 신축 자유로운 주름통 (11) 과, 가요성과 기밀 수밀성을 갖고, 상기 주름통 (11) 의 하단측에서, 이 주름통 (11) 의 외주를 둘러싸듯이 하여 그 일방 단부가 접착 고정되고, 타방 단부가 중간부에서 되돌아오도록 형성된 가요 통형상체 (12) 와, 상기 주름통 (11) 선단의 칼라부 (10) 부근에 장착한 소요 길이를 갖는 끈형상 부재 (13) 로 형성되어 있다.The said
상기한 장착통 (9) 과 주름통 (11), 가요 통형상체 (12) 는 폴리에틸렌 등의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사용하여, 각각 배출통 (4) 의 내부에 수용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장착통 (9) 과 주름통 (11) 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로 성형해도 되지만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The mounting
상기 주름통 (11) 은, 신축과 가곡성(可曲性)을 갖는 소정 길이의 주름부 (14) 의 양단에 스트레이트한 원통부 (15 와 16) 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갖고, 상단의 원통부 (15) 를 장착통 (9) 의 하단과 수밀하게 접속함과 동시에, 하단 의 원통부 (16) 의 외주에 설치된 원형의 칼라부 (10) 는, 상기한 컨테이너 용기의 배출통 (4) 의 외경과 일치하거나 그것보다 조금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The
상기 가요 통형상체 (12) 는, 주름통 (11) 의 원통부 (16) 와 대략 같은 직경이고, 그 장착은, 칼라부 (10) 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주름통 (11) 의 하단부로부터 외부에서 끼워 삽입한 후, 그 일방 단부를 칼라부 (10) 부근에서 원통부 (16) 를 둘러싸도록 열용착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그 후에 타방 단부가 이 접착 고정 부분에 도달하도록 중간부를 지나 되돌아오게 하면, 원통부 (16) 와 가요 통형상체 (12) 는 대략 동일 직경이므로, 가요 통형상체 (12) 는 원통부 (16)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된다.The flexible
끈형상 부재 (13) 는 체결 벨트 (17) 와, 이 체결 벨트 (17) 의 2 지점에서 양단부를 고정한 끈 (18) 과, 이 끈 (18) 에 장착된 추 (19) 로 이루어지고, 체결 벨트 (17) 를 주름통 (11) 의 칼라부 (10) 부근에 원통부 (16) 에 가요 통형상체 (12) 의 위로부터 감고, 다시 체결 벨트 (17) 에 설치된 공지 수단을 이용한 체결 금구 (20) 에 의해 체결 벨트 (17) 를 조인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주름통 (11) 과 끈형상 부재 (13) 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The string-shaped
끈형상 부재 (13) 에서의 추 (19) 의 끈 (18) 에 대한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원판형의 추 (19) 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끈 (18) 을 삽입 통과시키는 등의 수단이 있는데, 추 (19) 고정 방법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 fixing means for the
또, 끈형상 부재 (13) 의 주름통 (11) 으로의 고정 방법도 도시한 것에 한정 되지 않고, 체결 벨트 (17) 이외의 장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thod of the cord-shaped
본 발명의 이너백 (5) 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서, 이너백 본체 (6) 의 저부에 형성된 구멍의 주위를 이너백 본체 (6) 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 (21) 로 보강하고, 그 후 이 구멍에 장착통 (9) 을 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칼라부 (8) 를 이너백 본체 (6) 의 바닥에 접착이나 용착함으로써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하고, 이너백 본체 (6) 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이 장착통 (9) 의 하단에 주름통 (11) 의 상단 원통부 (15) 를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 접속한다.The
또, 주름통 (11) 의 하단 원통부 (16) 에 끈형상 부재 (13) 를 장착 고정하여 노즐 (7) 을 조립하고, 도 2 의 (A) 와 같이 저부에 노즐 (7) 을 장착한 이너백 (5) 을 완성한다.Further, the
다음으로, 이 이너백 (5) 을, 컨테이너 용기에 장착 및 교환하기 위한 분리 수순을 도 4 및 도 5 의 설명도 및 도 6, 도 7, 도 8 의 배출통 (4) 의 단부 부근의 종단면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paration procedure for attaching and replacing this
상기와 같은 이너백 (5) 을 컨테이너 용기 (1) 내에 장전할 때에는, 도 2 의 (A) 와 같이 이너백 본체 (6) 를 상하로 가늘고 긴 편평형상으로 절첩하고 (도 4 의 (1)(2)), 이 상태에서 노즐 (7) 을 아래로 하여 이너백 (5) 을 컨테이너 용기 (1) 내에 상면의 개구부분에서 삽입하고, 중력에 의해 늘어뜨린 추 (19) 를 선두로 하여 끈형상 부재 (13) 를 배출통 (4) 내에 진입시키고, 동시에 배출통 (4) 의 선단 개구부측으로부터 선단에 자석 (22) 을 설치한 봉 (23) 을 삽입한다 (도 4 의 (3)).When the
자석 (22) 이 철제의 추 (19) 를 자력에 의해 흡착한 후, 봉 (23) 을 끌어내면, 자석 (22) 에 흡착된 추 (19) 도 배출통 (4) 내를 선단 개구부측으로 진행하고, 노즐 (7) 이 배출통 (4) 에 끌려들어가며, 봉 (23) 을 배출통 (4) 으로부터 완전히 꺼내면 추 (19) 는 배출통 (4) 의 선단 개구로부터 외부로 나오게 되고, 계속해서 끈 (18) 을 당겨 빼면, 주름통 (11) 의 칼라부 (10) 가 배출통 (4) 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끌려나온다 (도 4 의 (4)).After the
상기 주름통 (11) 의 단부에 설치된 칼라부 (10) 는, 배출통 (4) 내를 눌려서 압축된 상태로 통과하고, 배출통 (4) 의 외부로 나오면 복원되며, 배출통 (4) 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배출통 (4) 에 대해 주름통 (11) 이 내측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The
또, 주름통 (11) 은, 신축과 가곡성을 갖고 있으므로, 구부러진 부분이 있는 배출통 (4) 의 형상에 대해 추종성이 있고, 형상이 다른 배출통 (4) 에 대해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이 있는 노즐 (7) 을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다음으로, 끈형상 부재 (13) 의 체결 금구 (20) 를 떼어내 체결 벨트 (17) 의 체결을 해제하고, (도 5 의 (5), 도 6), 체결 부재 (13) 를 주름통 (11) 으로부터 떼어내며, 그 위로부터 배출통 (4) 의 단부에 별도 준비된 개폐 밸브 (24) 를 나선결합 등의 수단으로 장착함으로써, 배출통 (4) 의 단부 개구를 폐쇄하고, 이 상태에서 이너백 본체 (6) 내에 유동물을 충전하여 수송이나 저장함과 동시에, 수납한 유동물은 개폐 밸브 (24) 를 조작함으로써 빼낼 수 있다 (도 5 의 (6), 도 7).Next, the
또한, 분리된 끈형상 부재 (13) 는, 다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의 끈형상 부재로서 그대로 재이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parated
또, 이너백 (5) 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개폐 밸브 (24) 를 떼어내고, 도 8 과 같이 원통부 (16) 의 단부에 절첩하여 덮어 둔 가요 통형상체 (12) 를 배출통 (4) 단부 외측으로 잡아당겨 연장시키고 (도 5 의 (7)), 이 부분을 끈 (25) 으로 묶거나, 혹은 점착 테이프로 폐쇄하고, 그 후 이너백 본체 (6) 를 용기 본체 (3) 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당겨 빼면 되고 (도 5 의 (8)), 동시에 노즐 (7) 도 배출통 (4) 내로부터 빠지게 되는데, 이 때, 가요 통형상체 (12) 의 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꺼낼 때에 주름통 (11) 의 주둥이로부터 배출통 (4) 내로 유동물이 떨어지는 액 누출이 없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도 8 중 부호 26 은 주름통 (11) 의 원통부 (16) 의 주위와 가요 통형상체 (12) 의 단부의 접착 고정부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FIG. 8, the code |
이와 같이, 컨테이너 용기 (1) 는, 용기 본체 (3) 의 내면이 이너백 본체 (6) 로 차단되고, 배출통 (4) 의 내부에 노즐 (7) 이 존재하므로, 수납된 유동물과 컨테이너 용기 (1) 의 접촉이 없고, 유동물의 변경시에 이너백 (5) 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용기 본체 (3) 내 및 배출통 (4) 내의 세정은 필요없게 된다.In this way, in the
[실시예 2][Example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너백에서의 끈형 부재의 다른 예를 도 9 에 근거하여 설명하는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 및 작용을 갖는 부품,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strap-like member in the inner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Parts and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nd ac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 실시예의 이너백 본체의 저부에 접속된 끈형상 부재 (27) 는, 주름통 (11) 의 원통부 (16) 의 외면에 양단부를 접속한 분리 (절단) 가능한 접속부재로서의 2개의 수지제 테이프 (28) 와, 이 2개의 테이프 (28) 의 교점에 일방 단부가 접속된 끈 (29) 과, 이 끈 (29) 의 타방 단부에 설치된 추 (19) 로 이루어진다.The cord-shaped
2개의 테이프 (28) 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절단이 가능한 재질과 두께를 갖고, 그 양단부를 주름통 (11) 의 원통부 (16) 의 가요 통형상체 (12) 가 장착된 위치보다 상측 (주름부 (14) 가까이) 의 표면에 열용착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속되고, 주름통 (11) 의 하측의 교차 부분에서 열용착 등 적절한 수단으로 일체화되어 있다.The two
테이프 (28) 의 교점에 있어서, 끈 (29) 의 일방 단부가 적절한 수단으로 부착되고, 끈 (29) 의 타방 단부에는 철 등의 강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추 (19) 가 부착되어 있다.At the intersection of the
이 실시예 2 의 경우, 이너백 (5) 의 컨테이너 용기 (1) 내로의 도입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배출통 (4) 내를 선행하여 주름통 (11) 을 안내한 끈형상 부재 (27) 를 테이프 (28) 를 절단함으로써 떼어내고, 그 후 개폐 밸브 (24) 를 장착한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2, the introduction method of the
[실시예 3]Example 3
본 발명의 이너백에 있어서의 끈형상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 10 에 근거하여 설명하는데, 실시예 1 이나 실시예 2 와 동일한 형상 및 작용을 갖는 부품,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달아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tring-shaped member in the inner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Parts and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nd action as those in Example 1 and Example 2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 실시예 3 의 끈형상 부재 (30) 를 사용할 때에는, 원통부 (34) 의 하단부보다 상측 가까이의 외주에 칼라부 (31) 가 설치되고, 또한 하측의 하단부 부근에 복수 지점 (도시 예에서는 4 지점) 의 구멍 (32) 이 형성된 신축 자유로운 주름통 (33) 을 사용한다.When using the string-shaped
끈형상 부재 (30) 는 주름통 (33) 의 하단부의 구멍 (32) 에 걸어맞출 수 있는 훅 (35) 을 일방 단부에 갖는 끈 (36) 과, 이 끈 (36) 의 타방 단부에 설치된 추 (19) 로 이루어진다.The string-
상기 주름통 (33) 이나 그 칼라부 (31) 의 작용, 및 가요 통형상체 (12) 나 추 (19) 의 구조와 작용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The action of the
끈 (36) 에 장착된 훅 (35) 은, 낚시바늘 형상을 하고 있고, 구멍 (32) 에 걸어맞추었을 때에는 용이하게는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고, 4 지점 중의 어느 하나의 구멍 (32) 에 걸어맞추고, 걸어맞춤 상태로 이너백을 용기 내에 장착한다. 또한 구멍 (32) 은 1 지점만 형성해도 된다.The
훅 (35) 과 추 (19) 와 일체화된 끈 (36) 은, 분리시에도 전혀 파손이나 절단되어 있지 않고, 이 훅 (35) 과 추 (19) 가 장착된 끈 (36) 은 그대로의 형태로 여러 번이나 재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
청구항 1 의 발명에 의하면, 배출통 내로의 노즐 삽입시는, 끈형상 부재를 배출통에 통과시키고 개구단으로부터 이 끈형상 부재를 당김으로써, 주름통을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통 내로 끌어들일 수 있고, 주름통은 그 신축과 가곡성으로 배출통 의 굽은 형상을 따름으로써, 배출통 내로의 노즐의 삽입 작업을 간단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또 주름통은 신축과 가곡성이 있으므로, 배출통의 각종 길이나 굽은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각종 컨테이너 용기에 대해 범용성이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또한, 배출통 내로의 노즐 삽입 후에, 분리 가능한 접속 수단을 사용하여 끈형상 부재를 분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보다 향상된다.In addition, after inserting the nozzle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the string member can be separated using detachable connecting mean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또, 이너백의 교환시에는, 주름통의 외면 상에 절첩되었던 가요 통형상체를 늘리고, 그 선단을 묶음으로써 노즐의 선단을 폐쇄할 수 있어, 노즐로부터 배출통 내로 유동물이 넘치는 일이 없다.Moreover,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inner bag, the tip of the nozzle can be closed by extending the flexible cylindrical body f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ed container and tying the tip so that the fluid does not overflow from the nozzle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다음으로, 청구항 2 의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 용기로의 이너백 장착시에, 추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노즐은 추를 아래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되어, 용기 본체의 하부의 배출통으로의 입구와 위치만 맞추면, 용이하게 배출통 내에 노즐을 도입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또, 추에 철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금속이나 그 합금을 사용하면, 배출통의 최하부에 도달한 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출통의 배출구로부터 선단에 자석이 장착된 봉을 삽입하고, 추를 자석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배출구로부터 끌어내면, 간단하게 노즐을 배출통 내에 장착할 수 있다.If a metal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or an alloy thereof is used as the weight, a rod with a magnet attached to the tip is insert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contain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eight reaching the bottom of the discharge container. If the weight is pulled out of the outlet while the magnet is adsorbed, the nozzle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outlet.
또한, 체결 부재의 체결 해제에 의해 끈형상 부재를 주름통에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어, 끈형상 부재의 재이용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the string memb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orrugated container, and the string member can be reused.
Claims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061860 | 2004-03-05 | ||
JPJP-P-2004-00061860 | 2004-03-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3223A KR20060043223A (en) | 2006-05-15 |
KR101031196B1 true KR101031196B1 (en) | 2011-04-26 |
Family
ID=3503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6403A KR101031196B1 (en) | 2004-03-05 | 2005-02-28 | Inner bag for container contai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1196B1 (en) |
CN (1) | CN100577534C (en) |
TW (1) | TWI347294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2585A (en) * | 2012-03-29 | 2012-07-25 | 上海鸿润科技有限公司 | Telescopic filling port device and inside bag with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625896D0 (en) * | 2006-12-23 | 2007-02-07 | Colormatrix Holdings Inc | Apparatus for delivering a fluid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39384A (en) * | 1988-11-12 | 1990-05-29 | Reitetsuku Kk | Protective bag in liquid storage tank |
JPH10287389A (en) | 1997-04-10 | 1998-10-27 | Maeda Seisakusho:Kk | System for recovering inner bag in container, and container and inner bag for the system |
JP2000043982A (en) * | 1998-05-29 | 2000-02-15 | Raisen:Kk | Method for attaching container inner bag |
JP2001080695A (en) | 1999-09-09 | 2001-03-27 | Nippon Riku-Un Sangyo Co Ltd | Inner package for container and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for feeding and discharging contents of inner package |
-
2005
- 2005-02-18 TW TW094104803A patent/TWI347294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2-28 KR KR1020050016403A patent/KR10103119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3-03 CN CN200510051269A patent/CN10057753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39384A (en) * | 1988-11-12 | 1990-05-29 | Reitetsuku Kk | Protective bag in liquid storage tank |
JPH10287389A (en) | 1997-04-10 | 1998-10-27 | Maeda Seisakusho:Kk | System for recovering inner bag in container, and container and inner bag for the system |
JP2000043982A (en) * | 1998-05-29 | 2000-02-15 | Raisen:Kk | Method for attaching container inner bag |
JP2001080695A (en) | 1999-09-09 | 2001-03-27 | Nippon Riku-Un Sangyo Co Ltd | Inner package for container and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for feeding and discharging contents of inner packa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2585A (en) * | 2012-03-29 | 2012-07-25 | 上海鸿润科技有限公司 | Telescopic filling port device and inside bag with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77534C (en) | 2010-01-06 |
TWI347294B (en) | 2011-08-21 |
CN1663889A (en) | 2005-09-07 |
KR20060043223A (en) | 2006-05-15 |
TW200530100A (en) | 2005-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28507A (en) | Collapsible container with accordion pleated sidewalls, air vent and swivel valve outlet | |
JP4638360B2 (en) | Foldable container | |
US20160213824A1 (en) | Receptacle for breast milk extraction | |
JP2001510125A (en) | Containers for transporting materials | |
US10342322B2 (en) | Multipurpose bag and method of use thereof | |
JP5323778B2 (en) | Hollow pipe reinforcement sheet affixing method | |
KR101205739B1 (en) | Container cartridge for beverage dispenser and support structure thereof | |
KR101031196B1 (en) | Inner bag for container container | |
US6505657B1 (en) | Container liners and methods of lining containers | |
JP4589143B2 (en) | Inner bag for container | |
WO2003033376A1 (en) | A transport container with a line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ontainer | |
US20170240319A1 (en) | Reservoir system and method of use | |
JP5442240B2 (en) | Auxiliary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liquid or mucus | |
KR20020071433A (en) | A self-supporting grain bag | |
KR20010052245A (en) | Flexible Container | |
JP4904079B2 (en) | Inner bag for container and its usage | |
EP0068744B1 (en) | Tap for drainage bag | |
KR20200075842A (en) | Flexible container | |
US20050022800A1 (en) | Paintball refiller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 |
JP3875717B1 (en) | Removable cap for discharging contents in the bag | |
JPH02139384A (en) | Protective bag in liquid storage tank | |
US7011083B2 (en) | Paintball refiller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 |
KR101900312B1 (en) | Sack for transporting | |
JP2005193979A (en) | Flexible container | |
KR200479282Y1 (en) | Pou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