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9007B1 -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007B1
KR101029007B1 KR1020100043901A KR20100043901A KR101029007B1 KR 101029007 B1 KR101029007 B1 KR 101029007B1 KR 1020100043901 A KR1020100043901 A KR 1020100043901A KR 20100043901 A KR20100043901 A KR 20100043901A KR 101029007 B1 KR101029007 B1 KR 10102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ersimmon
dehumidification
minutes
wind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일
Original Assignee
전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일 filed Critical 전종일
Priority to KR102010004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0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곶감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히는 한방훈증과 고온 제습 숙성 및 냉풍 항균 제습 건조방법과 저온숙성 방법으로 위생적이며 건조도 및 당도가 일정한 곶감을 무인자동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A producing method and a producing device for semi-dry persimmons}
본 발명은 곶감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히는 한방훈증, 고온 제습 숙성, 냉풍 항균제습 및 저온숙성 방법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위생적이며 건조도 및 당도가 일정한 곶감을 무인자동 제어시스템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기상변화에 의한 감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곶감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은 중국의 중북부, 한국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감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감은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로 다른 과일에 비해서 수분은 적지만 당분은 주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약 14% 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감에는 유기산 함량은 적지만 펙틴, 카로티노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또한 떫은 맛을 내며 고혈압예방, 혈중 알코올의 상승률을 낮추는 탄닌, 비타민 C, 비타민 A, 무기염류로는 칼륨과 마그네슘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 A가 400단위(IU)/100g 정도로 매우 많으며 비타민 C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감에 들어 있는 비타민 C는 비타민 C 전구체 형태로서, 일반 비타민 C와 달리 열이나 물, 공기 등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감의 탄닌 성분은 위궤양이나 설사 등의 소화기 질환에 좋은데, 이는 탄닌산의 강한 수렴작용으로 인한 것이다. 탄닌산의 수렴작용은 화상의 회복에도 효과적이다. 감의 탄닌은 예로부터 중풍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중풍은 일반적으로 고혈압이 주원인으로, 뇌출혈 후에 오는 마비상태를 말하는데, 감 탄닌은 고혈압 예방효과가 있어 중풍약으로 이용된다. 또한 탄닌은 동상이나 손발 트는 것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균 감염을 방지하여 염증이나 피부 진물의 치유를 촉진한다. 뿐만 아니라, 탄닌은 뱀에 물렸을 때 상처에 도포하면 강한 항독작용을 나타낸다. 탄닌의 가장 중요한 효능은 니코틴과 결합하여 이를 체외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탄닌은 또한, 다른 유해성 금속류와도 잘 결합하여 해독작용을 하며, 병원균에 침투하여 단백질과 결합, 응고하여 균을 죽게 한다.
동의보감에서는 목이 아프거나 갈증이 있을 때 홍시를 먹도록 하고 위가 약해서 소화가 잘 안되는 증세에는 곶감을 먹도록 하였다. 감이나 감잎은 건강에 매우 유익한 성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과일로나 감잎차, 죽으로 해서 자주 복용하면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자나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 치료에 유용하다.
그러나 감은 위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내지만 현재까지 감을 장기 저장하는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예부터 감은 그대로 먹거나 반건시(곶감), 홍시, 감지, 감 장아찌, 감식초, 감떡, 감쨈, 감고추장, 강정, 감잎차 등 다양한 식품으로 가공하여 섭취하고 있다.
종래의 건시나 반건시는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건조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우며, 기상 상태에 따라 품질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782011호는 감선별, 세척, 박피 단계; 건조실에 넣는 단계; 25~35℃ 사이의 일정 온도로 설정하고 0.2~0.4기압의 저압 상태로 유지하고 선반을 모터로 회전하면서 48~72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 45~65%의 젤리 형태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건조기에서 꺼내어 0~8℃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반건시, 건시 및 세절건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반건시 제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현저히 단축되지만 자연 상태 건조에 비하여 저압 상태로 건조하기 때문에 건조 후 상압 상태로 돌아오면 외피가 꺼져 감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함수율이 통상 60% 내외로 수분이 많아 유통 과정에서 색상 및 맛이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 제584878호는 떫은 감을 박피한 후 에탄올 분무 또는 이산화황 가스로 훈증하여 살균 처리한 후, 5~10℃, 20~200mmHg에서 감압 냉풍건조 후 0~5℃에서 저온 숙성하여 제습하는 과정, 5~10℃, 20~200mmHg에서 감압 냉풍건조 후 상온 숙성하여 제습하는 과정 및 5~10℃, 20~200mmHg에서 감압 냉풍건조 후 15~20℃에서 저온 숙성하여 제습하는 과정으로 곶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감압을 이용한 상기 방법은 건조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은 있으나, 압력을 낮추어 건조하는 것이므로 감압 건조 후 상압 상태로 돌아오면 외피가 꺼져 감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유황으로 훈증하기 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제862007호 및 제893696호는 각각 반건시 제조방법 및 세절반건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탈삽, 5~23℃로 제1건조, 건조 및 숙성, 5~23℃로 제2건조, 감 꼭지 주위를 흔들어 자극, 5~23℃로 최종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5~23℃ 건조를 제1건조, 제2건조 및 최종건조로 나누어 실시하고, 매 건조마다 대략 20~26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곶감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고, 5℃ 이하에서 건조 또는 숙성시키지 않기 때문에 떫은 맛을 충분히 제거하여 단맛을 내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감의 빛깔과 형태를 잘 유지시켜주며, 내부 수분의 분포도가 균일하고 당도가 우수한 곶감(반건시 및 감말랭이)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 살균시 인체에 무해한 한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고, 항균성이 향상된 곶감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곶감 제조시 스코리아를 함유한 항균필터를 설치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장기 보존이 가능한 곶감을 제조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무인 자동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생산 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곶감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곶감 제조시 종래에 사용되던 유황 훈증 방법을 대신하여 자체 개발한 한방재료를 연소시켜 훈증을 실시하였고, 훈증 이후 고온 제습 숙성하였고, 건조실 내부에 스코리아 항균필터를 설치하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나 곰팡이균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를 번갈아 유지하면서 여러 단계의 냉풍 항균제습 건조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 단계에서 저온 숙성하여 위생적이며 당도가 높고 맛과 색상이 우수한 곶감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무인 자동 제어장치를 통해 냉풍 항균 제습 건조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고온조건과 저온조건을 자동으로 번갈아 행하며 냉풍 항균제습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색상과 맛이 우수한 곶감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적숙 감을 탈삽하는 단계;
탈삽된 감을 박피하는 단계;
상기 박피된 감에 한방재료 분말을 연소시켜 훈증하는 단계;
상기 훈증된 감을 온도 27~34℃, 습도 25~40%로 20~24시간 고온 제습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을 스코리아 항균필터가 구비된 건조실에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며 고온조건 온도 17~25℃로 시간 100~220분, 풍속 18~23m/s, 저온조건 온도 0℃~15℃로 시간 50~100분, 풍속 13~17m/s를 번갈아 제공하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를 최소 1세트 이상 최대 6세트까지 무인 자동제어장치를 통해 반복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된 감을 -5~0℃에서 24~36시간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곶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에서 "세트"라 함은 "17~25℃"의 고온조건과 "0~15℃"의 저온조건 각 한 번씩을 묶은 것을 의미한다.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에서 저온조건 온도의 범위가 0℃ 미만인 경우에는 감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어렵고, 고온조건 온도가 25℃를 넘는 경우 감 표면의 수분이 과다하게 증발한다. 또한, 고온조건에서는 곰팡이균의 서식이나 번식이 용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실에 스코리아 항균필터를 설치하여 곰팡이균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였다. 냉풍 항균제습 건조는 높은 온도(17~25℃)와 낮은 온도(0~15℃)를 번갈아 실시하는데, 이것은 감을 수확해서 자연 건조하는 시기(10월말~12월)의 자연기후 조건(주: 낮밤의 일교차가 심해야 감 과육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탄닌 성분이 충분히 제거되며 당도가 높아진다)과 유사한 조건을 만들어 주어 맛과 색상을 최적화하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를 고온과 저온으로 각각 100~220분, 풍속 18~23m/s, 50~100분, 풍속 13~17m/s로 번갈아가며 처리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저온 처리하는 경우 건조가 매우 더디며, 지속적으로 고온 처리하는 경우 표피의 수분이 과다 증발하여 색상과 질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를
1세트: 17~19℃로 180~20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5m/s,
2세트: 20~22℃로 160~190분 풍속20m/s, 8~10℃로 50~70분 풍속 17m/s,
3세트: 19~22℃로 100~130분 풍속20m/s, 9~12℃로 80~100분 풍속 15m/s,
4세트: 21~23℃로 130~16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7m/s,
5세트: 23~25℃로 180~220분 풍속20m/s, 0~2℃로 50~70분 풍속 15m/를 무인 자동제어 방식으로 순차적이며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의 온도 및 시간 풍속조건은 상기 범위 내에서 곶감의 색상과 맛, 표면 상태가 최적의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
특히 상기 5세트 단계에서 저온 조건을 0~2℃로 조절한 것은 자연 건조시 낮밤의 일교차가 심해야 감 과육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탄닌 성분이 충분히 제거되며 당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응용하여 기존의 저온건조 방법보다 온도를 낮춤으로써 탄닌이 충분히 제거되고 당도가 높아진 곶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된 감은 -5~0℃에서 24~36시간 저온 숙성시켜 잔존하는 떫은 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당도를 높이면서 감 특유의 색상을 유지해 주는 저온숙성단계를 거쳐 곶감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감 탈삽, 박피 단계 이후 한방재료 분말을 연소시켜 훈증처리 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곶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방 훈증 처리는 살균과 동시에 미생물의 부착이나 성장을 억제한다. 한방 훈증 처리와 병행하여 건조장치(건조실)나 숙성장치(숙성실)에 자외선 살균장치를 부착하여 건조 또는 건조 및 숙성단계에서 동시에 곶감을 살균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한방 훈증 단계는 감을 훈증시키는 훈증실(100); 상기 훈증실 내부에 한방재료 분말(103)을 연소시키는 한방훈증기(101); 상기 훈증기에 의하여 발생한 연기를 배기시켜주는 배기휀(102);을 포함하는 한방훈증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훈증기(101)는 그 위에 한방재료 분말(103)을 놓고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며,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한방 훈증은 도 2와 같이 별도의 한방훈증실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도 3의 숙성실(200)에 한방훈증기(101)를 놓고 한방재료 분말(103)을 연소시켜 훈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 숙성실 상단 일측에 배기휀을 부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감의 고온 제습 숙성 단계는 감을 숙성시키는 숙성실(200); 상기 숙성실 상부에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201);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순환된 공기를 건조하는 제습기(202); 상기 제습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판(203) 및 드레인파이프(204); 상기 제습기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가열히터(205) 및 습도센서(207); 상기 제습기 및 가열히터에 의하여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건조 공기를 상기 숙성실로 이송하는 덕트(206);를 포함하는 고온 제습 숙성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는 상기 고온 제습 숙성한 감을 건조시키는 건조실(300); 상기 건조실에서 발생한 습기를 건조시켜 건조 공기를 형성시키는 제습코일(301); 상기 제습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건조 공기를 송풍팬(302)으로 이송하는 덕트(303); 상기 덕트에 의하여 이송된 건조 공기를 건조실 내부의 습한 공기와 혼합되게 유입하는 그릴(304); 상기 그릴을 상하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받쳐주는 가이드레일(305);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걸러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및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스코리아 항균필터(306); 상기 제습코일을 통과하면서 응축, 형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판(307); 및 드레인파이프(30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32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풍 제습 건조장치에는 가열히터(311)및 제열코일(312);이 부가되어 고온조건 냉풍 제습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303)에는 차압 엑셀휀(313)이 부가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풍속을 고온조건과 저온조건에서 15~20m/s정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을 세게 하여 바람을 더 빠르게 불어 넣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는 고온조건과 저온조건을 번갈아가며 설정해 놓은 온도 및 처리 시간과 풍속을 자동 조절하는 무인자동제어장치(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곶감은 위생적이며 내부 수분의 분포가 균일하고 당도가 높아진다. 또한, 유통 과정에서 색상과 모양이 오래 유지되고, 맛이 더욱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곶감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거나 번식하는 것을 억제해 주는 한방훈증 단계가 있고, 건조 단계에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하는 스코리아 항균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곶감 제조시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 및 저온 숙성 단계의 온도를 매우 낮게 0℃ 내외로 조절함으로써 떫은 맛을 현저히 저감하여 단맛을 높이고, 색상을 선명하고 붉게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삽과 훈증 단계를 거친 후 곧바로 고온 숙성과 동시에 제습을 시행함으로써 이후의 건조 시간을 현저히 단축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자동제어장치로 건조 기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자연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기상 변화에 의한 감의 손실이 현저히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곶감(반건시 및 감말랭이)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방 훈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온 제습 숙성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의 무인자동제어장치 흐름도, 전원 온, 오프시 화면 흐름도, 메뉴/경보 내용 등을 도시한 것이다.(도면 중 "콤프"는 컴프레서를 의미하며, 주파수 출력은 차압 엑셀휀의 작동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히터"는 제습기, 제습코일, 가열코일 및 가열히터 중 1종 이상을 포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에 의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곶감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한방 훈증 장치, 고온 제습 숙성장치,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 및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의 무인 자동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방훈증장치는 훈증실 내부에 한방재료분말(103)을 연소시키는 한방훈증기(101); 한방훈증기에 의하여 발생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배기팬(102)및 훈증실(100);을 포함하여 이루진다.
본 발명의 한방훈증에 쓰이는 재료들로는 백출/창출, 산초, 약쑥, 감초 및 당귀이다. 백출/창출은 국화과의 다년생초의 삽주이며, 습을 날리는 대표약재로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풍의 기운을 없애며 소화 기능 강화, 간 기능 보호, 이뇨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산초는 운향과의 초피나무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설사와 치통, 천식에 쓰이며 살충작용도 한다. 약쑥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쑥의 별칭으로 지혈 작용과 세균 발육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고, 위궤양등 위장병에 좋으며 특히 쑥을 태운 쑥 연기는 살균작용이 탁월하다.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 해살이 풀로서 해도작용을 하며 모든 약재의 효과를 조화롭게 해준다. 당귀는 산형과의 여러 해살이 풀로서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혈을 생성하고 진정, 진통 및 억균작용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고온 제습 숙성장치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송풍기(201); 상기 유입된 공기를 건조하는 제습기(202); 상기 제습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판(203) 및 드레인 파이프(204); 상기 제습기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가열히터(205);및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7); 상기 습도센서(207)에 의하여 감지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제습기(202)의 온 오프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습기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온제습 히터기(210); 상기 고온제습 히터기로부터 고온 제습된 공기를 숙성실(200)로 이송시키는 덕트(206); 및 숙성실(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존의 감 숙성장치는 발열장치와 송풍장치만으로 숙성하므로 숙성실 내부의 습도가 높아져 감이 물러지고 색깔이 깨끗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고온 제습 숙성실은 온도 27~34℃, 습도 25~40%를 유지하면서 제습장치를 통해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숙성을 진행하므로 감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감의 색상도 매우 투명하게 숙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온 제습 숙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20~24시간이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탈삽과 훈증 단계를 거친 후 곧바로 고온 제습 숙성을 시행하여 고온과 저온을 번갈아 반복하는 건조 단계 소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특허 제862007호 및 제893696호는 각각 반건시 제조방법 및 세절반건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탈삽, 5~23℃로 제1건조, 건조 및 숙성, 5~23℃로 제2건조, 감 꼭지 주위를 흔들어 자극, 5~23℃로 최종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지만, 제1건조, 제2건조 및 최종 건조가 각각 20~26시간 소요되므로 전체 곶감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진다. 반면, 본 발명은 고온 숙성시 제습을 시행함으로써 이후의 건조 시간을 현저히 단축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는 상기 고온 제습 숙성한 감을 건조시키는 건조실(300); 건조 공기를 형성시키는 제습코일(301); 상기 건조 공기를 송풍팬(302) 및 차압 엑셀휀(313)으로 이송하는 덕트(303); 상기 이송된 건조 공기를 건조실 내부의 습한 공기와 혼합되게 유입하는 그릴(304); 상기 그릴을 상하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받쳐주는 가이드레일(305); 상기 그릴을 통한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걸러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및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스코리아 항균필터(306); 제습코일(301)을 통과하면서 응축된 물을 받는 드레인판(307); 및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파이프(308); 가열히터(311)및 제열코일(312);이 부가되어 고온 조건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는 고온과 저온을 번갈아가며 설정해 놓은 온도, 처리 시간 및 풍속을 자동 조절하는 무인자동제어장치(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풍건조기 내에 제열코일을 설치하여 고온조건 건조시 고압의 뜨거운 냉매가스를 내부로 유입하여 발열함으로써 전기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스코리아 항균필터(306)는 이중망으로 구성되어 망 내부에 스코리아 결정체가 내장되어 있으며 냉풍건조기(310) 양측 상부 덕트 입구에 2조가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에서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화산분출물 중에 하나인 스코리아는 수만 년에서 수백만 년에 걸쳐 110여 회에 걸친 화산활동시 주위환경에 의하여 점토가 고열의 불에 타 소성된 돌숯으로서 약알칼리성의 일종의 천연세라믹이다. 스코리아는 다공질(多孔質)로서 적갈색과 흑갈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약간 물에 적셔 냄새를 맡아보면 진한 황토냄새가 난다. 스코리아는 천연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사 92~93%, 탈취율 97%, 항균, 항곰팡이 작용과 대장균을 퇴치하는 성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서, 최근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옥,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최고의 기능을 갖춘 천연소재이다. 스코리아는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며, 인체에 맞는 약알칼리성의 성분이다(pH 7.2~7.8). 또한, 항균, 정화, 해독의 효능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스코리아는 인체에 해로운 납 성분 흡착율이 81%로 중금속 흡착력이 뛰어나다. 또한, 스코리아는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온열, 자정, 숙성, 건습, 중화, 공명작용에 의하여 인체의 피로를 풀어주며 혈액 순환 등 생체리듬을 원활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 스코리아 항균필터는 냉풍 항균제습건조 단계에서 곶감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과 납 등의 중금속 성분 등을 흡착하며, 탈취 기능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곶감 건조 단계에서 곰팡이가 피거나 부패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곶감 제조장치 및 방법을 작업 순서에 따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적숙한 감을 선별하고 선별한 감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거나 또는 세척과정 없이 감을 탈삽실에 넣어 에틸렌 가스를 가하여 감 상자를 쌓아 밀봉처리하여 20~22℃ 온도를 유지하고, 18~24시간 동안 탈삽시킨다.
상기 탈삽된 감을 박피하여 건조용 잔반에 담고 이동용 대차로 한방 훈증실로 이동시킨다.
박피된 감을 한방 훈증실(100)에 넣고 한방훈증기(101)에서 한방재료분말(103)을 연소시켜 5분~1시간, 바람직하게는 10~20분 정도 한방훈증을 실시한 다음 배기팬(102)으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한방훈증 처리한 감을 고온제습 숙성장치의 숙성실(200)에 넣고 송풍기(201)를 가동시켜 공기를 숙성실 내로 유입한다. 유입된 공기는 제습기(202)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제습기에 의하여 응축된 물은 드레인판(203) 및 드레인파이프(20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건조된 공기는 가열히터(205)를 거치면서 온도가 조절된다. 가열히터 전면에는 가열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7)가 있고, 이 습도센서(207)는 제습기와 연결되어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제습기의 작동을 강하게 제어하고, 습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제습기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등 제습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고온 제습숙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의 고온 제습 히터기(210)는 제습기(202), 송풍기(201), 가열히터(205), 습도센서(207), 드레인판(203), 드레인파이프(204) 및 상기 습도센서(207)에 의하여 감지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제습기(202)의 온 오프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습기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은 고온제습 숙성장치에서 온도 27~34℃,습도 25~40%로 20~24시간 동안 고온 제습 숙성시킨다.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320)는 고온 제습 숙성장치에서 숙성된 감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먼저 고온 제습 숙성된 감을 건조실(300)에 넣는다. 제습코일(301)에 의해 건조 공기를 형성시킨다. 고온조건 냉풍 제습의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에 가열히터(311)및 제열코일(312)을 작동시키고, 저온조건 냉풍 제습의 경우에는 제열코일(312)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형성된 건조 공기는 덕트(303)를 통해 송풍팬(302)으로 1단계 이송되고, 덕트(303) 내 상측에 구비된 차압 엑셀휀(313)으로 2단계 이송된다. 차압 엑셀휀(313)은 건조실 내에 풍속을 저온조건과 고온조건에 따라 15~20m/s로 세게 하여 공기흐름을 빠르게 한다. 차압 엑셀휀(313)은 필요한 경우에 두 개 이상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송된 건조 공기는 그릴(304)을 통해 건조실(300)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대차에 적재된 고온 제습 숙성된 감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혼합된다. 이때 습한 공기와 혼합된 건조 공기는 습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이때 건조실의 공기가 다시 덕트로 유입될 때 냉풍건조기(310) 양옆으로 설치된 스코리아 항균필터(306)를 거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건조실의 공기는 제습코일(301)을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물이 드레인판(307)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응축된 물은 드레인파이프(30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가열히터(311) 및/또는 제습코일(301)을 통하여 건조 공기가 생성되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는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해 온도 0~25℃, 시간 60~220분, 풍속 13~23m/s 범위 내에서 고온과 저온을 번갈아가며 건조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1세트:17~19℃로 180~20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5m/s,
2세트:20~22℃로 160~190분 풍속20m/s, 8~10℃로 50~70분 풍속 17m/s,
3세트:19~22℃로 100~130분 풍속20m/s, 9~12℃로 80~100분 풍속 15m/s,
4세트:21~23℃로 130~16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7m/s,
5세트:23~25℃로 180~220분 풍속20m/s, 0~2℃로 50~70분 풍속 15m/s를 순차적이며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의 무인자동제어장치(314) 흐름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인자동제어장치는 종래에 열풍건조 또는 단순냉풍으로만 건조하는 방식을 탈피하고 곶감 생산지의 자연기후를 고려할 때 일교차가 심한 지역에서 좋은 곶감이 생산되는 것에 착안하여 건조실 내부를 고온과 저온을 번갈아 실행하여 감의 건조와 수축하는 과정을 자연기후와 유사하게 설계하였으며, 풍속의 조절도 각 세트별 온도설정에 따라 13~23m/s으로 각각 설정하여 자연기후에 맞게 최적화시켜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다. 이 무인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면 적은 인력으로 품질이 우수한 곶감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고온 제습 숙성된 감을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에 넣어 무인자동제어건조시스템에 의해 균일한 건조를 이루면서, 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하고 선명한 색상과 부드러운 외피를 유지하기 위하여 약 18시간 동안 5단계로 온도를 설정한다.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는 고온조건 17~25℃로 100~220분 풍속 18~23m/s, 저온조건 0~15℃로 50~100분 풍속 13~17m/s의 고온조건과 저온조건을 번갈아 제공하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를 최소 1세트 이상 최대 6세트까지 반복한다. 상기 "세트"라 함은 "17~25℃"의 고온조건과 "0~15℃"의 저온조건 각 한 번씩을 묶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와 풍속의 세기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실 내부의 공기가 스코리아 항균필터를 거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곰팡이나 세균이 제거되어 깨끗한 곶감을 제조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저온 항균제습 건조 단계의 일실시예이다. 그러나, 아래 표에 기재된 온도 및 시간, 풍속, 횟수는 표 1의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고, 감의 크기, 실온 등의 여건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온도(℃) 시간(분) 풍속(m/s)
1세트 18~19 200 20
5~8 60 15
온도(℃) 시간(분) 풍속(m/s)
2세트 21~22 180 20
8~10 60 17
온도(℃) 시간(분) 풍속(m/s)
3세트 20~21 120 20
10~11 90 15
온도(℃) 시간(분) 풍속(m/s)
4세트 22~23 150 20
5~8 60 17
온도(℃) 시간(분) 풍속(m/s)
5세트 23~25 200 20
0~2 60 15
이때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기의 무인자동제어장치에 의해 온도0~25℃ 풍속 15~20m/s 범위 내에서 고온과 저온을 번갈아가며 처리 시간은 50~220분으로 자동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가 완료된 곶감은 종래에는 0~5℃에서 저온숙성을 하였으나 본 발명자는 -5~0℃에서 24~36시간 저온 숙성시켜 감 내부의 미미한 떫은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당도를 높이면서 감 특유의 색상을 더욱 붉게 내어주는 저온 숙성 단계를 실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방훈증의 곰팡이 제거효과 및 색상 변화를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예 1) 훈증하지 않은 것, 유황훈증 및 한방훈증 비교
감을 박피 후 훈증을 실시하지 않은 것;과 유황훈증; 한방훈증;을 실시한 다음 동일 조건으로 본 발명의 고온제습 숙성 및 냉풍 항균제습 건조와 저온숙성을 행한 다음, 이것을 각각 따로 채반에 담아 비교 시험하고 곰팡이 생성(표 2)과 감의 색깔(표 3)을 비교하였다.
1일 경과 3일 경과 5일 경과 7일 경과
무훈증 곰팡이생성
유황훈증
한방훈증
1일 경과 3일 경과 5일 경과 7일 경과
무훈증 변색 변색
유황훈증
한방훈증
(실험예 2) 한방훈증의 곰팡이 제거효과
건조과정에 있는 곶감 중 감꼭지 부분에 통기가 잘 되지 않아 곰팡이가 생긴 것을 따로 선별하여 훈증실에서 10분간 한방훈증을 실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곰팡이가 제거되는지를 실험하였다(표 4).
2시간경과 5시간경과 7시간경과 10시간경과
곰팡이 20%제거 50%제거 완전제거
(실험예 3)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곶감과 종래 곶감의 당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곶감과 특허 제862007호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곶감(반건시)에 대하여 각각 10개의 시료에 대하여 당도계로 당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곶감은 평균 35브릭스, 종래기술에 의한 곶감은 평균 32브릭스의 당도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곶감의 당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적숙 감을 탈삽하는 단계;
    탈삽된 감을 박피하는 단계;
    백출/창출, 산초, 약쑥, 감초 및 당귀를 연소시켜 상기 박피된 감을 한방 훈증하는 단계;
    상기 한방 훈증한 감을 온도 27~34℃, 습도 25~40%로 고온 제습 숙성하는 단계;
    상기 고온 제습 숙성된 감을 미생물의 서식 또는 번식을 억제하고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스코리아 항균필터가 설치된 건조실에서 고온조건 17~25℃로 100~220분 풍속 18~23m/s, 저온조건 0~15℃로 50~100분 풍속 13~17m/s을 번갈아 제공하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를 최소 1세트 이상 최대 6세트까지 반복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된 감을 -5~0℃에서 24~36시간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곶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는
    1세트:17~19℃로 180~20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5m/s,
    2세트:20~22℃로 160~190분 풍속20m/s, 8~10℃로 50~70분 풍속 17m/s,
    3세트:19~22℃로 100~130분 풍속20m/s, 9~12℃로 80~100분 풍속 15m/s,
    4세트:21~23℃로 130~160분 풍속20m/s, 5~8℃로 50~70분 풍속 17m/s,
    5세트:23~25℃로 180~220분 풍속20m/s, 0~2℃로 50~70분 풍속 15m/s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 제습 숙성 단계는
    감을 숙성시키는 숙성실(200);
    상기 숙성실에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송풍기(201);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순환된 공기를 건조하는 제습기(202);
    상기 제습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판(203) 및 드레인파이프(204);
    상기 제습기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가열히터(205);
    덕트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7);
    상기 습도센서(207)에 의하여 감지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제습기(202)의 온 오프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습기 조절장치;
    상기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건조 공기를 상기 숙성실로 이송하는 덕트(206);를 포함하는 고온 제습 숙성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단계는
    상기 고온 제습 숙성한 감을 건조시키는 건조실(300);
    상기 건조실에서 발생한 습기를 건조시켜 건조 공기를 형성시키는 제습코일(301);
    상기 제습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건조 공기를 송풍팬(302)으로 이송하는 덕트(303);
    상기 덕트에 의하여 이송된 건조 공기를 건조실 내부의 습한 공기와 혼합되게 건조실로 유입하는 그릴(304);
    상기 그릴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받쳐주는 가이드레일(305);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걸러서 미생물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하는 스코리아 항균필터(306);
    상기 제습코일을 통과하면서 응축, 형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판(307) 및 드레인파이프(308); 및
    고온조건과 저온조건을 번갈아가며 설정해 놓은 온도 및 처리 시간과 풍속을 자동 조절하는 무인자동제어장치(3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풍 항균제습 건조장치(32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풍 항균제습 건조 장치에는 가열히터(311) 및 제열코일(312)이 부가되어 고온조건 냉풍 항균제습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차압 엑셀휀(313)이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제조방법.
KR1020100043901A 2010-05-11 2010-05-11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ctive KR10102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901A KR101029007B1 (ko) 2010-05-11 2010-05-11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901A KR101029007B1 (ko) 2010-05-11 2010-05-11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007B1 true KR101029007B1 (ko) 2011-04-14

Family

ID=4405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901A Active KR101029007B1 (ko) 2010-05-11 2010-05-11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0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389B1 (ko) 2011-08-19 2011-12-16 유한회사 유일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504751B1 (ko) * 2012-10-22 2015-03-23 한국식품연구원 천일염의 건조장치
KR101763563B1 (ko) 2015-12-07 2017-08-01 백성기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101833273B1 (ko) 2017-01-25 2018-03-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곶감 제조용 천연 항균 소재 및 곶감의 친환경적 제조방법
CN109342006A (zh) * 2018-12-10 2019-02-15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干热风发生模拟装置
KR20190058846A (ko) 2017-11-22 2019-05-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KR20210111650A (ko) * 2020-03-03 2021-09-13 이기선 냉각장치
KR20210119719A (ko) 2020-03-25 2021-10-06 조옥자 곶감의 제조방법
KR102471509B1 (ko) 2021-11-29 2022-11-25 최안나 친환경 곶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752A (ja) 2004-10-04 2006-04-20 Toyo Engei Nogyo Kyodo Kumiai 干し柿の製造装置
KR100746729B1 (ko) 2006-06-14 2007-08-06 장후철 녹차와 인삼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752A (ja) 2004-10-04 2006-04-20 Toyo Engei Nogyo Kyodo Kumiai 干し柿の製造装置
KR100746729B1 (ko) 2006-06-14 2007-08-06 장후철 녹차와 인삼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389B1 (ko) 2011-08-19 2011-12-16 유한회사 유일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504751B1 (ko) * 2012-10-22 2015-03-23 한국식품연구원 천일염의 건조장치
KR101763563B1 (ko) 2015-12-07 2017-08-01 백성기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101833273B1 (ko) 2017-01-25 2018-03-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곶감 제조용 천연 항균 소재 및 곶감의 친환경적 제조방법
KR20190058846A (ko) 2017-11-22 2019-05-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CN109342006A (zh) * 2018-12-10 2019-02-15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干热风发生模拟装置
CN109342006B (zh) * 2018-12-10 2024-03-19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干热风发生模拟装置
KR20210111650A (ko) * 2020-03-03 2021-09-13 이기선 냉각장치
KR102304610B1 (ko) 2020-03-03 2021-09-23 이기선 냉각장치
KR20210119719A (ko) 2020-03-25 2021-10-06 조옥자 곶감의 제조방법
KR102471509B1 (ko) 2021-11-29 2022-11-25 최안나 친환경 곶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007B1 (ko)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2125248A (zh) 一种微波干燥罗汉果的方法及由该方法干燥得到的罗汉果
CN102125249B (zh) 罗汉果的干燥方法及由该方法干燥得到的罗汉果
CN115381882A (zh) 一种川陈皮的制备方法
CN103609795B (zh) 金银花加工方法
KR20100039831A (ko) 식품 로스팅 및 표면 살균 방법
CN105166762A (zh) 大蒜制品及其制作方法
CN111513165A (zh) 一种方便型复配莓茶及其加工方法
KR101452746B1 (ko) 저장 기간 증진을 위한 훈제용 소스 조성물
CN108902413A (zh) 一种荷叶红茶及其制备方法
KR20130049650A (ko) 고진공 공법을 이용한 다공성 홍삼절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절편
CN106070591A (zh) 一种糯米储存工艺
CN116889251A (zh) 一种滋味鲜爽的夏秋白茶加工方法及其衍生产品
CN101623084B (zh) 蘑菇脆的制备方法
CN115381881A (zh) 一种川青皮的制备方法
KR102263842B1 (ko) 반숙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숙란
CN115812812A (zh) 一种明日叶微发酵茶的制作工艺
CN105029150B (zh) 一种膨化焙烤牡丹花粉及其制作方法
KR100675755B1 (ko) 발효 녹차 제조방법
DE10132535A1 (de) Trocknungs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r Verfahrensdurchführung
CN107821673A (zh) 一种含桂花的白茶制备方法
KR100862007B1 (ko) 반건시 제조방법
CN111557351A (zh) 一种绿茶的加工方法
CN113331267A (zh) 一种花茶的制备方法
KR20150024112A (ko) 오죽발효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