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001B1 - Small capacity paper cups - Google Patents
Small capacity paper cu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8001B1 KR101028001B1 KR1020090076986A KR20090076986A KR101028001B1 KR 101028001 B1 KR101028001 B1 KR 101028001B1 KR 1020090076986 A KR1020090076986 A KR 1020090076986A KR 20090076986 A KR20090076986 A KR 20090076986A KR 101028001 B1 KR101028001 B1 KR 101028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cup
- drinking water
- children
- small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의 높이를 낮추어 줌으로써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도중에 음용수를 흘리지 않고서 사용할 수 있는 소용량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말아진 채로 마감된 원형의 상단부, 상기 상단부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하단부, 양 측면을 접착시켜 마감된 측면접착부, 종이컵의 밑면을 구성하는 원형의 밑면부 및 밑면접착부를 가진 종이컵으로서,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3~5㎝이며,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의 기울기 각도가 3~5°의 각도로 이루어져 소량의 음용수가 담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capacity paper cup that can be used without dropping drinking water during use by children as well as infants and toddlers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paper cup. A paper cup having a bottom portion, a side adhesive portion which is finished by bonding both sides, and a circular bottom portion and a bottom adhesive portion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paper cup, wherein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3 to 5 cm, and the slopes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are inclined. The angle is made of an angle of 3 ~ 5 ° characterized in that a small amount of drinking water is contain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이컵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 영·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컵을 사용하면서 음용수를 흘리지 않고서 마실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음용수를 마실 때 종이컵을 필요 이상의 각도로 들어올리지 않거나 기울이지 않아도 되고, 목을 뒤로 젖히지 않고도 마실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paper cup is low, provides the convenience that children, infants or children can drink without drinking drinking water while using the cup, do not have to lift or tilt the paper cup at an angle more than necessary when drinking drinking water It is convenient to drink without having to lean back.
종이컵, 손잡이, 고리, 경첩 Paper cup, handle, collar, hi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용량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에 수용되는 용량을 적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소용량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capacity paper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capacity paper cup which is convenient in use by reducing the capacity accommodated in the paper cup.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음료수, 물 등의 음용수를 따라서 마시는 데 사용하기 위해 종이로 만든 일회용 컵을 말하는 것으로, 커피나 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주로 사용되고, 등산이나 야외 활동 시 커피나 음료를 따라 마시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paper cups are disposable cups made of paper for drinking along with drinking water such as beverages and water. They are mainly used in vending machines selling coffee or beverages. I use it.
통상적인 종이컵은 그 높이가 대략 7㎝이며, 상단의 직경 또한 대략 7㎝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크기는 성인들이 손으로 잡고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A typical paper cup is about 7 cm high and has a diameter of about 7 cm at the top, which is suitable for adults to use by hand.
이러한 종이컵은 하단부의 직경이 대략 5㎝이어서, 종이컵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종이컵의 기울기 각도는 대략 8° 정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종이컵에 담겨 있는 음용수를 마시기 위하여 종이컵을 수평 보다 높게 들어올려야 한다.Since the bottom of the paper cup is about 5 cm in diameter, the paper cup is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paper cup to the top part,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per cup is inclined by about 8 °. .
따라서 영·유아나 어린이들은 종이컵에 담겨 있는 음용수 등을 마시기 위하여 종이컵을 입에 댄 상태에서 종이컵의 하단부를 들어올리면서 고개를 뒤로 젖히게 된다.Therefore, children, infants and children raise their heads while lifting the bottom of the paper cups while holding the paper cups in order to drink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paper cups.
즉, 13세 이하의 어린이뿐만 아니라 영·유아들에게 종이컵을 이용하여 음용수를 먹이는 경우 어린이들의 신체 조건에 비하여 종이컵의 크기가 커 음용수를 흘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drinking water is fed to children and infants as well as children under 13 years using paper cups, the size of the paper cups is larger than that of the children's physical condition, and drinking water is spilled.
이러한 음용수 중 빨강, 파랑, 노랑 등의 색상을 갖는 음료수인 경우 음료수를 마시는 도중에 음료수를 흘리게 되면 옷에 묻게 되고, 옷을 세탁해야 된다.In the case of a beverage having a color such as red, blue, yellow among the drinking water, if the beverage is spilled while drinking the beverage, it is buried in the clothes and the clothes should be washed.
이와 같이 종래의 종이컵은 그 높이가 대략 7㎝ 정도로 높아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도중에 음용수를 흘리게 되고, 흘린 음용수가 옷에 묻게 되어 옷을 세탁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aper cups have a height of about 7 cm, so that not only infants and infants but also children may drink drinking water, and the spilled drinking water may be on the clothes, and the clothes should be washed.
또 영·유아나 어린이들이 종이컵을 사용하는 도중에 컵을 높이 들어올려야 됨은 물론 고개를 뒤로 젖혀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children, infants and children had to lift the cups high while using the paper cups, as well 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urn their heads back.
아울러 종이컵은 온도가 높은 음용수를 담은 경우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손에 화상을 입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경우 종이컵을 안정되게 잡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paper cups often contain high-temperature drinking water, which often causes burns to the hands of infants, infants, and children, and when hot contents are conta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per cups cannot be stably held.
또한 종이컵의 강도가 약해 쉽게 찌그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종이컵의 재활용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paper cup is weak and easily crush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ropping the recycling of the paper cu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컵의 높이를 낮추어 줌으로써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도중에 음용수를 흘리지 않고서 사용할 수 있는 소용량 종이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capacity paper cup that can be used without spilling drinking water during use, as well as infants and children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paper cup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컵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뜨거운 내용물이 담기더라도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소용량 종이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capacity paper cup that can be held stably even if the hot contents are contained by installing a handle on the paper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은 말아진 채로 마감된 원형의 상단부, 상기 상단부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하단부, 양 측면을 접착시켜 마감된 측면접착부, 종이컵의 밑면을 구성하는 원형의 밑면부 및 밑면접착부를 가진 종이컵으로서,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3~5㎝이며,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의 기울기 각도가 3~5°의 각도로 이루어져 소량의 음용수가 담아지며, 상기 상단부에는 고정된 고리에 회전 및 접철 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첩, 상기 경첩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 끝단에 접철 되게 연장된 수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ll-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upper end portion rolled up, a circular lower end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a side adhesive portion formed by bonding both sides, and a circular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paper cup. A paper cup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ttom adhesive portion, wherein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top portion is 3 to 5 cm,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3 to 5 ° to contain a small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a handle that is rotated and folded in a fixed ring, wherein the handle has a hinge rotatably coupled to the ring,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and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to be fold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고리에는 상기 경첩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됨을 저지하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which is dug inwardly to prevent the hinge from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이컵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 영·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컵을 사용하면서 음용수를 흘리지 않고서 마실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음용수를 마실 때 종이컵을 필요 이상의 각도로 들어올리지 않거나 기울이지 않아도 되고, 목을 뒤로 젖히지 않고도 마실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paper cup is low, provides the convenience that children, infants or children can drink without drinking drinking water while using the cup, do not have to lift or tilt the paper cup at an angle more than necessary when drinking drinking water It is convenient to drink without having to lean back.
또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첩시킬 수 있고, 뜨거운 음용수 등을 마실 때 손이 직접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mall-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andle integrally can be fold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be used safely as the hands are not in direct contact when drinking hot drinking w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에 결합된 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mall capacit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per cup,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handle coupled to the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100)은 종이를 부채꼴의 원호 형상으로 자르게 된다.1 to 4, the small-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의 원호 형상을 갖는 종이에는 종이컵(100)의 상측에 둥글게 말아지는 상단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바닥면에 놓여지는 하단부(112)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paper having a circular arc-shaped paper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ounded
아울러 종이컵(100)의 높이는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략 3~5㎝의 높이를 가지므로, 종이컵(100)의 높이가 3~5㎝의 높이를 갖도록 자르며, 하단부(112)에서부터 상단부(111)까지의 기울기 각도가 3~5°의 기울기를 갖도록 자르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또 종이컵(100)의 측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113)와 함께 측면부(113) 양단이 접착되는 측면접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상기 측면접착부(114)에는 접착제를 바른 다음 다른 쪽을 붙이게 되면, 종이컵 형상을 갖게 되며, 이때 상단부(111)는 외측으로 감아주게 된다.W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ide
이러한 원통 형상의 종이컵(100)에는 별도로 마련된 밑면부(115)를 부착하게 되는데, 밑면부(115)의 둘레는 하단부(112)의 내측에 부착된다.The
또한 상단부(111)에는 상단부(111)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고리(121)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며, 고리(121)에는 손잡이(12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고리(121)에는 경첩(1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첩(122)이 결합되는 고리(121)에는 경첩(122)이 수평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홈부(123)가 형성되어 있다.Hinge 1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즉, 홈부(123)는 손잡이(120)가 수평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종이컵(100)을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120)와 종이컵(100)을 수평 상태로 유지 시킬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아울러 경첩(122)에는 수평부(124)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124) 끝단에는 수직부(125)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수평부(124)는 경첩(122)과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수평부(124)로부터 연장된 수직부(125)는 소정 위치에서 절첩 되게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수직부(125)를 펴거나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이러한 경첩(122), 수평부(124) 및 수직부(125)는 종이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갖도록 하거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100)은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적당량의 음용수를 마시는 데 사용하게 된다.The small-
즉,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은 어른에 비하여 마시는 음용수의 양이 적으므로 소량의 음용수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children, as well as infants and young children drink less water than adults because they can drink a small amount of drinking water.
이때 종이컵의 크기 및 용량이 적으므로 영·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종이컵(100)을 입에 댄 상태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종이컵(100)에 담긴 음용수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paper cup is small, infants, children or children are able to conveniently drink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또 종이컵(100)의 측면부(113)는 3~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종이컵(100)을 수평 또는 수평 보다 다소 낮은 각도로 들어 올리게 되더라도 종이컵(100)에 있는 음용수를 마실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아울러 사용자는 종이컵(100)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20)를 사용할 수 있 는데, 손잡이(120)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4에서와 같이, 종이컵(100)의 측면에 있는 손잡이(120)의 수평부(124) 또는 수직부(125)를 잡고서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이러한 손잡이(120)는 종이컵(100)의 상단부(111)에 고정되어 있는 고리(121)를 중심으로 경첩(122)이 회전되고, 경첩(122)은 고리(121)의 홈부(123)에 의해 수평 이상의 각도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The
아울러 사용자는 수평부(124)에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125)를 아래쪽 방향으로 구부려 'ㄱ'자 형태의 손잡이(120)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ser bent the
이와 같은 손잡이(120)는 종이컵(100)에 뜨거운 음용수 등을 마시고자 할 때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종이컵(100)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Such a
본 발명은 종이컵뿐만 아니라 영·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합성수지 컵 등 다양한 형태의 컵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paper cups but also various types of cups such as plastic cups used by infants, infants, or children.
도1은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전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소용량 종이컵에 결합된 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handle coupled to the small capacity pape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종이컵 111: 상단부100: paper cup 111: upper portion
112: 하단부 113: 측면부112: lower portion 113: side portion
114: 측면접착부 115: 밑면부114: side bonding portion 115: bottom portion
120: 손잡이 121: 고리120: handle 121: ring
122: 경첩 123: 홈부122: hinge 123: groove
124: 수평부 125: 수직부124: horizontal portion 125: vertical por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986A KR101028001B1 (en) | 2009-08-20 | 2009-08-20 | Small capacity paper cu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986A KR101028001B1 (en) | 2009-08-20 | 2009-08-20 | Small capacity paper cup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9459A KR20110019459A (en) | 2011-02-28 |
KR101028001B1 true KR101028001B1 (en) | 2011-04-13 |
Family
ID=4377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6986A KR101028001B1 (en) | 2009-08-20 | 2009-08-20 | Small capacity paper cu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80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358Y1 (en) * | 2016-07-01 | 2018-05-08 | 황광선 | Handle of a cu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2472A (en) | 1998-09-28 | 2000-04-11 | Sadami Ito | Thermally insulating handle of cup |
KR200300554Y1 (en) | 2002-10-07 | 2003-01-10 | 장주영 | A holding paper-cup holder |
-
2009
- 2009-08-20 KR KR1020090076986A patent/KR10102800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2472A (en) | 1998-09-28 | 2000-04-11 | Sadami Ito | Thermally insulating handle of cup |
KR200300554Y1 (en) | 2002-10-07 | 2003-01-10 | 장주영 | A holding paper-cup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9459A (en) | 2011-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8610444U (en) | Rocking cup | |
KR101028001B1 (en) | Small capacity paper cups | |
US20130228585A1 (en) | Guard for a drinking vessel | |
CN201127477Y (en) | Drinking cup for babies | |
CN204970667U (en) | Insulated Combination Simple Portable Disposable Cup | |
JP3173094U (en) | Synthetic resin cup | |
KR200383573Y1 (en) | Drinking cup | |
US20150076104A1 (en) | Accessory and spill-proof cap for bottled beverage | |
KR20140075523A (en) | With a band-shaped paper cup holder | |
KR20210071705A (en) | mini single size cup | |
CN103300671B (en) | A kind of cup lid of beverage cup | |
KR200450552Y1 (en) | Paper cup that can form a handle | |
KR20120000011U (en) | Child Roly-poly Cup | |
KR20200073904A (en) | height changing tumbler | |
CN203436078U (en) | Cover of beverage cup | |
CN209225766U (en) | Barrel-shaped beverage cup supporting bowl | |
KR102238587B1 (en) | Foldable multi-purpose holder | |
CN213385129U (en) | Paper cup | |
CN220054507U (en) | Simple paper cup with tea | |
CN219578660U (en) | Tea with tea filtering ring and easy-to-brew cup | |
CN214296843U (en) | A portable milk tea paper cup | |
TWM578275U (en) | Beverage cup lid with integrally-formed straw | |
CN219353532U (en) | Tea making device | |
CN201492191U (en) | Anti-spill anti-scald cup | |
CN210762153U (en) | Straw embedded type paper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