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6028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028B1
KR101026028B1 KR1020070071128A KR20070071128A KR101026028B1 KR 101026028 B1 KR101026028 B1 KR 101026028B1 KR 1020070071128 A KR1020070071128 A KR 1020070071128A KR 20070071128 A KR20070071128 A KR 20070071128A KR 101026028 B1 KR101026028 B1 KR 10102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ressing member
storage unit
cover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912A (ko
Inventor
권혁민
유명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028B1/ko
Priority to EP07834065.0A priority patent/EP2164376B1/en
Priority to RU2009143355/12A priority patent/RU2428916C2/ru
Priority to AU2007356554A priority patent/AU2007356554B2/en
Priority to PCT/KR2007/005759 priority patent/WO2009011478A1/en
Publication of KR2009000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12A/ko
Priority to US12/407,975 priority patent/US82814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0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를 가지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집진 장치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와, 상기 압축 모터가 수용되며,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이 포함된다.
먼지, 압축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서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상기 집진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집진 장치 장착부의 상측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먼지 저장부 내에서 가압 부재에 의해서 먼지가 압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소기 본체 100 : 집진 장치
121 : 싸이클론부 122 : 먼지 저장부
220 : 압축 모터 240 : 제 1 가압 부재
250 : 제 2 가압 부재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에 쌓인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집진 바디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진 장치에서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저장부에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 장치에 의하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청소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에 저장되는 먼지의 용량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는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하여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의 배출 과정에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를 가지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집진 장치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와, 상기 압축 모터가 수용되며,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안되는 실시예 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 및 저장하는 집진 장치(1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4)과,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11)과, 상기 흡입 노즐(14)과 핸들(11)을 연결시키는 연장관(12)과, 상기 핸들(11)과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연결시키는 연결 호스(13)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14), 연장관(12), 핸들(11) 및 연결 호스(13)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미도시)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 흡입부(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흡입부(17)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100)로 유입되어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안착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지 장착부(16)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 흡입부(17)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100)는,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110)와, 상기 집진 바디(110) 상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부재(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30)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후술함)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20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의 장착시 상기 구동 장치(20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19)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서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상기 집진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110)와, 상기 집진 바디(110) 내부에 제공되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부(121)와, 상기 집진 바디(1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싸이클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외측 둘레에 먼지 저장부(122)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110)는, 상기 먼지 저장부(122)를 정의하는 외벽(111), 내벽(113) 및 저벽(11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21)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가 원심 분리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내벽(113)과 저벽(112)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벽(113)의 높이는, 상기 싸이클론부(121)와 상기 먼지 저장부(122) 사이에 분리된 먼지가 이동되는 연결 통로(P)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111)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4)가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하측 저벽(112)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저벽(112) 중심부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16)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 배출구(116)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배기 파이프(115)가 용접 또는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집진 장치(10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도 1의 20참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 파이프(115)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싸이클론부(121)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집진 바디(110)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기 파이프(115)의 높이는 상기 내벽(113)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파이프(115)는 몰딩물로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저벽(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도 원형 외에 사각, 삼각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116) 및 배기 파이프(115)를 통하여 화살표 F2 방향으로 상기 집진 장치(100)를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저벽(112)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115)를 나선형으로 감싸는 유동 가이드(123)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123)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100)의 저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커버 부재(130) 방향으로 나선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 가이드(123)는 상기 집진 바디(110)의 저벽(1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개의 구조물로 제작하여 상기 저벽(112)에 용접 또는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저장부(122)는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먼지의 분리와 저장이 별개의 장소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청소 중, 진공 청소기가 뒤집어져 먼지가 커버 부재(130)의 하면 측으로 쏟아질 경우도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싸이클론부(121) 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먼지의 분리와 저장이 다른 공간에서 일어남으로써,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가 비산되거나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110)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110)를 뒤집어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집진 바디(11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130)는 상기 먼지 분리부(121)와 상기 먼지 저장부(122)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커버 부재(130)를 상기 집진 바디(110)에서 분리하면, 상기 집진 바디(110)의 상단이 완전히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110)를 뒤집으면 먼지가 쉽게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114)와 공기 배출구(116)가 각각 집진 바디(110)의 저벽(112)에 형성되므로, 상기 집진 바디(110)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파이프(115)가 상기 저벽(112)에 설치됨으로써, 진공 청소기(1)가 청소 도중 뒤집어지더라도 상기 싸이클론부(122)에 남아있는 먼지가 상기 배기 파이프(115)를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116)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100)는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먼지의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압 부재(240, 2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240, 250)는, 서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먼지를 압축하여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먼지 저장부(122)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장치(100)의 최대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270, 280)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가압 부재(240)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가압 부재(250)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는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240, 250) 사이에서 먼지의 압축 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구동 장치(200)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 장치(20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 부재(130)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형성되는 회전 부재(2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230)는 결합부(232)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장치(200)와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구동 장치(200)는, 압축 모터(220)와, 상기 압축 모터(220)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21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210)은, 상기 모터 하우징(210)에 상기 압축 모터가(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130)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 리브(13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210)의 외측에는 체결 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리브(132)에는 상기 체결 돌기(21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홀(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200)가 상기 커버 부재(130)의 상측에 결합되면, 상기 압축 모터(220)의 모터 축(222)이 상기 커버 부재(130)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 부재(230)의 결합부(232)는 상기 커버 부재(130)를 관통한 상기 모터 축(222)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22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220)와 결합된 상기 회전 부재(23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 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210)의 측면에는 상기 압축 모터(220)와 연결된 단자부(2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부(214)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 장착되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단자(후술함)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모터(2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회전 부재(230)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회전 부재(230)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 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커버 부재(130)가 상기 집진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내벽(113)과 외벽(111)의 폭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는 상기 저벽(112)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는 상기 내벽(113) 또는 외벽(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와 제 2 가압 부재(250)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의 압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상기 저벽(112)과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는 상기 커버 부재(130)와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와 제 2 가압 부재(250)가 서로 겹쳐지는 면적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22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임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축 모터(220)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압 부재(250)의 양측면에 압축된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22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220)로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 때,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 torque)으로써,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싱크로노스 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 압축 모터(220)는 먼지의 압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를 동일한 각속도로 지속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130)가 상기 집진 바디(110)의 상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먼지 저장부(122)와 상기 싸이클론부(121)를 연결시키는 연결 통로(P)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230)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 통로(P)의 일부를 차단하는 역류 방지부(2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23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234)의 길이는 상기 커버 부재(130)가 상기 집진 바디(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 통로(P)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역류 방지부(234)가 상기 연결 통로(P)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띠형의 보조 통로(P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 통로(P1)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21)에서 원심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저장부(122) 내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234)는 상기 싸이클론부(121)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화살표 A방향으로 역류 방지부(234)에 부딪친 후 화살표 C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보조 통로(P1)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21)가 아닌 상기 먼지 저장부(122)로 떨어진다.
또한, 원심 분리된 먼지를 운반하는 기류가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역류방지부(234)에 부딪친 후 화살표 C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상기 싸이클론부(121)가 아닌 상기 먼지 저장부(122)로 하강한다.
이렇게 수직하게 하강하는 기류로 인하여,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싸이클론부(121)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집진 장치 장착부의 상측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장착될 때, 상기 구동 장치(20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19)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9)의 후측에는 상기 구동 장치(200)의 단자부(214)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21)는 연결선(22)에 의해서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
도 6은 먼지 저장부 내에서 가압 부재에 의해서 먼지가 압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 및 먼지의 압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에 장착되면, 상기 구동 장치(200)의 단자부(214)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6)의 전원 공급 단자(2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에서 상기 구동 장치(20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흡입 모터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 노즐(14)을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14)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 흡입부(17)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거쳐 상기 집진 장치(100)로 유입된다.
상세히,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4)를 통하여 상기 사이클론부(121)로 유입된다. 이 때,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123)에 의해서 원심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130)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원심 분리되면서 상기 연결 통로(P)로 튕겨져 나간다. 상기 연결 통로(P)로 튕겨져 나간 먼지는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역류 방지부(234)와 부딪친 후 화살표 C방향으로 수직하게 상기 보조 통로(P1)을 거쳐 상기 먼지 저장부(122)로 낙하된다. 또한, 화살표 B방향으로 직접 상기 보조 통로(P1)을 거쳐 상기 먼지 저장부(122)로 낙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원심 분리된 먼지를 운반하는 기류는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역류 방지부(234)와 부딪쳐 화살표 C방향으로 수직하게 상기 보조 통로(P1)를 거쳐 상기 먼지 저장부(122)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는 기류에 의해서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커버 부재(130) 측으로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후,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화살표 F2방향으로 상기 배기 파이프(115) 및 공기 배출구(116)를 거쳐 상기 집진 장치(100)를 빠져나간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기 필터(15)를 거쳐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 모터가 작동되어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구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회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의 압축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된 후 또는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압축 모터(22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압축 모터(2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22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부재(23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 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 재(2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먼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로 작용하는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압축 모터(220)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가압 부재(240)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220)는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이 정지됨과 함께 정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의해서 먼지가 압축될 수 있으므로,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에서 먼지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먼지의 비움 과정에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가 상기 집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의 청소시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집진 장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 장치로 물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500)는, 집진 바디(510)와 상기 집진 바디(510)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커버 부재(52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 바디(510)의 구조는 원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600)는, 압축 모터(610)와, 상기 압축 모터(610)의 회전력을 제 1 가압 부재(54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620, 6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620, 63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540)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630: 제 2 동력 전달부라 할 수 있음)와, 상기 종동 기어(63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620: 제 1 동력 전달부라 할 수 있음)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620)는 상기 압축 모터(610)의 모터 축(612)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610)에 의해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520)의 하측에는 제 1 가압 부재(540)가 형성되는 회전 부재(5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530)의 결합부(532)는 상기 커버 부재(5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32)에는 상기 종동 기어(630)의 축(63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520)의 상측에는 상기 종동 기어(630)가 상기 커버 부재(520)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522)가 형성된다.
한편, 청소기 본체(30)에는 상기 집진 장치(500)가 장착되도록 하는 집진 장치 장착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모터(610)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31)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620)는 상기 압축 모터(6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31)로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30)에는 상기 구동 기어(620)의 외주면 일부 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31)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 기어(630)가 상기 집진 장치(500)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 기어(62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31)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31)에 상기 집진 장치(500)가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630)가 상기 구동 기어(620)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61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610)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6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620)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610)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63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6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63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부재(530)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가압 부재(54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30)에 압축 모터(610)가 제공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50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업라이트 형의 청소기나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 부재의 압축 작용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 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진 장치에서 먼지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먼지의 비움 과정에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집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의 청소 시, 상기 구동 장치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 장치를 집진 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를 가지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집진 장치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와, 상기 압축 모터가 수용되며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선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6. 삭제
  7.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를 가지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집진 장치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와, 상기 압축 모터가 수용되며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 모터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제공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8.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를 가지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집진 장치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에 연결되는 가압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와 연결되는 제 1 동력 전달부;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로부터 상기 압축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집진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본체;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의 일부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로 노출되는 진공 청소기.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71128A 2005-12-10 2007-07-16 진공 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2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28A KR101026028B1 (ko) 2007-07-16 2007-07-16 진공 청소기
EP07834065.0A EP2164376B1 (en) 2007-07-16 2007-11-15 Vacuum cleaner
RU2009143355/12A RU2428916C2 (ru) 2007-07-16 2007-11-15 Пылесос
AU2007356554A AU2007356554B2 (en) 2007-07-16 2007-11-15 Vacuum cleaner
PCT/KR2007/005759 WO2009011478A1 (en) 2007-07-16 2007-11-15 Vacuum cleaner
US12/407,975 US8281455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28A KR101026028B1 (ko) 2007-07-16 2007-07-16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12A KR20090007912A (ko) 2009-01-21
KR101026028B1 true KR101026028B1 (ko) 2011-03-30

Family

ID=4048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6028B1 (ko) 2005-12-10 2007-07-16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32B1 (ko) * 2013-07-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641257B1 (ko) * 2014-10-07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1641256B1 (ko) * 2014-10-07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61A (ko) * 2005-06-27 2007-01-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61A (ko) * 2005-06-27 2007-01-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114358호(1979. 08. 11, 공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5-190056호(2003. 07. 02,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84834호(2007. 08. 27,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30956호(2007. 06. 15, 등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12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102B2 (ja) 集塵装置及び真空掃除機
KR100871483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0846900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7B1 (ko) 진공 청소기
KR100800188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
KR100853332B1 (ko) 진공 청소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방법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0906848B1 (ko) 진공 청소기
KR100912316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474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101026028B1 (ko) 진공 청소기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42963B1 (ko) 진공 청소기
CN117677329A (zh) 吸尘器站
KR10109394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49548B1 (ko) 진공 청소기
KR101286853B1 (ko) 진공 청소기
KR100809774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KR100876699B1 (ko) 진공 청소기
KR100751813B1 (ko) 먼지통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912318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
KR100838888B1 (ko) 진공 청소기
KR100853330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8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302

Appeal identifier: 2009101003134

Request date: 20090406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60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406

Decision date: 20110302

Appeal identifier: 200910100313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