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3584B1 -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584B1
KR101023584B1 KR1020077012371A KR20077012371A KR101023584B1 KR 101023584 B1 KR101023584 B1 KR 101023584B1 KR 1020077012371 A KR1020077012371 A KR 1020077012371A KR 20077012371 A KR20077012371 A KR 20077012371A KR 101023584 B1 KR101023584 B1 KR 10102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assembly
assembly
operating
opera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603A (ko
Inventor
리차드 디. 브리울트
칼 제이알. 로바치
Original Assignee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01M8/086Phosphoric acid fuel cells [PA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7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조립체(20)는 연료 전지 조립체(20)의 기대 수명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온도 범위 내의 평균 작동 온도에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평균 작동 온도 범위는 약 340°F(171°C)과 약 360°F(182°C) 사이이다.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최고 작동 온도와 최저 작동 온도는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은 적어도 300°F(149°C)이며 400°F(204°C)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연료 전지 조립체,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 평균 작동 온도, 유효 수명

Description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FUEL CELL ASSEMBLY WITH OPERATING TEMPERATURES FOR EXTENDED LIF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수명 연장을 실현하기 위한 온도에서 연료 전지를 작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잘 알려져 있고 다양한 분야에 대해 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산 연료 전지(PAFC)가 연료 전지의 한 종류로 알려져 있고, 고정 동력 발생에 사용된다. 전지 적층 조립체를 통상 5년 마다 갈아주어야 하는 것이 인산 연료 전지의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5년이 지나면, 대부분의 분야에서 유용하고 수용가능한 정도 이하로 조립체의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성능의 손실은 통상 촉매 층의 부분이 전해질에 잠김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전지 적층 조립체의 작동 온도와 전극 전위의 시간 경과에 따른 결합의 결과로 탄소 섬유 촉매 지지체의 표면이 산화된다. 이 때문에 성능이 저하하는 잠김이 일어난다.
공지된 구성처럼 전지 적층 조립체의 빈번한 대체를 요구하지 않는 향상된 연료 전지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 필요에 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작동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예는 조립체의 전체 유효수명에 있어서 약 340°F(171°C)와 약 360°F(182°C) 사이 범위의 평균 온도에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작동 온도 범위에 따른 구성과 비교해서,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작동 온도를 이용하면 연료 전지 조립체의 유효 수명이 두 배가 된다.
연료 전지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한가지 예시적 방법은 조립체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성능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결정된 관계를 기초로 평균 작동 온도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최소 시간 동안 필요한 최소 한도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균 작동 온도의 범위는 약 340°F(171°C)에서 약 360°F(182°C) 사이이다.
삭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해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함께 수반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연료 전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온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연료 전지 성능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3은 연료 전지의 작동과 시간 사이의 관계의 예들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1은 연료 전지 조립체(20)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지 적층 조립체는 전해질 부분(26)의 양측에 복수의 애노드(22)와 캐소드(24)를 포함한다. 이것은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면, 전해질(26)은 인산을 포함하여, 조립체는 인산 연료 전지 조립체로 알려진다.
도시된 예는 또한 냉각기(30)를 포함하는데, 냉각제가 입구(32)로 들어가고 출구(34)로 나오는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한다.
연료 전지 조립체는 조립체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의 목적을 위해, 캐소스(24)와 애노드(22)에서 촉매들 사이의 중첩되는 지역인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을, 연료 전지 조립체(20)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이라 칭한다. 또한, 국부 전류 밀도의 변화와 냉각기(30)의 구성 때문에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 내에서 온도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냉각기들 사이의 전형적인 전지 개수와 전지로부터 냉각기로의 열 흐름의 방향 때문에, 전지 적층 내의 냉각제 흐름 방향과 축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존재한다. 조립체 내의 온도 또한 전지로부터의 전력 요구가 변함에 따라 변한다.
연료 전지 조립체의 하나의 특징은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작동 온도가 조 립체의 유효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2는 작동 온도에 대한 400°F(204°C)에 관한 감쇠 인자(decay factor)를 나타낸 플로트(50)이다. 곡선(52)은 전지 성능의 감쇠와 온도 사이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가 높으면 감쇠율도 상승하여, 결국 연료 전지의 유효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에 따르면, 온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성능 사이의 관계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온도 범위를 선택할 때 결정 인자로 사용된다.
전형적인 방법에 의하면, 인산 연료 전지 동력 장치의 작동 환경은 최대 초기 성능과 초기 동력 장치 효율에 도달하도록 선택되었다. 이 방법은 전지 적층 조립체 내의 물질들의 한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작동 온도를 요구한다. 이 방법은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에 대한 작동 온도들을 선택할 때 결정 인자로서 성능 저하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앞서 기술한 예시적인 방법은 전형적인 방법에서 사용되어 지지 않는 결정 인자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연료 전지 조립체의 예는 적어도 선택된 시간 동안 적어도 최소 수준의 성능(즉, 허용 전력 출력)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에 대한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약 340°F(171°C)에서 약 360°F(182°C) 사이 범위 내에 있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의 평균 작동 온도를 포함한다. 이 평균 작동 온도 범위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유효 수명에 걸친 평균으로 고려된다. 물론, 공지된 이유로 작동 온도에서 약간의 변동은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평균 작동 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의 최대 작동 온도는 약 380°F(193°C)에서 약 400°F(204°C) 사이에서 유지된다. 최대 온도를 상기 범위 내의 온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은 연료 전지 조립체에서의 상승 온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성능 감쇠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의 최대 작동 온도는 390°F(199°C)이다. 이러한 최대 작동 온도는 냉각기들 사이의 전지 적층물의 중앙 부근의 전지에서 주로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환경하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절대 최저 온도는 적어도 300°F(149°C)의 온도로 유지된다. 최저 온도를 적어도 300°F(149°C)로 유지하는 것은, 개질 연료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에 의한 애노드 촉매의 중독을 최소화하는 것에 우선시 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하는 산 응축 구역(acid condensation zones) 같이,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이 아닌 연료 전지 조립체의 비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은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연료 전지 조립체의 비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에 대한 허용 범위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으로 사용되는 범위와는 다를 수도 있고, 특별한 상황의 필요를 충족시키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냉각제 입구(32)는 대략 270°F(132°C)의 작동 온도를 가지고, 냉각제 출구(34)는 약 337°F(169°C)와 관련 온도를 가진다. 이 예시 온도는 350°F(177°C)의 평균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 작동 온도와 390°F(199°C)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40)의 최대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다.
공지된 인산 연료 전지들은 대략 대기 압력과 대략 10기압 사이의 반응 압력 에서 작동한다. 압력 증가에 따라 감쇠 속도가 증가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높은 압력에서 더 습윤성 있게 되는 탄소 섬유 촉매 지지체의 산화로 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조립의 하나의 예에 있어서, 바람직한 작동 압력은 대략 대기 압력(약 14.7과 20psia 사이)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성능과 시간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에 대한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선택하는 것은 작동 온도의 선택에 전형적 방법을 이용하는 연료 전지와 비교해서 연료 전지 수명의 초기에 다소 낮은 전압 출력과 낮은 효율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평균 전압과 효율성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전지보다 높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연료 전지는 연장된 수명 동안 향상된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 전지 조립체의 유효 수명은 전형적인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유사한 구성의 조립체에 비해 두 배가 된다.
도3은 시간 경과에 따른 전지당 전압의 플로트(60)를 포함한다. 제1 곡선(62)은 전술한 예에 대응하는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에 대한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곡선(64)은 전형적인 높은 온도 작동 범위를 사용하는 상응하는 구성의 연료 전지 조립체를 나타낸다. 비록 곡선(64)이 연료 전지 수명의 초기에 높은 전압 출력을 포함하지만, 증가 되는 감쇠 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가 훨씬 긴 유효 시간 동안에 높은 효율에서 더 큰 전력을 곧 바로 생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예를 들면, 초기 성능과 효율에서 약간의 손실이 있지만, 그것은 연료 전지 조립체에 의해 생산된 전 기의 낮은 비용과 낮은 수명 비용을 가져오는 낮아진 성능 감쇠 속도와 전체적인 평균 전력의 증가에 비해 과하게 고려되는 것이다. 인산화 연료 전지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고온 중합체 전해질 연료 전지와 같은 기타 연료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설명에 의해, 당업자는 특별한 상황의 요구를 최적으로 충족시키는 적절한 온도 값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설명은 사실상 제한이기보다는 예시적이다.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과 수정이 본 발명의 본질 내에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법률상 보호 범위는 첨부의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8)

  1.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이며,
    조립체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성능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와,
    선택된 최소 한도 이상의 시간 동안 선택된 최소 한도 이상의 성능을 달성하도록 상기 결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작동 온도 범위는 340°F(171°C)와 360°F(182°C) 사이인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대기압의 압력에서 연료 전지 조립체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인산 연료 전지인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고온 중합체 전해질 연료 전지인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9.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이며,
    조립체의 전체 유효 수명 동안 340°F(171°C)와 360°F(182°C) 사이의 평균 작동 온도 범위 내에서 연료 전지 조립체의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대기압의 압력에서 연료 전지 조립체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인산 연료 전지인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고온 중합체 전해질 연료 전지인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16. 연료 전지 조립체이며,
    조립체의 전체 유효 수명 동안 340°F(171°C)와 360°F(182°C) 사이의 평균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대기압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270°F(132°C)의 관련 온도를 갖는 냉각제 입구와 337°F(169°C)의 관련 온도를 갖는 냉각제 출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22. 제16항에 있어서, 인산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23. 제16항에 있어서, 고온 중합체 전해질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작동 온도 범위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관계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기대 유효 수명 이상의 기간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조립체의 전체 유효 수명에 걸쳐 연료 전지 조립체 작동에 선택된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27. 제9항에 있어서, 연료 전지 조립체 작동에 평균 작동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작동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활성 부분은 평균 온도에서 작동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
KR1020077012371A 2004-12-29 2004-12-29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KR101023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4/044008 WO2006071233A1 (en) 2004-12-29 2004-12-29 Fuel cell assembly with operating temperatures for extended lif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83A Division KR20090017703A (ko) 2009-01-28 2004-12-29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603A KR20070085603A (ko) 2007-08-27
KR101023584B1 true KR101023584B1 (ko) 2011-03-21

Family

ID=366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371A KR101023584B1 (ko) 2004-12-29 2004-12-29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92725A1 (ko)
EP (1) EP1836741A4 (ko)
JP (1) JP2008525983A (ko)
KR (1) KR101023584B1 (ko)
CN (1) CN101091273A (ko)
WO (1) WO2006071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443B (zh) * 2019-09-03 2022-07-12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优化燃料电池汽车功率分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545A (en) * 1988-05-05 1989-08-22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Cathode flow control for fuel cell power plant
US5045414A (en) * 1989-12-29 1991-09-03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Reactant gas composition for fuel cell potential control
US5508126A (en) * 1991-12-21 1996-04-16 Braun; Dieter Device for improving the current output of a chargeable battery at low outside temperatures
US6093500A (en) * 1998-07-28 2000-07-2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929A (en) * 1975-07-21 1976-06-2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cell cooling system with shunt current protection
US4202933A (en) * 1978-10-13 1980-05-1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fuel cell output voltage to permit low power operation
US4324844A (en) * 1980-04-28 1982-04-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riable area fuel cell cooling
US4362788A (en) * 1981-03-11 1982-12-07 Energy Research Corporation Fuel cell system with anode and cathodes operating at different pressures
JPS5823169A (ja) * 1981-08-03 1983-02-10 Hitachi Ltd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0646569B2 (ja) * 1985-12-09 1994-06-15 富士電機株式会社 りん酸型燃料電池
US6083636A (en) * 1994-08-08 2000-07-04 Ztek Corporation Fuel cell stacks for ultra-high efficiency power systems
US5525436A (en) * 1994-11-01 1996-06-1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roton conducting polymers used as membranes
DK175723B1 (da) * 1995-03-20 2005-02-07 Topsoe Haldor As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lektrisk energi i en höjtemperaturbrændselscelle
US5565279A (en) * 1995-12-27 1996-10-1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timum cell operating temperatures and steam production in a fuel cell power plant
JPH09283165A (ja) * 1996-04-12 1997-10-31 Osaka Gas Co Ltd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及び運転装置
EP1194966A2 (de) * 1999-07-05 2002-04-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Hochtemperatur-polymer-elektrolyt- membran (htm)-brennstoffzelle, htm-brennstoffzellenanlag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tm-brennstoffzelle und /oder einer htm-brennstoffzellenanl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545A (en) * 1988-05-05 1989-08-22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Cathode flow control for fuel cell power plant
US5045414A (en) * 1989-12-29 1991-09-03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Reactant gas composition for fuel cell potential control
US5508126A (en) * 1991-12-21 1996-04-16 Braun; Dieter Device for improving the current output of a chargeable battery at low outside temperatures
US6093500A (en) * 1998-07-28 2000-07-2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1233A1 (en) 2006-07-06
KR20070085603A (ko) 2007-08-27
EP1836741A1 (en) 2007-09-26
US20070292725A1 (en) 2007-12-20
EP1836741A4 (en) 2009-04-08
JP2008525983A (ja) 2008-07-17
CN101091273A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5574B2 (ja) バイポーラプレートおよび燃料電池
EP1686642B1 (en)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CN109792066B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在冰点以下启动的方法
KR20160033184A (ko) 전기화학 셀 스택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59977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스택
KR20070095443A (ko) 연료 전지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207309B1 (en) Environmental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fuel cell assembly
JP2008034253A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23584B1 (ko)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KR101582378B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부동액 및 냉각수 누설 시 연료전지의 성능 회복 방법
US20140099563A1 (en) Fuel cell stack having cooling medium leakage preventing unit
KR20090017703A (ko)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 온도를 갖는 연료 전지 조립체
US7014935B2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tack having specific corrosion resistant cells
JP5969000B2 (ja) プロトン交換膜を備える高寿命の燃料電池
JP51975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11271229B2 (en) Method of controlling measurement of cell voltage of fuel cell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same
RU2448394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батареи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варианты) и батарея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107081B1 (ko) 연료 전지용 스택과 이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5228699B2 (ja) 燃料電池
JP2007026857A (ja) 燃料電池
KR20230096438A (ko) 아자이드 작용기를 갖는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Eapen et al. * IIT Madras, Chennai, India, Clarkson University and Texas Tech University, Lubbock, TX, USA
KR20090050649A (ko)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JP2007012328A (ja)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153267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90128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120

Appeal identifier: 2009101000647

Request date: 2009012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128

Effective date: 201101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128

Decision date: 20110120

Appeal identifier: 200910100064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