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649A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 Google Patents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0649A KR20090050649A KR1020070117220A KR20070117220A KR20090050649A KR 20090050649 A KR20090050649 A KR 20090050649A KR 1020070117220 A KR1020070117220 A KR 1020070117220A KR 20070117220 A KR20070117220 A KR 20070117220A KR 20090050649 A KR20090050649 A KR 200900506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polymer electrolyte
- cell stack
- temperature
- humid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hydrogen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5—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507—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수명을 늘리기 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료전지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로써 디젤발전, 증기가스 터빈장치 등의 다른 발전장치에 비해 발전효율이 높고 소음 및 유해 배기가스 등에 의한 문제점이 적은 장점이 있다. 세부적인 반응에 대하여 설명하면 연료전지는 양극에 수소를 함유한 연료가스를 음극에는 산소를 함유한 산화성 가스를 공급하여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장치로써, 질소산화물이나 매연 등의 배출이 없고 소음과 진동 등이 적은 친환경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배기가스를 방출하지 않아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용 구동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이 이루어져 그 실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크게 알칼리형, 인산형, 용융탄산염, 고체산화물 및 고분자 연료전지로 분류되는바, 이들 중 이동전원용 에너지 원으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고분자를 전해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해질에 의한 부식이나 증발의 위험이 없으며, 단위 면적당 높은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타 연료전지에 비해 출력특성이 월등히 높고, 작동온도가 낮은 장점이 있는 연료전지이다. 하지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아직까지 연료로 공급되는 가스의 가습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 성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고분자 전해질의 열화 또한 빠르게 진행된다. 특히, 연료전지 스택과 가습기 사이의 상대습도는 매우 중요하다. 스택과 가습기 사이의 상대습도가 낮아지게 되어 저 가습 상태가 유지될 경우 연료전지 내부의 MEA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열화가 시작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연료전지에 있어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고분자 전해질은 공급된 수소에서 촉매에 의하여 분해된 수소 양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질이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이 열화가 되었을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스택이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과 가습기의 경우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가스의 상대습도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가 상호 연관적으로 조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들 낮추어 상대습도를 증가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결된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연료전지 스택과 연료전지 스택과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를 연결하는 가스라인과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와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 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 연료전지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의 온도가 급작스럽게 변화하여 공급되는 가스의 상대습도 낮아질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낮추어 연료전지 고분자전해질의 열화를 방지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 가스의 상대습도가 낮아질 경우 스택의 온도를 낮추어 고분자 전해질의 열화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운전모드를 통하여 연료전지 고분자 전해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의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 연료전지 스택과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에서 읽힌 온도를 바탕으로 하여 연료전지 스택과 공급 가스의 가습장치 사이의 상대습도를 기억한다.
상기의 기억된 상대습도를 바탕으로 연료전지 가습장치의 온도가 변화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상대습도가 낮아질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낮추어 연료전지의 고분자 전해질 열화를 방지한다.
도 1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Claims (3)
-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연료전지 스택과;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어 있는 연료전지 온도 조절기와;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가스를 가습시켜주는 가습장치와;상기 가습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가습기 온도 조절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 상기의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공급 가스의 가습이 낮아질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낮추어 고분자 전해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운전모드
- 상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저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는,상기 연료전지의 스택으로 공급되는 공급 가스의 가습을 수행해주는 가습기의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연료전지의 가습기의 온도가 낮아져 저 가습 상황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 단계에서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에서 저가습 상황이 발생하였 다고 판단되면,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낮추는 단계;상기 판단 단계에서 가습기의 온도가 낮아져 연료전지 스택에 저 가습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낮추어 연료전지 고분자전해질의 열화를 방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220A KR20090050649A (ko) | 2007-11-16 | 2007-11-16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220A KR20090050649A (ko) | 2007-11-16 | 2007-11-16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0649A true KR20090050649A (ko) | 2009-05-20 |
Family
ID=4085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7220A Withdrawn KR20090050649A (ko) | 2007-11-16 | 2007-11-16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064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90834B2 (en) | 2016-04-18 | 2019-11-26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tack |
-
2007
- 2007-11-16 KR KR1020070117220A patent/KR2009005064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90834B2 (en) | 2016-04-18 | 2019-11-26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t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4728B1 (ko) | 하이브리드 모델을 이용한 연료전지 운전조건 최적화 방법 | |
JP4978037B2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KR100821768B1 (ko) | 차량용 연료전지의 활성화 방법 | |
CN106992307B (zh) | 燃料电池堆发电系统的液体循环子系统 | |
JP5206206B2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CN101540409A (zh) | 电场-膜电极组合结构的燃料电池装置及其可逆式再生氢氧电解装置 | |
KR102716363B1 (ko) | 연료전지 스택 | |
KR101782353B1 (ko) | 연료전지 시스템 냉시동 방법 | |
JP2007103172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ガス排出方法 | |
JP2009129879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 |
KR20090050649A (ko)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저 가습 온 오프 사이클 운전시내구성 향상을 위한 운전모드 | |
JP2014165063A (ja) | ガス流量制御装置及びガス流量制御方法 | |
CN101542811B (zh) | 燃料电池系统及其运转方法 | |
KR101601377B1 (ko) | 연료전지 공기극 공급 공기의 열교환기 장치 및 열 교환 방법 | |
KR20230020830A (ko) | 연료전지 유닛의 함습도 제어장치 | |
JP4788151B2 (ja) | 燃料電池の特性復帰方法および特性復帰装置 | |
KR100821766B1 (ko) | 연료전지 차량의 냉시동 향상을 위한 바이폴라플레이트 | |
JP4578238B2 (ja) | 燃料電池の始動方法、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搭載車両 | |
KR101084078B1 (ko)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
KR102673722B1 (ko) | 연료전지 냉각성능 측정 시험 장치 및 방법 | |
JP4204526B2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KR101387756B1 (ko) | 열전소자를 갖는 다중 연료전지 운전 시스템 | |
JP2022092373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JP2009032512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CN1549382A (zh) | 具有燃料再利用装置的燃料电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