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241B1 - 조립식 진열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진열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2241B1 KR101022241B1 KR1020080136253A KR20080136253A KR101022241B1 KR 101022241 B1 KR101022241 B1 KR 101022241B1 KR 1020080136253 A KR1020080136253 A KR 1020080136253A KR 20080136253 A KR20080136253 A KR 20080136253A KR 101022241 B1 KR101022241 B1 KR 1010222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vertical
- pin
- horizontal
- assembly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규격화된 소정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양측 연결단면 각각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핀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캠조립공과;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캠과;
사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된 입구를 가지고 있는 결속홈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위치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 조립되는 각형연결부재와;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핀조립공으로 삽입되는 직경을 갖는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하나씩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결속캠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캠고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걸림되어 결속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조립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는 몸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 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의 일측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상기 결속홈의 입구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조립식 진열장, 진열공간, 수평조립판재, 수직조립판재, 각형연결부재, 조립핀, 결속캠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연결단면과 각형연결부재를 결속시켜주기 위한 조립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와 각형연결부재의 조립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며, 또한 개선된 구조의 조립핀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및 각형연결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장은 판매하고자 하는 여러 상품들을 진열 내지 전시할 수 있도록 하나 내지 복수의 진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조립식 진열장은 규격에 맞추어 제작된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및 배면조립판재 등을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는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조립하는 조립작업이 어렵고 힘들 뿐 아니라 숙련된 기술을 요하게 되므로 비숙련자는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설계에 맞추어 조립하는데 힘들고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일단 조립되었던 진열장을 다른 모양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분리 해체하였을 경우 한번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재사용할 수 없고 새로운 조립판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일단 조립식 진열장에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다시 박아주는 조립볼트 또는 나사못은 헐겁게 박히게 되므로 조립식 진열장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며, 또는 나사구멍을 피해서 조립볼트 내지 나사못을 박아주게 될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가 손상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재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진열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372340호의 선행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단부에 핀조립공을 미리 뚫어놓는 구조로서,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와 각형 파이프형재를 연결 조립하는 조립핀을 상기한 핀조립공에 넣고 빼내는 조립작업을 수차례 반복하게 되더라도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조립핀은 각형 파이프형재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그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결속단관에 나사조임식으로 조립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또 나사조임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진열장의 조립작업이 더디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과 같이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와 각형 파이프형재를 조립식 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진열장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조립판재(100) 및 수직조립판재(200) 각각의 조립단면에 각형 파이프형재(3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핀(400)을 사용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조립핀(400)의 일단에 형성된 결속단부(410)는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100)(200) 각각의 조립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조립공(110)(210) 각각으로 삽입되어 결속캠(500)에 의해 결속되는 것이며, 상기 조립핀(400)의 타단에 형성된 끼움단부(420)는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각 면에 하나씩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10)의 일측 끝단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결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진열장은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각 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10)에 조립핀(400)의 끼움단부(420)를 끼워주기 위해서는 상기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 끝에서 가이드홈(310)에 끼움단부(420)를 끼워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립핀(400)을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가이드홈(310)에 끼워주는 작업이 불편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홈(310)의 일측 끝단에서 끼움단부(420)을 끼워준 후에는 상기 조립핀(400)을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100)(200) 각각의 조립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조립공(110)(210)의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립핀(400)을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가이드홈(310)에 조립한 후 핀조립공(110)(21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일이 번거롭고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조립핀(400)의 끼움단부(420)은 조립핀(400)의 몸체와 같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가이 등홈(310)에 헐겁게 끼워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형 파이프형재(300)의 가이드홈(310)에 끼움단부(420)가 끼워진 조립핀(400)이 도 9의 도시와 같이 자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또 조립핀(100)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회전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와 각형 파이프형재의 조립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진열장의 견고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을 니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및 각형연결부재들의 연결 조립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진열장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규격화된 소정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양측 연결단면 각각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핀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캠조립공과;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캠과;
사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된 입구를 가지고 있는 결속홈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위치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 조립되는 각형연결부재와;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핀조립공으로 삽입되는 직경을 갖는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하나씩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결속캠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캠고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걸림되어 결속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조립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는 몸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의 일측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상기 결속홈의 입구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핀의 몸체 일단에는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결속홈의 입구에 걸림되는 상,하부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부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상,하면이 점차로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 각형연결부재를 연결시켜주는 복수의 조립핀은 몸체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를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결속홈의 입구 전방에서 삽입하여 결속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핀을 각형연결부재의 결속홈에 연결 조립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 로 진열장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복수의 조립핀에 형성된 걸림돌부는 각형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의 내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면접촉되어 있고 또 각 조립핀의 슬라이드부가 결속홈의 입구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면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조립핀 각각은 각형연결부재의 결속홈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 상태로 결속되므로 진열장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립이 완성된 진열장의 좌,우 양측에서 노출되어 있는 각형연결부재의 결속홈에 복수의 조립핀을 돌출하도록 조립해 놓았을 경우에는 상기 각 조립핀에 의류 등의 상품을 걸어놓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진열장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진열장을 하나의 진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장에 복수의 진열공간이 종횡으로 복수열 형성되도록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 각형연결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조립판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진열장을 연결 조립하는 조립핀의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각형연결부재와 조립핀의 결속 조립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진열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진열장(1)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진열공간(2)이 하나만 형성되도록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진열공간(2)이 상,하,좌,우로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진열장(1)은 복수의 진열공간(2)이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다양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열장(1)은 판상으로 형성된 수평조립판재(3), 수직조립판재(4),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각각을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직각방향으로 연결 조립하기 위한 각형연결부재(5), 상기 수평조립판재(3)와 수직조립판재(4) 및 각형연결부재(5)를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립핀(6), 상기 진열장(1)에 형성된 진열공간(2)이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재(7) 및 상기 복수의 조립핀(6)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캠(8) 등의 조립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측 연결단면(31)(41)에는 복수의 핀조립공(32)(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32)(42)들 각각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복수의 캠조립공(33)(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형연결부재(5)는 사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된 입구를 가지고 있는 결속홈(51)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속홈(51)은 도 5에 도 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구는 좁고, 상기 입구의 안쪽은 넓어지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형연결부재(5)의 양단에는 마감캡(52)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조립핀(6)은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3)(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형성된 핀조립공(32)(42)에 삽입되는 직경을 가진 몸체(61)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 입구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면접촉되는 슬라이드부(62)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전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돌부(63) 및 상기 걸림돌부(63)에는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51) 입구의 이면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단턱(64)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돌부(63)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상,하면(631)(632)이 점차로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조립핀(6)의 몸체(61) 타단에는 돌출하는 연결부(65)의 끝단에서 점차로 확장되는 경사면(66)이 형성된 결속단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핀(6)의 몸체(61) 일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부(62)와 걸림돌부(62)는 상기 몸체(61)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각형연결부재(5)의 각 결속홈(51)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결속홈(51)을 따라 슬라이등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조립핀(6)의 몸체(61)는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형성된 핀조립공(32)(42) 속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몸체(61)의 타단에 돌출하는 연결부(65) 끝단에 형성된 결속단부(67)는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캠조립공(33)(43)을 통해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33)(43) 각각에는 각형연결부재(5)를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연결 조립하기 위한 결속캠(8)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조립된다.
상기 결속캠(8)에는 몸체(61)의 타단에 돌출하는 연결부(65)의 끝단에 형성된 결속단부(67)를 핀조립공(32)(42)의 반대방향을 향해 끌어당기 위한 한 쌍의 캠고리(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캠(8)에는 드라이버(또는 육각렌치) 등의 도구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회전작동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속캠(8)은 복수의 캠조립공(33)(43) 각각에 삽입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작동홈(82)에 드라이버의 도구를 끼워넣고 상기 캠조립공(33)(43)에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캠고리(81)의 끝부분이 결속단부(67)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속캠(8)을 회전시키게 되면 한 쌍의 캠고리(81)가 결속단부(67)에 걸림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한 쌍의 캠고리(81)가 결속단부(67)에 걸림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결속캠(8)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캠고리(81)가 결속단부(67)를 핀조립공(32)(42)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핀(6)은 각형연결부재(5)를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핀(6)의 몸체(61)는 슬라이드부(62)의 두께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61)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부(62)의 상,하면에서 돌출하는 상,하부 지지단턱(68)(6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단턱(68)(69)는 걸림돌부(63)를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삽입 연결시켰을 때 상기 결속홈(51) 입구의 외측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걸림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재(7)는 그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되는 양측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후단 양면에 형성된 조립용 레일홈(44)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열장을 조립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각형연결부재(5)를 연결 조립하기 위한 복수의 조립핀(6)은 도 7a 도시와 같이 상기 조립핀(6)을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 전방에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도 7b와 같이 상기 조립핀(6)의 걸림돌부(63)를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결속단부(67)가 상향을 향하도록 몸체(61)를 경사진 상태로 하여 상기 걸림돌부(63)를 결속홈(51)의 입구로 삽입시키며, 상기 걸림돌부(63)가 결속홈(51)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면 도 7c와 같이 상기 조립핀(6)을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전시켜주면 상기 조립핀(6)의 슬라이드부(62)는 결속홈(51)의 입구 상,하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지지됨과 동시에 걸림단턱(64)은 결속홈(51)의 입구 내면에 면접촉 상태로 걸림되는 한편, 상기 조립핀(6)의 몸체(61) 일단에 형성된 상,하부 지지단턱(68)(69)은 결속홈(51)의 입구 외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걸림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걸림돌부(63)의 전면과 상면(631)은 결속 홈(51)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삽입 조립되는 상기 조립핀(6)의 걸림돌부(63)는 결속홈(51)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형성된 핀조립공(32)(42)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 설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삽입 조립된 걸림돌부(63)는 결속홈(51)의 입구 및 내면에 면접촉된 상태인 반면, 상기 결속홈(51)의 입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62)에 연결된 몸체(61)의 상,하부 지지단턱(68)(69)은 결속홈(51)의 입구 외면에 면접촉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조립핀(6)은 결속홈(51)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걸림돌부(63)를 삽입 연결시킨 상태에서 조립핀(6)의 몸체(61)와 결속단부(67)를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형성된 핀조립공(32)(42)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걸림돌부(63)가 삽입된 조립핀(6)의 몸체(61)를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핀조립공(32)(42)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61)의 타단에 형성된 결속단부(67)는 캠조립공(33)(43)에 미리 조립된 결속캠(8)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캠고리(81)의 끝부분으로 진입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상기 결속캠(8)의 회전작동홈(8)에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끼워넣고 상기 한 쌍의 캠고리(81)가 결속단부(67)를 핀조립공(32)(42)의 반대쪽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결속캠(8)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캠고리(81)가 결속단부(67)를 핀조립공(32)(42)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결속홈(51)에 삽입 연결된 걸림돌부(63)는 각형연결부재(5)를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연결단면(31)(41)에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립작업으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수평조립판재(3)의 양측 연결단면(31) 각각에 각형연결부재(5)를 연결 조립한 다음, 이어서 상기 수평조립판재(3)의 양측 연결단면(31)에 연결 조립된 양측 각형연결부재(5) 각각에 수직조립판재(4)를 연결 조립한 상태에서는 양측 수직조립판재(4)의 후단측에 형성된 조립용 레일홈(44)에 배면판재(7)의 양단을 조립한 다음, 수평조립판재(3)의 양측 연결단면(31)에 연결 조립된 양측 각형연결부재(5)를 상기한 양측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상단에 조립하게 되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진열공간(2)이 형성된 단일구조의 진열장(1)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단일구조의 진열장(1)의 상,하,좌,우측으로 수직조립판재(4) 및 수평조립판재(3)를 연속해서 연결 조립하게 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진열공간(2)에 연속해서 형성된 복수구조의 진열장(1)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진열장(1)의 좌,우 양측으로 노출되는 각형연결부재(5)를 이용하여 의류나 가방 등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바, 이때에는 도 5의 도시(가상선부분 참조)와 같이 진열장(1)의 좌,우측으로 노출된 각형연결부재(5)의 결속홈(51)에 조립핀(6)의 걸림돌부(63)를 끼워주게 되면 상기 걸림돌부(63)는 결속홈(51)에 면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써 의류나 가방 등의 상품을 걸어줄 수 있으며, 또는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진열장(1)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진열장(1)은 진열공간(2)을 형성하는 수평조립판재(3) 및 수직조립판재(4) 각각의 일면에 형성된 캠조립공(33)(43)에 조립되어 있는 결속캠(8)들을 조립시 조립핀(6)의 결속단부(67)를 끌어당길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립핀(6)의 결속단부(67)를 한 쌍의 캠고리(81)에서 이완시키게 되면 수평조립판재(3)와 수직조립판재(4)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써 사용자는 진열장(1)에 진열 또는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 및 종류를 감안하여 기 조립된 진열장(1)을 분리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구조변경하여 재조립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진열장을 하나의 진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장에 복수의 진열공간이 종횡으로 복수열 형성되도록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 각형연결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조립판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X-X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열장을 연결 조립하는 조립핀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각형연결부재와 조립핀의 조립상태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의 분해 사시도 및 각형 파이프형재와 조립핀의 조립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열장 2 : 진열공간
3 : 수평조립판재 4 : 수직조립판재
31,41 : 연결단면 32,42 : 핀조립공
33,43 : 캠조립공 44 : 조립용 레일홈
5 : 각형연결부재 51 : 결속홈
6 : 조립핀 61 : 몸체
62 : 슬라이드부 63 : 걸림돌부
64 : 걸림단턱 65 : 연결부
66 : 경사면 67 : 결속단부
68,69 : 상,하부 지지단턱 631,632 : 상,하면
7 : 배면판재 8 : 결속캠
81 : 한 쌍의 캠고리 82 : 회전작동홈
Claims (2)
- 규격화된 소정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양측 연결단면 각각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핀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와;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캠조립공과;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캠과;사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된 입구를 가지고 있는 결속홈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위치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 조립되는 각형연결부재와;상기 수평조립판재 및 수직조립판재 각각의 양측 연결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핀조립공으로 삽입되는 직경을 갖는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하나씩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의 핀조립공 각각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캠조립공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결속캠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캠고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걸림되어 결속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장에 있어서,상기 조립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는 몸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결속홈으로 삽 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의 일측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상기 결속홈의 입구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립핀의 몸체 일단에는 각형연결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결속홈의 입구에 걸림되는 상,하부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부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상,하면이 점차로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253A KR101022241B1 (ko) | 2008-12-30 | 2008-12-30 | 조립식 진열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6253A KR101022241B1 (ko) | 2008-12-30 | 2008-12-30 | 조립식 진열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098A KR20100078098A (ko) | 2010-07-08 |
KR101022241B1 true KR101022241B1 (ko) | 2011-03-16 |
Family
ID=4263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6253A KR101022241B1 (ko) | 2008-12-30 | 2008-12-30 | 조립식 진열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22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686Y1 (ko) * | 2011-11-09 | 2014-01-03 | 서동환 | 가구용 프레임 |
CN102743028B (zh) * | 2012-08-14 | 2014-10-15 | 王碧荣 | 一种多功能组合柜 |
CN105496028B (zh) * | 2016-01-08 | 2017-10-24 | 平湖市陈达仓储办公设备有限公司 | 一种可快速装配的柜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22517A (en) * | 1975-12-08 | 1977-05-10 | Amity Leather Products Company | Display case for small articles |
KR100210755B1 (ko) | 1992-04-01 | 1999-07-15 | 신오섭 | 조립체크가구 |
KR20040102696A (ko) * | 2003-05-29 | 2004-12-08 | 양경호 | 조립식 진열장 |
KR100499789B1 (ko) | 2002-03-22 | 2005-07-07 | 양경호 | 조립식 진열장 |
-
2008
- 2008-12-30 KR KR1020080136253A patent/KR1010222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22517A (en) * | 1975-12-08 | 1977-05-10 | Amity Leather Products Company | Display case for small articles |
KR100210755B1 (ko) | 1992-04-01 | 1999-07-15 | 신오섭 | 조립체크가구 |
KR100499789B1 (ko) | 2002-03-22 | 2005-07-07 | 양경호 | 조립식 진열장 |
KR20040102696A (ko) * | 2003-05-29 | 2004-12-08 | 양경호 | 조립식 진열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8098A (ko) | 201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2143B1 (ko) | 무볼트 조립식 앵글 | |
US7025645B1 (en) | Snappingly assembled surf fins | |
KR101022241B1 (ko) | 조립식 진열장 | |
JP6982900B2 (ja) | フェンス装置 | |
US20080069631A1 (en) | Modular furniture | |
KR200440676Y1 (ko) | 조립식 선반 | |
KR20140005694U (ko) |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 |
EP2953509A1 (en) | Pop-up shelving system | |
IT202100002174A1 (it) | Dispositivo di supporto e di fissaggio rimovibile di ripiani ai montanti di un mobile | |
KR20100093188A (ko) | 각형 중공바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 |
US20210214942A1 (en) | Modular building system for hardscape structure | |
WO2017096449A1 (pt) | Configuração aplicada em conjunto estrutural empregado na fabricação de móveis modulares ou planejados | |
KR100544604B1 (ko) | 장식판넬 고정장치 | |
CN209990065U (zh) | 一种装饰板安装组件 | |
CN110107568B (zh) | 一种组装式自锁框架 | |
KR20060024992A (ko) | 플러쉬형 칸막이의 연결장치 | |
KR200331824Y1 (ko) | 선반 | |
KR200366647Y1 (ko) | 전시부스용 조립부재 | |
KR200363417Y1 (ko) | 선반의 조립구조 | |
JP3119739U (ja) | ラック組立て構造 | |
KR200450018Y1 (ko) | 조립식 전시장치 | |
IT202000005086A1 (it) | Dispositivo di giunzione perfezionato per parti di mobili e complementi di arredo | |
JP2007117232A (ja) | 組立式収納家具 | |
KR200191327Y1 (ko) | 공구 걸이 진열대 | |
KR20040038942A (ko) | 레일 및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책선반(서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