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9756B1 -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756B1
KR101019756B1 KR1020090131248A KR20090131248A KR101019756B1 KR 101019756 B1 KR101019756 B1 KR 101019756B1 KR 1020090131248 A KR1020090131248 A KR 1020090131248A KR 20090131248 A KR20090131248 A KR 20090131248A KR 101019756 B1 KR101019756 B1 KR 101019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dicing film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백성
황민규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756B1/ko
Priority to CN201010610077.2A priority patent/CN102142389B/zh
Priority to TW099145500A priority patent/TWI463577B/zh
Priority to US12/977,664 priority patent/US201101592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7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7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274Manufacturing methods by blanket deposition of the material of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7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274Manufacturing methods by blanket deposition of the material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743Manufacturing methods by blanket deposition of the material of the layer connector in solid form
    • H01L2224/27436Lamination of a preform, e.g. foil, sheet o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1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665Epoxy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25Electromagnetic shi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62Polymer derived from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acrylic or alkacrylic group or the nitrile or amide derivative thereof [e.g., acrylamide, acrylate est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irradiated or wave energy treate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c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웨이퍼와 접착될 접착층, 및 접착층과 중첩되는 영역의 접착층 영역 및 접착층 옆으로 상면이 노출되는 링프레임(ring frame) 영역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도입한다. 다이싱 필름층 후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노출된 링프레임 영역의 상면으로 라디칼 스케벤저(radical scavenger)로서 산소의 유입을 유도하여 링프레임 영역의 광경화를 억제하고, 접착층에 의해 산소의 유입이 차단된 접착층 영역의 광경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다이싱 필름, 점착, 접착필름, 반도체용 접착제, 자외선 경화

Description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Non-UV type die attach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package)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칩 픽업(chip pick up) 과정을 위한 자외선 노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비자외선형(non-UV type) 다이접착필름(die attach film)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과정은 반도체 회로를 웨이퍼에 형성한 후, 웨이퍼와 다이싱다이본딩 필름과 같은 다이접착(die attach)필름과 합지시키고, 이후 소잉(sawing) 과정을 수행하여 작은 반도체 칩들로 분리시킨다. 이후에, 다이접착필름으로부터 반도체 칩을 픽업(pick up)하는 데, 이때, 다이접착필름의 다이싱 필름층과 칩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분리하기 위해서, 자외선 노광을 수행하여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층 간의 점착력을 소실시켜 픽업이 수행될 정도로 저하시킨다. 접착층이 접착된 상태로 픽업된 반도체 칩은 패키지 기판이나 다른 반도체 칩 상에 부착되고, 이후에, 에폭시몰딩제(EMC: Epoxy Molding Compound) 과정이 수행되어 최종적인 반도체 패키지가 제조된다.
픽업 직전에 수행되는 자외선 노광 과정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과정 중에 많 은 공정 시간을 소요하는 과정으로, 반도체 패키지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쳐 생산성 증대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노광 과정 중에 자외선 조사기의 오작동이 유발될 경우 랏(lot)에 정렬된 웨이퍼 중 노광 과정이 누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픽업 과정에서 소잉된 반도체 칩들이 다이접착필름의 다이싱 필름층으로부터 박리되지 못하는 픽업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잉 과정과 칩 픽업 과정 사이에 도입되는 자외선 노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다이접착필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다이접착필름 제조 과정에서 사전에 다이싱 필름층과 접착층 간의 점착력, 즉, 다이싱 필름층의 점착력을 미리 조정하여, 다이싱 시 웨이퍼를 유지 또는 고정 지지시키는 유지력과 픽업 과정에서 요구되는 박리력을 함께 구비하는 다이싱 필름 또는 다이접착필름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다이싱 필름층의 점착력을 미리 저하시킬 경우, 다이싱 과정에서 다이싱 필름층의 테두리부분 상에 부착되어야 하는 링프레임(ring frame)과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유발될 수 있다.
다이싱 필름층의 테두리부분은 링프레임과 상당한 결착성을 가지며 다이싱 과정 및 픽업 과정 중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데, 다이싱 필름층의 점착력이 크게 저하된 상태에서는 링프레임과의 결착 또는 부착력이 약화되어, 공정 과정 중에 링프레임이 다이싱 필름층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박리 이탈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링프레임의 분리는 링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는 웨이퍼나 소잉된 반도체 칩들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이싱 및 픽업 과정에 참여하는 공정 장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링프레임이 부착될 다이싱 필름층의 테두리부분의 점착력은 유지하면서,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층 간의 점착력은 칩 픽업에서 요구되는 박리력을 제공하게 저하시켜, 소잉 과정과 픽업 과정 사이에 점착력 저하를 위한 자외선 노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관점은, 웨이퍼와 접착될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중첩되는 영역의 접착층 영역 및 상기 접착층 옆으로 상면이 노출되는 링프레임(ring frame) 영역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노출된 링프레임 영역의 상면으로 라디칼 스케벤저(radical scavenger)로서 산소의 유입을 유도하여 상기 링프레임 영역의 광경화를 억제하고,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산소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접착층 영역의 광경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다이싱 필름층은 상기 접착층 상에 커버층이 부착된 상태로 도입되고,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에 투명한 핸들링(handling)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층을 제거하여 상기 링프레임 영역의 상면을 상기 산소 유입을 위해 대기 또는 산소 분위기에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에 상기 링프레임 영역 상을 차단하는 광차단 마스킹 블레이드(masking blade)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은, 웨이퍼와 접착될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아래에 도입된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싱 필름층은 상기 접착층과 중첩되는 영역이고 광경화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성(tackiness)을 가지는 접착층 영역, 및 상기 접착층 옆으로 상면이 노출되는 영역이고 광경화가 억제되어 상기 접착층 영역에 비해 높은 점착성이 유지된 링프레임(ring frame) 영역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을 제시한다.
상기 링프레임 영역은 상기 다이싱 필름층의 초기 점착성에 비해 60% 이상의 점착성을 유지하고, 상기 접착층 영역은 상기 다이싱 필름층의 초기 점착성에 비해 20% 이하의 점착력으로 저하된 점착력을 가지는 다이접착필름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링프레임이 부착될 다이싱 필름층의 테두리부분의 점착력은 유지하면서,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층 간의 점착력은 칩 픽업에서 요구되는 박리력을 제공하게 저하시켜, 소잉 과정과 픽업 과정 사이에 점착력 저하를 위한 자외선 노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잉 과정과 픽업 과정 사이에 도입되던 자외선 노광 과정을 생략하여, 전체 다이 어태치(die attach) 과정 또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과정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의 오작동에 의한 자외선 노광 과 정의 누락에 의해서, 칩 픽업 과정에서 픽업 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패키지 과정의 공정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이접착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를 포함하는 다이싱 필름층을 자외선 경화하여 다이싱 필름층이 픽업 과정에서 요구되는 박리력을 제공할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게 점착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점착력은 다이싱 시의 웨이퍼 유지력 및 픽업 공정 상에서의 박리력을 제공하게 조정된다.
다이싱 필름층에 대한 자외선 경화는 다이싱 필름층 상에 웨이퍼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다이싱 필름층은 상면이 접착층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인 접착층 영역과 접착층에 의해 노출되는 테두리 부분인 링프레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다이싱 필름층의 후면으로부터 자외선 광이 입사되게 한다.
이때, 상면이 접착층 옆으로 노출되는 링프레임 영역은 대기 중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대기 중의 산소가 이러한 링프레임 영역의 다이싱 필름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접착층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은 산소의 유입이 접착층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산소가 유입될 수 있는 링프레임 영역에서 유입된 산소는 자외선에 의한 경화 작용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산소는 자외선에 의해 다이싱 필름층 내에 발생되는 라디칼(radical)과 우선적으로 결합하여, 라디칼이 경화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산소는 라디칼에 대한 스케벤 저(scavenger)로 작용한다. 접착층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의 다이싱 필름층 부분은 이러한 산소 유입이 접착층에 의해 차단되므로, 자외선 노광에 의한 경화 작용이 진행되어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이에 비해, 링프레임 영역의 다이싱 필름층 부분에는 산소 유입에 의한 경화 작용 방해, 지연 등에 의해서,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 방법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경화 점착 필름으로서의 다이싱 필름층(110) 및 다이싱 필름층(110) 상에 전사된 칩 접착을 위한 접착층(120)을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100)이 제조된다. 다이싱 필름층은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UV 광에 의해 라디칼 생성 및 이에 의한 광 경화가 진행될 수 있는 조성물로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은 통상의 다이싱 필름 또는 다이접착필름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일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 바인더(binder)와, 광개시제 및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다이싱 필름층(110) 상에 접착층(120)이 도입되고, 이러한 접착층(120) 상에 제1커버(cover)층(210)이 부착된 상태로 다이접착필름(100)이 1차 제조된다. 제1커버층(2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다이접착필름(100)의 초기 상태는 현재 반도체 패키지 분야에서 일반적인 제품으로 제공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이접착필름(100)의 다이싱 필름층(110)의 후면에 핸들링 필름(handling film: 230)을 합지한다. 핸들링 필름(230)은 PET 필름과 같이 자외선 노광에 사용될 자외선 파장대에서 적어도 80% 이상의 투과율을 보이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커버층(210)을 제거하여, 접착층(120) 및 접착층(120) 옆의 다이싱 필름층(110)의 테두리 부분을 노출한다. 이에 따라, 다이싱 필름층(110)은 상면이 접착층(120)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인 접착층 영역(112)과 접착층(120)에 의해 노출되는 테두리 부분인 링프레임 영역(11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링프레임 영역(114) 상에는 다이 어태치 과정 내지 픽업 과정에서 링프레임이 부착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들링 필름(230)의 후면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자외선 노광을 수행한다. 자외선 조사는 다이싱 필름층(100)의 후면으로부터 자외선 광이 입사되게 한다. 이때, 상면이 접착층(120) 옆으로 노출되는 링프레임 영역(114)은 대기 중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대기 중의 산소(oxygen)가 이러한 링프레임 영역(114)의 다이싱 필름(110) 부분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접착층(120)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도 3의 112)은 산소의 유입이 상부의 접착층(120)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산소가 유입될 수 있는 링프레임 영역(114)에 유입된 산소는 자외선에 의한 경화 작용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산소는 자외선에 의해 다이싱 필름층(110) 내에 발생되는 라디칼(radical)과 우선적으로 결합하여, 라디칼이 경화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산소는 라디칼에 대한 스케벤 저(scavenger)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링프레임 영역(114)의 다이싱 필름층(110)은 다이접착필름(100)의 초기 상태에서의 점착력 상태와 대등한 점착력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접착층(120)에 의해 가려진 중앙 부분인 접착층 영역(도 3의 112)의 다이싱 필름층(110) 부분은 이러한 산소 유입이 접착층(120)에 의해 차단되므로, 자외선 노광에 의한 경화 작용이 진행되어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된 영역(113)으로 변성된다. 이러한 변성된 접착층 영역(113)의 점착력은 소잉된 칩이 픽업될 수 있을 정도의 박리력을 제공하며, 또한, 접착층(120) 상에 부착되는 웨이퍼가 다이 어태치 과정에서 고정 유지될 정도의 웨이퍼 유지력을 제공하게 조정된다. 이러한 점착력의 조정은 UV 조사 에너지나 시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링프레임 영역(114)의 다이싱 필름층(110) 부분에는 산소 유입에 의한 경화 작용 방해, 지연 등에 의해서,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링프레임 영역(114)은 다이 어태치 과정 등에서 링프레임과 상대적으로 강한 결착력 또는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링프레임의 이탈과 같은 불량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한편, UV 조사는 핸들링 필름(230)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링프레임 영역(114)를 가려주는 차광 블레이드(blade: 300))와 같은 마스크(mask)를 도입한 상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링프레임 영역(114)에서의 점착력 유지 특성은 보다 신뢰성있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착층(120) 상에 제2커버층(250)을 합지한다. 이때, 핸들 링 필름(230)은 제거된다. 이에 따라, 다이싱 필름층(110)의 링프레임 영역(114)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이 유지되고, 내측의 접착층 영역(113)은 칩 픽업이 가능할 정도로 낮은 점착력을 유지하게 구비되는 다이싱 필름층(110)과 다이싱 필름층(110) 상의 웨이퍼 접착을 위한 접착층(120) 및 제2커버층(250)을 포함하는 형태의 다이접착필름(100)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접착필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제조
도 1 내지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이싱 필름층(110)의 접착층 영역(113)의 자외선 변성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된 상태로 유지하고, 링프레임 영역(114)는 산소 스케벤저의 작용에 의해 초기 점착력 상태와 대등한 상태로 유지하게 다이접착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1 : UV 후면 조사
접착층(도 3의 120) 옆으로 노출되는 링프레임 영역(114)이 대기 중 산소나 의도적으로 제공하는 산소 분위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를 수행한 경우, 실시예 1과 달리 링프레임 영역(114)의 점착력이 유지되지 못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다이 어태치 과정에 제공되는 다이접착필름 형태인, 다이싱 필름층(11) 및 접착층(12) 상에 접착층(12)과 다이싱 필름층(11)의 상면 모두가 커버층(15)에 의해 가려져, 다이싱 필름층(11)의 테두리 부분의 상면이 노출되지 않을 경우, 후면에 자외선 조사를 수행할 경우 다이싱 필름층(11) 전체에 대 해 점착력이 저하된다. 이는 산소 스케벤저에 의한 선택적 경화 지연 또는 방해 작용이 유도되지 못한 점에 기인한다.
삭제
삭제
다이싱 필름층의 박리력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같이 제조된 경우에서의 점착 조성물 필름층의 물성시험을 위하여, 광경화형 점착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코팅하여 건조시키고, 도막이 8 ∼ 12um인 코팅 두께로 코팅한 다음, 폴리올레핀 필름에 전사하고 25∼ 60℃에서 3일∼7일 동안 에이징(aging)한 후, 점착 조성물 필름층의 점착력 및 박리력을 측정한다.
점착력 측정은 한국 공업 규격 KS-A-01107(점착 테이프 및 점착 시이트의 시험 방법)의 8항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에서와 같이 대등하게 제조되는 시편에 대해서, 폭 25mm, 길이 250mm의 시료를 붙인 후, 필름면에 접착 테이프를 붙인 후 2kg 하중의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압착한다. 압착 후 30분 경과 후에 시험편의 접은 부분을 180°로 뒤집어 약 25mm를 벗긴 후, 시험편을 인장강도기의 위쪽 클립에 다이 접착용 접착필름을 시험판 아래쪽 클립에 고정시키고, 300mm/min의 인장속도로 당겨 벗길 때의 하중을 측정한다.
인장 시험기는 인스트론 테스터(Instron Series lX/s Automated materials Tester-3343)를 사용하고,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30mJ/cm2 ~ 300mJ/cm2의 에너지로 UV 조사를 수행하고 조사 전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다이싱 필름층의 점착성(tackiness)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와 같이 제조된 시험편을 이용하여, 프로브 택 측정기(probe tack tester ; tacktoc-2000)로 점착성(tackiness)을 측정하여 표 1에 제시한다. 측정방법은 ASTM D2979-71에 의거하여 깨끗한 프로브의 끝을 10+0.1mm/sec의 속도와 9.79+1.01kPa의 접촉 하중으로 1.0+0.01초 동안 다이싱 필름층의 점착제와 접촉시킨 다음 떼었을 때 필요한 최대 힘을 점착성(tackiness)값으로 한다.
픽업 성공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와 같이 제조된 다이접착필름을 사용하여 소잉 및 픽업 과정을 시험하여 픽업 성공율을 측정한다.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제시된다.
물성 비교 실험 결과
실시예 1 비교예 1
광경화전 박리력
점착층 & 접착층
(N/25mm)
1.188 1.184
광경화후 박리력
점착층 & 접착층
(N/25mm)
0.0981 0.0995
광경화전 박리력
점착층 & SUS(스테인레스 스틸)
(N/25mm)
1.068 1.054
광경화후 박리력
점착층 & SUS(스테인레스 스틸)
(N/25mm)
0.7125 0.0895
Tackiness(UV전)
접착층부착부위
112 98
Tackiness(UV후)
접착층부착부위
13 15
Tackiness(UV전)
접착층부착 이외부위
112 98
Tackiness(UV후)
접착층부착 이외부위
73 14
Pick-Up 성공률(%) 100 0(평가불가)
링프레임 탈리여부 탈리미발생 탈리발생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이싱 필름층(즉, 점착층)의 점착 특성은 비교예 1 의 점착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접착층 부착 부위, 즉, 접착층 영역(도 5의 113)의 광경화 후의 점착 물성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평가된다. 링프레임과 부착이 이루어지는 접착층 이외의 부위, 즉, 링프레임 영역(도 5의 114)에서는 광경화 후에는 실시예 1 경우에는 일정 수준 이상, 예컨대, 70 이상의 점착성을 유지하는 반면 비교예1의 경우에는 점착성을 실질적으로 상실하여 링프레임과의 탈리현상이 발생한다. 실시예1의 경우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접착필름은 UV 조사 이후에 링프레임 영역은 초기 점착성에 대해 60% 이상의 점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접착층 영역은 20% 이하의 점착성을 가지게 점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광경화 이후에는 높은 픽업 성공률과 링프레임 부착력을 동시에 가지는 다이접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Claims (6)

  1. 웨이퍼와 접착될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중첩되는 영역의 접착층 영역 및 상기 접착층 옆으로 상면이 노출되는 링프레임(ring frame) 영역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노출된 링프레임 영역의 상면으로 라디칼 스케벤저(radical scavenger)로서 산소의 유입을 유도하여 상기 링프레임 영역의 광경화를 억제하고,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산소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접착층 영역의 광경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다이싱 필름층은 상기 접착층 상에 커버층이 부착된 상태로 도입되고,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에 투명한 핸들링(handling)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층을 제거하여 상기 링프레임 영역의 상면을 상기 산소 유입을 위해 대기 또는 산소 분위기에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싱 필름층 후면에 상기 링프레임 영역 상을 차단하는 광차단 마스킹 블레이드(masking blade)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제조방법.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이접착필름.
  5. 웨이퍼와 접착될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아래에 도입된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싱 필름층은 상기 접착층과 중첩되는 영역이고 광경화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성(tackiness)을 가지는 접착층 영역, 및 상기 접착층 옆으로 상면이 노출되는 영역이고 광경화가 억제되어 상기 접착층 영역에 비해 높은 점착성이 유지된 링프레임(ring frame) 영역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점착물의 다이싱(dicing) 필름층을 포함하는 다이접착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프레임 영역은 상기 다이싱 필름층의 초기 점착성에 비해 60% 이상의 점착성을 유지하고,
    상기 접착층 영역은 상기 다이싱 필름층의 초기 점착성에 비해 20% 이하의 점착력으로 저하된 점착력을 가지는 다이접착필름.
KR1020090131248A 2009-12-24 2009-12-24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19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248A KR101019756B1 (ko) 2009-12-24 2009-12-24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CN201010610077.2A CN102142389B (zh) 2009-12-24 2010-12-22 非uv型芯片模贴装膜和制造该芯片模贴装膜的方法
TW099145500A TWI463577B (zh) 2009-12-24 2010-12-23 晶粒附接薄膜及其製造方法
US12/977,664 US20110159223A1 (en) 2009-12-24 2010-12-23 Die-attach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248A KR101019756B1 (ko) 2009-12-24 2009-12-24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756B1 true KR101019756B1 (ko) 2011-03-09

Family

ID=4393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9756B1 (ko) 2009-12-24 2009-12-24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59223A1 (ko)
KR (1) KR101019756B1 (ko)
CN (1) CN102142389B (ko)
TW (1) TWI46357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7247B2 (en) 2018-11-09 2023-01-31 Lg Chem, Ltd. Plasma etching method using faraday cage
US11932784B2 (en) 2019-09-26 2024-03-19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dicing tape and dicing tap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453A (ko) * 2010-12-17 2012-06-27 제일모직주식회사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
JP7590332B2 (ja) 2019-02-15 2024-11-26 キューリック・アンド・ソファ・ネザーランズ・ベーフェー 個別構成要素を組み立てるための動的剥離テープ
JP2023507966A (ja) 2019-12-17 2023-02-28 キューリック・アンド・ソファ・ネザーランズ・ベーフェー 個別構成要素を受け入れるための接着テー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4010A (ja) * 1999-07-08 2001-01-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9170786A (ja) * 2008-01-18 2009-07-30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800B1 (en) * 1997-02-10 2001-11-06 Lintec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producing a chip
JP3310576B2 (ja) * 1997-03-26 2002-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35387B1 (en) * 1998-03-30 2001-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tapes
JP2000223446A (ja) * 1998-11-27 2000-08-11 Denso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7417B2 (ja) * 2002-10-15 2008-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チップ状ワークの固定方法
JP4443962B2 (ja) * 2004-03-17 2010-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06206787A (ja) * 2005-01-31 2006-08-10 Sumitomo Bakelite Co Ltd ダイシングシート機能付きダイアタッ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WO2007139596A2 (en) * 2006-05-23 2007-12-06 Dow Corning Corporation Borane catalyst complexes with amide functional polymers and curable compositions made therefrom
KR100909169B1 (ko) * 2006-09-11 2009-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선 경화형 반도체 조립용 접착 필름 조성물
TW200842174A (en) * 2006-12-27 2008-11-01 Cheil Ind Inc Composition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and dicing die bonding film including the same
JP4955763B2 (ja) * 2007-05-17 2012-06-20 株式会社フジクラ 積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0533B2 (ja) * 2007-07-03 2012-02-22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異方性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合体
KR101161941B1 (ko) * 2007-09-14 2012-07-0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4010A (ja) * 1999-07-08 2001-01-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9170786A (ja) * 2008-01-18 2009-07-30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7247B2 (en) 2018-11-09 2023-01-31 Lg Chem, Ltd. Plasma etching method using faraday cage
US11932784B2 (en) 2019-09-26 2024-03-19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dicing tape and dicing tap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3577B (zh) 2014-12-01
TW201133661A (en) 2011-10-01
CN102142389A (zh) 2011-08-03
US20110159223A1 (en) 2011-06-30
CN102142389B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03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4107417B2 (ja) チップ状ワークの固定方法
US7858499B2 (en) Dicing tape and die attach adhesive with patterned backing
KR101688236B1 (ko) 다이싱 테이프 일체형 반도체 이면용 필름
JP2004356412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KR101019756B1 (ko) 비자외선형 다이접착필름 및 제조방법
CN110767595B (zh) 芯片接合切割片材
JPH05179211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イルム
WO2008032367A1 (fr) Feuille de decoupage en puces/fixation de puces
JPH1120455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14180A (ko) 다이싱ㆍ다이본드 필름
TW201722711A (zh) 半導體加工用膠帶
JP2010073816A (ja) 表面保護用シート
TWI686853B (zh) 附剝離襯墊之遮罩一體型表面保護帶
JP5379377B2 (ja) 表面保護用シートおよび半導体ウエハの研削方法
JP2003338474A (ja) 脆質部材の加工方法
TW201801162A (zh) 遮罩一體型表面保護帶
JP2008251934A (ja) 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439410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435694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200520994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5699263A (zh) 电子装置的制造方法
JP5379459B2 (ja) ダイシングテープ
JP200115602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5095514A (ja) ウエハ加工用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