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8847B1 -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847B1
KR101018847B1 KR1020090011484A KR20090011484A KR101018847B1 KR 101018847 B1 KR101018847 B1 KR 101018847B1 KR 1020090011484 A KR1020090011484 A KR 1020090011484A KR 20090011484 A KR20090011484 A KR 20090011484A KR 101018847 B1 KR101018847 B1 KR 10101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power
switching
broadband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208A (ko
Inventor
유성철
임경훈
양영구
박명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피플웍스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8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19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bias or supply voltage or current of the drain side of a FET amplifier being controlled to be on or off by a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단은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도록 된 DC-DC 변환기와; 드레인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은 상기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애노드단은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캐소드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스단과 연결된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게이트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된 스위칭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DC-DC 변환기의 출력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된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광대역 증폭기를 편리하게 고출력 또는 저출력 모드로 구현함과 동시에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광대역 증폭기,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NMOS 트랜지스터(N-Channel Metal-Oxide Transistor), DC-DC 변환기

Description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High Efficiency Dual Mode Output Power Switching Apparatus For Wideband Amplifier}
본 발명은 광대역 증폭기의 출력 전력을 스위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출력과 저출력 전력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고출력 및 저출력 전력에 최적화되도록 광대역 증폭기의 출력 전력을 선택적으로 이중모드 스위칭하여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개선된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증폭기는 넓은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최소한의 일그러짐 내에서 증폭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득과 대역폭의 곱이 큰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기는 전력 효율과 같은 경제성이나 소형화의 측면에 유리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대역 증폭기는 바이어스 동작점에 따라 증폭이득과 전력 특성이 변화되므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는 적정 수준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설정된 출력전력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광대역 증폭기에 의해 출력전력을 구현함에 있어서, 높은 출력 전력 을 구현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High Power Broadband Amplifier)가 활용되고, 낮은 출력 전력을 구현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Low Power Broadband Amplifier)가 활용되고 있으나, 고출력과 저출력이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와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중 어느 하나의 증폭기만으로는 고출력 모드와 저출력 모드에 동시에 최적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 장치는 두 개의 광대역 증폭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데, 그 중 하나는 고출력 전력특성을 갖는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1)이고, 다른 하나는 저출력 전력특성을 갖는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2)이다. 상기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1)와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2)의 입력단과 출력단은 각각 입력부 스위치(3)와 출력부 스위치(4)로 연결되어 고출력 모드와 저출력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고출력 전력을 구현하여야 하는 고출력 모드에서는 입력부 스위치(3)와 출력부 스위치(4)는 각각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1)의 입력단(A1)과 출력단(A2)으로 접점되며, 고출력 광대역 증폭기(1)에는 고출력 전력특성을 갖도록 높은 전압(Vdd1)이 인가되어 고출력 전력을 얻게 된다. 또한, 저출력 전력을 구현하여야 하는 저출력 모드에서는 입력부 스위치(3)와 출력부 스위치(4)는 각각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1)의 입력단(B1)과 출력단(B2)으로 접점되며, 저출력 광대역 증폭기(1)에는 저출력 전력특성을 갖도록 낮은 전압(Vdd2)이 인가되어 저출력 전력을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스위칭장치는 두 개의 광대역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고출력모드와 저출력모드를 구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두 개의 광대역 증폭기에 각각 전원 전압을 인가하여야 하는 관계로 손실되는 전력이 과대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광대역 증폭기를 이용하여 드레인 전압을 스위칭하여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이중모드의 출력전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는 입력단은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도록 된 DC-DC 변환기와;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DC-DC 변환기의 출력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된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드레인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은 상기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애노드단은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캐소드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스단과 연결된 다이오드,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게이트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된 스위칭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구동회로는 드레인단의 출력을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트랜지스터와 입력되는 전압을 반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하도록 된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오드는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에 의하면, 광대역 증폭기에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인가함으로서 하나의 광대역 증폭기로 고효율모드와 저효율모드에 대하여 최적의 출력전력 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대역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칭장치는 DC-DC 변환기(20)와, 스위칭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DC-DC 변환기(20)는 그 입력단은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C1)과 DC-DC 변환기(20)의 출력단(C2)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로 높은 출력을 구현할 것인지 낮은 출력을 구현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전원공급부의 출력단(C1) 또는 DC-DC 변환기(20)의 출력단(C2)으로 스위칭한다.
일예로, 광대역 증폭기(10)를 고출력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전원공급부의 출력단(C1)으로 스위칭하며, 전원공급부의 전압(Vdd)이 전원 입력단(P1)으로 입력됨에 따라 고출력 전력을 얻게 된다. 또한 광대역 증폭기(10)를 저출력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DC-DC 변환기(20)의 출력단(C2)으로 스위칭하며, DC-DC 변환기(20)는 전원공급부의 전압(Vdd)을 낮추어 출력단으로 출력하므로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에는 DC-DC 변환기(20)에 의해 낮아진 전압이 입력됨에 따라 저출력 전력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는 DC-DC 변환기(20)에서 전압을 낮추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일예로 전원공급부의 전압(Vdd)을 낮게 설정한 다음, 광대역 증폭기(10)를 저출력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전원공급부의 출력단(C1)으로 스위칭하며, 전원공급부의 전압(Vdd)이 전원 입력단(P1)으로 입력됨에 따라 낮은 출력 전력을 얻도록 하고, 반대로 광대역 증폭기(10)를 고출력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칭부(30)는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을 DC-DC 변환기(20)의 출력단(C2)으로 스위칭하고, DC- DC 변환기(20)는 전원공급부의 전압(Vdd)을 높여서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에는 DC-DC 변환기(20)에 의해 높아진 전압이 입력됨에 따라 고출력 전력을 얻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칭장치는 고출력모드인지 저출력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30)로 스위칭하여 광대역 증폭기(10)에 선택적으로 높은 전압(High Vdd) 또는 낮은 전압(Low Vdd)을 인가하는 것으로, 하나의 광대역 증폭기(10)로 이중 모드의 출력 전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위칭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부(3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1)와, 다이오드(32) 및 스위칭 구동회로(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1)는 NMOS(n-channel metal-oxide semiconductor)트랜지스터로서 광대역 증폭기(10)의 고출력/저출력 모드에 따라 On 또는 Off되도록 이루어지며, 그 드레인단(D1)은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S1)은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과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32)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1)과 같이 광대역 증폭기(10)의 고출력/저출력 모드에 따라 On 또는 Off되도록 이루어지는데, 그 애노드단(A)은 DC-DC 변환기(2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캐소드단(C)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소스단(S1)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다이오드(32)는 특히, 고속동작 에 유리하고 순방향 전압강하가 낮은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구동회로(33)는 광대역 증폭기(10)의 고출력/저출력 모드에 따라서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단(G1)에 게이트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스위칭 구동회로(33)는 트랜지스터(33a)와, 인버터(33b)로 구성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33a)는 NMOS(n-channel metal-oxide semiconductor)트랜지스터로서 그 드레인단(D2)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단(G1)으로 연결되어 트랜지스터(33a)의 드레인단(D2) 출력이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단(G1)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인버터(33b)는 입력되는 전압신호(Control)를 반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33a)의 게이트단(G2)으로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광대역 증폭기(10)를 구동함에 있어서, 높은 출력 전력을 구현할 것인지(고출력모드) 혹은 낮은 출력 전력을 구현할 것인지(저출력모드)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출력모드(고출력모드 또는 저출력모드)가 결정되면, 이에 해당하는 입력 전압신호(Control)를 스위칭 구동회로(33)의 입력단으로 입력한다. 일예로, 광대역 증폭기(10)를 고출력모드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압신호로 높은 입력 전압을 스위칭 구동회로(33)의 입력단으로 입력하는데, 입력된 전압은 인버터(33b)에 의해 반전되어 트랜지스터(33a)의 게이트단(G2)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33a)는 Turn-Off되며, 트랜지스터(33a)의 드레인단(D2)에는 높은 전압이 출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단(G1)으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높은 전압이 입력된 스위칭 트랜지스터(31)는 Turn-On되어 높은 전압이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압 입력단(P1)으로 인가되며, 이로 인해 광대역 증폭기(10)는 고출력 전력 특성으로 입력신호(Input)를 증폭시킨다. 이때,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드레인단(D1)과 소스단(S1)의 전압차는 크지 않으며, DC-DC 변환기(20)에 의해 다이오드(32)의 애노드단(A) 전압은 낮아지게 되는 관계로, 다이오드(32)는 OFF되며, 이로 인해 DC-DC 변환기(20)에 의해 낮아진 전압이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으로 인가되지 않는다.
만약, 광대역 증폭기(10)를 저출력 모드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전압신호로 낮은 입력 전압을 스위치 구동회로(33)의 입력단으로 입력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33a)의 게이트단(G2)에는 높은 입력 전압이 입력되어 트랜지스터(33a)는 Turn-On되고, 드레인단(D2)의 풀업저항(Pull-Up Resistor)(R)으로 흐르는 전류로 인해 트랜지스터(33a)의 드레인단(D2)에는 낮은 전압이 출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단(G1)으로 입력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31)는 Turn-Off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다이오드(32)로는 전류가 흐르면서 DC-DC 변환기(20)에 의해 낮아진 전압이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으로 인가되고, 이로 인해 광대역 증폭기(10)는 저출력 전력 특성으로 입력신호(Input)를 증폭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칭장치는 스위칭 구동회로(33)의 입력단에 광대역 증폭기의 고출력/저출력 모드에 따라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간단한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광대역 증폭기(10)의 전원 입력단(P1)으로 고전압 또는 저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시킴으로서, 편리하게 이중모드 출력 전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대역 증폭기 20 : DC-DC 변환기 30 : 스위칭부
31 : 스위칭 트랜지스터 32 : 다이오드 33 : 스위칭 구동회로
33a : 트랜지스터 33b : 인버터

Claims (4)

  1. 입력단은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도록 된 DC-DC 변환기와;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DC-DC 변환기의 출력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된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드레인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은 상기 광대역 증폭기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애노드단은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캐소드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스단과 연결된 다이오드,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게이트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된 스위칭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회로는 드레인단의 출력을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트랜지스터와, 입력되는 전압을 반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하도록 된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전력 스위칭장치.
KR1020090011484A 2009-02-12 2009-02-12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KR10101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84A KR101018847B1 (ko) 2009-02-12 2009-02-12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84A KR101018847B1 (ko) 2009-02-12 2009-02-12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08A KR20100092208A (ko) 2010-08-20
KR101018847B1 true KR101018847B1 (ko) 2011-03-04

Family

ID=4275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484A KR101018847B1 (ko) 2009-02-12 2009-02-12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32B1 (ko) * 2015-07-28 2017-01-05 임원식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KR101881767B1 (ko) 2017-04-27 2018-07-25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모드 rf 차동 전력증폭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164A (ja) * 1996-10-18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効率電力増幅器
EP1255350A2 (en) * 2001-05-04 2002-11-06 Jin Ok-Sang Signal amplifying method, signal amplifier and devices related therewith
US20040095193A1 (en) 2002-11-14 2004-05-20 Enver Krvava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daptive bias control circuit
US7471155B1 (en) 2007-05-25 2008-12-30 Rf Micro Devices, Inc. Cancelling switching power supply ripple from a radio frequency sig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164A (ja) * 1996-10-18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効率電力増幅器
EP1255350A2 (en) * 2001-05-04 2002-11-06 Jin Ok-Sang Signal amplifying method, signal amplifier and devices related therewith
EP1255350A3 (en) 2001-05-04 2004-03-10 Jin Ok-Sang Signal amplifying method, signal amplifier and devices related therewith
US20040095193A1 (en) 2002-11-14 2004-05-20 Enver Krvava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daptive bias control circuit
US7471155B1 (en) 2007-05-25 2008-12-30 Rf Micro Devices, Inc. Cancelling switching power supply ripple from a radio frequency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08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123B2 (en) Fast differential level shifter and boot strap driver including the same
US8054126B2 (en) Dynamic bias supply devices
US9876501B2 (en) Switching power ampl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power amplifier
JP2001168647A5 (ko)
US8766722B2 (en) Quiescent control circuit for providing control current for an amplifier
US7602248B2 (en) Power amplifier and its idling current setting circuit
CN113519123A (zh) 一种驱动电路、数字逻辑电路及其相关装置
US20180294778A1 (en) Amplifier used to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under bypass mode
US200601975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output current driving
KR101018847B1 (ko)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TW201824740A (zh) 放大電路
US20140368279A1 (en) Direct Biasing A Gate Electrode Of A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Through a Driver Stage
US8736376B2 (en) Power amplifier module having bias circuit
US20120075004A1 (en) Switch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JP2012114610A (ja) 電子回路
US7292096B2 (en) Amplifier
US20130079065A1 (en) Multi-mode power amplifier
JP5114226B2 (ja) 半導体スイッチ回路
JP4693706B2 (ja) スタンバイ機能付き増幅器
JP6494908B2 (ja) 高周波増幅器
US9374047B2 (en) Buffer circuit
JP2008283277A (ja) 半導体スイッチ回路
TWI694729B (zh) 開關電路
TWI677185B (zh) 差動放大電路
US20230288735A1 (en) Driv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