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7959B1 -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959B1
KR101017959B1 KR1020080060883A KR20080060883A KR101017959B1 KR 101017959 B1 KR101017959 B1 KR 101017959B1 KR 1020080060883 A KR1020080060883 A KR 1020080060883A KR 20080060883 A KR20080060883 A KR 20080060883A KR 101017959 B1 KR101017959 B1 KR 10101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le
grommet
fuel
elastic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79A (ko
Inventor
유스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1/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one another or to flexible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탄성체에 호스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호스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으로서, 호스에 장착할 때에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고, 나아가 비용 저감을 도모한다.
삽입 관통 구멍(59)의 둘레 방향 1 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61)를 탄성체(60)에 형성하여, 오목부(61)가 벌어짐으로써 호스(49)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삽입 관통 구멍(59)이 확대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GROMMET AND FUEL HOSE SUPPORTING STRUCTURE OF SMALL VEHICLE}
본 발명은, 탄성체에 호스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의 개량과, 이러한 그로밋을 사용한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에 설치된 연료 펌프와, 파워 유닛에 설치된 연료 분사 밸브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의 도중에 그로밋을 장착하여, 그 그로밋을 연료 탱크의 상면과 맞닿게 함으로써, 연료 호스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연료 탱크의 상면에서 지지하도록 한 것이 특허문헌 1에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7-55542 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그로밋은,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슬릿이 있고, 그 슬릿을 개방하여 연료 호스를 그로밋의 삽입 관통 구멍 내에 삽입함으로써 그로밋을 연료 호스의 도중에 장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슬릿은, 삽입 관통 구멍의 한 반경 방향을 따라 탄성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연료 호스를 삽입 관통 구멍 내에 삽입시킨 후에 슬릿이 개방되어 연료 호스로부터 그로밋이 탈락되는 일이 없도록, 연료 호스의 삽입 관통 구멍 내로의 삽입 후에 탄성체의 외주에 테이프를 감거나, 접착재를 이용하여 슬릿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후처리가 필요하여,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고, 그만큼의 비용 증대를 초래한다는 과제도 발생하였다.
또, 저상식 플로어의 아래쪽에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에 파워 유닛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소형 차량에 있어서, 파워 유닛의 진동에 대하여 연료 호스를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호스에 장착할 때에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고, 나아가 비용 저감을 도모하도록 한 그로밋과, 파워 유닛의 진동에 대해 연료 호스를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탄성체에 호스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의 임 의의 위치를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1 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를 상기 탄성체에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호스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이 확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호스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탄성체에 호스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호스 지지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 및 상기 탄성체의 외주에 양단을 통하게 하고 중간부에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절개부가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고, 그 절개부를 개방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호스를 삽입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탄성체에 호스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은 횡단면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여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호스를 삽입 관통시킬 때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장경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 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을 단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원통형인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이, 상기 지지체의 외면과 맞닿게 되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그로밋이, 저상식 플로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에 설치된 연료 펌프와, 차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의 외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연료 탱크(32)가 본 발명의 지지체에 대응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1 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삽입 관통 구멍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가 탄성체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호스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이 확대되기 때문에, 호스가 삽입 관통 구멍 내로 삽입 관통하는 것을 용이하게 있고, 탄성체의 체결력을 살려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없이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탄성체의 탄발력을 크게 하여 체결력을 강하게 한 경우라도 호스를 삽입 관통 구멍 으로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 관통 구멍에 호스를 삽입 관통시킬 때 오목부가 벌어짐으로써 삽입 관통 구멍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스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 관통이 보다 용이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에,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 및 탄성체의 외주에 양단을 통하게 하고 중간부에 굴곡부를 가지며 삽입 관통 구멍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를 개방하여 삽입 관통 구멍에 호스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개부를 개방하도록 탄성체에 외력을 가한 상태에서 절개부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에 호스를 삽입함으로써 호스를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탄성체에 대한 외력 작용을 정지시켜 절개부를 닫은 상태에서는 절개부의 도중이 굴곡됨으로 인하여 그로밋이 호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성체의 탄발력에 의한 체결에 의해 호스의 외면에 그로밋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없이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에 횡단면 형상을 타원형으로 한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삽입 관통 구멍의 장경 방향으로 탄성체를 압축함으로써 삽입 관통 구멍을 단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체를 압축하여 호스를 삽입 관통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탄성체의 체결력을 살려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 없이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가 원통형이고, 그 탄성체의 외면이 지지체의 외면과 맞닿게 되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체의 외면을 지지체에 넓은 범위로 접촉시켜 지지체와 그로밋 사이의 마찰력을 비교적 크게 하여, 호스가 지지체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지지체에 그 호스를 확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저상식 플로어의 아래쪽에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에 파워 유닛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소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에 설치된 연료 펌프와, 파워 유닛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에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그로밋이 장착되고, 연료 탱크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의 외면과 상기 그로밋이 맞닿기 때문에, 비교적 강도가 강한 플랜지부 근방에서 연료 탱크와 그로밋이 맞닿아서 그로밋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또한 파워 유닛의 진동에 대해 연료 호스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 도 2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그로밋의 사시도, 도 6은 연료 호스 삽입 관통전(A) 및 연료 호스 삽입 관통후(B)의 그로밋을 도 3의 6-6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의 7-7선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서, 소형 차량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는, 조향 핸들(11)에 의해 조타되는 전륜(WF)과, 엔진(E) 및 이 엔진(E)의 출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M)를 포함하는 스윙식 파워 유닛(P)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WR)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 유닛(P)은 차체 프레임(F)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전륜(WF)을 축지지하고 상기 조향 핸들(11)이 연결되는 프론트 포크(12)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3)와, 이 헤드 파이프(13)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14)과, 이 다운 프레임(14)의 하단부 양측에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프레임(15, 15; lower frame)과, 양 로어 프레임(15…)의 후단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16)과, 상기 양 로어 프레임(15…)의 후단에 결합되어 후방 위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17…)과, 양 리어 프레임(17…)에 결합되고 승차용 시트(19)를 지지하도록 상기 양 리어 프레임(17…)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된 시트 프레임(18)을 구비하고, 상기 양 로어 프레임(15…)은 위쪽으로 개방된 대략 U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워 유닛(P)은, 상기 양 리어 프레임(17…)의 중간부에 설치된 스테이(20…)에 지지축(21)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파워 유닛(P)의 후방 부와 리어 프레임(17)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22)이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엔진(E)에서의 엔진 본체(23)는, 실린더 축선(C)을 대략 수평이 될 때까지 전방을 상승시켜 기울인 자세이고, 엔진 본체(23)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24)의 상부 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흡기관부(25)에, 흡기관(26)을 통해 스로틀 바디(27)가 접속되고, 상기 후륜(WR)의 좌측 및 상기 파워 유닛(P)의 후방부 위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28)에 상기 스로틀 바디(27)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또, 상기 흡기관부(25)에는 연료 분사 밸브(29)가 부착된다.
도 1에 주목하면, 상기 실린더 헤드(24)의 하부 측면에는 배기관(30)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30)의 하류단은 상기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31)에 접속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F)에서의 양 로어 프레임(15…) 사이에는 연료 탱크(32)가 배치된다. 이 연료 탱크(32)는, 위쪽으로 개방된 상자형 탱크 본체(33)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33a)에, 커버(34)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34a)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두 플랜지(33a, 34a)로 구성되며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35)가, 상기 양 로어 프레임(15…)의 상면에 복수의 볼트(36, 36…)로 체결된다.
상기 파워 유닛(P)의 일부 및 상기 차체 프레임(F)의 일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차체 커버(37)로 덮여 있고, 이 차체 커버(37)에는 상기 승차용 시트(19)에 앉은 탑승자가 발을 얹을 수 있는 저상식 플로어(38)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탱 크(32)는 상기 플로어(38)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주목하면, 상기 차체 프레임(F)에서의 다운 프레임(14)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료 탱크(3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도 검출 센서(40)가 부착된다. 이 전도 검출 센서(40)는, 자동 이륜차의 전도를 검출하여, 엔진(E)으로의 연료 공급이나 점화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운 프레임(14)의 하단부에 볼트(42)에 의해 부착되는 스테이(41)에는, 아래쪽을 향해 두 갈래로 분기된 지지부(41a)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부(41a)에 전도 검출 센서(40)가 부착된다. 즉 전도 검출 센서(40)의 양측에는 탄성 부재(44, 44)를 통해 칼라(43, 43)가 장착되어 있고, 칼라(43…)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45, 45)가, 지지부(41a)에 고착되는 웰드 너트(46, 46)에 나사 결합되어 이들 볼트(45…)를 체결함으로써, 전도 검출 센서(40)가 차체 프레임(F)의 다운 프레임(14) 및 로어 프레임(15…)과, 상기 연료 탱크(32)로 둘러싸이도록 스테이(41)에 부착된다.
상기 연료 탱크(32)에는, 일부를 연료 탱크(32)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시키도록 하여 연료 펌프(4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료 펌프(48)와, 상기 파워 유닛(P)에서의 실린더 헤드(24)의 흡기관부(25)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29)는 연료 호스(49)로 연결된다.
이 연료 호스(49)의 중간부는, 연료 탱크(32)와,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프레임(15)과, 실린더 헤드(24)에 지지된다.
상기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상기 연료 호스(49)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50A)이 장착되어 있고, 이 그로밋(50A)은, 상기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상기 연료 탱크(32)의 상면과 맞닿고, 클램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체로 지지된다. 또, 엔진 본체(23)의 전방에서 상기 연료 호스(49)에는 그로밋(51)이 장착되고, 이 그로밋(51)을 유지하는 클램퍼(54)가 지지판(55)에 체결된다. 한편, 차체 프레임(F)에서의 좌측의 로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이 후방부와 좌측의 리어 프레임(17)의 전방부를 2개의 볼트(57, 57)에 의해 함께 체결하도록 브래킷(56)이 체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55)은 상기 브래킷(56)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엔진 본체(23)에서의 실린더 헤드(24)의 우측에서 상기 연료 호스(49)에는 그로밋(52)이 장착되고, 이 그로밋(52)을 유지하는 클램퍼(58)가 볼트(69)에 의해 상기 실린더 헤드(24)에 체결된다.
도 5∼도 7에서, 상기 그로밋(50A)은, 탄성체(60)에 상기 연료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연료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연료 탱크(32)에 지지하기 위해 연료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삽입 관통 구멍(59)의 둘레 방향 1 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61)가 탄성체(60)에 형성된다. 또한,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을 따른 일단 또는 양단, 이 실시예에서는 일단에 축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된 테이퍼면(59a)이 형성된다.
상기 그로밋(50A)은, 상기 오목부(61)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이 확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목부(61)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에 상기 연 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벌어진다. 즉,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키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의 직경 d1은 연료 호스(49)의 직경 d2보다 작게(d1<d2)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삽입 관통 구멍(59)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키면, 오목부(61)는,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키기 전의 폭이 t1이었던 데 비해,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켰을 때는, 도 6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t2(>t1)가 되도록 넓어지고, 이에 의해 삽입 관통 구멍(59)이 연료 호스(49)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확대됨으로써,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는, 탄성체(60)가 연료 호스(49)를 탄성적으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의 상기 오목부(61)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체(60)를 압축하는 외력을 그 탄성체(60)에 작용시켜 상기 오목부(61)를 넓혀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을 확대하고, 그 상태로 삽입 관통 구멍(59)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탄성체(60)는 원통형이며, 이 탄성체(60)의 외주면은 상기 연료 탱크(32)의 상면과 맞닿게 되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그로밋(51, 52)의 외주는 클램퍼(54, 58)에 의해 유지되며, 클램퍼(54, 58)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료 호스(49)가 그로밋(51, 52)으로 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그로밋과 마찬가지로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슬릿을 가질 수도 있고, 또 상기 그로밋 50A와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그로밋(50A)은, 탄성체(60)에 연료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삽입 관통 구멍(59)의 둘레방향 1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61)가 탄성체(60)에 형성되어 있고, 그로밋(50A)은 오목부(61)가 벌어짐으로써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삽입 관통 구멍(59)이 확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고, 삽입 관통 구멍(59)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는 탄성체(60)의 체결력을 살려 그로밋(50A)을 연료 호스(49)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없이 그로밋을 호스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탄성체(60)의 탄발력을 크게 하여 체결력을 강하게 한 경우라도,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61)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에 상기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넓어지며, 삽입 관통 구멍(59)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때 상기 오목부(61)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이 확대되므로,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 일단 또는 양단, 이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테이퍼면(59a)이기 때문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 탄성체(60)가 원통형이며, 그 탄성체(60)의 외면이 연료 탱크(32)의 상면과 맞닿게 되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체(60)의 외면을 연료 탱크(32)의 상면에 넓은 범위로 접촉시켜 연료 탱크(32)와 그로밋(50A) 사이의 마찰력을 비교적 크게 하여, 연료 호스(49)가 연료 탱크(32)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그 연료 탱크(32)에 연료 호스(49)를 확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32)에 설치된 연료 펌프(48)와, 파워 유닛(P)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29)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49)에 그로밋(50A)이 장착되고,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32)의 상면과 상기 그로밋(50A)이 맞닿기 때문에, 비교적 강도가 강한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연료 탱크(32)와 그로밋(50A)을 맞닿게 하여 그로밋(50A)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또한 파워 유닛(P)의 진동에 대해 연료 호스(49)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8은 그로밋의 도 6에 대응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
이 그로밋(50B)은, 탄성체(63)에 연료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연료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연료 탱크(32)에 지지하기 위해 연료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삽입 관통 구멍(62)의 내주 및 탄성체(63)의 외주에 양단을 통하게 하고 중간부에 굴곡부(64a)를 가지며 상기 삽입 관통 구멍(62)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절개부(64)가 탄성체에 형성되고, 이 절개부(64)를 개방하여 삽입 관통 구멍(62)에 연료 호스(49)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절개부(64)를 개방하도록 탄성체(63)에 외력을 가한 상태로 절개부(64)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62)에 연료 호스(49)를 삽입함으로써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 구멍(62)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탄성체(63)로의 외력 작용을 정지시켜 절개부(64)를 닫은 상태에서는 절개부(64)의 도중의 굴곡부(64a)로 인해 연료 호스(49)가 그로밋(50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성체(63)의 탄발력에 의한 체결에 의해 연료 호스(49)의 외면에 그로밋(50B)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없이 그로밋(50B)을 연료 호스(49)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의 그로밋(50B)은, 그 측방으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62)에 연료 호스(49)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배치가 끝난 연료 호스(49)의 중간부에 그로밋(50B)을 측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그로밋을 자연스러운 상태(A), 압축 상태(B) 및 연료 호스 삽입 상태(C)의 순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 6에 대응한 도면이다.
이 그로밋(50C)은, 탄성체(65)에 연료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연료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연료 탱크(32)에 지지하기 위해 연료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삽입 관통 구멍(66)은 횡단면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여 상기 탄성체(65)에 형성되고, 그 삽입 관통 구멍(66)의 일단에는, 연료 호스(49)를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테이퍼면(66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 관통 구멍(66)의 단경 d3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연료 호스(49)의 직경 d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d3<d2). 이 상태에서 삽입 관통 구멍(66)에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때에는, 도 10의 (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관통 구멍(66)의 장경 방향으로 탄성체(65)를 압축함으로써, 삽입 관통 구멍(66)을 단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의 삽입 관통 구멍(66)의 단경 d4를 연료 호스(49)의 직경 d2 이상으로 함으로써(d4≥d2), 삽입 관통 구멍(66)에 도 10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체(65)에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삽입 관통 구멍(66)이 형성되고, 삽입 관통 구멍(66)의 장경 방향으로 탄성체(65)를 압축함으로써 삽입 관통 구멍(66)을 단경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체(65)를 압축하여 삽입 관통 구멍(66)에 연료 호스(49)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탄성체(65)의 체결력을 살려 그로밋(50C)을 연료 호스(49)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나 접착제의 필요없이 그로밋(50C)을 연료 호스(49)에 강 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고 조립 공정수를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연료 호스(49)에 장착되는 그로밋(50A, 50B, 50C)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연료 호스(49)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의 도중을 지지체에 지지하기 위한 그로밋에 널리 적용가능하다.
또, 삽입 관통 구멍의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원형 또는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의 형상에 따라 삽입 관통 구멍의 단면 형상을 변경해도 되며, 예를 들어 마름모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호스에 대응하여 삽입 관통 구멍의 단면 형상을 마름모형으로 하여도 좋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연료 호스 삽입 관통전(A) 및 연료 호스 삽입 관통후(B)의 그로밋을 도 3의 6-6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B)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그로밋의 도 6에 대응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그로밋을 자연스러운 상태(A), 압축 상태(B) 및 연료 호스 삽입 상태(C)의 순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 6에 대응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9 : 연료 분사 밸브 32 : 지지체인 연료 탱크
35 : 플랜지부 48 : 연료 펌프
49 : 연료 호스 50A, 50B, 50C : 그로밋
59, 62, 66 : 삽입 관통 구멍 59a : 테이퍼면
60, 63, 65 : 탄성체 61 : 오목부
64 : 절개부 64a : 굴곡부
F : 차체 프레임 P : 파워 유닛

Claims (8)

  1. 탄성체(60)에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32)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의 둘레 방향 1 곳에 내단을 개구하고 외단을 폐쇄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오목부(61)가 상기 탄성체(60)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61)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이 확대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1)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에 상기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3. 탄성체(63)에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32)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호스 지지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62)의 내주 및 상기 탄성체(63)의 외주에 양단을 통하게 하고 중간부에 굴곡부(64a)를 가지며 상기 삽입 관통 구멍(62)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친 절개부(64)가 상기 탄성체(63)에 형성되고, 그 절개부(64)를 개방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62)에 상기 호스(49)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4. 탄성체(65)에 호스(49)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49)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지지체(32)에 지지하기 위해 그 호스(49)에 탄발적으로 장착되는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66)은 횡단면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여 상기 탄성체(65)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66)에 상기 호스(49)를 삽입 관통시킬 때 상기 삽입 관통 구멍(66)의 장경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65)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삽입 관통 구멍(59)을 단경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인 상기 탄성체(60, 63, 65)의 외주면이, 상기 지지체(32)의 외면과 맞닿게 되어 측면에서 볼 때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밋.
  6. 저상식 플로어(3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2)에 설치된 연료 펌프(48)와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P)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29)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49)에 제1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장착되고, 제1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상기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32)의 외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7. 저상식 플로어(3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2)에 설치된 연료 펌프(48)와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P)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29)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49)에 제3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장착되고, 제3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상기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32)의 외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8. 저상식 플로어(3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2)에 설치된 연료 펌프(48)와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P)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29)를 연결하는 연료 호스(49)에 제4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장착되고, 제4항에 기재된 그로밋(50A, 50B, 50C)이 상기 연료 탱크(32)의 외주에 있는 플랜지부(35)의 근방에서 그 연료 탱크(32)의 외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KR1020080060883A 2007-08-01 2008-06-26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01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1132 2007-08-01
JP2007201132A JP4815404B2 (ja) 2007-08-01 2007-08-01 グロメットおよび小型車両の燃料ホース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79A KR20090013679A (ko) 2009-02-05
KR101017959B1 true KR101017959B1 (ko) 2011-03-02

Family

ID=4043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7959B1 (ko) 2007-08-01 2008-06-26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15404B2 (ko)
KR (1) KR101017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3280B2 (ja) * 2018-03-23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EP4023874B1 (en) * 2019-08-26 2024-06-12 Honda Motor Co., Ltd. Saddle-type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44U (ja) 1984-06-14 1986-01-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緩衝性グロメツト
JPH0498826U (ko) * 1991-01-25 1992-08-26
JPH10322858A (ja) 1997-05-22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隙間形成用スペーサ及び該スペーサを用いたグロメットの防水構造
JP2005151743A (ja) 2003-11-18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304U (ja) * 1983-11-09 1985-06-05 日本セキソー工業株式会社 グロメツ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44U (ja) 1984-06-14 1986-01-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緩衝性グロメツト
JPH0498826U (ko) * 1991-01-25 1992-08-26
JPH10322858A (ja) 1997-05-22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隙間形成用スペーサ及び該スペーサを用いたグロメットの防水構造
JP2005151743A (ja) 2003-11-18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5404B2 (ja) 2011-11-16
JP2009036305A (ja) 2009-02-19
KR20090013679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1569B (zh) 机动二轮车
US9499226B2 (en) Exhaust pipe side cover for motorcycle
JP2004183538A (ja) 小型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への燃料供給構造
JP3726860B2 (ja) エンジンの吸気管構造
US8256564B2 (en) Vehicle and vehicle exhaust pipe
KR101017959B1 (ko) 그로밋 및 소형 차량의 연료 호스 지지 구조
JP5401335B2 (ja) 自動二輪車のガードパイプ構造
US7950487B2 (en) Exhaust system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the same
JP5142782B2 (ja) 燃料噴射装置の取付け構造
WO2010038586A1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懸架構造
CN1919681B (zh) 燃料软管安装结构
JP4391377B2 (ja) マフラ取り付け構造
TW200415042A (en) Small-sized vehicle
US11358669B2 (en) Saddle riding vehicle
JP4310154B2 (ja) V型エンジン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支持構造
JP2010234946A (ja) 自動二輪車
JP5941815B2 (ja) 車両の保護構造
JP4528717B2 (ja) エアクリーナ構造
JP2024122515A (ja) 鞍乗型車両
JP5005305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取付構造
JP6680822B2 (ja) 鞍乗型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構造
KR200278798Y1 (ko) 이륜자동차의 머플러 지지 브래킷
JP2007145268A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2007126967A (ja) エアクリーナ
JP2009073285A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クッション支持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