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524B1 -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 Google Patents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3524B1 KR101013524B1 KR1020070080847A KR20070080847A KR101013524B1 KR 101013524 B1 KR101013524 B1 KR 101013524B1 KR 1020070080847 A KR1020070080847 A KR 1020070080847A KR 20070080847 A KR20070080847 A KR 20070080847A KR 101013524 B1 KR101013524 B1 KR 101013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pipe
- backflow prevention
- frame
- pipe device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를 배출하는 세면욕조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 제거시 손이나 도구를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에 적재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체결되는 배수관의 누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ipe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such as a toilet tub, a laundry room for discharging sewage, and in particular,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drain pipe device is formed wide, so that the hand or tool when removing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It is provid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a odor backflow prevention opening to check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to be easily removed or the contaminants loaded therein by flowing into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세면욕조실, 점검구, 배수관 장치, 상부기틀, 취기 역류 방지구 Bathtub, checkout port, drain pipe device, upper fram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를 배출하는 세면욕조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 제거시 손이나 도구를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에 적재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체결되는 배수관의 누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ipe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such as a toilet tub, a laundry room for discharging sewage, and in particular,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drain pipe device is formed wide, so that the hand or tool when removing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It is provid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a odor backflow prevention opening to check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to be easily removed or the contaminants loaded therein by flowing into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일반적으로 배수가 필요한 건물의 세면욕조실, 베란다, 세탁실 등에는 바닥의 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해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관 장치가 있었다.In general, the wash basin, porch, laundry room, etc. of the building that requires drainage has a drain pipe device embedded in the floor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drainage of the floor.
상기 배수관 장치 중 세면욕조실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 또는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를 집수하기 위해 세면대 또는 욕조의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관(70)을 삽입 체결하기 위한 집수관 체결부(13) 와, 상기 집수관(70)으로부터 유입된 하수와 세면욕조실 바닥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1)를 가지며 배수관(80)을 체결하기 위한 배수관 체결부(12)를 갖는 배수관장치 본체(10, 육가하우징)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10)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궤도홈 본체(20)와, 상기 궤도홈 본체(20)의 궤도홈(21)에 삽입되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부기틀 결합부(31)에 결합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된 슬라이더(30)에 의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상부기틀(40)과, 상기 상부기틀(40)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내,외통(52,51) 그리고 걸름망(53)으로 이루어진 취기 역류 방지구(50)와, 상기 상부기틀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부기틀판(60)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drain pipe devic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sh tub chamber among the drain pipe devices inserts and fastens a
상기와 같은 배수관 장치는 바닥 공사시 콘크리트나 몰타르 등의 물질이 배수관 장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후 굳어져 배수구를 부분적으로 막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바닥 마감 공사후 세면욕조실이나 세탁실 또는 발코니 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 음식물 찌꺼기 등이 배수구에 적체되어 하수가 배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 대부분은 배수구를 뚫기 위해 염산과 같은 이물질을 분해시키는 용액을 사용하거나,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한 후 굵은 철사 등을 이용하여 막힌 배수구를 뚫었다.In the drainage pipe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concrete such as concrete or morta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물질을 녹이는 용액은 대부분 강산성의 액체이므로 취기 역류 방지구와 배수관장치 본체(10)를 부식시킬 수 있고, 철사 등을 이용할 경우 배수관 장치 본체와 배수관을 파손시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 었다.However, since the solution for dissolving foreign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is mostly a strongly acidic liquid, it may corrode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the drain pipe
또한, 상기와 같이 이물질 부식용액이나 철사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직접 손을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넣어 청소를 실시하여야 하나 상부기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직경이 작아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점검하거나 청소하기가 불가능 하였다.In addition, in case of not using the foreign matter corrosion solution or wire as above, the hand should be cleaned by putting the hand directly into the main body of the drain pipe, bu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 pipe device is small because the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frame is small. Or cleaning was impossib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이중관으로 설치되는 집수관 또는 배수관의 내관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7년 3월 13일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7-24729호(명칭: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틀(100)을 배수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테두리와 저면이 매설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110)과, 상기 외틀(110)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도록 걸림턱(123)과 걸름망 고정홈(124)이 형성된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130)를 갖는 내틀(120)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내틀(120)의 외주면의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외틀 체결부(121)를 형성하며, 상기 외틀 체결부(121)의 외주면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고무패킹 삽입홈(122)을 형성하여 그 홈(122)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패킹(140)을 장착하였다. 상기 외틀(110)의 내경 테두리를 하향 연장하여 내주면에는 상기 외틀 체결부(121)가 체결되고, 외주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150)의 상부기틀 체결부(151)에 체결되는 내틀 체결부(111)를 형성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inner pipe of the collecting pipe or the drain pipe installed as a double pipe, the applicant of the application No. 10-2007-24729 filed March 13, 2007 ( Name: in the toilet tub drainage system),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기틀(100)은 슬라이더(150)의 상부기틀 체결부(151) 에 외틀(110)의 내틀 체결부(111)의 외주면을 삽입 체결하고, 상기 슬라이더(150)를 배수관 장치 본체에 삽입 체결되는 궤도홈 본체(160)의 궤도홈(161)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 내틀(120)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에 외통(171), 내통(172)을 순서대로 삽입하여 상기 걸림턱(123)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걸름망(173)을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124)에 고정시켜 취기 역류 방지구(170)를 설치하였다.The
상기와 같이 상부기틀이 설치된 배수관 장치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걸름망(173)을 분리시킨 후, 내통(172)과 외통(171)을 제거하고, 손가락을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로 넣어 내틀(120)을 잡은 후 내틀(120)을 외틀(130)로부터 분리하고, 손을 집어넣어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와 배수구 또는 집수관 체결부 등을 청소 및 점검 하였다.In order to clean and check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device in which the upper fram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을 배수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과, 상기 외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를 갖는 내틀로 구성하기 때문에 그 부품의 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rame is embedd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requiring drainage, and has an outer frame at which the upper end is exposed, and an intake backflow prevention inser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outer frame, and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port is installed at the center. Due to the inner fram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또한, 상기 내틀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분리한 후, 그 취기 역류 방지구가 제거된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내틀을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inner frame, after removing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work is cumbersome because the user has to remove the inner frame by placing a finger in the space from which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has been removed.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를 종래의 내틀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에 체결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틀의 본체 직경을 종래의 취기 역류 방지구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단에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상기 외통 본체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연장부를 더 형성하여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이 점검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fastener of the upper frame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conventional inner frame, the main body of the outer frame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fastener fastened to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fastener The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fastener, and further forms an extension formed inclined from the outer cylinder body to serve as a check hole. It aims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be able to take charge of.
또한, 상기와 같은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손 등을 집어넣어 청소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a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to insert a hand or the like into the body of the drain pipe device to perform cleaning or insp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통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외통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구부 상단에 체결되는 내통 및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frame to which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port of the drain pipe devic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sewage of the bottom is fastened, the upper frame has a diameter of a sufficient size to put an adult's hand An outer cylinder insert is formed;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provides an upper frame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an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an inspe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er cylinder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outer cylinder inserting portion, and an inner cylinder and a filtering net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outer cylinder. .
또한,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체결되는 외통과 내통, 그리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upper frame to which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of the drain pipe devic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sewage of the bottom is fastened, the upper frame is formed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insert having a diameter of a siz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adult's hand Become;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has an outer cylinder and an inner cylinder which are fastened to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ertion part, and a drainage pipe having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an inspe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ertion part. Provide an upper framework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과 취기 역류 방지구로만 구성되어서 외통의 제거만으로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를 통해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기틀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ly the upper frame and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po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can be reduced by inspect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through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fastener by only removing the outer cylinder.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상기와 같은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손 등을 넣어 청소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simply removing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o put the hand or the like into the body of the drain pipe device to be able to clean or che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 의 직경을 갖는 외통 삽입부(210)가 형성된 상부기틀(200)과; 상기 외통 삽입부(210)에 삽입 체결되는 외통(220)과, 상기 외통(220)의 개구부 상단에 체결되는 내통(230) 및 걸름망(240)을 구비한 취기 역류 방지구를 포함한다.First,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upper frame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a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ylinder insert 210 having a diameter of sufficient size to put the adult's hand An
또한, 상기 상부기틀(200)에 형성된 외통 삽입부(210)는 상부기틀(200)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통 삽입부(210)의 외주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통 삽입부(210)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220)이 걸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또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220)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221)와, 상기 외통 몸체(221)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통 삽입부(2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222)와, 상기 외통의 개구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내통 걸림턱(223)과, 상기 내통 걸림턱(223) 상단에 걸름망(240)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224)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내통(230)은 상기 외통(220)의 내통 걸림턱(223)에 걸려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걸름망(240)은 다수개의 구멍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름망(240)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외통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224)에 회전결합하는 돌출부(241)가 형성되어 내통(230)을 외통(220)의 중앙에 고정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기틀(200)과 취기 역류 방지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도홈 본체 및 슬라이더를 갖는 배수관 장치의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외경을 배수관 장치 본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기틀을 직접 배수관 장치에 체결할 수도 있다.The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점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가 형성된 상부기틀(300)과;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에 체결되는 외통(320)과 내통(330), 그리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걸름망(340)을 구비한 취기 역류 방지구를 포함한다. Next,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rame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insert insert having a diameter of a sufficient size for the adult's hand An
또한, 상기 상부기틀(300)에 형성된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는 상부기틀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내통, 외통 그리고 걸름망 두께의 합)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320)과 내통(330)이 순차적으로 걸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 걸림턱(311) 상단에는 상기 걸름망(340)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312)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또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320)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321)와, 상기 외통 몸체(321)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3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통(330)은 상기 외통 몸체(3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통 몸체(331)와, 상기 내통 몸체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통 연장부(32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통 연장부(332)를 구비하며, 상기 걸름망(340)은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구멍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340)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312)에 회전 결합하는 돌출부(341)가 형성되어 내통(330)을 외통(320)에 고정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기틀과 취기 역류 방지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도홈 본체 및 슬라이더를 갖는 배수관 장치의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외경을 배수관 장치 본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기틀을 직접 배수관 장치에 체결할 수도 있다.The upper frame and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fastened to the slider of the drain pipe device having the track groove body and the slider as shown in FIG. 1 to constitute the drainage pipe device,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frame. The upper frame may be directly fastened to the drain pipe device by forming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기틀에 체결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또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의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취기역류 방지구 외통 또는 취기 역류방지구 전체를 들어낸 후, 외통 삽입부 또는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로 손 을 넣어 배수관 장치 내부와 집수관 체결부 또는 배수구의 청소와 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outer odor of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or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fastened to the upper frame constituting the drain pip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unction of an inspection port for cleaning and check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 pipe device. That is, after lifting the outer odor prevention flow prevention cylinder or the entire odor prevention flow prevention opening, the h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insertion portion or the odor reflux prevention opening insertion portion to easily clean and inspect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device and the catchment pipe fastening portion or the drain hole. can do.
도1은 종래의 배수관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drain pipe device.
도2는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점검구를 갖는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upper frame having a check hole constituting a conventional drain pipe device.
도3은 도2의 상부기틀에 취기 역류 방지구를 체결하고 궤도홈 본체와 슬라이더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the intake backflow prevention port on the upper frame of Figure 2 fastened to the track groove body and the slider.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pper frame having a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eck opening.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상부기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rame having a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check.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집수관 본체 11 : 배수구10: collecting pipe body 11: drain
12 : 배수관 체결부 13 : 집수관 체결부12: drain pipe fastening part 13: collecting pipe fastening part
20,160 : 궤도홈 본체 21,161 : 궤도홈20,160: track groove body 21,161: track groove
30,150 : 슬라이더 31,151 : 상부기틀 체결부30,150: Slider 31,151: Upper frame fastening part
40,100 : 상부기틀 50,170 : 취기 역류 방지구40,100: upper frame 50,170: odor backflow prevention port
51,171,220,320 : 외통 52,172,230,330 : 내통51,171,220,320: Outer cylinder 52,172,230,330: Inner cylinder
53,173,240,340 : 걸름망 60,200,300 : 상부기틀판53,173,240,340: strainer 60,200,300: upper base plate
110 : 외틀 111 : 내틀 체결부110: outer frame 111: inner frame fastening portion
120 : 내틀 121 : 외틀 체결부120: inner frame 121: outer frame fastening portion
122 : 고무패킹 삽입홈 123 : 걸림턱122: rubber packing insertion groove 123: locking jaw
124,224,312 : 걸름망 고정홈 130,310 :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24,224,312: strainer fixing groove 130,310: intake backflow prevention insert
140 : 고무패킹 210 : 외통 삽입부140: rubber packing 210: outer cylinder insertion portion
211,311 : 외통 걸림턱 221,321 : 외통 본체211,311: External cylinder engaging jaw 221,321: External cylinder main body
222,322 : 외통 연장부 223 : 내통 걸림턱222,322: outer cylinder extension portion 223: inner cylinder locking jaw
241,341 : 돌출부 331 : 내통 몸체241,341: protrusion 331: inner cylinder body
332 : 내통 연장부332: inner cylinder extens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0847A KR101013524B1 (en) | 2007-08-10 | 2007-08-10 |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0847A KR101013524B1 (en) | 2007-08-10 | 2007-08-10 |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6309A KR20090016309A (en) | 2009-02-13 |
KR101013524B1 true KR101013524B1 (en) | 2011-02-10 |
Family
ID=4068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0847A Active KR101013524B1 (en) | 2007-08-10 | 2007-08-10 |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35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072B1 (en) * | 2012-02-06 | 2014-01-22 | 김보섭 | Drain trap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80Y1 (en) * | 1998-09-25 | 2000-02-15 | 최해권 | Washbol Condi t Apparatus |
KR200182301Y1 (en) | 1999-12-09 | 2000-05-15 | 최해권 | The upper frame and plate of drain piping apparatus |
KR20010069880A (en) * | 2001-05-16 | 2001-07-25 | 최귀봉 | Method for constructing revetment dike using a fiber for public works |
KR20010082301A (en) * | 1998-11-16 | 2001-08-29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Odor-neutralizing and liquid-absorbing trash bags |
KR200257127Y1 (en) | 1999-06-30 | 2001-12-24 | 최해권 | Washbowl Conduit Apparatus |
KR200257153Y1 (en) | 2001-07-18 | 2001-12-24 | 오상기 | The seperatory drainape trap of a trap part |
KR20020057127A (en) * | 2000-12-30 | 2002-07-11 | 구자홍 | Time control method in microwave oven |
KR20020057153A (en) * | 2000-12-30 | 2002-07-11 | 구자홍 | Display Control Method for Exclusive Use of Kimchi |
-
2007
- 2007-08-10 KR KR1020070080847A patent/KR1010135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80Y1 (en) * | 1998-09-25 | 2000-02-15 | 최해권 | Washbol Condi t Apparatus |
KR20010082301A (en) * | 1998-11-16 | 2001-08-29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Odor-neutralizing and liquid-absorbing trash bags |
KR200257127Y1 (en) | 1999-06-30 | 2001-12-24 | 최해권 | Washbowl Conduit Apparatus |
KR200182301Y1 (en) | 1999-12-09 | 2000-05-15 | 최해권 | The upper frame and plate of drain piping apparatus |
KR20020057127A (en) * | 2000-12-30 | 2002-07-11 | 구자홍 | Time control method in microwave oven |
KR20020057153A (en) * | 2000-12-30 | 2002-07-11 | 구자홍 | Display Control Method for Exclusive Use of Kimchi |
KR20010069880A (en) * | 2001-05-16 | 2001-07-25 | 최귀봉 | Method for constructing revetment dike using a fiber for public works |
KR200257153Y1 (en) | 2001-07-18 | 2001-12-24 | 오상기 | The seperatory drainape trap of a trap p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6309A (en) | 2009-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550B1 (en) | Sink drain | |
KR100880459B1 (en) | Bathtub drainage system | |
KR101013524B1 (en) | Upper frame of drainage pipe device with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as check hole | |
KR101312216B1 (en) | On floor drainage apparatus | |
KR100720969B1 (en) | Leachate drainage drainage device of building | |
KR100943995B1 (en) | Trench drainage system with check | |
KR101170813B1 (en) | Structure Of Drain Trap | |
KR100895271B1 (en) | Connection socket combined drain trap | |
JP2003301491A (en) | Drainage piping | |
KR101119526B1 (en) | draining trap | |
KR100947107B1 (en) | Trench drainage system with check | |
KR101111528B1 (en) | Water sealing structure having drain trap for over floor drainage and plumbing system | |
KR20140049329A (en) | Drain trap | |
KR20130095538A (en) | Sewer cover drain apparatus | |
KR200351785Y1 (en) | Vanity assembly lower cover with access opening | |
KR101130189B1 (en) | Drain Equipment have Drawer-type Drain Trap | |
KR101073851B1 (en)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
KR20120043317A (en)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
KR101130190B1 (en) | Drain Pipe System Laid On Floor of Bathroom | |
KR100432272B1 (en) | Functionality Trap Clean-out | |
KR960015897B1 (en) | Apartment Veranda Living Sewer Drain | |
KR200461974Y1 (en) | Draining Members for Veranda at Apartment House | |
KR101312665B1 (en) | A Drain trap for a washstand | |
KR200461517Y1 (en) | anti-stench apparatus for a drain teap of sink | |
KR200270114Y1 (en) | A drainage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930 Appeal identifier: 2009101005088 Request date: 2009060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4 Effective date: 20100930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604 Decision date: 20100930 Appeal identifier: 2009101005088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0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