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550B1 - Sink drain - Google Patents
Sink d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550B1 KR101042550B1 KR1020090015258A KR20090015258A KR101042550B1 KR 101042550 B1 KR101042550 B1 KR 101042550B1 KR 1020090015258 A KR1020090015258 A KR 1020090015258A KR 20090015258 A KR20090015258 A KR 20090015258A KR 101042550 B1 KR101042550 B1 KR 101042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drainage
- trap
- hole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 등에 장착되어 물을 저장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세면기의 하부에 관통설치되어 배수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몸체와, 상기 배수구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트랩으로 구성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몸체는 중간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천공된 배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배수공간부는 양측의 지지대를 제외한 배수구몸체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세면기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통로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쪽 배수구몸체의 내측에는 배수트랩이 체결되는 설치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수트랩은 트랩축의 상단부에 배수마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걸름마개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몸체에서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를 거쳐 배수구의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수구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storing or draining water installed in a wash basin or a bathtub, and more particularly, a drainage hole formed in a vertically oriented pipe shape through a lower part of the washbasin to form a drainage hole and a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n the drainage device consisting of a body and a drain tr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opening is installed inside the drainage body to move up and down, the drainage body is form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erforated drainage space The central part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ddle part of the drain body, except for the support on both sides, are opened in general, and communicates with an overflow passage installed in the bottom part of the basin, and the inner side of the drain body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 where the drain space is formed. Has a mounting hole to which the drain trap is fastened The drain trap is provided with a drain cap at the upper end of the trap shaft, and a stopp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drain cap, and the drain cap is a drainage space in the drain hole body during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drain trap.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ort is positioned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ort, and the stopper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rainage port.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ainage trap, the drainage stopper is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drainage space. The drainage device for sink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discharged by opening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through the drain space and the overflow passage and the filter plu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rain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rain. It is about.
배수장치, 배수구몸체, 배수트랩, 배수공간부, 오버플로우통로, 배수마개, 걸름마개 Drainage system, drainage body, drain trap, drain space, overflow passage, drain plug, str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 등에 장착되어 물을 저장하거나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세면기의 하부에 관통설치되어 배수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몸체와, 상기 배수구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트랩으로 구성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몸체는 중간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천공된 배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배수공간부는 양측의 지지대를 제외한 배수구몸체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세면기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통로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쪽 배수구몸체의 내측에는 배수트랩이 체결되는 설치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수트랩은 트랩축의 상단부에 배수마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걸름마개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몸체의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에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를 거쳐 배수구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수구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storing or draining water installed in a wash basin or a bath, and more particularly, a draina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washbasin in a vertical pipe shape to form a drainage hole and a drainage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n the drainage device consisting of a body and a drain tr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opening is installed inside the drainage body to move up and down, the drainage body is form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erforated drainage space The central part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ddle part of the drain body, except for the support on both sides, are opened in general, and communicates with an overflow passage installed in the bottom part of the basin, and the inner side of the drain body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 where the drain space is formed. The fittings to which the drain trap is fastened The drain trap is provided with a drain stopper at the upper end of the trap shaft, and a stopp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drain stopper, but the drainage stopper is a drainage space of the drain hole when the drain trap is operated. The upper part of the drain is formed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is formed so that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sh basin, and the stopp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rain, and during the descent operation of the drain trap, the drain plug is in the middle of the drain space It is located in the part to open the drain to drain the water through the drain space and the overflow passag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and the stopper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drain Sink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일정량의 물을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세면기에 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정량의 물을 세면기에 저장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배수장치를 통해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wash basin installed in a bathroom or toilet is provided with a wash basin for receiv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 basin, and a drainage device for storing water or draining the stored water in the wash basin. The user stores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wash basin to use for various purposes and drains it through the drainage device after use.
상기와 같이 세면대에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장치(1')는 개폐작동되면서 세면기에 물을 저장하게 하거나 저장된 물을 배수관(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2')의 하부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배수구(3')를 형성하는 배수구몸체(5')와, 상기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배수구(3')를 개폐하는 배수트랩(15a')(15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15a')(15b')은 누름버튼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a') 또는 레버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b')이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1 'used in the sink as described above is to open and close the water to store the water in the washbasin or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to the drain pipe 4', as shown in Figure 14 and 15 A drain hole body 5 'which forms a drain hole 3' in a state interposed in the lower part of 2 ', and is installed inside the drain hole body 5' and lift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hole 3 '. It is composed of a drain trap (15a ') (15b'), the drain trap (15a ') (15b') is a
상기 배수구몸체(5')는 수직으로 세워진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배수구(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6')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세면기(2')의 하부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는 배수구몸체(5')가 안정적으로 걸림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몸체(5')의 하부에는 통상의 고정너트(8') 및 배수관(4')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몸체(5)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에는 각각 배수공(44a')(44b')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배수공(44a')(44b')은 세면기(2')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통로(11')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어 세면기(2')의 상부에 천공된 오버플로우홀(12')을 통해 흘러넘친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통로(11')를 거쳐 배수공(44a')(44b')으로 유입되면서 배수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The drain body 5 'is formed to form a drain 3' in the shape of a vertical cylindrical pipe, and the locking jaw (6 ')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is perpendicula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 basin (2') The drain hole body 5 'to be fastened to be securely engaged is fastened, and the fixing nut 8' and the drain pipe 4 'ar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body 5' by screwing.
상기 누름버튼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구비된 설치구(13')에 하부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배수구몸체(5')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트랩케이싱(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랩케이싱(25')은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는 탄성스프링(29')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트랩축(16')이 삽입 개재된 상태로 걸림쇠(30')에 의해 제어되면서 누름작동시마다 반복적으로 상하 일정간격으로 트랩케이싱(25')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트랩축(16')은 상단부에 배수마개(17')가 설치되어 있어 트랩축(16')의 하강이동시에 는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상부를 막아 배수구(3')를 폐쇄하면서 세면기(2')에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트랩축(16')의 상승이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배수구(3')를 개방하여 저장된 물이 배수구(3')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레버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b')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구비된 설치구(13')에 단순 끼움결합되면서 배수구몸체(5')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트랩축(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랩축(16')의 상단부에는 배수마개(17')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연장축(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축(36')에는 횡축(37')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되 상기 횡축(37')은 가운데부분에 제어볼(39')이 관통개재된 상태로 배수관(4')의 배면부에 연통설치된 보조관(38')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보조관(38')의 외측으로 돌출설치된 타측끝단에는 세면기(2')의 배면부에 설치된 레버(40')의 수직축(41')과 커넥터(42')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40')의 상하작동에 따라 제어볼(39')을 축으로 하여 횡축(37')이 시소식으로 상하작동되면서 상기 트랩축(16')의 하강이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상부를 막아 배수구(3')를 폐쇄하고 상기 트랩축(16')의 상승이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배수구(3')를 개방하여 저장된 물이 배수구(3')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장치(1')는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하 승강작동되는 배수트랩(15a')(15b')의 배수마개(17')가 배수구(3')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에만 저장된 물이 배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배수를 위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3')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각종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배수구(3')를 통해 배출되면서 배수구몸체(5')의 설치구(13')에 대부분 걸려 배수구(3')가 막히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배수구몸체(5')에 설치된 배수트랩(15a')(15b')을 해체하고 설치구(13')에 끼어있는 머리카락 등을 제거한 다음 다시 배수트랩(15a')(15b')을 조립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 노약자나 부녀자의 경우 혼자서 배수트랩(15a')(15b')을 해체 및 조립하기 매우 어려워 별도의 비용을 들여 수리공을 불러 소제(掃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1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drainage body 5' so that the drain plug 17 'of the
또한, 사용자가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경우 또는 세면대를 청소하는 경우 배수구(3')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재질의 배수마개(17') 부분에 손가락 등이 부딪쳐 다치는 경우가 많고, 세면시 반지와 같은 작은 귀중품 등을 세면기(2')에 떨어뜨린 경우 배수구(3')를 통해 그대로 유입되면서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shes or washes the head or cleans the wash basin, a finger or the like hits a part of the drain plug 17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3' and is often injured. When dropping small valuables such as a ring in the washbasin (2 ') there was a problem that is lost while flowing through the drain (3') as it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트랩에는 배수마개와 함께 걸름마개를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여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몸체의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를 거쳐 배수구의 하부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배수구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여 상기 걸름마개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걸름마개나 배수마개가 배수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세면시 걸름마개 등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배수구를 걸름마개가 항상 막고 있어 배수구 내측으로 반지와 같은 작은 귀중품 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drain trap is installed in the drain trap with a drain plug up and down double, the drainage stopper in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drain trap is locat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drainage space portion of the drainage body is formed. When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sh basin by blocking the upper part of the drain while being positioned, the stopper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rain, and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ain trap, the drain plu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rain space and opens the drain. The drain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through the drainage space and the overflow passage, and the stopper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drain and blocks the foreign material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To prevent clogging of drains, The filter plug or drain plug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drain hole so that it does not hit the filter plug when washing, and the plug is always blocked so that small valuables such as rings are not lost inside the drain hole.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세면기의 하부에 관통설치되어 배수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몸체와, 상기 배수구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트 랩으로 구성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몸체는 중간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천공된 배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배수공간부는 양측의 지지대를 제외한 배수구몸체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세면기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통로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쪽 배수구몸체의 내측에는 배수트랩이 체결되는 설치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수트랩은 트랩축의 상단부에 배수마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걸름마개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몸체의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를 거쳐 배수구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수구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vertically formed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wash basin to form a drainage port, and a drainage body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at the lower part, and a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opening while being operated by lifting the inside of the drainage body. In the drainage device composed of a wrap, the drainage body is form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drainage space perfor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drainage space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drainage body, except for the support on both sides is open overall It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verflow passage install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in, and the inside of the drain hole bod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space formed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ort for fastening the drain trap, the drain trap of the trap shaft Drain stoppe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The stopper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spaced apart by several intervals, but when the drainage trap is operated, the drainage stopper is positioned above the part where the drainage space part of the drainage body is formed, and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ort is blocked so that water is washed in the washbasin. The drainage stopper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rainage port.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ainage trap, the drainage stopper is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drainage space, and the drainage water is opened between the drainage space and the overflow passage. The discharge stopper is dischar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through the filter plug, which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and has a characteristic of block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drai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트랩에는 배수마개와 함께 걸름마개가 상하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몸체의 배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강작동시에는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를 거쳐 배수구의 하부쪽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걸름마개는 배수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배수구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걸름차단하여 상기 걸름마개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걸름마개나 배수마개가 배수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세면시 걸름마개 등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배수구를 걸름마개가 항상 막고 있어 배수구 내측으로 반지 등의 작은 귀중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trap is provided with a drainage stopper along with a drainage stopper in a double top and bottom, so that the drainage stopper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drainage space of the drainage body is formed during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drainage trap. Water is stored in the wash basin by blocking the upper part, and the stopper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rainage port.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ainage trap, the drainage stopper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rainage space, and the drainage water is opened by opening the drainage port. The drain plug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through the overflow space and the overflow passage. The filter plug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drain and continuously blocks the foreign material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from the filter plug. To prevent clogging of the drain, Since the stopper or drainage plug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ort, it does not hit the stopper when washing, and the stopper is always blocked to prevent the loss of small valuables such as rings inside the drainage port. ha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1)는 도 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세면대나 욕조 등에 장착되어 물을 저장하거나 배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세면기(2)의 하부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배수구(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4)이 조립 체결되는 배수구몸체(5)와, 상기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면서 배수구(3)를 개폐하는 배수트랩(15a)(15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15a)(15b)은 누름버튼식으로 작 동되는 배수트랩(15a) 또는 레버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b)으로 되어 있다.The
상기 배수구몸체(5)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내측에 배수구(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6)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세면기(2)의 하부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는 배수구몸체(5)가 안정적으로 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몸체(5)의 하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a)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고정너트(8) 및 배수관(4)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몸체(5)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길고 넓게 천공된 배수공간부(9a)(9b)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배수공간부(9a)(9b)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대(10a)(10b)를 제외한 배수구몸체(5)의 중간부분 좌우양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세면기(2)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통로(11)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배수마개(17)가 하향이동되면서 배수공간부(9a)(9b)의 중간부분에 위치되어 배수구(3)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3)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9a)(9b)와 오버플로우통로(11) 사이를 거쳐 배수구(3)의 하부쪽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와 함께 세면기(2)의 상부에 천공된 오버플로우홀(12)을 통해 흘러넘치는 물도 상기 오버플로우통로(11)를 거쳐 배수공간부(9a)(9b)로 유입되면서 배수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배수구몸체(5)는 배수공간부(9a)(9b)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쪽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배수트랩(15a)(15b)이 체결되는 설치구(13)가 구비되어 있는 데, 상기 설치구(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배수구몸체(5)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설치구(13)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연결편(14a)(14b)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14a)(14b)의 각 끝단은 배수구몸체(5)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배수트랩(15a)(15b)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누름버튼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a) 또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레버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b)으로 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누름버튼식 배수트랩(15a)과 레버식 배수트랩(15b)에 모두 해당되는 공통사항으로 본 발명의 특징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상기 누름버튼식 배수트랩(15a)과 레버식 배수트랩(15b)은 모두 트랩축(16)의 상단부에는 배수마개(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17)의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걸름마개(1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상승작동시에는 도 2, 6,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배수공간부(9a)(9b)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2)에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18)는 배수구(3)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하강작동시에는 도 3, 5,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공간부(9a)(9b)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를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간부(9a)(9b)와 오버플로우통로(11) 사이를 거쳐 배수구(3)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18)는 배수구(3)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수구(3)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걸름차단하도록 되어 있다.Both the push button
상기 배수마개(17)는 도 1,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15a)(15b)의 승강작동에 따라 배수구(3)를 개폐하는 부분으로, 상기 배수구(3)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링(19)이 끼움결합되어 있어 배수구(3)를 차단시 수밀(水密)유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마개(17)의 하면부에 플래시블(flexible)한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막(20)을 설치하여 배수구(3)를 차단시 수밀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to 9, a
상기 걸름마개(18)는 도 1 내지 6,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3)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걸름차단하는 부분으로, 상기 배수구(3)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망형상으로 되어 있어 물만 배출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하여 배수구(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17)의 상부 가운데부분에는 돌출대(21)가 수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대(21)의 상단부에 걸름마개(18)가 고정부착되어 상기 배수마개(17)와 걸름마개(18)가 이중으로 상하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6, 10, and 11, the
또한, 상기 걸름마개(18)는 도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15a)(15b)이 상승작동된 경우에도 배수구(3)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세면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걸름마개(18)에 부딪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트랩(15a)(15b)이 하강작동된 경우에도 걸름마개(18)는 배수구몸체(5)에서 배수공간부(9a)(9b)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를 차단하고 있어 배수구(3) 내측으로 반지 등의 작은 귀중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걸름마개(18)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름마개(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마개(18)의 가운데부분 하단부에 수직하방으로 돌출대(21)가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돌출대(21)의 하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마개(17)의 가운데부분에는 암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름마개(18)의 돌출대(21)가 배수마개(17)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걸름마개(18)가 착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걸름마개(18)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름마개(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마개(18)의 가운데부분 하단부에는 암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마개(17)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수직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대(21)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c)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름마개(18)가 배 수마개(17)의 돌출대(21)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걸름마개(18)가 착탈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또한, 상기 배수마개(17)는 트랩축(16)의 상단부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지 않고 분리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의 가운데부분에는 암나사홀(23)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트랩축(16)의 상단부에는 암나사부(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름마개(18)는 가운데부분 하단부에 돌출대(21)가 수직하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돌출대(21)의 하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대(21)의 수나사부(7b)가 배수마개(17)의 암나사홀(23)에 나사체결되면서 관통된 상태로 트랩축(16)의 암나사부(22c)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배수마개(17)와 걸름마개(18)가 모두 착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걸름마개(18)는 망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홀(24)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물만 배출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홀(24)이 방사상으로 천공되어 있어 물만 배출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상기 누름버튼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a)의 구조를 구체적으 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누름버튼식 배수트랩(15a)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구비된 설치구(13)에 끼움 결합되면서 배수구몸체(5)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트랩케이싱(25)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트랩케이싱(25)은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상부 외주면에는 돌출턱(26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구(13)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트랩케이싱(25)의 상부 외경(27)은 설치구(13)의 내경에 부합되어 트랩케이싱(25)의 상부와 설치구(13)가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랩케이싱(25)의 하부 외경(28)은 상부 외경(27)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트랩(15a)이 배수구몸체(5)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랩케이싱(25)은 내측에 탄성스프링(29)이 삽입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트랩축(16)이 삽입 개재된 상태로 걸림쇠(30)에 의해 제어되면서 누름작동시마다 반복적으로 상하 일정간격으로 트랩케이싱(25)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The push-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식 배수트랩(15a)의 트랩케이싱(25)이 설치구(13)에 끼움 결합되어 있어 배수구(3)가 막히거나 배수트랩(15a)이 고장난 경우 망형상으로 된 배수마개(18)의 틈새나 배수홀(24)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끼워 상부쪽으로 빼냄으로써 상기 설치구(13)에 끼움 결합된 배수트랩(15a)을 간단하게 착탈시키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트랩케이싱(25)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경(27) 부분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착링(31)을 끼움결합하여 상기 설치구(13)와 트랩케이싱(25)이 더욱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또한, 상기 트랩케이싱(25)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경(27) 부분의 외주면에 수나사부(7d)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구(13)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2d)를 형성하여 트랩케이싱(25)이 설치구(13)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트랩케이싱(25)은 상부 외경(27)부분이 설치구(13)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트랩축(16)의 하강작동시 트랩축(1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배수마개(17)와 설치구(13) 사이의 간격이 좁게 설치되어 배수시 걸름마개(18)에서 걸러지지 않은 머리카락이 설치구(13)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트랩축(16)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수마개(17) 및 걸름마개(18)가 상하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는 트랩케이싱(2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외측면에는 하트형상의 이동로(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32)와 트랩케이싱(25)의 하면부 외측에 돌출설치된 하부돌출부(33) 사이에는 걸림쇠(3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걸림쇠(30)에 의해 트랩축(16)의 상하 이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되, 이러한 트랩축(16)의 작동구조는 통상의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 걸림쇠(30)는 상부 및 하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절곡된 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32)에 삽입된 상태로 하트형상의 이동로(32)를 따라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절곡된 하부는 하부돌출부(33)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32)는 상부 및 하부 꼭지점부분에 각각 상부멈춤홈(34)과 하부멈춤홈(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수트랩(15a)의 걸름마개(18)를 한번 눌러 트랩축(16)이 하강작동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30)의 절곡된 상부가 이동로(3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부멈춤홈(34)에 일시적으로 걸림체결되어 상기 트랩축(16)이 하강작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배수트랩(15a)의 걸름마개(18)를 한번 더 누를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30)의 절곡된 상부가 상부멈춤홈(34)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로(3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트랩축(16)은 탄성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이동되고 걸림쇠(30)의 절곡된 상부는 하부멈춤홈(35)에 일시적으로 걸림체결되어 상기 트랩축(16)이 상승작동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다음으로, 상기 레버식으로 작동되는 배수트랩(15b)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레버식 배수트랩(15b)은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몸체(5)의 내측에 구비된 설치구(13)에 단순 끼움결합되면서 배수구몸체(5)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트랩축(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랩축(16)은 상부에 배수마개(17) 및 걸름마개(18)가 상하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연장축(36)이 수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축(36)의 하부에는 횡축(37)의 일측끝단이 연결되어 있되, 이러한 트랩축(16)의 작동구조는 통상의 레 버식 배수트랩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 횡축(37)은 배수관(4)의 배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설치된 보조관(38)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설치되고 가운데부분에 제어볼(39)이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볼(39)은 보조관(38)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보조관(38)의 외측으로 돌출설치된 횡축(37)의 타측끝단에는 세면기(2)의 배면부에 관통설치된 레버(40)의 수직축(41)과 커넥터(42)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레버(40)의 상하작동에 따라 제어볼(39)을 중심축으로 횡축(37)이 시소식으로 상하작동되면서 상기 트랩축(16)의 상승이동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상부를 막아 배수구(3)를 폐쇄하고 상기 트랩축(16)의 하강이동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배수공간부(9a)(9b)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를 개방하여 저장된 물이 배수구(3)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름마개(18)는 트랩축(16)의 상승 및 하강이동시 항상 배수구(3)의 상부를 막고 있어 상기 걸름마개(18)에 의해 물만 통과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걸러지게 된다.The lever-
또한, 상기 트랩축(16)의 상부 외주면에는 돌출턱(26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트랩축(16)의 하강이동시 설치구(13)의 하부쪽으로 트랩축(16)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트랩축(16)의 상단부에는 배수마개(17)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트랩축(16)의 하강작동시 배수마개(17)와 설치구(13) 사이의 간격이 좁게 설치되어 배수시 걸름마개(18)에서 걸러지지 않은 머리카락 등이 설치구(13)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저면부에 오버플로우통로(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세면기(2)의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면기(2)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수구몸체(5)의 하부에 "∪"자 형상의 배수컵(43)을 끼움결합하여 오버플로우통로(11)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배수컵(43)은 배수구몸체(5)보다 큰 직경을 지니고 있으며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배수구몸체(5)의 외경과 동일한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배수구몸체(5)의 하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수컵(43)의 상면부는 세면기(2)의 저면부에 밀착되게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하면부는 배수공간부(9a)(9b)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배수컵(43)이 배수구몸체(5)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 고정너트(8)와 배수관(4)을 배수구몸체(5)의 수나사부(7a)에 차례로 나사체결식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상기와 같이 배수컵(43)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트랩(15a)(15b)이 하강작동되어 배수마개(17)가 배수공간부(9a)(9b)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 배수구(3)가 개방되어 세면기(2)의 저장된 물이 배수공간부(9a)(9b)와 배수컵(43) 내부를 거쳐 배수구(3)의 하부로 배출된다.When the drain traps 15a and 15b are lowered and the
한편, 상기 배수컵(4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측면유입공(45)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세면기(2)는 상부에 오버플로우홀(1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유입공(45)과 오버플로우홀(12) 사이는 연결호스(46)를 통해 연결되 어 있어 세면기(2)에 일정수위의 이상의 물이 저장되면 상기 오버플로우홀(12)과 연결호스(46)를 통해 오버플로우된 물이 흘러넘치면서 상기 배수컵(43)의 측면유입공(45)으로 유입되어 배수구몸체(5)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4)을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배수컵(43)의 측면유입공(45)과 상기 세면기(2)의 오버플로우홀(12)에는 각각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암체결구(47a)(47b)가 구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호스(46)의 양끝단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체결구(48a)(48b)가 구비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측면유입공(45)의 암체결구(47a)와 오버플로우홀(12)의 암체결구(47b)에 각각 연결호스(46)의 수체결구(48a)(48b)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움결합되어 간단하게 연결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1)는 누름버튼식 배수트랩(15a) 또는 레버식 배수트랩(15b)이 배수구몸체(5)의 내측 중앙부분에 구비된 설치구(13)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승강작동에 따라 세면기(2)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거나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상승작동시에는 도 2, 6,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구몸체(5)의 배수공간부(9a)(9b)가 형성된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의 상부를 차단하여 세면기(2)에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마개(18)는 배수구(3)의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15a)(15b)의 하강작동시에는 도 3, 5,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마개(17)가 배수공간부(9a)(9b)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를 개방하여 세면기(2)에 저장된 물이 배수마개(17)와 배수공간부(9a)(9b)의 상부 사이를 통해 오버플로우통로(11)로 유입되고 오버플로우통로(11)로 유입된 물은 배수마개(17)와 배수공간부(9a)(9b) 하부 사이를 통해 배수구(3)의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걸름마개(18)는 배수구(3)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배수구(3)를 지속적으로 막고 있어 망형태로 된 걸름마개(18)를 통해 물만 통과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걸러내어 배수구(3) 내측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걸름차단한다.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배수구몸체와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drain body and the push-button drain trap in the drain for the sin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배수구몸체와 누름버튼식 배수트랩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body and the push button drain trap coupled state in the drain for the sin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이 하강작동된 상태의 사시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push-button drainage trap is lowered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으로 된 배수장치가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is a push button drain trap installed in the wash basin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이 하강작동되어 배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button drainage trap drainage operation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이 상승작동되어 배수가 차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button is blocked by the push-button drain trap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ainage oper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배수구몸체와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drain body and the push-button drain trap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for the sin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배수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개략도Figur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plug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배수마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개략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plug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레버식 배수트랩으로 된 배 수장치가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로 배수트랩이 상승작동된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trap is op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age device is a lever-type drainage trap in the sink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washbasi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레버식 배수트랩으로 된 배수장치가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로 배수트랩이 하강작동된 상태의 단면개략도11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the drainage trap is lowered operation in the state that the drainage device is a lever-type drain trap installed in the wash basin in the drainage device for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버플로우통로가 없는 세면기에 배수컵이 장착된 배수장치의 단면개략도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device equipped with a drainage cup in a basin without an overflow passag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device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오버플로우통로가 없는 세면기에 배수컵이 장착된 상태에서 세면기의 오버플로우홀과 배수컵이 연결호스로 연결된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overflow hole and the drain cup of the wash basin is connected to the hose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 cup is installed in the basin without an overflow passag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종래 누름버튼식 배수트랩이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개략도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ush-button drain trap installed in a wash basin
도 15는 종래 레버식 배수트랩이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개략도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ever-type drain trap installed in a wash basi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1'. 배수장치 2, 2'. 세면기1, 1 '.
3, 3'. 배수구 4, 4'. 배수관3, 3 '.
5, 5'. 배수구몸체 6, 6'. 걸림턱5, 5 '.
7a, 7b, 7c, 7d. 수나사부 8, 8'. 고정너트7a, 7b, 7c, 7d. Male threaded
9a, 9b. 배수공간부 10a, 10b. 지지대9a, 9b.
11, 11'. 오버플로우통로 12, 12'. 오버플로우홀11, 11 '.
13, 13'. 설치구 14a, 14b. 연결편13, 13 '.
15a, 15b, 15a', 15b'. 배수트랩 16, 16'. 트랩축15a, 15b, 15a ', 15b'.
17, 17'. 배수마개 18. 걸름마개17, 17 '.
19. 밀폐링 20. 밀폐막19. Sealing
21. 돌출대 22a, 22b, 22c, 22d. 암나사부 21.
23. 암나사홀 24. 배수홀23.
25, 25'. 트랩케이싱 26a, 26b. 돌출턱25, 25 '.
27. 상부 외경 28. 하부 외경27. Upper
29, 29'. 탄성스프링 30, 30'. 걸림쇠29, 29 '.
31. 밀착링 32. 이동로31.
33. 하부돌출부 34. 상부멈춤홈33.
35. 하부멈춤홈 36, 36'. 연장축35.
37, 37'. 횡축 38, 38'. 보조관37, 37 '.
39, 39'. 제어볼 40, 40'. 레버39, 39 '.
41, 41'. 수직축 42, 42'. 커넥터41, 41 '.
43. 배수컵 44a', 44b'. 배수공43.
45. 측면유입공 46. 연결호스45.
47a, 47b. 암체결구 48a, 48b. 수체결구47a, 47b.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0358 WO2010085079A2 (en) | 2009-01-21 | 2010-01-20 | Draining apparatus for a washstand |
CN2010800051910A CN102292507A (en) | 2009-01-21 | 2010-01-20 | Draining apparatus for a wash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4995 | 2009-01-21 | ||
KR1020090004995 | 2009-01-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7716A KR20090027716A (en) | 2009-03-17 |
KR101042550B1 true KR101042550B1 (en) | 2011-06-20 |
Family
ID=4069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52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2550B1 (en) | 2009-01-21 | 2009-02-24 | Sink drain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550B1 (en) |
CN (1) | CN102292507A (en) |
WO (1) | WO2010085079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107B1 (en) * | 2011-02-28 | 2013-03-11 | 서광복 |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stand |
KR200468665Y1 (en) * | 2012-03-12 | 2013-08-27 | 나원주 | Drainage ditch trillion of sink |
KR101404081B1 (en) * | 2013-04-03 | 2014-06-05 | 유영세 | Washbasin |
CN103243785B (en) * | 2013-05-27 | 2014-12-10 | 何明娟 | Vortex-type bathtub |
KR101427185B1 (en) * | 2013-05-28 | 2014-08-07 | 변지섭 | Adhesion type strainer cap for washbowl popup valve |
KR200475485Y1 (en) * | 2013-06-19 | 2014-12-08 | 이성진 | Pop-Up Valve |
CN103990945B (en) * | 2014-06-12 | 2016-11-16 | 赵康于 | The manufacture method of outlet device housing |
EP3440274A4 (en) * | 2016-04-03 | 2019-12-11 | SP-Technologies Ltd. | Drain cover assembly |
CN106439190A (en) * | 2016-08-16 | 2017-02-22 | 成都睿美水族用品有限公司 | Water circulation control switch of aquarium capable of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
CN106122498A (en) * | 2016-08-16 | 2016-11-16 | 成都睿美水族用品有限公司 | A kind of aquarium water loop control switch |
CN106400900B (en) * | 2016-11-30 | 2019-01-29 | 青岛大学 | A kind of portable cold/hot lavatory basin |
CN109653310A (en) * | 2017-10-11 | 2019-04-19 | 朴永根 | Washing basin drainage arrangement |
CN107905312A (en) * | 2017-11-30 | 2018-04-13 | 台州尼西卫浴股份有限公司 | Integrated concealed overflow device for bathtub |
CN107965016B (en) * | 2018-01-03 | 2023-10-03 | 佛山东鹏洁具股份有限公司 | Drainer with overflow and filtering capability |
CN108316413B (en) * | 2018-02-05 | 2024-07-02 | 宁波美高厨具有限公司 | Table top lifting type water tank |
CN110820873A (en) * | 2018-08-10 | 2020-02-21 | 杨美丽 | Dual-purpose separating type drainage head |
CN109138073A (en) * | 2018-10-12 | 2019-01-04 | 北海农瑞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drainer of wash basin of external control |
CN109138072A (en) * | 2018-10-12 | 2019-01-04 | 北海农瑞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external outlet device ontology controlled in drainer of wash basin |
CN109138078A (en) * | 2018-10-15 | 2019-01-04 | 北海农瑞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drainer of wash basin of the external control of block-proof type |
CN109138074A (en) * | 2018-10-15 | 2019-01-04 | 北海农瑞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outlet device ontology in the drainer of wash basin of the external control of block-proof type |
CN109930676B (en) * | 2019-01-17 | 2021-02-19 | 苏宣维 | Multifunctional floor drainer |
US11459740B2 (en) * | 2020-04-17 | 2022-10-04 | Kohler Co. | Easy drain installation assembly for bath or shower |
CN111972873B (en) * | 2020-09-15 | 2024-03-08 | 南京林业大学 | Basin cabinet that possesses to prevent falling down |
WO2022159647A1 (en) * | 2021-01-22 | 2022-07-28 | As America, Inc. | Drain cover assembly |
CN114305173B (en) * | 2021-12-15 | 2023-06-30 | 南京市蓝业科技有限公司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nursing foot tub for dermatolog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6084Y1 (en) * | 2002-05-23 | 2002-08-21 | 윤재경 | The drainage valve for a washbowl |
KR20020086084A (en) * | 2001-05-11 | 2002-11-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tion of vehicle |
US20060195976A1 (en) * | 2003-05-14 | 2006-09-07 | Mcalpine James K | Waste outlet plug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224615A3 (en) * | 1985-08-13 | 1988-09-14 | Kohler Co. | Bubble massage bathtub and drain control unit for use therewith |
JP3080353B2 (en) * | 1995-04-07 | 2000-08-28 | 株式会社イナックス | Drainage stopper device for water tanks such as bathtubs |
JP2003119863A (en) * | 2001-10-04 | 2003-04-23 | Giichi Misawa | Hair catcher in outfall |
CN2554242Y (en) * | 2002-01-21 | 2003-06-04 | 潘文正 | Water outlet of drainage system |
CN2732854Y (en) * | 2004-10-16 | 2005-10-12 | 袁涛 | Water storage and discharging device for sanitary ware |
KR100763588B1 (en) * | 2006-06-19 | 2007-10-04 | 조영권 | Washbasin with separate filtration |
NL1032083C2 (en) * | 2006-06-29 | 2008-01-02 | Easy Sanitairy Solutions Bv | Flat drain. |
KR100758544B1 (en) * | 2006-12-28 | 2007-09-13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Sink drain opening |
-
2009
- 2009-02-24 KR KR1020090015258A patent/KR10104255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1-20 CN CN2010800051910A patent/CN102292507A/en active Pending
- 2010-01-20 WO PCT/KR2010/000358 patent/WO201008507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6084A (en) * | 2001-05-11 | 2002-11-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tion of vehicle |
KR200286084Y1 (en) * | 2002-05-23 | 2002-08-21 | 윤재경 | The drainage valve for a washbowl |
US20060195976A1 (en) * | 2003-05-14 | 2006-09-07 | Mcalpine James K | Waste outlet plu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85079A3 (en) | 2010-10-21 |
CN102292507A (en) | 2011-12-21 |
WO2010085079A2 (en) | 2010-07-29 |
KR20090027716A (en) | 2009-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550B1 (en) | Sink drain | |
KR200441759Y1 (en) | Sink drain trap | |
KR200403195Y1 (en) | Pop-up valve structure of washstand | |
KR200463052Y1 (en) | A lever draining apparatus for a washstand which is possessed of filter cap | |
KR200482529Y1 (en) | A draining trap | |
KR101401231B1 (en) | Drain apparatus for a washbowl | |
KR101728223B1 (en) | Drain Switchgear for washbasins | |
KR101162029B1 (en) | Drainage assembly with filter removing hair | |
KR200368837Y1 (en) | Water plug having a filter box for a wash bowl | |
KR100756933B1 (en) | Odor blocking device of drain | |
KR200458962Y1 (en) | Trap for Washstand | |
KR200475485Y1 (en) | Pop-Up Valve | |
JP5170458B2 (en) | Drain trap | |
KR20160121721A (en) | One-touch style pop-up valve for washbasins | |
KR100758544B1 (en) | Sink drain opening | |
JP5106897B2 (en) | Eye plate in drain trap | |
KR101259781B1 (en) | Drain plug for wash basin | |
KR20220001401U (en) | Basin valve with filter | |
KR200192977Y1 (en) | Lavatory plug | |
CN213572212U (en) | Can dismantle abluent deodorant drainer fast | |
KR101312665B1 (en) | A Drain trap for a washstand | |
KR20140088429A (en) | a drain trap | |
KR200169068Y1 (en) | An apparatus of a drain for bathroom | |
KR200230642Y1 (en) | Lid for drain | |
KR200400063Y1 (en) | A drain valve for a wash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