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1465B1 -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65B1
KR101011465B1 KR1020080055774A KR20080055774A KR101011465B1 KR 101011465 B1 KR101011465 B1 KR 101011465B1 KR 1020080055774 A KR1020080055774 A KR 1020080055774A KR 20080055774 A KR20080055774 A KR 20080055774A KR 101011465 B1 KR101011465 B1 KR 10101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rainer
drainage
wa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713A (ko
Inventor
한규영
Original Assignee
(주)도우기술협력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우기술협력회 filed Critical (주)도우기술협력회
Priority to KR102008005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4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따라 흐르는 상수 또는 하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서 상수 또는 하수의 최종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물질의 정체 및 퇴적에 의한 배관의 막힘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배관의 관리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원활해지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렬로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2,3배관(11, 12, 13)과, 제1배관(11)과 제2배관(12)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메인제수변(21)과, 제2배관과 제3배관(13)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메인제수변(22)과, 제2배관(12)에 탑재되는 스트레너(30)와, 전단은 제1배관(11)과 연통하고 후단은 제2배관(12)에서 스트레너(30)와 제2메인제수변(22) 사이에 연통하는 역세척용 배수관(40)과, 역세척용 배수관(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세척용 제수변(70)과, 제2배관(12)에서 제1메인제수변(21)과 스트레너(30) 사이에 연통하는 퇴수용 배수관(50)과, 퇴수용 배수관(50)의 개폐를 제어하는 퇴수용 제수변(6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having washing ability by flowing backward in pipe}
본 발명은 배관을 따라 흐르는 상수 또는 하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서 상수 또는 하수의 최종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물질의 정체 및 퇴적에 의한 배관의 막힘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배관의 관리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원활해지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상, 지중 또는 수중 등에 설치되어 상수 또는 하수(이하 용수)의 이동로 역할을 하는 배관은, 배관을 따라 흐르는 용수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질 및 구조가 적용된다.
도 1(종래 배관 연결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배관(11, 12, 13)은 용수의 배수상태를 제어하는 제1,2메인제수변(21, 22)을 경계로 연통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제1메인제수변(21)을 폐쇄하면 제1배관(11)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는 제2,3배관(12, 13)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제2메인제수변(22)을 폐쇄하면 제1,2배관(11, 12)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는 제3배관(13) 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1,2,3배관(11, 12, 13)은 스트레너(30)를 탑재한다. 스트레너(30)는 걸름망의 일종으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른다. 그런데, 스트레너(30)는 이물질이 끼거나 걸리면서 통로를 막게 되고 이러한 막힘 현상은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스트레너(30)의 세척 또는 교체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엔 스트레너(30)가 이물질에 의해 완전히 막히면서 제1,2,3배관(11, 12, 13)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1,2,3배관(11, 12, 13)을 주기적으로 해체해서 스트레너(30)에 집적된 이물질을 떼어내거나 새로운 스트레너(30)로 교체하는 관리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에는 스트레너(30)가 탑재된 제2배관(12)을 해체해서 상기 스트레너(30)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데, 이를 위해 제2배관(12)으로 용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메인제수변(21)을 폐쇄하고, 제2배관(12)을 해체해서 스트레너(30)를 분리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스트레너(30)를 주기적으로 세척 또는 교체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스트레너(30)의 관리를 위해 배관을 해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감수해야 했고, 이는 관리의 곤란성과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스트레너(30)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관에 설치된 스트레너를 관리함에 있어서 스트레너에 낀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히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렬로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2,3배관과, 제1배관과 제2배관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메인제수변과, 제2배관과 제3배관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메인제수변과, 제2배관에 탑재되는 스트레너와, 전단은 제1배관과 연통하고 후단은 제2배관에서 스트레너와 제2메인제수변 사이에 연통하는 역세척용 배수관과, 역세척용 배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세척용 제수변과, 제2배관에서 제1메인제수변과 스트레너 사이에 연통하는 퇴수용 배수관과, 퇴수용 배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퇴수용 제수변으로 이루어진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이다.
상기 본 발명은, 스트레너에 낀 이물질을 역류하는 용수의 유력을 이용해 떼어내고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는 별도로 퇴수 처리함으로서, 배관 해체 없이도 깔끔한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관의 폐쇄 기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인 배관이용을 가능이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는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에 바이패스 형태로 연결되는 역세척용 배수관(40)이 연결되되, 제2배관(12)에 스트레너(30)가 탑재되고, 용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역세척용 배수관(40)의 후단은 스트레너(30)의 후방에서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역세척용 배수관(40)에는 용수의 통과 여부를 제어하는 역세척용 제수변(70)이 설치된다.
계속해서, 제2배관(12)은 용수가 퇴수하는 퇴수용 배수관(50)이 연결되되, 퇴수용 배수관(50)은 제1메인제수변(21)과 스트레너(30) 사이에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퇴수용 배수관(50)에는 용수의 통과 여부를 제어하는 퇴수용 제수변(60)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레너(30)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용수가 스트레너(3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스트레너(30)의 전면에 걸리거나 낀다. 즉, 스트레너(30)의 전면에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퇴적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에서는 스트레너(30)의 전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용수를 강제로 역류시켜서, 스트레너(30)로부터 이물질을 떼어낸다. 즉, 용수가 스트레너(30)의 후면으로 유입되면서 전면에 붙은 이물질을 밀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메인제수변(21, 22)은 정상적인 용수의 흐름을 막기 위해 폐구되고, 이와 동시에 평상시 폐구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세척용 제수변(70) 및 퇴수용 제수변(60)은 개구된다.
결국, 제1배관(11)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는 제1메인제수변(21)의 폐구로 그 흐름이 역세척용 배수관(40)을 향하고, 다시 역세척용 배수관(40)의 후단을 통해 스트레너(30)의 후면으로 유입되면서 제2배관(12)의 용수를 역류시킨다. 이는, 제2메인제수변(22)이 폐구되어서 역세척용 배수관(40)을 통과한 용수가 제3배관(13)으로 흐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제2배관(12)을 역류한 용수는 퇴수용 제수변(60)으로 유입되며, 개구된 퇴수용 제수변(60)을 통과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퇴수용 배수관(50)을 통과하는 용수는 스트레너(30)에 끼인 이물질을 떼어내서 이동시키므로, 배수되는 용수에는 상당량의 이물질이 포함되고, 이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처리될 것이다.
한편, 이물질이 스트레너(30)에서 충분히 제거되면, 제1,2메인제수변(21, 22)은 개구하고 역세척용 제수변(70) 및 퇴수용 제수변(60)은 폐구해서, 제1배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수가 제2배관(12) 및 제3배관(13)을 순차로 경유해 흐르도록 한다.
즉, 제1,2메인제수변(21, 22)과 퇴수용 제수변(60) 및 역세척용 배수변(70)에 대한 개폐조정만으로 배관 해체없이 스트레너(30)에 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척작업을 빈번히 할 수 있고, 세척시간 또한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제1,2,3배관(11, 12, 13)의 통수상태를 항시 최적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너(30')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깔 형상으로 되어서 용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이를 통해 이물질 끼임에 의한 배수율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즉,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트레너(30')에 끼면서 특정 지점을 막더라도 용수가 통과할 수 있는 남은 지점이 상대적으로 충분하므로 용수의 흐름이 크게 방해받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고깔 형상의 스트레너(30')는 용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트레너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배관(12')은 점검창(1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점검창(12a)은 스트레너(30')를 탑재한 제2배관(12')에 투명하게 형성되어서, 관리자가 제2배관(12')의 내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2배관(12')의 내부를 확인해서 스트레너(30')에 낀 이물질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세척작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세척작업시 스트레너(30')에서 이물질이 얼마나 제거되었는지를 점검창(12a)을 통해 눈으로 확인하고, 충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2메인제수변(21, 22), 퇴수용 제수변(60) 및 역세척용 제수변(70)을 조작해서 용수가 제1,2,3배관(11, 12', 13)을 따라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점검창(12a)은 제2배관(12)의 절개된 일 지점에 투명한 재질의 판을 덮어 고 정함으로서 완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점검창(12a)은 제2배관(12, 12')에 장착된 카메라일 수도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점검창(12a)은 수중 또는 지중에 매설되지 않는 배관을 수동으로 관리할 때 필요한 것으로서, 스트레너(30')가 탑재된 제2배관(12, 12')을 통과하는 용수의 유속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세척의 필요성 여부와 세척작업의 중단 여부 확인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관 연결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 12, 13; 제1,2,3배관 21, 22; 제1,2메인제수변
30, 30'; 스트레너 40; 역세척용 배수관
50; 퇴수용 배수관 60; 퇴수용 제수변
70; 역세척용 제수변

Claims (3)

  1. 일렬로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2,3배관(11, 12, 13)과, 제1배관(11)과 제2배관(12)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메인제수변(21)과, 제2배관과 제3배관(13) 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메인제수변(22)과, 제2배관(12)에 탑재되고 제3배관(13)을 향해 돌출형성된 고깔형상인 스트레너(30)와, 전단은 제1배관(11)과 연통하고 후단은 제2배관(12)에서 스트레너(30)와 제2메인제수변(22) 사이에 연통하는 역세척용 배수관(40)과, 역세척용 배수관(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세척용 제수변(70)과, 제2배관(12)에서 제1메인제수변(21)과 스트레너(30) 사이에 연통하는 퇴수용 배수관(50)과, 퇴수용 배수관(50)의 개폐를 제어하는 퇴수용 제수변(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관(12)은 제2배관(1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창(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KR1020080055774A 2008-06-13 2008-06-13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KR10101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74A KR101011465B1 (ko) 2008-06-13 2008-06-13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74A KR101011465B1 (ko) 2008-06-13 2008-06-13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13A KR20090129713A (ko) 2009-12-17
KR101011465B1 true KR101011465B1 (ko) 2011-01-31

Family

ID=4168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774A KR101011465B1 (ko) 2008-06-13 2008-06-13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1933B8 (en) * 2018-11-28 2024-05-15 Ind Flow Solutions Operating Llc In-line pump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liquid flow in gravity networks
WO2020113113A1 (en) * 2018-11-28 2020-06-04 Bjm Pumps Llc In-line pump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liquid flow in gravity networks
CN110387921B (zh) * 2019-07-24 2020-12-29 湖南省丰源水务投资建设有限责任公司 自来水管检测内壁杂质清理系统
KR102457238B1 (ko) * 2020-08-07 2022-10-20 가람환경기술(주) 세척이 용이한 배관 스트레이너
CN112973251A (zh) * 2021-02-08 2021-06-18 张家轩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30Y1 (ko) * 2002-01-03 2002-04-13 주식회사 근화환경 스트레이너
KR20020072130A (ko) * 2001-03-09 2002-09-14 (주)마이크로바이오텍 오픈시아속 선인장으로부터 추출 분획된 항균활성 추출물질
KR100720148B1 (ko) * 2006-06-14 2007-05-23 주식회사 대영밸브 역세척 걸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30A (ko) * 2001-03-09 2002-09-14 (주)마이크로바이오텍 오픈시아속 선인장으로부터 추출 분획된 항균활성 추출물질
KR200272130Y1 (ko) * 2002-01-03 2002-04-13 주식회사 근화환경 스트레이너
KR100720148B1 (ko) * 2006-06-14 2007-05-23 주식회사 대영밸브 역세척 걸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13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236B2 (en) Intake filter for water collection system with pressure activated backwash valve
US8308937B2 (en) Grey water diversion system
US9539529B2 (en) Backwash reclamation method
KR101011465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RU1918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4070374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JP6351267B2 (ja) 小便器システム
CN107142681A (zh) 洗衣机排水装置的清洗方法、排水装置及洗衣机
NZ587435A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by drawing through filtration membranes with pump providing a backwash to membranes actuated by treatment tank level
CN103933764A (zh) 反冲洗导流止回过滤装置
CN114855966B (zh) 一种市政建筑工地污水管道防堵塞调节阀
CN204815881U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KR20140005630A (ko)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KR20070116017A (ko) 위생 배관용 일체형 오물포집 컵이 부착된 필터 조립체
KR101081507B1 (ko) 수영장 청소 시스템
JP4474856B2 (ja) 廃液溶剤回収方法
KR101644963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43206B1 (ko) 역류방지 장치를 형성한 엘보형 스트레나 체크 밸브
DE102009017912A1 (de) Filtervorrichtung
JP6646837B2 (ja) 排水システム
JP2018096167A (ja) 便器装置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DE19538151A1 (de) Automatischer Partikelabscheider für Abflußsysteme
KR20100011359U (ko) 세정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