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8351B1 - 바닥 표지판 - Google Patents

바닥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351B1
KR101008351B1 KR1020080018483A KR20080018483A KR101008351B1 KR 101008351 B1 KR101008351 B1 KR 101008351B1 KR 1020080018483 A KR1020080018483 A KR 1020080018483A KR 20080018483 A KR20080018483 A KR 20080018483A KR 101008351 B1 KR101008351 B1 KR 10100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ign
present
road
material sepa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134A (ko
Inventor
신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Priority to KR102008001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3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3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 산책로, 주차장 및 자전거용 도로 등과 같은 포장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자체홍보 및 도로안내 등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상으로 인쇄되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반사지를 통해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켜 주/야간 모두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지자체홍보를 할 수 있는 바닥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면에 홍보 및 안내문구가 인쇄되는 상기 반사지(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포장재(G)에 지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도, 도로, 바닥, 표지판, 반사지, 포장재

Description

바닥 표지판 {A FLOOR SIGN PLATE}
본 발명은 공원 산책로, 주차장 및 자전거용 도로 등과 같은 포장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자체홍보 및 도로안내 등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상으로 인쇄되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반사지를 통해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켜 주/야간 모두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지자체홍보를 할 수 있는 바닥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보행로, 인도 및 자전거용 도로 등과 같은 포장도로 표면에 도료를 사용하여 도로안내를 위한 각종 표시 신호를 그려 넣거나 지자체홍보를 위한 문양 및 형상을 그려 넣어 보행자에게 통행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거나 지자체 및 공원관리시설의 홍보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중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도료의 마모 및 퇴색으로 인하여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홍보내용을 알릴 수 없게 되어 보행함에 있어 큰 불편을 주게 된다.
근래에는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웰빙[well-being]에 관련한 운동을 많이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걷기운동과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이, 보행자가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이용함에 있어서, 보행로 및 자전거용 도로의 구분을 알리는 안내표시가 마모 또는 퇴색하여 식별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보행중인 보행자와 자전거와의 충돌로 인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도로 표면에 그려진 각종 안내 및 홍보표시는 어두운 야간에는 시인성이 떨어져 보행자로 하여금 도로에 대한 안내 및 지자체 홍보 등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치와 자연미가 요구되는 아파트 주차장이나 공원 등의 광장 및 보행로 등에 통행안내표시 및 홍보를 위한 문구 등을 표시해야할 경우에는,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컬러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포장도로의 표면에 그려지는 것이므로 색상 및 형상표현을 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지자체 홍보를 알리는 표시가 시간의 경과 및 외부의 작용에 의해 손상되거나 퇴색하지 않는 바닥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에게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보행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안내표시를 함과 동시에 지자체 홍보를 할 수 있는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킨 바닥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도 및 차로용 도로에 시공되는 바닥 표지판의 안내 및 홍보 표시문구를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인쇄함으로써,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바닥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도 및 차로용 도로에 시공시 설치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설치의 용이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킨 바닥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도 및 차로용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바닥 표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 표지판은, 상기 도로의 표면에 설치되되, 가장자리가 상기 도로의 포장재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적층되며, 홍보 또는 안내문구가 표시되는 반사지와, 상기 반사지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상기 반사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 지토록 하는 투명부재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표지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가 이질재료에 간섭됨이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 분리대가 더 구성된 바닥 표지판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투명부재와 재료 분리대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상호 고정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반사지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충진재가 더 구성된 바닥 표지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 표지판은,
첫째, 보행안내 및 홍보 표시가 인쇄된 반사지의 상부에 투명부재를 적층시키고 충진재를 통해 수밀성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시간의 경과 및 외부의 작용에 의해 퇴색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의 상면에 보행안내 및 홍보를 위한 표시가 인쇄됨으로써, 야간에도 보행로 및 자전거용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에 의해 빛을 발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반사지의 상면에 다양한 컬러와 문양으로 인쇄되므로,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제작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베이스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재료 분리대를 통해 보도 및 도로 포장공사와 더불어 바닥 표지판의 설치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설치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원 산책로, 주차장 및 자전거용 도로 등과 같은 포장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자체홍보 및 도로안내 등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상으로 인쇄되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반사지를 통해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켜 주/야간 모두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지자체홍보를 할 수 있는 바닥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면에 홍보 및 안내문구가 인쇄되는 상기 반사지(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포장재(G)에 지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을 통해 결합토록 하는 접착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 수용토록 형성되어 외측이 상기 포장재(G)와 접촉을 통해 지지토록 하는 재료 분리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접착을 통해 결합토록 하는 접착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 A선 단면도,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표지판(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면에 홍보 및 안내문구가 인쇄되는 상기 반사지(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포장재(G)에 지지토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을 통해 결합토록 하는 접착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미부호)는 일상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성분을 갖는 접착제를 말하며, 이 후에 설명되는 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구성이 적층되 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추가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닥 표지판(100)은,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 수용토록 형성되어 외측이 상기 포장재(G)와 접촉을 통해 지지토록 하는 재료 분리대(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을 통해 결합토록 하는 접착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공원의 보행로 및 자전거전용 도로와 같은 포장도로의 지면(G)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강성을 지닌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또는 알루미늄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지(20)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양한 색상과 형상으로 안내표시 및 지자체 등을 홍보하기 위한 표시문구가 인쇄된다.
이때, 상기 반사지(20)는 상부면에 인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표시문구 및 홍보형상을 이루는 부착물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3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지(20)의 상부로 적층되되, 상기 투명부재(30)는 외부에서 내부의 형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투명 유리재질 및 아크릴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부재(30)의 가장자리 테두리에는 상기 반사지(20)의 일면 에 인쇄된 안내표시 및 홍보문구 등이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리콘(silicon)재질로 이루어진 충진재(50)가 도포되어 수밀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투명부재(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평면적 크기보다 소정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 수용토록 형성되어 외측이 상기 포장재(G)와 접촉을 통해 지지토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상기 바닥 표지판(100)을 수용토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하여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바닥 표지판(100) 전체를 수용하여 외측이 상기 포장재(G)와 접촉을 통해 지지토록 구성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러한,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상기 투명부재(30)와 포장도로와 같은 상이한 재료(재질)가 만나는 부분에 실리콘(silicon)시공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강성을 지닌 스틸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적층되되, 내측에 충진재(50)가 충진되도록 충진공간(S)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충진공간(S)은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되는 공간을 말한다. 이같이, 상기 충진공간(S)에 상기 충진재(50)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상기 투명 부재(30)가 이질성을 갖는 포장재(G)와 진동에 의한 마찰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상기 반사지(20)와 상기 투명부재(30)가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도로의 포장공사시 별도의 설치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 둘레에는 다수의 요철(45)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바닥 표지판(100) 중 상기 투명부재(30)가 위치결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요철(45)이 돌출된 거리만큼 충진공간(S)을 형성하여 충진재(50)가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45)은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상기 반사지(20)가 상기 요철(45)에 간섭됨이 없이 쉽게 부착 또는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측면은 포장재(G)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부(47)가 형성된다.
또 한편,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마찰돌기(42)를 일체로 돌출형성시킴으로써, 바닥 표지판(100)을 밟고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재(G)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 12는 상기로 구성된 바닥 표지판(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자체홍보 및 보행로와 자전거전용도로의 구분을 알리는 안내표지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닥 표지판(100)은 보행로 및 도로상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도로안내 및 지차체의 홍보를 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가로등의 불빛에 의해 쉽게 바닥 표지판(1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야간 시인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표지판(100)은 상기 투명부재(30)가 외부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재료 분리대(40)와 투명부재(30)를 상호 고정시키는 충진재(50)의 제거를 통해 상기 투명부재(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표지판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반사지
30 : 투명부재 40 : 재료 분리대
42 : 마찰돌기 45 : 요철
47 : 테이퍼부 50 : 충진재
100 : 바닥 표지판 G : 포장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포장재(G)를 지닌 도로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표지판(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 반사지(20), 투명부재(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 표지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 수용토록 형성되어 외측이 상기 포장재(G)와 접촉을 통해 지지토록 하는 재료 분리대(40)로 구성되고,
    상기 재료 분리대(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을 통해 결합토록 하는 접착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에는 충진재(50)가 충진되는 충진공간(S)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6. 삭제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외측 둘레에는 보행자의 미끄럼방지 및 포장재(G)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42)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8.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투명부재(30)를 위치결정토록 하는 하나 이상의 요철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9.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리대(40)의 측면은 포장재(G)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부(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표지판.
KR1020080018483A 2008-02-28 2008-02-28 바닥 표지판 Expired - Fee Related KR10100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483A KR101008351B1 (ko) 2008-02-28 2008-02-28 바닥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483A KR101008351B1 (ko) 2008-02-28 2008-02-28 바닥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134A KR20090093134A (ko) 2009-09-02
KR101008351B1 true KR101008351B1 (ko) 2011-01-13

Family

ID=4130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8351B1 (ko) 2008-02-28 2008-02-28 바닥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5805A (ko) 2023-10-18 2025-04-25 신종철 보도바닥 설치용 표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231Y1 (ko) * 2020-04-08 2021-08-31 김범열 다목적 정보 안내용 노면 금속 표지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213A (ja) * 1997-12-03 1999-06-22 Sadamu Muraoka 路面埋込用発光道路標識
KR200223122Y1 (ko) * 2000-11-13 2001-05-15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지하철 역사내의 방향표지판
KR200255629Y1 (ko) * 2001-08-08 2001-12-13 경도종합건설 주식회사 바닥 표지판
KR20020023122A (ko) * 2000-09-22 2002-03-28 다카야마 요시 표시농도 변환방법 및 표시장치
KR20020055629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의 fact 유니트용 테스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213A (ja) * 1997-12-03 1999-06-22 Sadamu Muraoka 路面埋込用発光道路標識
KR20020023122A (ko) * 2000-09-22 2002-03-28 다카야마 요시 표시농도 변환방법 및 표시장치
KR200223122Y1 (ko) * 2000-11-13 2001-05-15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지하철 역사내의 방향표지판
KR20020055629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의 fact 유니트용 테스터기
KR200255629Y1 (ko) * 2001-08-08 2001-12-13 경도종합건설 주식회사 바닥 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5805A (ko) 2023-10-18 2025-04-25 신종철 보도바닥 설치용 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134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47B1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유도 표지판
KR200486578Y1 (ko) 도로 경계석 커버
KR101008351B1 (ko) 바닥 표지판
KR101381228B1 (ko) 가드레일 부착형 교통안내 표지판
KR101472208B1 (ko) 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0725119B1 (ko) 도로교통용 안전표시장치
WO2011096671A2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200453573Y1 (ko) 여러 방향 지시용 이정표의 구조
KR101210690B1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KR102093358B1 (ko) 광발광성 에코디스크 설치방법
KR20210109987A (ko) 노면표지용 led 조명시설
KR200355487Y1 (ko) 바닥 광고장치
KR200476074Y1 (ko) 매립형 바닥 표지물
CN102568344A (zh) 发光标志
KR200470252Y1 (ko) 발광장치
KR20110004365U (ko)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계펜스
JP2019019469A (ja) 鉛直形反射標識物
KR200288155Y1 (ko) 도로 경계석
KR20200088608A (ko) 가로등주 ci 안전표찰기구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KR200274499Y1 (ko) 테이프형 라이트 라인
KR200443598Y1 (ko) 도로경계석 표지병
KR100524764B1 (ko) 도로표지병
JP3136032U (ja) 縁石鋲
JP2010285837A (ja) 鉛直形反射標識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