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7729B1 - 다목적설치대 - Google Patents

다목적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29B1
KR101007729B1 KR1020070117481A KR20070117481A KR101007729B1 KR 101007729 B1 KR101007729 B1 KR 101007729B1 KR 1020070117481 A KR1020070117481 A KR 1020070117481A KR 20070117481 A KR20070117481 A KR 20070117481A KR 101007729 B1 KR101007729 B1 KR 10100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support
buried housing
ground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33A (ko
Inventor
어홍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루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루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루체
Priority to KR102007011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는 다수개의 체결홀(26b)과 보강리브(28)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6)가 하부에 구비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주(20)와;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30')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와 보강리브(28)가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며, 저면에는 상기 체결홀(26b)과 연통되는 관통홀(36)이 형성되는 매설하우징(30)과;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공간(30')을 차폐하고, 상기 보강리브(28)에 지지되어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커버(40)와; 지하에 매설되는 보강콘크리트(5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20)와 매설하우징(30)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홀(26b)과 관통홀(36)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앵커볼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에 의하면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 및 앵커볼트가 지하에 매설되므로,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리브와 앵커볼트가 매설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깔끔하여 주위의 미관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목적 설치대, 가로등, 지주, 보강리브, 앵커볼트, 매설하우징

Description

다목적설치대 {A Multipurpose Pole}
본 발명은 다목적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조명시설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는 다목적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는 지주에 광고물을 부착하거나, 조명시설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기능면에서 가로등과 비슷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가로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차량이나 보행자가 야간에 주행하거나 보행할 때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빛을 발생하는 실외 조명설비 중의 하나이다.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 설치장소에 따라 그에 알맞은 종류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로등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가로등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 되는 지주(1)가 보강리브(3)에 의해 지면(G)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보강리브(3)는 상기 지주(1)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지주(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주(1)의 상단에는 지지대(5)가 체결부(7)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5)는 상기 지주(1)의 상단으로부터 도로방향 또는 보행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체결부(7)는 상기 지주(1)의 상단과 상기 지지대(5)의 사이를 연결하는데, 일반적으로 용접 및 기타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지주(1)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상기 지지대(5)의 일단에는 조명장치(9)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장치(9)는 상기 지지대(5)에서 아래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G)을 비추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로등은 일부가 지면(G) 상으로 노출된 앵커볼트(도시되지 않음)에 너트로 체결된다. 상기 앵커볼트는 지하에 매설된 보강콘크리트(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어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철골구조 또는 목조기둥의 밑부분이나 교량의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의 기초를 연결하는 볼트로서, 그 길이의 대부분을 지면 속에 묻어넣고 일부분을 지면 상에 나오게 하여 그 돌출부에 구조체를 꽂아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는 구조체를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하여 구조체의 진동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해 구조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보행자가 지면(G) 상에 돌출된 앵커볼트 및 보강리브(3)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충돌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상에 노출된 상기 앵커볼트 및 보강리브(3)는 사용자의 통행을 방해하며, 때에 따라서 보행자의 치명적인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등은 도로를 장식하는 역할 또한 적지 않다고 할 것인데, 도로 표면으로 노출된 앵커볼트 및 보강리브(3)는 도로의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다목적설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앵커볼트 및 보강리브가 주위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 다목적설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체결홀과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하부에 구비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주와;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리브가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저면에는 상기 체결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매설하우징과; 상기 매설하우징의 내부공간 차폐하고, 상기 보강리브에 지지되어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커버와; 지하에 매설되는 보강콘크리트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와 매설하우징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홀과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설하우징은 상기 앵커볼트에 더블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된 너트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며, 상기 매설하우징의 선단에는 지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매설하우징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하우징의 하부에는 내부로 스며든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만나는 상기 매설하우징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단차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지주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주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 및 앵커볼트가 지하에 매설되므로,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강리브와 앵커볼트가 지하에 매설된 매설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지상에는 지주만이 노출된다. 이처럼 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리브와 앵커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깔끔하여 주위의 미관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절설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설하우징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커버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설하우징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주(20)는 내부가 빈 금속류의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20)의 형상은 원기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지주(20)의 내부로는 전기 공급을 위한 각종 케이블의 배선이 가능하다. 상기 지주(20)는 지면(G)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지주(20)의 상단에는 지지대(2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2)는 상기 지주(20)의 상단으로부터 도로방향 또는 보행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지지대(22)는 일반적으로 용접 및 기타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22)의 일단에는 조명장치(24)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장치(24)는 상기 지지대(5)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G)을 비추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의 하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26)가 상기 지주(20)와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의 중앙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홀(26a)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26a)은 상기 조명장치(2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중심홀(26a)은 상기 지주(20)의 하단이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와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주(20)가 다각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심홀(26a)도 그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는 상기 중심홀(26a)의 주위를 둘러서 체결홀(26b)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6b)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반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6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앵커볼트(54)가 관통한다. 상기 체결홀(26b)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 상에 돌출된 앵커볼트(54)에는 너트(N)가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는 보강리브(28)가 상기 체결홀(26b) 각각의 사이에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28)는 상기 지주(20)의 외주연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 접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보강리브(28)는 상기 지주(20)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리브(28)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40)의 하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이 일정길이 이상이 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8)는 아래에서 설명될 매설하우징(30)의 내부에 안착되어 지면(G)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설하우징(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지주(2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의 하부와 보강리브(28)의 주변을 감싸도록 매설하우징(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매설하우징(30)은, 도 4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30')이 형성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은 내부공간(30')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가 안착 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가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매설하우징(30)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면체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7에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보다 자세히 말해서, 도 7에서 매설하우징(1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가 원형으로 형성될 때, 이에 대응되도록 원기둥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도 4에 도시된 매설하우징(30)과 형상이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에서 매설하우징(130)의 구성요소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선단에는 지면(G)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2)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선단이 지면(G)과 동일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32)와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측면이 접하는 부분에는 단차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32')에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상부를 덮는 커버(40)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의 하부에는 배수구(3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34)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공간(30')으로 스며든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구(34)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물의 유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저면 가장자리나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6)에 대응되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저면에는 관통홀(3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8)에는 앵커볼트(54)가 관통한다.
또한, 상기 중심홀(26a)에 대응되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저면에는 배선홀(36)이 형성된다. 상기 배선홀(36)에는 상기 조명장치(2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관통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상부에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를 차폐하는 커버(40)가 상기 보강리브(28)의 선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40)의 하면은 길게 연장된 상기 보강리브(28)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커버(40)의 가장자리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선단에 형성된 단차부(32')에 지지되어 지면(G)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중앙에는 상기 지주(2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주홀(4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4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지주(20)가 설치된 후에 마무리 작업에 의해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커버(40)는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매설하우 징(30)의 내부공간(30')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의 하부에는 보강콘크리트(50)가 매설된다. 상기 보강콘크리트(50)는 상기 지주(20)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콘크리트 혼합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테이퍼진 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져 땅속에 매설시 안정된 고정력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콘크리트(50)의 내부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관(51)과 선단에 앵커볼트(54)가 형성되는 앵커(52)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볼트(54)는 상기 보강콘크리트(50)의 상면에 소정 높이 돌출된다. 상기 매설하우징(30)은 상기 앵커볼트(54)에 더블너트 체결방식으로 체결된 다수개의 너트(N)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해서, 단순히 하나의 너트(N)를 체결할 경우에 상기 지주(20)의 무게 및 지면(G)의 진동에 의하여 너트(N)가 풀릴 수 있으므로 더블너트 체결방식에 의해 너트(N)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더블너트 체결방식이 아니라도,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다른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너트(N)를 상기 앵커볼트(54)의 어느 위치에 고정시키느냐에 따라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설하우징(30)의 가이드부(32)가 지면(G)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너트(N)를 조정하여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높낮이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54)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관통홀(38)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의 체결홀(26b)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의 상부에 돌출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홀(26b)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앵커볼트(54)에 너트(N)를 조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가 상기 매설하우징(30)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다목적설치대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케이블관(51)과 앵커(52)가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보강콘크리트(50)를 지하에 매설한다. 이때, 상기 보강콘크리트(50)의 상면으로 돌출된 앵커볼트(54)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이 지하에 매설될 수 있도록 지면(G)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너트(N) 상에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앵커볼트(54)는 상기 관통홀(38)을 관통하여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저면은 더블너트 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된 너트(N)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매설하우징(30)의 선단에 구비된 가이드부(32)는 지면(G)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20)를 지면(G)에 수직하게 세우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를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공간(3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36)과 중심홀(26a)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앵커볼트(54)가 이들을 차례로 관통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28)는 상기 커버(40)가 상기 보강리브(28)의 선단에 올려졌을 때, 상기 커버(40)가 상기 가이드부(32) 및 지면(G)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 치하도록 지면(G)에서 상기 커버(40)의 두께만큼 떨어져 있다. 이는 제품의 설계과정에서 상기 매설하우징(30)과 보강리브(28)의 규격을 고려하여 설계함이 타당하다.
이처럼 상기 지주(20)가 세워지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 상에 돌출된 상기 앵커볼트(54)에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20)를 고정시킨다. 이때에도,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더블너트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공간(30')을 커버(40)로 덮는다. 상기 커버(40)는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차례로 상기 지주(20)의 주변을 둘러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내부공간(30')을 차폐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커버(40)의 하면은 상기 보강리브(28)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버(40)의 가장자리는 상기 매설하우징(30)의 단차부(3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이처럼 상기 커버(40)가 덮어졌을 때, 상기 가이드부(32)와 커버(40)는 지면(G)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리브(28)와 앵커볼트(54)가 지하에 매설되므로, 외관상 깔끔하고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통로를 더 확보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목적설치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설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설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설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지주 22: 지지대
24: 조명장치 26: 베이스플레이트
26a: 중심홀 26b: 체결홀
28: 보강리브 30: 매설하우징
32: 가이드부 34: 배수구
36: 관통홀 38: 배선홀
40: 커버 42: 지주홀
50: 보강콘크리트 51: 케이블관
52: 앵커 54: 앵커볼트

Claims (5)

  1. 다수개의 체결홀과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하부에 구비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지주와;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리브가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저면에는 상기 체결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매설하우징과;
    상기 매설하우징의 내부공간 차폐하고, 상기 보강리브에 지지되어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커버와;
    지하에 매설되는 보강콘크리트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와 매설하우징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홀과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설하우징은 상기 앵커볼트에 더블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된 너트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며,
    상기 매설하우징의 선단에는 지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매설하우징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하우징의 하부에는 내부로 스며든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만나는 상기 매설하우징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설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지주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주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설치대.
KR1020070117481A 2007-11-16 2007-11-16 다목적설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1A KR101007729B1 (ko) 2007-11-16 2007-11-16 다목적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1A KR101007729B1 (ko) 2007-11-16 2007-11-16 다목적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33A KR20090050833A (ko) 2009-05-20
KR101007729B1 true KR101007729B1 (ko) 2011-01-13

Family

ID=4085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29B1 (ko) 2007-11-16 2007-11-16 다목적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17B1 (ko) 2012-10-18 2014-09-23 김근영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KR20160039829A (ko)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101955447B1 (ko) 2018-08-08 2019-03-07 이미정 가로등용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40B1 (ko) * 2008-03-13 2010-08-12 동우산업 주식회사 가로 시설물용 지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2186118B1 (ko) * 2020-08-07 2020-12-03 주식회사 에스케이이엔씨 고정부의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사방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116U (ja) * 1983-11-01 1985-05-28 勝電気工事株式会社 仮設支柱等の支持用基礎装置
JPH07197426A (ja) * 1993-12-28 1995-08-01 Kai Kenchiku Sekkei Jimusho:Kk 道路標識等のポールの支持装置
KR100556544B1 (ko) * 2005-07-08 2006-03-10 정해상 교통안전표지판 지주의 고정구조
KR20060026832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경풍 도로 안내표지판과 교통 신호등 및 가로등에 사용되는 지주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116U (ja) * 1983-11-01 1985-05-28 勝電気工事株式会社 仮設支柱等の支持用基礎装置
JPH07197426A (ja) * 1993-12-28 1995-08-01 Kai Kenchiku Sekkei Jimusho:Kk 道路標識等のポールの支持装置
KR20060026832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경풍 도로 안내표지판과 교통 신호등 및 가로등에 사용되는 지주 구조물
KR100556544B1 (ko) * 2005-07-08 2006-03-10 정해상 교통안전표지판 지주의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17B1 (ko) 2012-10-18 2014-09-23 김근영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KR20160039829A (ko)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101955447B1 (ko) 2018-08-08 2019-03-07 이미정 가로등용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33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1137602B1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56127Y1 (ko) 도로용 지주의 고정 구조
KR101881325B1 (ko) 모듈형 기초구조물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0411758Y1 (ko)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100908220B1 (ko) 가로등주 고정 장치
KR100969410B1 (ko) 가로등 시설물
KR100650928B1 (ko) 지주형 시설물 충전부 보호장치
KR200446611Y1 (ko) 다목적설치대
KR200189893Y1 (ko) 신호등 설치 구조물
KR100939968B1 (ko) 표지판 및 가로시설물의 매립식지주 덮개
KR101138527B1 (ko) 가로등 등주의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