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5249B1 -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249B1
KR101005249B1 KR1020057001046A KR20057001046A KR101005249B1 KR 101005249 B1 KR101005249 B1 KR 101005249B1 KR 1020057001046 A KR1020057001046 A KR 1020057001046A KR 20057001046 A KR20057001046 A KR 20057001046A KR 101005249 B1 KR101005249 B1 KR 10100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uckle
slot
elongated element
mounting el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953A (ko
Inventor
자네 조아큄 쿠아드라다
빅토르 부스토스 퓌그데몬트
마티아스 백커
파이트 홀투스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216900A external-priority patent/GB2391038A/en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5003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1Means for holding the tongue or buckle in a non-use position, e.g. for easy access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좌석 벨트 버클 장치는 좌석 벨트 버클(10), 가죽끈 스트랩(5) 및 단부 플레이트(1)를 구비한다. 스트랩(5)은 버클(10) 안의 슬롯과 단부 플레이트(1)를 통과하는 단부 부분(6,9)을 가진다. 제 1 단부 부분은 스트랩의 주 부분 위에 놓여서 그것에 봉합된다. 다른 단부 부분은 스트랩의 주 부분과 제 1 단부의 결합부 위에 놓여서 결합부에 봉합된다(12).

Description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A seat-belt buckle arrangement}
본 발명은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와 같은 모터 차량에서 좌석 벨트 장치의 부분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좌석 벨트는 모터 차량내에서 안전 벨트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시도하는 점유자에 의해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어야 하지만, 버클은 튀어나와서는 아니 된다.
많은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들이 이전에 제안되어서, 모터 차량내의 정위치에 장착되었다. 전형적인 버클 조립체는 버클로부터 단부의 단편 또는 장착 플레이트까지 연장된 요소를 포함하는데, 단부의 단편 또는 장착 플레이트에는 통공이 제공됨으로써 단부의 단편 또는 장착 플레이트가 모터 차량 안에 제공된 앵커 지점에 용이하게 볼트 고정될 수 있다. 좌석 벨트 버클 자체는 좌석 벨트상에 장착된 삽입부를 해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성 요소이다. 통상적으로 좌석 벨트 버클은 버클 안에 형성된 개구 또는 슬롯을 통하여 삽입부를 수용하며, 삽입부가 버클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는 자동적으로 버클 안에 유지된다. 삽입부는 적절한 작동 버튼을 누름으로써 버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매우 집약적이거나 또는 작은 버클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있는데, 특히 버클이 고정 지점에 극히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그러나 버클이 모터 차량의 후방 좌석상에 제공된 안전 벨트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경우에는 버클이 고정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한다.
후방 좌석에서 사용되는 좌석 벨트 버클은 종종 후방 좌석의 쿠션이 후방 좌석의 등받이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된다. 버클은 특히 후방 좌석이 3 명의 승객을 수용하는 경우라면 가운데 위치를 차지한 승객이 좌석 벨트 버클과의 그 어떤 불편한 접촉도 없이 좌석을 가로질러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버클이 튀어나오지 않는 최초의 위치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버클이 사용중일 때는 버클이 보다 돌출하는 위치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은 향상된 버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서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조립체는 가죽끈 스트랩, 상기 가죽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단부편 및 버클을 가지고, 버클은 가죽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며; 가죽끈 스트랩은 단부편 안의 슬롯을 통해서 연장되어 가죽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고정되는 제 1 부분과 버클 안의 슬롯을 통과하여 가죽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고정되는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일 부분은 가죽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직접적으로 봉합되고 다른 부분은 스트랩의 주 부분과 상기 일 부분의 결합부에 봉합되고, 봉합은 스트랩의 2 개의 부분들과 주 부분을 통과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단부편 내의 슬롯과 버클 내의 슬롯이 스트랩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각각 가지고, 스트랩의 부분들은 각각의 슬롯의 영역 안에 접혀지고, 스트랩의 주 영역과 제 1 단부 영역의 결합부에 상기 다른 부분을 연결시키는 봉합은 스트랩의 3 개의 중첩된 층을 통해서만 연장된다.
편리하게는,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과 주 부분의 결합부에 상기 다른 부분을 고정시키는 봉합이 마름모꼴의 형태이다.
버클 조립체는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커넥터는 신장된 요소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신장된 요소와 상기 신장된 요소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요소를 가지고,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신장된 요소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버클상에 장착되고, 스트랩의 상기 제 2 의 부분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통과하고, 스트랩의 주 부분 위로 중첩되는 경우에, 스트랩의 중첩된 영역이 상기 신장된 요소를 둘러싸도록 그에 고정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 요소 사이의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은, 버클의 축이 신장된 요소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최초의 위치로 버클을 움직이는데 효과적이다.
편리하게는,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향 요소(resilient biasing ele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신장된 요소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데, 신장된 요소의 일 단부는 신장된 요소에 대하여 피봇되는 로드(rod)를 수용하는 루프를 형성하고, 로드는 장착 요소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아암으로 연장되어 그 아암에 연결되고, 장착 요소는 장착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을 장착 요소에 부여하도록 상기 아암과 신장된 요소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향 요소가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탄성 편향 요소 또는 각각의 탄성 편향 요소가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헬리컬 스프링을 구비한다.
편리하게는, 상기 커넥터가 버클 안에 존재하는 슬롯을 한정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는 굽혀진 탄성 와이어의 단일 길이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신장된 요소가 한쌍의 후크 형상 형성부들 사이에 연장된 상기 와이어의 신장된 루프에 의해 한정되며, 각각의 상기 후크 형상 형성부는 버클과의 맞물림을 위해 개별의 장착 요소를 한정한다.
편리하게는, 신장된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영역과,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영역이, 상기 와이어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 또는 개별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은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 사이에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스트랩의 상기 제 2 부분은 버클 안의 통공을 통하여 그리고 사기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의 둘레로 통과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죽끈 스트랩, 상기 가죽끈 스트랩을 수용 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단부편 및 가죽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버클을 가지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스트랩의 일 단부 부분을 단부편 안의 슬롯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단계; 스트랩의 다른 단부 부분을 버클 안의 슬롯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단계; 봉합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주 부분에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을 고정하고 차후에 봉합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주 부분과 스트랩의 일 단부의 결합부에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봉합은 스트랩의 2 개 부분과 주 부분을 통과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스트랩이 각각의 상기 슬롯들보다 넓으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롯에 근접하여 스트랩의 부분들을 접는 단계와 스트랩이 단지 2 개로 중첩된 층이 있는 영역에서 제 1 의 봉합을 수행하는 단계와 스트랩이 3 개로 중첩된 층이 있는 영역에서 제 2 의 봉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편리하게는, 스트랩의 상기 제 1 단부는 단부편 안에 있는 슬롯을 통과하며 스트랩의 다른 단부는 버클 안의 슬롯을 통과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스트랩의 상기 일 부분과 주 동체 부분을 중첩시킨 이후에, 중첩된 스트랩 부분들의 근접한 가장자리들이 중앙의 포켓을 한정하도록 서로 고정되고, 상기 방법은 커넥터의 신장된 요소를 포켓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스트랩의 주 동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스트랩의 다른 부분을 중첩시키는 단계, 그리고 신장된 요소를 둘러싸도록 스트랩의 상기 주 동체 부분에 스트랩의 상기 다른 일 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것의 다른 특징들이 음미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가죽끈 스트랩과 단부편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좌석 벨트 버클에 고정되었을 때 가죽끈 스트랩과 단부편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버클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가죽끈의 길이를 도식화시켜서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버클에 대한 도식화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의 예에 대한 조립체에서 제 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고정용 플레이트와 스트랩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8 은 고정 플레이트, 스트랩 및 커넥터를 도시하는, 버클 장치의 제조중의 차후 단계를 나타낸 도 7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버클 장치의 조립중에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도 8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완성된 버클 조립체의 약간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2 개의 번갈아 일어나는 조건에서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도시된 커넥터에 연결된 버클을 도시하는, 버클을 통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고정 플레이트, 스트랩, 커넥터 및 버클을 도시하는 다른 버클 장치의 조립에 있어서 차후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14 는 버클의 조립에 있어서 차후의 단계를 도시하는 도 13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 는 전체적으로 도 12 에 대응하는 도면이지만, 완전하게 조립된 버클 조립체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우선 참조하면, 단부편(1)이 제공된다. 단부편(1)은 금속의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의 부분은 통공 또는 볼트 구멍(2)을 한정하며, 그에 의해서 단부편은 차량 안의 적절한 고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단부편은 타원형의 슬롯(4)이 제공된 다른 부분(3)을 한정한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로서, 슬롯(4)은 가죽끈 스트랩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가죽끈 스트랩(5)은 신장된 형태로 제공된다. 스트랩(5)은 슬롯(4)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가진다.
가죽끈 스트랩의 일 단부(6)는 슬롯(4)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고, 벨트의 측부 영역은 가상선(7)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대적으로 넓은 스트랩(5)이 상대적으로 짧은 슬롯(4)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스트랩의 단부편(6)은 단부편(1)에 근접한 스트랩의 주 영역의 위에 중첩된다. 중첩된 영역은 정사각형의 봉합 패턴(8)을 사용하여 봉합된다.
차후에 스트랩의 다른 단부(9)는 슬롯(4)에 유사한 형상을 가진 슬롯(미도시)을 통과하는데, 이것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석 벨트 버클(10) 안에 제공된다.
다시, 버클(10) 안의 슬롯의 길이와 스트랩(5)의 폭 사이의 관계에 기인하여, 스트랩(5)의 가장자리 부분들은 가상선(1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접혀져야 한다. 스트랩의 단부편(9)은 버클(10) 안의 슬롯을 통하여 통과한 이후에, 봉합부(8)의 위에 중첩된다. 다른 봉합이 수행되는데, 봉합은 단지 스트랩의 3 개 봉합층들이 있는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며, 즉, 스트랩이 가상선(7 과 1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영역에서는 봉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름모꼴의 봉합 패턴(12)이 이용될 수 있다.
봉합(12)은 완전히 버클(10)과 단부편(1) 사이에 위치된다.
버클 조립체는 그렇게 제조되어서, 버클 조립체가 매우 짧다. 따라서 버클(10)과 단부편(1) 사이의 거리는 최소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 은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4)의 형태인 단부편을 도시한다. 고정 플레이트(21)의 일 단부에는 고정용 볼트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고정용 통공(22)이 제공되어서 고정 플레이트를 모터 차량의 고정 지점에 고정시킨다. 고정 플레이트(21)의 다른 단부에는 가죽끈 스트랩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신장된 슬롯(23)의 형태로 장착 통공이 제공된다.
도 4 는 가죽끈 스트랩(24)의 길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가죽끈 스트랩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폭을 가진다.
도 7 은 커넥터 장치(25)를 도시한다. 커넥터 장치(25)는 예를 들면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단단한 핑거(finger, 26) 형태의 신장된 요소를 구비한다. 핑거(26)의 일 단부에는 소켓(27)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도시된 구현예에서 폐쇄된 루프(loop)를 형성하도록 핑거(6)의 단부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소켓(27)은 소켓(27) 안에서 회전될 수 있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로드(28)를 수용한다. 로드(28)의 대향하는 단부들은 2 개의 아암(29,30)에 연결되는데, 상기 아암은 장착 플레이트(31)의 형태로 장착 요소로부터 연장된다. 장착용 플레이트(31)는 그 안에 형성된 2 개의 통공(32,33)을 가져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전 벨트 버클을 장착용 플레이트(31)에 장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대적으로 큰 슬롯 또는 통공(34)이 플레이트(31), 아암(29,30) 그리고 로드(28) 사이에 한정되어 형성된다. 이후에 설명될 바로서, 장착용 플레이트(11)는 버클과 고정되게 제작되어서, 슬롯(34)은 스트랩(24)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완성된 버클 위에 존재하는 슬롯이다.
편향 스프링(35)의 형태인 2 개의 탄성적인 편향 요소들이 제공되어서 핑거(26)에 대한 소정의 각도 배향으로 장착 플레이트(31)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스프링(35)은 로드(28)를 둘러싸는 헬리컬 스프링을 구비한다. 각각의 스프링(35)에는 말단으로 연장된 부분이 그것의 각각의 단부에 제공되는데, 각각의 스프링의 일 연장 부분은 핑거(26)와 맞물리고, 각각의 스프링의 다른 연장 부분은 아암(29,30)과 맞물린다. 편향 스프링의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버클(36)이 도시되어 있다. 버클(36)은 일 단부에 슬롯(38)(이것은 도 6에 도시되지 않았다)을 한정하는 하우징(37)을 가지며, 그것에 의해서 삽입부(tongue)가 버클(3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버클(36)은 삽입부를 해제하도록 눌려질 수 있는 가압 가능 버튼(37)을 구비한다. 버클(36)은 통상적인 디자인일 수 있다. 버클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로서 상기에 설명된 장착용 플레이트(31)상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의 조립에 있어서 최초의 단계를 도시한다. 처음에, 가죽끈 스트랩(24)의 제 1 단부(40)는 고정 플레이트(21)상에 제공된 신장된 슬롯(23)을 통하여 통과되며, 그 이후에 가죽끈 스트랩의 단부(40)는 가죽끈 스트랩(24)의 주 동체 부분에 근접하여 놓이도록 움직인다. 다음에 가죽끈 스트랩의 제 1 단부(40)는 스트랩(24)의 중첩된 측부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봉합부(41,42)의 2 개의 선에 의해서 스트랩의 주 동체 부분에 고정된다. 따라서 봉합부는 봉합부의 2 개의 선들 사이에 위치된 부위에서, 스트랩(24)의 주 동체 부분과 스트랩(24)의 제 1 단부 부분(40) 사이에 한정된 중앙의 요부 또는 "포켓(pocket)"을 한정한다.
차후에, 장착용 플레이트(31)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24)의 부 분 위에 놓이도록 장착 장치(25)의 핑거(26)가 봉합부의 2 개의 선들 사이에 있는 포켓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끈 스트랩(24)의 다른 제 2 단부 부분(43)이 커넥터 장치(25)의 스프링(35)과 로드(28)의 둘레로 그리고 장착 플레이트(31), 아암(29,30)과 로드(28) 사이에 한정된 통공(34)을 통하여 꿰메어진다. 가죽끈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43)은 스트랩의 주 부분의 일부와, 그리고 또한 스트랩의 이미 봉합된 제 1 단부 부분(40)의 일부의 위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다른 봉합(44,45)이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43)을 정위치에 고정하도록 사용되는데, 봉합(44,45)의 일부는 단지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43)과 스트랩(24)의 주 부분만을 통과하고, 봉합(44,45)의 일부는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43),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40) 그리고 스트랩의 주 동체를 통과한다. 봉합은 꿰메어진 스트랩(24) 안에서 핑거(26)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장착 플레이트(31)는 꿰메어진 스트랩의 단부를 지나서 돌출한다.
장착된 플레이트(31)는 버클의 하우징(37) 안에 형성된 대응 통공과 맞물린 장착 플레이트(31) 안에서 통공(32,33)을 통과하는 리벳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도 10 에 도시된 방식으로 버클(36)의 나머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스트랩(24)의 위치와 봉합의 위치는 스트랩(24)의 관련된 부분들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식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스트랩(24)은 완성된 버클(36)상에 존재하는 슬롯(34)을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편향 스프링(35)은 장착 플레이트(31)를 최초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역 할을 하는데, 여기에서 장착용 플레이트(31)는 핑거(26)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따라서 버클(36)은 처음에 도 10 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를 가지며, 여기에서 버클(36)의 축은 실질적으로 핑거(26)의 축에 직각이다. 그러나, 버클(36)은 도 10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다른 위치로 스프링(35)의 편향에 반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버클(36)은 전체적으로 핑거(26)와 정렬되어서, 실질적으로 핑거(26)의 위에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유형의 버클 조립체는 모터 차량의 후방 좌석에 장착되기 위한 특정의 용도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고정 플레이트(21)는 좌석의 소파의 배면에 제공된 간극을 통하여 그리고 좌석의 등받이 아래로 통과함으로써, 적절한 볼트가 고정용 통공(22)을 통과하여 후방 좌석의 아래와 뒤에 위치된 차량의 동체상에 형성된 고정 지점과 맞물린다. 고정 플레이트(21)는 좌석의 소파와 등받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위로 연장되고, 핑거(26)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강화된 가죽끈 스트랩(24)은 고정 플레이트(21)로부터 후방 좌석의 소파의 상부에 근접한 위치로 연장될 것이다. 버클(36)은 처음에는 버클이 돌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위치에 놓일 것이고, 후방 좌석에서 중앙의 위치로 후방 좌석을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것을 시도하는 승객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버클(36)은 처음에 후방 좌석의 등받이 안에 제공된 요부 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버클은 사용을 위해 준비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버클(36)이 사용되어야 할 때, 버클은 쥐어져서 상방향으로 당겨져서, 버클(36)이 도 10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실질적으로 있을 때까지 로드(28)가 소켓(27)의 안에서 편향 스프링(35)에 반하여 피봇되게 한다. 안전 벨트의 삽입부는 다음에 버클 안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버클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스프링(35)에 의해 제공된 스프링 편향은 도 1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최초의 돌출되지 않은 위치로 버클을 복귀시킬 것이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버클 조립체가 설명될 것이다.
대안의 버클 조립체는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고정 플레이트(21)와 스트랩(24)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5 으로부터 명백한 바로서, 다른 장치의 커넥터(50)는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장치의 커넥터(50)와 현저하게 상이하다. 도 11 에 도시된 커넥터(50)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금속 와이어(51)의 단일 길이로부터 제조된다. 금속 와이어(51)의 길이는 굽혀져서 한쌍의 장착 요소(52)와 신장된 요소(53)를 한정하는 형상으로 변형되었던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 요소(52)는 와이어(54)의 루프 또는 후크의 형태를 취하며 와이어(51)의 내측으로 반전된 자유 단부(55)로써 종료된다. 각각의 장착 요소(52)의 루프(54)는 와이어(56)의 개별의 나선형으로 감긴 길이로 연장되며, 그로부터 와이어(51)는 신장된 요소(53)를 한정하는 신장된 루프로 형성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요소(53)가 2 개의 장착 요소(52)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와이어(56)의 2 개의 나선형으로 감긴 길이들은 개별의 루프(54)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음미되어야 할 바로서, 2 개의 장착 요소(52)가 신장된 요소(53)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도 11 에 도시된 커넥터(50)가 구성되는데, 이것은 장착 요소(50)가 분리된 신장 요소(24)에 연결되는 도 5 에 도시된 커넥터(25)와 대조적이다.
와이어(56)의 각각의 나선형으로 감긴 길이가 장착 요소(52)와 신장된 요소(53) 사이에서 탄성 편향의 정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상기 편향에 반하여, 장착 요소(52)에 대하여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신장된 요소(53)의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와이어(56)의 나선형으로 감긴 길이는 도 5에 도시된 커넥터(25)의 헬리컬 스프링(35)과 전체적으로 같은 목적을 만족시킨다. 이완된 상태에서 (도 12 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됨), 장착 요소(52)는 신장된 요소(5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커넥터(50)가 구성된다.
도 12 는 이러한 다른 장치의 버클(57)을 길이 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한다. 버클(57)은 다시 하우징(58)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일 단부에서 슬롯(59)을 한정하며 그에 의해서 삽입부가 버클(57)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버클(57)은 다시 삽입부를 해제시키도록 눌려질 수 있는 가압 가능 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장치의 버클(57)의 하우징(58)에는 삽입부-수용 슬롯(59)으로의 대향 방향에 슬롯 또는 단부(60)가 제공되어, 상기 슬롯(60)이 하우징(58)의 하부측에 횡방향으로 제공된 제 1 의 하부-표면-슬롯(62)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 방향의 채널(61)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삽입부-수용 슬롯(59)에 대향하여 하우징(58)의 단부와 제 1 의 하부-표면-슬롯(62)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58)의 하부-표면 안에 제 2 의 횡단 하부-표면-슬롯(63)이 제공되며, 제 2 의 슬롯(63)은 채널(61)과 소통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8)의 하부 표면에 제공된 슬롯(62,63)은, 그 사이의 채널(61)의 길이와 함께, 커넥터(50)에 대한 버클(57)의 연결을 허용한다. 각각의 장착 요소(52)의 와이어 루프(50)들은 제 1 의 하부-표면-슬롯(62)을 통하여 채널(61) 안으로 연장되고, 제 2 의 하부-표면-슬롯(63)을 통하여 채널(61) 안으로 연장됨으로써, 와이어(61)의 내측으로 배향된 말단 단부(65)들이 하우징(58)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유지됨으로써 장착 요소(52)를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도 13 은 다른 버클 조립체의 조립에서 차후의 단계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도 7 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립의 단계를 따르며, 여기에서 가죽끈 스트랩(24)의 제 1 단부(40)는 고정 플레이트(21)상에 제공된 신장된 슬롯(23)을 통과하고, 그 이후에 가죽끈 스트랩의 단부(40)는 가죽끈 스트랩(24)의 주 동체 부분에 근접하게 놓이도록 움직여서, 스트랩(24)의 중첩된 측부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2 개의 봉합선(41,42)에 의해 가죽끈 스트랩(24)의 주 동체 부분에 고정된다. 도 13 은 커넥터(50)와 버클(57)이 스트랩(24)의 부분 위에 놓이도록, 2 개의 봉합선(40,41)들 사이에 한정된 포켓 안으로 커넥터(50)(이것은 이미 버클(57)에 연결된 것이다)의 신장된 루프(53)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다.
다음에,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끈 스트랩(24)의 다른 제 2 단부(43)는 슬롯(60)을 통하여 버클(57)의 하우징(58)을 빠져나오기 위하여 제 1 의 하부-표면-슬롯(62)을 경유하여 채널(61)을 통해 꿰메어진다. 가죽끈 스트랩(24)의 단부 부분(43)은 다음에 스트랩의 주 부분의 일부와 그리고 스트랩의 이미 봉합된 제 1 단부 부분(40)의 일부 위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다른 봉합(44,45)이 다시 스트랩(43)의 제 2 단부 부분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사용되는데, 봉합(44,45)의 일부는 스트랩(24)의 주 부분과 스트랩의 제 2 단부(43)를 단지 통과하는 반면에, 봉합(44,45)의 일부는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43),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40) 그리고 스트랩의 주 부분을 통과한다. 봉합은 꿰메어진 스트랩(24) 안에 커넥터(50)의 신장된 루프(51)를 둘러싸는 역할을 한다.
도 15 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짐(63)의 길이는 채널(61)의 제 1 하부-표면-슬롯(62)과 봉합(40,41)의 제 1 선들 사이에 연장된 스트랩(24)의 영역내에 남겨진다.
와이어(56)의 나선형으로 감긴 길이들은 장착 요소(52)를 최초의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편향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데, 최초 위치에서 장착 요소(52)는 신장된 요소(53)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버클(57)은 처음에 버클(57)의 축이 신장된 요소(53)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도 15 에 도시된 위치를 가진다. 그러나, 버클(57)은 신장된 요소(53)의 편향에 대하여 다른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다른 위치에서 버클(57)은 신장된 요소(53)와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신장된 요소(53)의 위로 실질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늘어짐(63)의 길이의 제공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버클(57)의 방해되지 않는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유형의 버클 조립체는 도 3 내지 도 10 의 조립체와 전체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차량의 후방 좌석에 장착되는 특 정의 용도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구비한다"는 "구비하거나 또는 구성된"을 의미하고, "구비한다"는 "구비하거나 또는 구성된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 벨트를 구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끈 스트랩(webbing strap), 상기 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단부편 및, 버클을 가지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로서, 버클은 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고, 끈 스트랩은, 주 부분 및, 상기 주 부분의 반대편 단부들에 있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가지고, 끈 스트랩의 제 1 부분은 단부편에 있는 슬롯을 통하여 연장되고 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고정되며, 끈 스트랩의 제 2 부분은 버클에 있는 슬롯을 통과하여 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고정되고, 끈 스트랩의 제 1 부분은 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직접적으로 봉합되고, 끈 스트랩의 제 2 부분은 끈 스트랩의 제 1 부분과 주 부분의 결합부에 봉합되며, 봉합(stitching)은 끈 스트랩의 주 부분과,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통과하고,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구비하고, 커넥터는 신장된 요소와 상기 신장된 요소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서 신장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요소를 가지고,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신장된 요소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버클에 장착되고, 끈 스트랩의 상기 제 2 부분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로 통과되고, 그리고 끈 스트랩의 주 부분 위에 중첩되는 곳에서 끈 스트랩의 중첩된 영역이 상기 신장된 요소를 둘러싸도록, 주 부분에 고정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부편에 있는 슬롯 및 버클에 있는 슬롯은 각각 끈 스트랩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끈 스트랩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각각의 슬롯의 영역 안에서 접혀지고, 봉합은, 끈 스트랩의 주 부분과 제 1 부분의 결합부에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시켜서 끈 스트랩의 3 개의 중첩된 층들을 통해서만 연장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끈 스트랩의 제 1 부분과 주 부분의 결합부에 상기 제 2 부분을 고정시키는 봉합은 마름모 형태인,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 사이의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은, 버클의 축이 신장된 요소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최초의 위치로 버클을 움직이는데 유효한,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향 요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신장된 요소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고, 신장된 요소의 일 단부는 신장된 요소에 대하여 피봇되는 로드를 수용하는 루프를 형성하고, 로드는 장착 요소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아암으로 연장되고 그 아암에 연결되며, 장착 요소는 장착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을 장착 요소에 부여하도록, 신장된 요소와 상기 아암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향 요소가 있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탄성 편향 요소 또는 각각의 상기 탄성 편향 요소는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헬리컬 스프링을 구비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버클 안에 존재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10. 제 5 항에 있어서,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는 각각 굽혀진 탄성 와이어의 단일 길이로부터 형성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신장된 요소는 한쌍의 후크 형상의 형성부들 사이에 연장된 상기 와이어의 신장된 루프에 의해 한정되고, 각각의 상기 후크 형상 형성부는 버클과의 맞물림을 위해 개별의 장착 요소를 한정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신장된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영역과,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영역은 상기 와이어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 또는 개별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에 의해 접합되고, 와이어의 나선형으로 감긴 영역은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와 신장된 요소 사이에 상기 탄성적으로 편향됨을 제공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끈 스트랩의 상기 제 2 부분은 버클 안의 통공을 통하여 그리고 상기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 둘레로 통과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14. 끈 스트랩, 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단부편, 그리고 끈 스트랩을 수용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버클을 가진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끈 스트랩은 주 부분과, 상기 주 부분의 반대편 단부들에 있는 제 1 단부 부분 및 제 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방법은: 끈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을 단부편에 있는 슬롯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단계; 끈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을 버클에 있는 슬롯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단계; 봉합을 이용하여 끈 스트랩의 주 부분에 끈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을 고정하고, 차후에 봉합을 이용하여 끈 스트랩의 주 부분과 끈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의 결합부에 끈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봉합은 끈 스트랩의 주 부분과, 제 1 단부 부분 및 제 2 단부 부분을 통과하고,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커넥터는 신장된 요소와 상기 신장된 요소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서 신장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요소를 가지고, 장착 요소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신장된 요소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각각의 장착 요소는 버클에 장착되고, 끈 스트랩의 상기 제 2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로 통과되고, 그리고 끈 스트랩의 주 부분 위에 중첩되는 곳에서 끈 스트랩의 중첩된 영역이 상기 신장된 요소를 둘러싸도록, 주 부분에 고정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끈 스트랩은 각각의 상기 슬롯보다 폭이 넓으며, 상기 방법은 끈 스트랩의 부분을 각각의 슬롯에 근접하여 접는 단계와 끈 스트랩의 단지 2 개만 중첩된 층이 있는 영역에서 제 1 의 봉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끈 스트랩의 3 개의 중첩된 층이 있는 영역에서 제 2 의 봉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끈 스트랩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은 단부편에 있는 슬롯을 통과하고 끈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은 버클에 있는 슬롯을 통과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끈 스트랩의 제 1 단부 부분과 주 부분을 중첩시킨 이후에, 중첩된 끈 스트랩 부분들의 근접한 가장자리들은 중앙의 포켓을 한정하도록 서로 고정되고, 상기 방법은 커넥터의 신장된 요소를 포켓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끈 스트랩의 제 2 단부 부분을 끈 스트랩의 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위로 중첩시키는 단계, 그리고 신장된 요소를 둘러싸도록 끈 스트랩의 상기 주 부분에 끈 스트랩의 상기 제 2 단부 부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057001046A 2002-07-19 2003-06-26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Expired - Lifetime KR10100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16900A GB2391038A (en) 2002-07-19 2002-07-19 A seat belt buckle arrangement
GB0216900.1 2002-07-19
GB0301965.0 2003-01-28
GB0301965A GB2391002A (en) 2002-07-19 2003-01-28 Seat belt buck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953A KR20050030953A (ko) 2005-03-31
KR101005249B1 true KR101005249B1 (ko) 2011-01-04

Family

ID=3077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046A Expired - Lifetime KR101005249B1 (ko) 2002-07-19 2003-06-26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51675B1 (ko)
JP (1) JP4559853B2 (ko)
KR (1) KR101005249B1 (ko)
CN (1) CN100430272C (ko)
AU (1) AU2003239090A1 (ko)
WO (1) WO2004009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5371T3 (es) 2002-06-26 2008-11-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eliculas polimericas orientadas en la direccion de mecanizado.
DE102008025743A1 (de) * 2008-05-29 2009-12-03 Volkswagen Ag Gurtschloss-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08034958B3 (de) * 2008-07-25 2009-11-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chloss
DE102012000202B4 (de) * 2012-01-09 2022-08-18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zur Verankerung eines Gurtschlosses und Vorrichtungsanordnung mit wenigstens zwei solchen Vorrichtungen
CN103655314A (zh) * 2013-12-05 2014-03-26 青岛海芬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海洋生物活性物质的保湿型沐浴液
CN104118390B (zh) * 2014-02-27 2016-10-19 陈文仲 一种安全带系统
US9993048B2 (en) * 2015-06-10 2018-06-12 D B Industries, Llc Safety harness connector assembly
JP7593304B2 (ja) 2021-11-25 2024-12-03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968C (de) * 1919-07-16 1920-10-19 Wilhelm Passavant Fettfaenger
JPS456567Y1 (ko) * 1964-09-25 1970-04-02
JPS6185551U (ko) * 1984-11-12 1986-06-05
DE68908199T2 (de) * 1988-02-08 1994-03-17 Nippon Seiko Kk Steg zur Befestigung eines Sicherheitsgurtverschlusses.
JPH0438862U (ko) * 1990-07-27 1992-04-02
DE19530445C2 (de) * 1995-08-18 1998-02-26 Mc Micro Compact Car Ag Gurtschloßhalter aus ausgesteiftem Gurtband für einen Sicherheitsgurt in einem Kraftahrzeug
DE20200271U1 (de) * 2002-01-09 2002-05-1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Gurtschloß-Befestig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1675B1 (en) 2008-07-23
KR20050030953A (ko) 2005-03-31
EP1551675A1 (en) 2005-07-13
JP4559853B2 (ja) 2010-10-13
WO2004009412A1 (en) 2004-01-29
JP2005533712A (ja) 2005-11-10
AU2003239090A1 (en) 2004-02-09
CN1681690A (zh) 2005-10-12
CN100430272C (zh)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0485A1 (en) Child vehicle seat having permanently attached latch system
US7845734B2 (en) Vehicle seatbelt
EP0128662A2 (en) Safety belt
US5613467A (en) Pet anchor
JPH06503291A (ja)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ストラップ調節ガイド装置
EP2505437B1 (en) Buckle device for seat belt
KR101005249B1 (ko) 좌석 벨트 버클 조립체
JPH0771524B2 (ja) 車輌乗員拘束装置及びそのラッチ部材
JPH01502974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構成
JP5179994B2 (ja) バックル装置及びブーツ固定方法
US5387028A (en) Occupant harness
JP4779252B2 (ja) エアベルト装置のトング
CN106004779B (zh) 铰链式座椅安全带连接件
US5048865A (en) Buckle stalk for seat belt system
US4406348A (en) Clip for safety harnesses
GB2361958A (en) Tether latch for a child safety seat
GB2391038A (en) A seat belt buckle arrangement
JPH0144375Y2 (ko)
US20220354222A1 (en) Seat belt buckle
JP2583985Y2 (ja) ベルトクリップ
JPH0732284Y2 (ja) シートベルト端部の自立機構
CN214028316U (zh) 顶部锚定装置及其锚定件
JP2018062192A (ja) 乗物用シート
JP4068823B2 (ja) バックル本体と下部取付具との取付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6344B2 (ja) ランドセルの背負い帯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2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