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156B1 - 지연 회로 - Google Patents
지연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5156B1 KR101005156B1 KR1020030034696A KR20030034696A KR101005156B1 KR 101005156 B1 KR101005156 B1 KR 101005156B1 KR 1020030034696 A KR1020030034696 A KR 1020030034696A KR 20030034696 A KR20030034696 A KR 20030034696A KR 101005156 B1 KR101005156 B1 KR 1010051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inverter
- high level
- input signal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15—Layout of the delay element
- H03K2005/00195—Layout of the delay element using F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입력 신호의 라이징 엣지는 지연없이 반전되고, 폴링 엣지는 상대적으로 지연되면서 반전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N2 노드의 상태가 하이레벨 일 때에는,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만 턴온된다. 즉, N2 노드의 상태가 하이레벨 일 때,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NT)를 통해 전달되는 인버터(INV1)의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는 인버터(INV1)의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해 오프된다. 따라서, 입력신호(IN)가 로우레벨로 천이할 때(즉, N2 노드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질 때)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서만 N2 노드의 전하가 디스차지되면서 낮아진다.
하지만, N2 노드가 로우레벨 일 때에는,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 모두가 턴온된다. 즉, N2 노드가 로우레벨 일 때,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는 인버터(INV1)의 하이 레벨 신호에 의해 당연히 턴온된다. 한편, NMOS 트랜지스터(NT)가 N2 노드의 전위에 따라 턴오프되기 때문에,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로우 레벨인 상태에서 NMOS 트래지스터(NT)에 의해 플로팅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버터(INV1)가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턴오프 상태의 NMOS 트랜지스터(NT)에 의해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에 상관없이 적어도 약하게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 이유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2 노드가 로우 레벨일 때 NMOS 트랜지스터(NT)가 턴오프되고, 전송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된다. 그런데, 앞서 N2 노드가 하이레벨이었을 때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NT)를 통해 인가되는 인버터(INV1)의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해 로우 레벨이었다. 이 상태에서, N2 노드가 로우 레벨이 되면, NMOS 트랜지스터(NT)가 턴오프되면서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플로팅 상태가 된다.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되다가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플로팅이 되면,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플로팅된 상태에서도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이러한 현상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현상으로써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N2 노드가 로우 레벨인 상태에서 인버터(INV1)가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로우 레벨에서 플로팅 상태가 되므로,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상관없이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N2 노드가 로우 레벨일 때에는,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 모두가 턴온된다.
다만, NMOS 트랜지스터(NT)가 턴오프되기 전에 인버터(INV1)가 하이 레벨 신호를 먼저 출력하면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될 수 있다. 하지만, 인버터(INV1)가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NMOS 트랜지스터(NT)가 턴오프되기 전에 인버터(INV1)에 포함된 NMOS 트랜지스터도 턴오프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NMOS 트랜지스터들이 고전압 소자와 저전압 소자로 구분되지 않는 이상 같은 문턱전압들을 갖게 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NT)가 턴오프되기 전에 인버터(INV1)의 NMOS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될 수 없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인버터(INV1)의 하이 레벨 신호가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되기 어려우며, 전달된다 하더라도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앞선 설명을 정리하면,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는 N2 노드의 전압 레벨(또는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 레벨)에 상관없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만 N2 노드의 전압 레벨(또는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 레벨)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하는 라이징 엣지에서는 전송 게이트의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 모두를 통하여 제2 노드(N2)로 양의 전하가 이동하기 때문에, 제2 노드(N2)의 전위가 빠르게 높아져서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빠르게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뀐다.
하지만,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하는 폴링 엣지에서는 전송 게이트의 PMOS 트랜지스터만을 통하여 제2 노드(N2)의 양의 전하가 이동하기 때문에, 제2 노드(N2)의 전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낮아져서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로 인해,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시간 지연이 없이 출력 신호(OUT)가 반전되어 출력된다고 가정하면,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뀔 때 출력 신호(OUT)가 느리게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뀌므로 시간 지연이 상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Claims (8)
- 제1 인버터와,입력 단자인 제1 노드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입력 단자인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과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로 전하가 디스챠지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의 변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전류패스 제어수단을 포함하며,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하는 입력 신호를 반전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
- 제1 인버터와,상기 제1 인버터의 입력 단자인 제2 노드의 전압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수단; 및입력 단자인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전달된 신호가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제2 입력단으로 바로 입력되는 전송 게이트를 포함하며,상기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뀌면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로의 전류 패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전하가 디스챠지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하는 입력 신호를 반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칭 수단은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게이트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입력단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이고 상기 제2 입력단은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제2 인버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뀌면 입력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출력 단자가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도록 제2 인버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뀌는 입력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제2 인버터를 추가로 설치하고, 출력 단자가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도록 제3 인버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뀌는 입력 신호를 반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신호의 지연 정도는 상기 제1 인버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및 채널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벌크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축적되는 전하의 양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4696A KR101005156B1 (ko) | 2003-05-30 | 2003-05-30 | 지연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4696A KR101005156B1 (ko) | 2003-05-30 | 2003-05-30 | 지연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3642A KR20040103642A (ko) | 2004-12-09 |
KR101005156B1 true KR101005156B1 (ko) | 2011-01-04 |
Family
ID=3737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46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5156B1 (ko) | 2003-05-30 | 2003-05-30 | 지연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515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5382A (ja) * | 1991-11-25 | 1993-06-11 | Nec Eng Ltd | パルス遅延回路 |
JPH05268009A (ja) * | 1992-03-17 | 1993-10-15 | Fujitsu Ltd | ディレイ回路 |
KR100338482B1 (ko) * | 1992-12-09 | 2002-08-21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 제어가능지연회로 |
-
2003
- 2003-05-30 KR KR1020030034696A patent/KR10100515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5382A (ja) * | 1991-11-25 | 1993-06-11 | Nec Eng Ltd | パルス遅延回路 |
JPH05268009A (ja) * | 1992-03-17 | 1993-10-15 | Fujitsu Ltd | ディレイ回路 |
KR100338482B1 (ko) * | 1992-12-09 | 2002-08-21 |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 제어가능지연회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3642A (ko) | 2004-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58006B1 (ko) |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지연 회로 | |
KR950008422B1 (ko) | 집적회로 및 이 회로에 사용하기 적합한 제어수단 | |
EP0315385B1 (en) | Delay circuits for integrated circuits | |
JPS63112893A (ja) | 半導体集積回路 | |
JPH064181A (ja) | パワーオンリセット信号発生装置 | |
JP3586612B2 (ja) | 遅延回路 | |
KR100440448B1 (ko) | 온도 변화에 무관한 지연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집적 회로장치 | |
US6259299B1 (en) | CMOS level shift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s | |
US6559676B1 (en) | Output buffer circuit | |
KR0163447B1 (ko) | 데이터 아웃 버퍼회로 | |
US7224186B2 (en) | Semiconductor circuit device | |
EP0292713B1 (en) | Low voltage swing CMOS receiver circuit | |
US5801567A (en) |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elayed output signal | |
US6982577B2 (en) | Power-on reset circuit | |
KR101005156B1 (ko) | 지연 회로 | |
KR960006376B1 (ko) | 어드레스 천이 검출회로 | |
KR100630977B1 (ko) | 파워온 리셋 회로 | |
JP2001160294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KR100253346B1 (ko) | 지연회로 | |
KR100465968B1 (ko) | 전원전압및온도의존특성을개선한씨모스인버터회로 | |
JPH07135456A (ja) | 出力バッファ回路装置 | |
JP2003347911A (ja) | 半導体集積回路 | |
KR0152352B1 (ko) | 논리 레벨 천이기 | |
CN119727704A (zh) | 输出驱动器 | |
JP2000101419A (ja) | 論理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