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3191B1 -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 Google Patents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191B1
KR101003191B1 KR1020080047644A KR20080047644A KR101003191B1 KR 101003191 B1 KR101003191 B1 KR 101003191B1 KR 1020080047644 A KR1020080047644 A KR 1020080047644A KR 20080047644 A KR20080047644 A KR 20080047644A KR 101003191 B1 KR101003191 B1 KR 10100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pipe
corrugated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646A (ko
Inventor
김명수
이재영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08004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1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6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crimped or corrugated in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 및 상기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이 밀착되어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튜브는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간 내에 제조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품질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튜브를 포함하는 고품질의 수소 개질기 및 열교환기를 매우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튜브, 수소 개질기, 주름판, 주름관, 브레이징

Description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Tubes for a reformer for hydrogen production or a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수소 개질기용 또는 열교환기용으로 사용되는 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 탄화 수소 계열의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연료로 하여 일어나는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하여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근래에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탁월하고 작동 온도가 낮을뿐더러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 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용 연료 전지가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구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스택(stack)이라 불리는 연료 전지 본체, 연료 탱크 및 이 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 기체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개질기(reformer)도 필요하다.
수소 개질기에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 최근에는 관형 또는 판형 금속을 이용하여 두 구역으로 구획한 다음 두 구역 중 한쪽 구역은 연료/수증기 개질구역으로 다른 한쪽 구역은 개질반응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 구역(산화구역)으로 설정하여 발생된 열이 개질구역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관의 내부에 연료/수증기 개질구역과 이를 둘러싸는 산화구역을 형성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도 1a, 1b, 1c).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수소 개질기는 산화구역(도 1a, 10)에서 발생된 열을 안쪽의 연료/수증기 개질구역(도 1a, 20)과 바깥쪽의 나선형 유로(도 1c, 40)에 동시에 전달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채용되는 튜브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금속관을 이용해 일반적인 기계 가공(선반/밀링/NC)으로 금속관의 외측에 나선형의 돌기(도 1b, 30)가 형성되도록 절삭하여 제조하고 이를 다른 파이프(도 1c, 60)에 삽입하여 접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나(도 2), 두께가 두꺼운 금속관을 사용하여야 하며, 절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튜브의 제조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 전체적으 로 연료전지의 가격을 높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튜브는 열교환기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간 내에 제조가 가능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 및 상기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이 밀착되어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금속 주름관은 제 1 금속관의 외측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은 금속 주름판이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은 다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관과 간격을 두고 제 1 금속관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 전체를,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으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면서 둘 러싸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판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 외측 전체를,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관형으로 미리 성형한, 하단부를 향한 주름을 갖는 금속 주름관에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으로 고정하는 공정; 상기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금속 주름판, 및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금속 주름판으로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판과 이격되도록 하고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면서 둘러싸는 공정; 상기 다수 개의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판,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관형으로 미리 성형한, 하단부를 향한 주름을 갖는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간격을 두고 끼우는 공정;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이 끼워진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및 열교환기용 튜브는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간 내에 제조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품질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튜브를 포함하는 고품질의 수소 개질기 및 열교환기를 매우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 및 상기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이 밀착되어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금속 주름관은 제 1 금속관의 외측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은 금속 주름판이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상기 금속 주름관 및 제 1 금속관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은 다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관과 간격을 두고 제 1 금속관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상기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으로 둘러싸진 제 1 금속관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주름판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금속관을 둘러싸면서 점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 공정이 극도로 간소화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소 개질 또는 열교환시 물은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튜브의 하단부에 도달되거나; 나선형의 유로 또는 나선형의 유로 간에 형성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튜브의 하단부에 도달되거나;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다가 고리형 유로에 도달하고, 다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다가 고리형 유로에 도달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튜브의 하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로들과의 마찰, 물의 표면장력, 또는 고리형 유로 등에 의하여 유속이 제어되며, 튜브의 하단에 도달하기 전에 증기 상태로 변하므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 전체를,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으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면서 둘러싸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판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 외측 전체를,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관형으로 미리 성형한, 하단부를 향한 주름을 갖는 금속 주름관에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공전 전에 인발(축관)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으로 고정하는 공정; 상기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금속 주름판, 및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공전 전에 인발(축관)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금속 주름판으로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판과 이격되도록 하고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면서 둘러싸는 공정; 상기 다 수 개의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판,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공전 전에 인발(축관)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관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관형으로 미리 성형한, 하단부를 향한 주름을 갖는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간격을 두고 끼우는 공정;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이 끼워진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공전 전에 인발(축관)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어느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금속 주름판에 형성되는 주름의 형상도 그에 의하여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 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이징은 접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고온, 진공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튜브의 구성요소 간의 접합과 튜브 내부의 산화구역 및 연료/수증기 개질구역에 포함되는 하니컴 구조의 접합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관의 재질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주름판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산화반응에 의한 고열에 견딜 수 있어서 유로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 도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제 1 금속관(100) 및 그의 외측 전체를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둘러싼 금속 주름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200)은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금속 주름판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금속관을 둘러싸면서 점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 공정이 극도로 간소화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소 개질 또는 열교환시 물은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주름 즉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튜브의 하단부에 도달하는데, 이때,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와의 마찰 및 물의 표면장력 때문에 유속이 제어되며, 튜브의 하단에 도달하기 전에 증기 상태로 변하므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제 1 금속관(100) 및 그의 외측에 금속 주름판이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태인 금속 주름관(200) 및 상기 금속 주름관 및 제 1 금속관(100)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300, 도 5에 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200)을 형성하는 금속 주름판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금속관(100)에 권취하면서 점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 공정은 매우 간소화 된다. 또한, 수소 개질 또는 열교환시 물은 나선형의 유로 또는 나선형의 유로 간에 형성되는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통하여 흐르면서 튜브의 하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증기 상태로 변하므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로서, 도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제 1 금속관(100), 그의 외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둘러싸인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200), 및 상기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200)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이 삽입 고정되는 제 2 금속관(300, 도 5에 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는 상기의 구성에 제 1 금속관을 둘러싼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금속관을 둘러싼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 각각을 둘러싸는 다수 개의 금속 평판관(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에서 금속 주름관(200)을 형성하는 금속 주름판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금속관(100)을 둘러싸면서 점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 공정이 매우 간소화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소 개질 또는 열교환시 물은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주름 즉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다가 고리형 유로에 도달하고, 다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다가 고리형 유로에 도달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로와의 마찰, 물의 표면장력 및 고리형 유로의 존재 때문에 유속이 제어되며, 튜브의 하단에 도달하기 전에 증기 상태로 변하므로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
도 1a는 종래 수소 개질기 튜브의 내부 구성(산화구역 및 연료/수증기 개질구역)을 촬영한 사진(평면도)이다.
도 1b는 튜브를 구성하는 종래의 제 1 금속관 및 그의 내부구조를 촬영한 사진(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 수소 개질기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 수소 개질기 튜브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 맨틀 가공된 제 1 금소관의 단면, 2: 맨틀 가공, 3: 접착제 도포, 4: 인발(축관), 5: 고온진공브레이징].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 제 1 금속관(100)의 외측 전체를 금속 주름관(200)으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둘러싼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로서, 금속 주름판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금속 주름관(200) 및 제 1 금속관(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금속 주름관(200)이 외측에 고정된 제 1 금속관(100)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3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로서, 제 1 금속관(100)의 외측을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200)으로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관과 간격을 두고 둘러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상기 도 6a의 구성에, 제 1 금속관을 둘러싼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금속관을 둘러싼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 각각을 둘러싸는 다수 개의 금속 평판관(400) 구성을 더 포함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의 명칭]
10: 산화구역 20: 연료/수증기 개질구역
30: 나선형의 돌기 40: 나선형의 유로
50: 제 1 금속관 60: 제 2 금속관
70: 튜브
100: 제 1 금속관 200: 금속 주름관
300: 제 2 금속관 400: 금속 평판관

Claims (13)

  1. 제 1 금속관; 및
    상기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금속 주름관이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다른 금속 주름관과 간격을 두고 제 1 금속관을 둘러싸고, 제 1 금속관과 밀착되어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2. 삭제
  3. 제 1 금속관; 및
    상기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이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금속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금속 주름관이 밀착되어 튜브의 하단부를 향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속 주름관 및 제 1 금속관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으로 둘러싸진 제 1 금속관을 삽입 고정하는 제 2 금속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7. 삭제
  8. 삭제
  9. 제 1 금속관의 외측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으로 고정하는 공정;
    상기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금속 주름판, 및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10. 제 1 금속관의 외측을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금속 주름판으로 각각 상,하로 이웃하는 금속 주름판과 이격되도록 하고 튜브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면서 둘러싸는 공정;
    상기 다수 개의 금속 주름판이 고정된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판,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11. 제 1 금속관에, 골과 마루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 주름판을 이용하여 관형으로 미리 성형한, 하단부를 향한 주름을 갖는 다수 개의 금속 주름관을 간격을 두고 끼우는 공정;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이 끼워진 제 1 금속관을 제 2 금속관에 삽입 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금속관, 상기 다수 개의 주름관, 및 상기 제 2 금속관의 접합부에 브레이징 필러메탈을 도포하고 브레이징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공전 전에 인발(축관)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관은 내부에 산화구역 및 연료/수증기 개질구역을 포함하며, 이들에 포함된 하니컴 구조의 접합이 제 1 금속관 외부에서 실시되는 브레이징과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KR1020080047644A 2008-05-22 2008-05-22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Active KR10100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44A KR101003191B1 (ko) 2008-05-22 2008-05-22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44A KR101003191B1 (ko) 2008-05-22 2008-05-22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46A KR20090121646A (ko) 2009-11-26
KR101003191B1 true KR101003191B1 (ko) 2010-12-22

Family

ID=4160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644A Active KR101003191B1 (ko) 2008-05-22 2008-05-22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964B1 (ko) 2014-07-08 2017-02-27 유재경 열교환용 이중 유체 경로를 가진 채널 형성 튜브
KR20160117711A (ko) 2015-03-30 2016-10-1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다수 스파이럴 내관 구조의 열 교환용 듀얼 튜브
KR20170020707A (ko) 2017-01-09 2017-02-2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열교환용 스파이럴 내관 구조의 듀얼 튜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431A (ja) 1998-09-07 2000-03-21 Maruyasu Industries Co Ltd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4190923A (ja) 2002-12-10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重管式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431A (ja) 1998-09-07 2000-03-21 Maruyasu Industries Co Ltd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4190923A (ja) 2002-12-10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重管式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46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89502A (ja) メタノール改質装置
CN101300710B (zh) 管状燃料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KR101003191B1 (ko)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튜브
JP2022544377A (ja) Sofc-伝導
JP2005501711A (ja) 流体処理デバイス用モジュラーマイクロリアクタ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方法
JP4291312B2 (ja) 改質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燃料電池システム
US8568495B2 (en) Evaporator and fuel reformer having the same
CN101427093A (zh) 热交换器、热交换重整器以及制造热交换器和热交换重整器的方法
CN101276924B (zh) 反应容器与反应装置
KR20070036701A (ko) 반응장치
JP2007214135A (ja) 燃料改質室を有する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用分離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65241B (zh) 蒸发器和具有该蒸发器的燃料重整器
US7258081B2 (en) Compact water vaporizer for dynamic steam generation and uniform temperature control
WO2010030719A2 (en) Recuperative heat exchanger, fuel cell system including recuperativ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090087699A (ko) 수소 개질기 또는 열교환기용 나선튜브
JP5180662B2 (ja) 熱交換器
US20060225347A1 (en) Reformer for fuel cell system
KR100462352B1 (ko) 열강화된소형개질기
US7887605B2 (en) Reformer for fuel cell
JP2010027215A (ja) 燃料電池
US7749289B2 (en) Fuel cell system, reformer used for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11091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蒸発器
CN100377409C (zh) 燃料电池系统、用于其的重整器及其制造方法
JP6234904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466136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