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1439B1 - 항양선 - Google Patents

항양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439B1
KR101001439B1 KR1020057006696A KR20057006696A KR101001439B1 KR 101001439 B1 KR101001439 B1 KR 101001439B1 KR 1020057006696 A KR1020057006696 A KR 1020057006696A KR 20057006696 A KR20057006696 A KR 20057006696A KR 101001439 B1 KR101001439 B1 KR 10100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hull
length
b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271A (ko
Inventor
빌헬름 핀케르넬
Original Assignee
메이어 베르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어 베르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이어 베르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5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4Means for diminishing external ridges of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63B2019/083Bow ports, e.g. for fe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4Passenger vessels, e.g. cruise vess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Air Ba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항양선 특히 여객선이 선체를 갖고, 선체가 수면위에 위치한 오버행을 가진다. 상기 오버행에 의해 선체의 길이가 파이오리티지 수면에 의해 형성되는 길이 제한에 의해 허용되는 치수를 초과한다. 선박의 화물수송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허용치수를 초과한 구성부들의 선수의 오버행 부분이 적어도 한 개의 구성유닛으로서 구성되고, 필요한 경우 구성유닛을 접거나 제거하여 가역조작가능(reversible handling-capable) 하다.

Description

항양선{SEAGOING VESSEL, PARTICULARLY A PASSENGER VESSEL}
본 발명은 선체가 수면보다 위체 한 개이상의 오버행을 가짐에 따라, 상기 오버행이 특정구역에 조건부 길이 제한에 따라 허용가능한 치수를 초과하여, 선박의 길이가 초과되는 항양선, 특히 여객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조건부 길이제한은 운하의 수문을 통과하기 위해 준수되어야 한다. 상기 치수를 준수해야 하는 항양선은 예를 들어, 파나마운하와 같은 운항경로를 통과하기 위해 허용되는 최대치수를 초과한 선박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운송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 파나마맥스 치수"를 준수하기 위해, 파나마운하를 이용하는 항양선의 운전자는 해당 선박의 운송능력을 제한하는 경제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여객선에 있어서, 특히 운송될 수 있는 승객수는 선주입장에서 효율에 관한 기준이 된다. 그러나 종종 파나마운하 또는 해당 치수규정이 있는 다른 운항경로를 이용하는 크루즈(cruise)선박과 같은 여객선의 승객운송능력은 허용치수에 관한 규정에 기인한 상한값으로 설정된다.
승객이 이용하기 위한 캐빈(cabin)들 또는 다른 영역들의 치수를 감소시켜서 유사하게 조건부 길이규정들을 동시에 준수하는 동안 승객운송능력을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캐빈의 개수 따라서 수용될 수 있는 승객수가 증가하지만, 개별 승객을 위한 호화구성부가 감소되고 구체적으로 호화구성부가 감소되면 해당 여객선의 여행예약 및 수요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들이 요구하는 크루즈선박의 호화구성부를 감소시키지 않고 조건부 치수규정을 준수하면서 승객운송능력을 증가시키도록 항양선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양선에 있어서, 제 1항의 특징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 및 유리한 수정예들이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양선의 유효 적재 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건부 치수규정을 가진 항해경로에 관한 수송상 허용길이를 초과하여 소정치수를 넘는 오버행(overhang)부분이 필요에 따라 접히거나 제거되기 위해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한 개이상의 구성 유닛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항양선은 운항경로를 위한 허용최대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고, 허용선박길이를 준수하는 여객선의 승객수송능력에 비하여 승객수송능력이 증가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승객들에 제공되는 호화구성부를 제한하지 않고도 승객수송능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나마운하와 같은 수문을 선박이 통과하기 전에 여객선의 허용길이를 초과하는 과도길이를 형성하는 오버행의 전체길이가 접히게 구성되거나 제거된다. 이를 위해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구성유닛으로서 오버행의 전체부분이 구성된다.
상기 부분이 접히게 구성되거나 제거된 후에, 파나마운하에 대해 허용되는 길이까지 여객선의 길이가 감소된다.
새로운 여객선이 건조되는 동안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구성유닛으로서 선수가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장비를 이미 사용중인 선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여객선은 파나마운하와 같은 조건부 길이제한을 가진 운항경로를 운항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선주는 예를 들어, 선박의 중앙에 설정된 부분에 의해 여객선의 길이를 연장시켜서 이미 사용중인 여객선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객수송능력과 관련하여 길이가 증가된 여객선은 일반적으로 파나마운하와 같은 조건부 길이규정을 가진 운항경로를 통과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구성유닛을 이용하면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구성유닛으로서 구성된 선수를 접히게 만들거나 제거하여 주간에 배열된 연장부분으로부터 길이의 증가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용길이를 초과하는 과도길이를 형성하는 오버행의 일부분이 전방덱크(deck)의 나머지부분위에 배열되도록 접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호이스트에 의해 상기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이스트에 의해 제거된 구성유닛이 전방덱크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상에 설치된 크레인(crane)이 필요한 경우 선체로부터 이미 분리된 구성유닛을 들어올리고, 파나마운하와 같은 수문으로 선박이 통과하기 전에 상기 구성유닛을 전방덱크위에 내려놓으면 파나마운하를 선박이 통과하는 동안 선박은 구성유닛을 이용할수 있다. 선박이 운하를 통과한 후에 선박에 실려있던 구성유닛이 적합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선수위에 내려놓는다.
선수의 갈퀴부분을 형성하는 선수부분과 선체의 선수를 구성하는 전방변부들 및 선박의 측부를 형성하는 외측표면과 선수부분의 표면들이 선박의 길이가 파나마운하와 같은 운항경로를 통과하기 위해 허용될 수 있는 길이를 초과하는 정상위치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조정되는 구성유닛은 선체내부로 조립되는 선수부분을 형성한다.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유닛이 제거되거나 접히게 형성될 때, 선수는 단지 선체와 일체구성된 선수부분으로 구성된다. 선수부분이 선체내부로 조립될 때만, 다시말해 선수부분이 제거되거나 접히게 형성된 후에 정상위치로 귀환될 때, 스템의 전방변부 및 삽입된 선수부분이 선수의 정렬부와 일치하는 라인을 형성하고, 즉 본 발명을 따르는 구성유닛 선수부분이 선체와 다시 일체로 완전히 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고 구성유닛을 가진 항양선에 의하면,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한 구성유닛을 향하는 면영역내에서 선박의 선체를 밀봉하는 한 개이상의 횡방향 벌크헤드가 구성된다. 그 결과 선박의 선체 즉, 본 발명의 선박은 조정될 수 있는 구성유닛이 접히거나 제거된 후에 완전히 항해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구성유닛이 선박위에 설치되지 못하더라도, 항해적합성은 손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부에 설치되는 구성유닛 없이도 선박은 대서양을 용이하게 항해할 수 있다. 횡방향의 벌크헤드가 외부표면에 일체구성되기 때문이다.
구성유닛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성유닛을 조정하려면 해당 호이스트의 부하수용 수단위에 설치하기 위한 피팅(fitting)들이 구성유닛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적합한 피팅들은 크레인 아이(eye)들로서 제공된다.
구성유닛이 접히게 구성되면, 접히게 구성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작동실린더들이 제공되고, 상기 실린더들이 조정링크기구에 의해 작동되며, 링크기구에 의해 구성유닛의 접힘작동이 일어난다.
구성유닛 및 선체가 서로 작동연결상태를 형성하는 구속수단을 가진다. 상기 구속수단을 이용하면, 구성유닛이 선수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정상위치내에서 구성유닛이 선체위에서 제위치에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접히게 형성되거나 제거되는 작업을 개시하기 위해 또는 구성유닛이 다시 제위치로 설정된 후에 연결되기 위해 예를 들어, 선박의 브리지(bridge)로부터 작동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이 구속수단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항양선의 전방단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선수(bow) 끝이 본 발명에 따른 접힘 구조를 가지고 후방으로 접혀 배열된 도 1의 항양선의 정면도.
*부호설명*
3......선수 4......팁
5.....수중부분 6....전방단부위치
7.....선수
도 1은 여객선의 전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객선의 선체(1)가 수선위에서 행오버(hangover)를 가지고, 선수(3)의 전방변부(2)가 경사를 이루며 선박의 선체(1)의 선수 팁(tip)(4)의 레이크(rake)를 가진 후방부까지 구성되고 선박의 선체(1)의 수중부분(5)으로 전이되는 전이부까지 구성된다. 선박의 길이는 선수 팁(4)으로부터 선박의 선미외측 단부까지 측정되고, 상기 길이는 파나마운하와 같이 조건부 길이제한을 가진 항해경로를 위해 허용된 치수를 초과할 수 없다. 도 1의 실시예에 의하면, 선미의 오버행은 허용치수를 지나 선박의 길이를 초과한다. 상기 초과길이는 수중에 위치한 구형의 선수(7)에 형성된 전방단부위치(6) 및 선수 팁(4)사이의 치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여객선이 가지는 특징에 의하면, 선수(3)의 오버행을 접히게 하거나 제거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의 구성유닛으로서 소정치수를 넘는 선수(3)의 오버행의 일부분이 구성되거나 유사한 수단이 구성된다.
구성 유닛(8)은 앞당김줄(10)을 위한 접힘식 마스트(mast)(8)를 가진다.
도 2를 참고할 때, 여객선의 전방부분이 도시되고, 도 1과 비교할 때 구성유닛(8)은 후방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유압실린더 및 연결로드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축(11)을 형성하는 관절부주위에 도시된 위치로 상기 구성유닛(8)이 후방으로 접히게 구성된다. 파나마운하와 같이 해당 운항경로를 통과할 때 상기 앞당김줄(10)이 풀려지고 접힘식 마스트(9)가 내려진다.
도 2를 참고할 때, 수평축(11)주위에서 구성유닛(8)을 후방으로 접히게 구성하므로 조건부 길이제한에 기초한 허용치수를 초과하지 않는 길이까지 선박의 길이가 감소된다.

Claims (9)

  1. 선체가 수면 보다 위에 한 개이상의 오버행을 가짐에 따라, 상기 오버행이 특정구역의 조건부 길이 제한에 따라 허용가능한 소정 치수를 초과하여 선박의 길이가 초과되고,
    선수의 오버행의 일부분이 접힘, 제거 또는 유사한 작동으로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구성유닛으로 이루어진 여객용 항양선(sea-going ship)에 있어서,
    상기 항양선의 유효적재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역조작가능한(reversible handling-capable) 한 구성유닛(8)을 향하는 면영역내에서 선박의 선체(1)를 밀봉하는 한 개이상의 횡방향 벌크헤드(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2. 제 1항에 있어서, 가역조작가능한 구성유닛(8)이 선수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3. 제 2항에 있어서, 구성유닛(8)이 선체내부로 조립되는 선수부분을 형성하고, 선수의 갈퀴부분을 형성하는 선수부분과 선체의 선수를 구성하는 전방변부(2) 및 선박의 측부를 형성하는 외측표면과 선수부분의 표면이 선박의 길이가 운항경로를 통과하기 위해 허용될 수 있는 길이를 초과하는 정상위치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벌크헤드(12)가 선체(1)의 외측표면에 일체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5. 제 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에 구성되는 부하 수용 수단위에 설정되기 위한 피팅들이 상기 구성유닛(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6. 제 5항에 있어서, 구성유닛(8)을 접히게 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작동실린더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7. 제 6항에 있어서, 서로 작업연결위치로 배열되는 구속수단이 상기 구성유닛(8) 및 선체(1)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8. 제 7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고 작동을 위해 원격조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양선.
  9. 삭제
KR1020057006696A 2002-10-19 2003-07-15 항양선 KR101001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8835.5 2002-10-19
DE10248835A DE10248835A1 (de) 2002-10-19 2002-10-19 Seeschiff, insbesondere Passagierschi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271A KR20050059271A (ko) 2005-06-17
KR101001439B1 true KR101001439B1 (ko) 2010-12-14

Family

ID=3204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696A KR101001439B1 (ko) 2002-10-19 2003-07-15 항양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274313A1 (ko)
EP (1) EP1551696B1 (ko)
JP (1) JP4273081B2 (ko)
KR (1) KR101001439B1 (ko)
AT (1) ATE376513T1 (ko)
AU (1) AU2003257387A1 (ko)
DE (3) DE10248835A1 (ko)
NO (1) NO20052355L (ko)
WO (1) WO2004039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1471B2 (en) 2003-08-18 2012-08-28 Fujifilm Dimatix, Inc. Individual jet voltage trimming circuitry
US7907298B2 (en) 2004-10-15 2011-03-15 Fujifilm Dimatix, Inc. Data pump for printing
US8085428B2 (en) 2004-10-15 2011-12-27 Fujifilm Dimatix, Inc. Print systems and techniques
US8199342B2 (en) 2004-10-29 2012-06-12 Fujifilm Dimatix, Inc. Tailoring image data packets to properties of print heads
CN104554615B (zh) * 2014-12-11 2017-01-18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船舶节能球鼻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3422A1 (en) * 1994-10-31 1996-05-09 Sven Lissol Johansson Safety arrangement for a shi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02644A (fr) * 1943-10-15 1945-09-05 Baule & Cie A Embarcation démontable
FR1406352A (fr) * 1964-09-02 1965-07-16 Bateaux démontables constitués à partir d'un certain nombre de sections
DE2203268A1 (de) * 1972-01-25 1973-08-02 Johannes Bakker Aus einer anzahl teile bestehender satz, insbesondere zum zusammensetzen von fuhr- oder fahrzeugen
NZ180850A (en) * 1975-05-27 1979-04-26 Container Cargo Carriers Corp Container ship loaded through ramped entrance at bow
US4328601A (en) * 1979-12-26 1982-05-11 Fmc Corporation Inflatable bow
US4354447A (en) * 1980-08-27 1982-10-19 Hultgren Lennart C Extendable bowsprit pulpit for a fishing boat
FR2586002B1 (fr) * 1985-08-09 1990-11-09 Bouvart Francois Engin comprenant une coque susceptible de flotter
DE4210558A1 (de) * 1992-03-31 1993-10-07 Gaby Killius Boot
US5222456A (en) * 1992-08-10 1993-06-29 Friedrich Albert F Boat bow boarding platform
US5642686A (en) * 1995-12-22 1997-07-01 Eagle Premier Ltd. Collapsible boat
US6647917B1 (en) * 2002-06-07 2003-11-18 John Garrison Hoyt Pulpit mounted rotating bowspr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3422A1 (en) * 1994-10-31 1996-05-09 Sven Lissol Johansson Safety arrangement for a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1696A1 (de) 2005-07-13
WO2004039661A1 (de) 2004-05-13
NO20052355D0 (no) 2005-05-12
US20050274313A1 (en) 2005-12-15
EP1551696B1 (de) 2007-10-24
DE50308473D1 (de) 2007-12-06
NO20052355L (no) 2005-07-18
KR20050059271A (ko) 2005-06-17
DE10248835A1 (de) 2004-04-29
JP4273081B2 (ja) 2009-06-03
ATE376513T1 (de) 2007-11-15
DE10393996D2 (de) 2005-09-08
AU2003257387A1 (en) 2004-05-25
JP2006503752A (ja)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971B2 (en) Convertible vessel
US3345970A (en) Boat and barge combination
CZ2002312A3 (cs) Autonomní nákladní loď pro kontejnery
US5787828A (en) Swath cargo ship
US8844459B2 (en)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KR100507853B1 (ko) 자항 바지선
US3750607A (en) Shallow-draft boat
CA2107590C (en) Metho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hip and a hull form of an icebreaking ship
US5850801A (en) Pushing unit
EP2571750B1 (en) Double-ended trimaran ferry
KR101001439B1 (ko) 항양선
US201803194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ercraft
US7311053B2 (en) Support vessel
CN112046700B (zh) 一种组合式滚装过驳渡船
JP7062238B1 (ja) 貫流溝を有するプッシャ・バージ船
KR200308996Y1 (ko) 자항 바지선
Wright Tug/Barge Options
JP2023181953A (ja) 横づけ用浮き桟橋
Blank Modern Towing
FR2495567A1 (fr) Cargo
WO2017069111A1 (ja) 船舶及び船舶の設計方法
SU296701A1 (ru) Плавучи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Michel The Skaugran Class 42 400-DWT RO/RO's
Rutkowski Numerical Analysis of the Contact Forces Generated on a „Hiload DP1” Prototype Attachment System at Calm Sea
MILWEE Jr Design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architecture of salvage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