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67B1 -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 Google Patents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0967B1 KR101000967B1 KR1020080029206A KR20080029206A KR101000967B1 KR 101000967 B1 KR101000967 B1 KR 101000967B1 KR 1020080029206 A KR1020080029206 A KR 1020080029206A KR 20080029206 A KR20080029206 A KR 20080029206A KR 101000967 B1 KR101000967 B1 KR 101000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wibro
- repeater
- module
- communication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700026140 MAC combinat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들을 와이브로 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시킬 수 있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중계기는 무선랜 모듈과 와이브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로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그 배터리 전원을 시스템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다수의 전원공급모드중 하나를 설정하여 설정모드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공급전원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를 단속하기 위한 전원단속부;를 포함함으로서, 중계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불필요하게 무선랜 모듈을 액티브시켜 소모되는 전력낭비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일부 전원을 차단 제어하여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capable of wirelessly accessing terminals via a WiBro network that can communicate using a wireless LAN protocol. The repeater is a repeater including a wireless LAN module and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battery power to each part of the system; A main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rea and setting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mod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select and control the supply power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path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by includ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activating the wireless LAN module unnecessarily in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repe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rc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by controlling to cut off some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for a time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periodically collec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와이브로, 무선랜, WIFI. WiBro, WiFi, WIFI.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들을 와이브로 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시킬 수 있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capable of wirelessly accessing terminals via a WiBro network that can communicate using a wireless LAN protocol.
통신기술 및 휴대 단말 관련 기술이 발전해 감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통신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무선 랜(wireless LAN) 방식은 전파 또는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방식으로서,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지만 고속 및 거리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portable terminal related technologies have developed, various methods of communication have been introduced. Among them, a wireless LAN method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waves or an infrared transmission method. The wireless LAN method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and is relatively inexpensive, but suffers from high speed and distance limitations.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통신 방식의 하나가 와이브로(Wibro) 서비스이다. 와이브로 서비스는 IEEE802.16e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며, 2.3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최고시속 60Km로 이동 중에도 고속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해 준다. 참고적으로 와이브로 모듈을 탑재한 단말기는 기지국(Base Station)까지 무선으로 통신하고 그 이후는 유선으로 인터넷 망에 연결된다.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develop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is Wibro service. WiBro service is a service based on IEEE802.16e technology and uses 2.3GHz frequency band to enable high-speed internet access on the go at 60Km / h. For reference, a terminal equipped with a WiBro module communicates wirelessly to a base station, after which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wire.
무선 랜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에서도 그리고 거리에 제약을 받지 않 는다는 점에서 와이브로 서비스의 유용성이 높다 할 것이나, 무선 랜만 지원하는 단말기들을 통해서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무선 랜 단말기를 통해서도 와이브로 서비스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 혹은 중계기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WiBro service will be useful in that it is relatively high speed and is not limited by distance compared to wireless LAN method, but WiBro service cannot be normally used through terminals supporting only WLAN. Accordingly,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s or repeater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Bro service network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일반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 혹은 중계기에서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채널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모뎀이 채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항상 액티브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전력 소비가 발생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전력 관리 방식이 요구된다. 더욱이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However, in general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s or repeaters, channel status must be continuously checked in order to use WiBro service. In this case, since the modem must be always active to determine the channel state,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which requires more efficient power management. Moreo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 it is more urgently required to efficiently manag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들이 와이브로 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언제 어디서나 충전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으며,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charging wirelessly anytime, anywhere, and supports terminals that can communicate using a wireless LAN protocol through a WiBro network.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capable of minimiz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브로 통신이 불가능한 통신음영지역에서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하여 전원공급부의 소비 전력을 효율 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by complete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in the communication shade area that is not available WiBro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는 무선랜 모듈과 와이브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로서,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repeater including a wireless LAN module and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그 배터리 전원을 시스템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supplying battery power to each part of the system;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다수의 전원공급모드중 하나를 설정하여 설정모드에 따라 시스템 공급전원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와;A main control unit for discriminating a WiBro communication shadow area and setting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mod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select and control a system supply power according to a setting mode;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를 단속하기 위한 전원단속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path supplied to each unit under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에서 최대절전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mplete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by setting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in the WiBro communication shadow area.
즉,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에서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prevent the waste of power by complete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LAN module in the shaded area where the WiBr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아울러 상기 메인 제어부는 최대절전모드에서 상기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차단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intermittently cuts off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in the hibernation mode, and cuts off the time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periodically collec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이 역시 채널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만 와이브로 통신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also minimizes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because only the time required to collect channel status information is supplied to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더 나아가 상기 메인 제어부는 와이브로 통신 가능지역에서 절전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차단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역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ain controller intermittently cuts off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by setting a power saving mode in a WiBro communication enabled area, and controls the cutoff for a time except for a time required for periodically collec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This is also a useful wa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아울러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절전모드에서 무선랜 모듈중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수신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supplies power only to a signal receiver necessary to receive a packet transmitted from a portable terminal of a WLAN module in a power saving mode, there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standby mo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음영지역에서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하기 때문에, 중계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불필요하게 무선랜 모듈을 액티브시켜 소모되는 전력낭비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in the WiBro communication shade area, the wireless LAN module unnecessarily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epeater does not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By activating the power consumption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이 불가한 지역에서 설정되는 최대절전모드에서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일부 전원을 차단 제어함으로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rmittently blocks and controls the operating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in the hibernation mode set in an area where WiBr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nd performs WiBro communication for a time except for a time required for periodically collec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By controlling the power cut off of a part of the modul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설정되는 절전모드에서도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일부 전원을 차단 제어하기 때문에 이 역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rmittently controls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even in the power saving mode set in the WiBro communication area, the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 of the time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periodically collec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This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경우에 따라서는 절전모드에서 무선랜 모듈중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수신부에만 일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In some cases,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may be reduced by supplying some power only to a signal receiver necessary to receive a packet transmitted from a portable terminal of the WLAN module in the power saving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주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는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중 어느 하나의 통신규격을 따르는 무선랜 모듈을 탑재하여 휴대용 단말기(100,110)와 접속 가능하고, 무선랜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예를 들면 IEEE802.16e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브로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는 무선랜 접속 가능한 단말들(100,110)을 와이브로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계기 역할을 담당한 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First, Figure 1 shows a peripher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is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module conforming to any one of IEEE802.11a, IEEE802.11b, and IEEE802.11g to be connected to the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블럭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중 무선랜 모듈(210)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도 2중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의 블럭구성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First, Figure 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la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는 기본적으로 무선랜 모듈 탑재된 휴대 단말들(100,110)과 무선랜 프로토콜 방식에 기초하여통신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210)과, 와이브로 기지국(300)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종의 통신모듈 외에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는 교류상용전원을 다운 컨버젼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그 배터리 전원을 시스템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50)와,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다수의 전원공급모드중 하나를 설정하여 설정모드에 따라 시스템 각 부의 공급전원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220)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를 단속하기 위한 전원단속부(24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참고적으로 도 2에서는 시스템의 전원 관리를 위해 필요한 최소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들 구성외에 무선랜 모듈(210)을 통해 수신된 무선랜 패킷을 와이브로 패킷으로 변환 혹은 그 역방향으로 전송되는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패킷 처리부 역시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되어야 함은 자명 하다 할 것이다.For reference, FIG. 2 illustrates only the minimum components necessary for power management of the system, but in addition to these configurations, converts a WLAN packet received through the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될 다수의 전원공급모드는 최대절전모드, 절전모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최대절전모드라함은 최소의 구동전원으로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모드이고, 절전모드는 최대절전모드 보다 높은 소비전력으로 시스템을 구동하는 모드로 정의하기로 한다. 메인 제어부(220)가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다수의 전원공급모드중 하나를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전원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ower supply modes to be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hibernate mode, a power saving mode,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is a mode for driving the system with a minimum driving power, the power saving mode is higher than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This is defined as a mode for driving the system with power consumption. A method of efficiently managing power by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무선랜 모듈(210)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무선랜 모듈(210)은 단말(100,110)과 무선 송수신되는 RF신호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210)와, RF신호를 각각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부(213) 및 수신부(215), 그리고 상기 송신부(213)와 수신부(215)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소정의 무선통신규격에 따라 변조 및 복조 처리하기 위한 모뎀(217), 상기 모뎀(217)을 통해 무선랜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토콜 처리부(219)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19)는 무선랜 규격인 IEEE802.11a/b/g와 같은 무선 MAC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랜 패킷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프토콜 처리부(219)에서 처리된 무선랜 패킷은 이후 와이브로 패킷으로 처리하기 위해 패킷 처리부로 전송된다.The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무선랜 모듈(210)은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최대절전모드에서 동작전원이 완전 차단되며, 절전모드에서는 단말(100,11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수신부, 예를 들면 듀플렉 서(211)와 수신부(215), 모뎀(217)의 신호 수신처리단 등,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대기모드에서의 소비전력을 절약한다.The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configuration of the
와이브로 통신모듈(230) 역시 와이브로 기지국(300)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안테나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231), 듀플렉서(231)에서 분리된 수신신호를 모뎀(237)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신부(235) 및 모뎀(237)에서 전달된 송신신호를 듀플렉서(231)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233) 및 와이브로 기지국(300)과 휴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239)를 포함한다. 이외에 송수신 패킷을 버퍼리하기 위한 메모리가 추가 포함된다.WiBro
이러한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은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최대절전모드 및 절전모드에서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공급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은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에만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그 외의 시간구간에서는 동작전원이 차단된다.The WiBro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메인 제어부(220)의 전원 관리 제어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원공급부(250)에 포함된 배터리가 완충된 것으로 가정하고, 그 배터리로부터 시스템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ower management control oper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전원 관리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메인 제어부(220)는 와이브로 통신모듈(230)로 채널상태정보 수집을 요청(S1단계)한다. 채널상태정보 수집을 요청받은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은 와이브로 기지국(300)과 송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수신전계강도(RSSI)와 신호대 잡음비(Carrier-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CINR)와 같은 채널상태정보를 획득(S2단계)한다. 그리고 와이브로 통신모듈(30)은 채널상태정보의 획득여부에 대한 응답을 메인 제어부(22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the
메인 제어부(220)는 채널상태정보의 획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와이브로 통신 가능지역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으로 판단한다. 만약 S3단계에서 채널상태정보 수집 불가 지역으로 판단되었다면 중계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므로, 메인 제어부(220)는 시스템의 전원모드를 최대절전모드로 설정(S4단계)한다. 최대절전모드에서 메인 제어부(220)는 전원 단속부(240)를 제어하여 무선랜 모듈(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S5단계)한다. 이로써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에서는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 자체가 차단되어 그 만큼 무선랜 모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The
한편 무선랜 모듈(210)의 공급전원을 차단한 메인 제어부(220)는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에만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S6,S7단계)한다. 즉, 채널상태정보 수집요청 시점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응답이 수신되었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과정중에 만약 채널상태정보가 획득되어 와이브로 통신 가 능지역으로 판단(S8단계)되었다면 S10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의 전원모드를 절전모드로 설정하지만, 계속하여 통신음영지역으로 판명되면 S6단계 내지 S8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최대절전모드에서도 와이브로 통신 가능지역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점에만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시간구간에서는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최대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절전모드에서는 무선랜 모듈(210)이 휴대 단말(100,11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수신부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휴대 단말(100,110)로부터의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만약 최대절전모드에서 통신 가능지역으로 판명되어 S10단계로 진행하였다면, 메인 제어부(220)는 인터넷 통화요청과 같은 이벤트가 와이브로망으로부터 전송되는지를 판단(S11단계)한다. 판단결과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무선랜 모듈(210)에 일부 전원,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11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수신부에만 전원 공급(S12단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절전모드에서도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S6단계로 진행하여 S12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hibernation mode and proceeds to step S10, the
한편 절전모드에서 만약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다면, 메인 제어부(220)는 전원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설정(S13단계)하여 무선랜 모듈(210)과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에 정상적인 시스템 동작 전원을 공급(S14단계)한다. 이에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는 휴대 단말(100,110)과 와이브로망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랜 패킷과 와이브로 패킷을 상호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서, 단말 사용자는 중계 기(200)를 통해 인터넷망에 무선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an event signal occurs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 음영지역에서 무선랜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하기 때문에, 중계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불필요하게 무선랜 모듈을 액티브시켜 소모되는 전력낭비를 원천적으로 막아 배터리 가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LAN module in the WiBro communication shadow area,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by activating the WLAN module unnecessarily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epeater does not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By blocking the source at the source can be obtained to extend the battery life.
또한 본 발명은 와이브로 통신이 불가한 지역에서 설정되는 최대절전모드에서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일부 전원을 차단 제어함으로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rmittently controls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in the hibernation mode set in the area that is not available for WiBro communication,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for a time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periodically collec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By shutting off and controlling some power supplies,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can be minimized.
그리고 와이브로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설정되는 절전모드에서도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간헐적으로 차단 제어하되, 와이브로 망의 채널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점을 제외한 시간동안 와이브로 통신모듈의 일부 전원을 차단 제어하기 때문에 이 역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대기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And in the power saving mode set in the area where WiBro can communicate, intermittently block and control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but block some power of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for a time except for the time necessary to collect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he WiBro network periodically. This also minimizes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useful invention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주변 구성도.1 is a peripher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블럭구성 예시도.2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중 무선랜 모듈(210)의 블럭구성 예시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도 4는 도 2중 와이브로 통신모듈(230)의 블럭구성 예시도.4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200)의 전원 관리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a port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9206A KR101000967B1 (en) | 2008-03-28 | 2008-03-28 |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
JP2008298181A JP2009246944A (en) | 2008-03-28 | 2008-11-21 |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repeater |
JP2012066050A JP2012164325A (en) | 2008-03-28 | 2012-03-22 |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repe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9206A KR101000967B1 (en) | 2008-03-28 | 2008-03-28 |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3538A KR20090103538A (en) | 2009-10-01 |
KR101000967B1 true KR101000967B1 (en) | 2010-12-14 |
Family
ID=413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9206A KR101000967B1 (en) | 2008-03-28 | 2008-03-28 |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2) | JP2009246944A (en) |
KR (1) | KR1010009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82711B2 (en) * | 2009-12-03 | 2013-04-17 |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 Roadside machine and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
KR101285387B1 (en) * | 2011-08-31 | 2013-07-10 | (주)버추얼텍 |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router |
WO2015194692A1 (en) * | 2014-06-20 | 2015-12-23 | 이노넷 주식회사 | Multi-hop, multi-carrier tvws wireles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power efficiency |
KR102336137B1 (en) | 2015-06-23 | 2021-12-0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Network Wireless Relay System,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US9979461B2 (en) | 2016-03-04 | 2018-05-22 | Advanced Rf Technologies, Inc. | RF repeater |
EP3489797A1 (en) * | 2017-11-28 | 2019-05-29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Controlling a battery-operated range exten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2336B1 (en) * | 2005-09-27 | 2006-11-29 | 주식회사 케이티 | Mobile access device having wireless LAN / Portable Internet interworking function an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1544A (en) * | 1987-07-17 | 1989-01-24 | Hitachi Ltd | Fault generation system |
JPH0787010A (en) * | 1993-09-17 | 1995-03-31 | Fujitsu Ltd | Battery saving circuit of mobile device for mobile phone system |
JP3695873B2 (en) * | 1997-01-13 | 2005-09-14 | 東京瓦斯株式会社 | Wireless system |
JP2001102981A (en) * | 1999-09-29 | 2001-04-13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adio repeating system |
JP2001156788A (en) * | 1999-11-24 | 2001-06-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ireless lan access point |
JP2001156697A (en) * | 1999-11-26 | 2001-06-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Terminal with repeater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ivate master set and repeater function control method |
JP3873730B2 (en) * | 2001-12-07 | 2007-01-24 | オムロン株式会社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RELAY DEVICE |
JP2003198720A (en) * | 2001-12-28 | 2003-07-11 | Nec Corp | Mobile phone |
JP2005217548A (en) * | 2004-01-27 | 2005-08-11 | Nec Corp | Method and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 and radio terminal |
US7881267B2 (en) * | 2004-06-04 | 2011-02-0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ortable computing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
WO2007123733A2 (en) * | 2006-03-31 | 2007-11-01 | Qualcomm Incorporated | Enhanced physical layer repeater for operation in wimax systems |
WO2007136621A2 (en) * | 2006-05-16 | 2007-11-29 | Autonet Mobile, Inc. | Mobile router with session proxy |
-
2008
- 2008-03-28 KR KR1020080029206A patent/KR1010009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11-21 JP JP2008298181A patent/JP2009246944A/en active Pending
-
2012
- 2012-03-22 JP JP2012066050A patent/JP201216432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2336B1 (en) * | 2005-09-27 | 2006-11-29 | 주식회사 케이티 | Mobile access device having wireless LAN / Portable Internet interworking function an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3538A (en) | 2009-10-01 |
JP2009246944A (en) | 2009-10-22 |
JP2012164325A (en) | 2012-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13690B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7583643B2 (en) | Enhanced passive scanning | |
EP1748576B1 (en) | Base apparatus, monitor terminal and repeater apparat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 |
JP433989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00967B1 (en) | Wireless internet access repeater | |
US20130170420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ing circuit | |
US8660617B1 (en) | WiMAX enhanced sleep mode | |
US11968622B2 (en) | Intelligent power saving | |
EP3506686A1 (en) | Stat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 |
KR20220140570A (en) |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 |
US10993149B2 (en) | Operating a terminal devic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WO2010017057A4 (en) |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ssion | |
EP4122264A1 (en) |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 |
US809463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via wireless LAN | |
US20240224233A1 (en) | Discovery resource selection based on discovery transmission type | |
JP5997661B2 (en) | Repeater device and repeater sleep control method | |
JPH10209943A (en) | Reception equipment | |
JP4981078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US7398109B2 (en) | Wireless LAN base station device having antennas and transmission-reception portion | |
CN113243129A (en) |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for blind detection of PDCCH | |
JP3282319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s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 |
KR20190141316A (en) | Multipurpose Wireless Char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