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0643B1 -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643B1
KR101000643B1 KR1020080117781A KR20080117781A KR101000643B1 KR 101000643 B1 KR101000643 B1 KR 101000643B1 KR 1020080117781 A KR1020080117781 A KR 1020080117781A KR 20080117781 A KR20080117781 A KR 20080117781A KR 101000643 B1 KR101000643 B1 KR 10100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oling
intake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124A (ko
Inventor
요시로 시모야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11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6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4Cabi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6Ambient conditions
    • B60L2240/66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전장 부품(electronic unit)에 있어서, 전장 부품이 작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 또는 외부 요인 등과 같은 장치에 대한 온도 변화로 인한여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전장 부품을 냉각 또는 가온하기 위한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탑재된 전장 부품의 발열 및 냉각에 대비하여, 공기의 흡입구 구조를 변경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기구와;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기구와;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차량 내·외부의 온도 변화와 에 따라 실내·외 공기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장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냉각 및 가온시킴으로서 상기 전장 부품들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전장 부품, 발열, 냉각, 온도 조절, 배터리 냉각, 냉각 구조, 가온 구조

Description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Cooling and heating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in-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전장 부품(electronic unit)에 있어서, 전장 부품이 작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 또는 외부 요인 등과 같은 장치에 대한 온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전장 부품을 냉각 또는 가온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편의 장비들을 구비한 레저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행을 위한 장치 및 부가적인 편의를 위한 보조 장치들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다양한 전장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장 부품들은 그 성능과 관련하여 온도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그 핵심 부품에 해당하는 배터리 역시, 성능 및 내구성에 있어서, 구동시 유지되는 배터리 부분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차량 내부 구성의 발열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와 관련하여, 배터리 박스에 대한 냉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일본 공개 특허 제2003-146088호는 배터리 박스 내의 배터리를 냉각할 수 리어 시트 부근의 흡기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일본 공개 특허 제2003-126088호의 배터리 박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 1에서는 냉각풍을 유입하기 위한 흡기구(30)를 리어 시트(rear seat: 10) 후방의 리어측 선반(rear parcel: 20)에 설치하여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기 덕트(40)를 통하여 유동시킴으로서, 차량의 배터리 박스 및 전장 부품 박스(50)를 냉각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난점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온도의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일본 공개 특허 제2003-126088호에 제시된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의 내부 온도는 에어컨에 의하여 항상 25℃ 부근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바깥 공기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가 계속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여름 철의 고온 시 또는 직사 광선을 직접적으로 쬐는 경우에는 에어컨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환기 성능이 나쁜 리어측 선반 부근의 흡기온이 상당히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즉, 상온( 약 25℃)보다 높은 온도에 서의 배터리 냉각이 장시간 계속 되면, 배터리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하게되어 차량의 동력 성능 및 연비의 악화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냉각 성능의 저하는, 배터리의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배터리 교환 시기가 앞당겨지게 되며, 냉각을 위한 냉각 팬을 상시 작동 상태로 구동함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탑재된 전장 부품의 발열 및 냉각에 대비하여, 공기의 흡입구 구조를 변경하여 차량 내·외부의 온도 변화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기와 차량 외부의 공기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장 부품들을 냉각 및 가온시킴으로서 상기 전장 부품들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기구와;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기구와;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흡기구 또는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냉각풍을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구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는 회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입구에는 각각 설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가온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기구와;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기구와;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흡기구 또는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온풍을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는 회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입구에는 각각 설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기구와;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기구와;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흡기구 및/또는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공기를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구 주변에는 발열체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발열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로의 열전달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구 주변의 발열체는 상기 제2흡기구와 이격시켜, 상기 발열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로의 열전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한 개소 또는 복수 개소의 제1흡기구 및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 할 수 있는 한 개소 또는 복수 개소의 제2흡기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회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로부터 전장 부품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기구와 상기 제2흡입구 및 상기 흡입 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는 전장 부품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동에 대한 최적의 환 경을 제공함으로서 장비의 수명을 향상시키며, 냉각팬의 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배터리 수명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배터리 성능 개선 및 배터리 교체에 따른 비용 절감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 팩 또는 각종 전장 부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에 대한 흡기구와 차량의 외부 공기에 대한 흡기구 및 이에 대한 흡기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가 배터리 냉각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일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냉각 팬(180)을 설치한 배터리 팩(200)을 차량의 하실(荷室)에 탑재하고, 리어 시트(110) 후방의 리어측 선반(120)에 차량의 실내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1흡기구(130)를 형성하고, 차량 하부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2흡기 구(14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흡기구(130)와 제2흡기구(14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150)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150)의 개폐에 따라 유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배터리 팩(200)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흡기 덕트(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의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배터리 팩(200)의 냉각 또는 가온을 수행하고, 배터리 팩(200)과 열교환을 수행한 공기는 배기 덕트(19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 과정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전장 부품의 냉각에 대하여 최적인 온도에 가까운 곳으로부터 냉각풍을 흡입하는 것이 냉각 성능에 효율적인 바, 본 발명은 상술한 실내 및 실외에 대한 흡기구 및 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작동 상태를 구현함으로서 냉각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작동 상태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대한 각각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작동 상태로서, 배터리팩의 냉각을 위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 내부의 실내 공기 온도가 냉각에 적합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흡기구측 밸브를 개방하고, 실외 공기가 통하는 제2흡기구측 밸브를 폐쇄함으로서, 흡기 덕트(160)를 통하여 배터리 팩(200)측으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배터리 팩(200)의 냉각을 수행한다. 배터리 팩(200)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터리 팩(200)과 열교환을 수행한 공기는 냉각 팬(180)을 지나 배기 덕트(19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흡기구 측 및 제2흡기구 측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회전 밸브(150)로 구성하여, 상기 회전 밸브(150)의 회전에 따라 제1흡기구 및 제2흡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기구 측 및 상기 제2흡기구 측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170a, 170b)를 설치하고,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흡입되는 흡기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밸브(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작동 상태 중 하나로서, 배터리팩의 냉각을 위하여 차량 외부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외부의 실외 공기 온도가 배터리 냉각에 적합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차량외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이거나, 혹은 차량 외부의 온도가 고온이더라도, 배터리 측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출력 부족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온도에 해당하는 흡기구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최적의 배터리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 도 3의 경우에서와는 달리 회전 밸브(150)를 180°회전시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흡기구측 밸브를 폐쇄하고, 실외 공기가 통하는 제2흡기구측 밸브를 개방함으로서, 흡기 덕트(160)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배터리 팩(200)측으로 유입되 도록 작동된다. 이 경우, 상술한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흡기구 측에 설치된 온도 센서(170a, 170b) 및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밸브(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배터리 팩(200)에 대한 냉각 및 가온을 수행하는 냉각풍의 흡기구에 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있어서, 도 5는 차량의 실내·외 공기 모두가 유입될 수 있는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는 제1흡기구(130) 및 제2흡기구(1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에 적합한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유입하도록 구성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는 밸브의 작동(도 5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회전 밸브의 회전을 도시하고 있다.)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 및 실외의 공기가 모두 흡기 덕트(160)측으로 유입되어 동시에 배터리 팩(200)의 냉각 또는 가온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15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1흡기구 및 제2흡기구 측에 설치된 온도 센서(170a, 170b) 외에 흡입 덕트 측에 온도 센서(170c)를 설치하고, 상술한 3개소의 온도 센서에서 검출된 온도값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제어부에 의하여 밸브(15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2흡기구(140) 측에 필터(175)를 설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발생가능한 차량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차량의 제1흡기구(130) 및 제2흡기구(140)는 각각 단일하게 구성되더라도 냉각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으나, 차량의 구성이나 요구되는 전장 부품의 냉각 성능에 따라 복수개의 제1흡기구 및 제2흡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있어서, 작동 상태에 따른 발열체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전장 부품의 냉각/가온시에 흡기구를 차량의 실외로 설정하는 것의 목적이 실내의 흡기구(제1흡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없는 저온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때, 저온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실외측의 제2흡기구(140)를 개방하는 경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배터리 등의 전장 부품의 성능이나 수명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온도에 적합하도록 빠르게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고, 빠른 열교환을 위하여, 냉각을 위한 충분한 온도차이를 갖는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온도 제어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로부터의 흡입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바닥부(床部(상부), 210)로부터 저온의 바깥 공기 온도에 가까운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 주변에 머플러(220)와 같은 발열체가 위치하지 않도록, 흡입 과정에서 제2흡기구(140)로부터 흡기 덕트(160)로의 유동경로에 머플러(220)와 같은 발열체를 우회할 수 있는 우회 유로(230)를 구성함으로써 빠른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구(130)를 통하여 얻을 수 없는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제2흡기구(140)가 구성되는 경우, 최적의 온도로 빠르게 변화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흡입과정에서 상승하여 개선된 가온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머플러(220)와 같은 발열체를 상기 흡기구 주변에 배치한다.
따라서,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발열체에 의한 열전달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흡기구를 형성하여, 해당되는 모드에 따라 밸브(150)를 개폐시킴으로서 흡기구를 적절히 개방 혹은 폐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비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발생되는 냉각풍 온도의 변화로 인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 발열 온도

냉각풍온도

배터리 냉각후 온도

전력 용량 저하율

배터리 수명

60℃

20℃

35℃

90%

14년

60℃

25℃

40℃

85%

12년

60℃

30℃

45℃

70%

10년

60℃

35℃

50℃

75%

8년

60℃

40℃

55℃

70%

6년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리의 발열 온도 60℃에 대해 배터리에 작용하는 냉각풍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냉각에 의하여 배터리의 온도가 내려가기 어렵게 되어, 일정 조건으로 충방전을 반복한 후의 전력 용량의 저하율이 커지게 되고, 높은 배터리 온도가 장시간 유지됨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저하된다.
따라서, 기존 구조에 의한 냉각풍의 측정된 평균 온도인 35℃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측정된 냉각풍의 평균 온도가 30℃ 이하로 설정되어, 최소한 2년 이상의 배터리 수명의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장기화된 배터리 수명을 통하여 고가의 배터리 교환을 차량의 사용기간에 맞추어 연장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냉각 팬(180)의 동작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냉각 대상이 되는 전장 부품이 발열에 의한 온도가 60℃로 동작하는 경우에 실내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할 수 있는 공기온이 25도℃이라고 가정한다면, 겨울과 같이 실내보다 실외의 온도가 더 차가운 계절에 있어서, 실외의 흡입구로부터의 흡입 공기온이 10℃이면, 실내의 25℃의 공기로 장시간 냉각하는 것보다도 10℃로 냉각하는 것이 냉각 팬(180)의 작동 회전수의 저하 및 작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에 의해서는 냉각 팬(180)으로 인한 소비 전류를 저감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의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발열체의 배치에 따른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10: 리어 시트 120: 리어측 선반
130: 제1흡기구 140: 제2흡기구
150: 밸브 160: 흡기 덕트
170: 온도센서 180: 냉각 팬
190: 배기 덕트 200: 배터리 팩
210: 바닥부 220: 머플러
230: 우회 유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량 내ㆍ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기와 차량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량용 전장 부품을 냉각 및 가온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기구와;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기구와;
    상기 제1흡기구 및 상기 제2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흡기구나 상기 제2흡기구, 또는 상기 제1흡기구 및 제2흡기구를 통하여 공기를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구 주변에는 발열체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발열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로의 열전달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구 주변의 발열체는 상기 제2흡기구와 이격시켜, 상기 발열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로의 열전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구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구는 차량의 실외 공기를 흡입 할 수 있도록 한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회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부터 전장 부품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기구와 상기 제2흡입구 및 상기 흡입 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KR1020080117781A 2008-11-26 2008-11-26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00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781A KR101000643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781A KR101000643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24A KR20100059124A (ko) 2010-06-04
KR101000643B1 true KR101000643B1 (ko) 2010-12-10

Family

ID=4236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7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0643B1 (ko) 2008-11-26 2008-11-26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6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115A (ja) 1997-12-10 1999-07-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および冷却方法
JP2007145111A (ja) 2005-11-25 2007-06-14 Toyota Motor Corp 車両に搭載された電気機器の冷却装置
JP2008222041A (ja) 2007-03-13 2008-09-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115A (ja) 1997-12-10 1999-07-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および冷却方法
JP2007145111A (ja) 2005-11-25 2007-06-14 Toyota Motor Corp 車両に搭載された電気機器の冷却装置
JP2008222041A (ja) 2007-03-13 2008-09-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24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632B (zh) 一种多联式多功能的热泵型电动空调系统及其工作方法
JP4707346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107097664B (zh) 一种智能化多回路电动汽车热管理系统
CN110962530B (zh) 车辆的热管理系统
JP6041423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41223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8149297A1 (zh) 具有热量回收功能的充电机柜
CN209381733U (zh) 电动汽车的热管理系统
CN110962532A (zh) 车辆的热管理系统
US20190092118A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of battery for vehicle
WO2023039853A1 (zh) 车辆热管理系统及车辆热管理方法
CN110053445A (zh) 电动汽车二次回路热泵空调热管理系统
KR20220036260A (ko) 차량용 열관리시스템의 제습방법
CN108916997A (zh) 温湿调节装置
GB2622656A (en) Control method of module to vehicle (MTV)-based battery dual-thermal management system
CN209426514U (zh) 电动汽车及其空调系统
KR20220016652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KR1026094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35604A (ko) 차량용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
RU237979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US20210008962A1 (en) Heat exchange system for vehicl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5933569B2 (ja)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動車両の暖房、換気、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101000643B1 (ko) 차량용 전장 부품에 대한 냉각 및 가온 구조
KR101927153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N202399857U (zh) 电动车空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