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96B1 -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 Google Patents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996B1 KR100999996B1 KR1020080083879A KR20080083879A KR100999996B1 KR 100999996 B1 KR100999996 B1 KR 100999996B1 KR 1020080083879 A KR1020080083879 A KR 1020080083879A KR 20080083879 A KR20080083879 A KR 20080083879A KR 100999996 B1 KR100999996 B1 KR 1009999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water
- hot water
- mixing valv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HPQYMZQTOCNFJ-UHFFFAOYSA-N Calcium cation Chemical compound [Ca+2] BHPQYMZQTOC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4 calc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24D2200/046—Condensing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신속히 공급함과 동시에 효율이 높은 콘덴싱 방식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온수 온도를 높임에 의해 발생하는 석회석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that can quickly supply hot water at a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ake advantage of the efficient condensing method and to prevent limestone precipitation caused by increasing the hot water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The purpose is.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믹싱밸브를 사용하여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고, 현열열교환부와 잠열열교환부로 이루어진 콘덴싱 열교환기를 구비한 콘덴싱 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믹싱밸브에 형성된 2개의 입구 중, 하나의 입구는 상기 현열열교환부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구는 잠열열교환부의 출구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is, in the condensing water heater having a condensing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latent heat exchang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using a mixing valve, one of the two inlet formed in the mixing valve, An inlet is connected to an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 other inlet is connected to an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온수, 열교환기, 콘덴싱, 잠열, 바이패스배관, 믹싱밸브 Hot water, heat exchanger, condensing, latent heat, bypass piping, mixing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의 응축잠열을 흡수하여 열효율을 높이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의 온도를 공급할 수 있는 콘덴싱 온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ing water heater that can absorb the condensation latent heat of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while supply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일반적으로 온수기는 연료의 연소과정을 통하여 물을 가열시켜 온수를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a water heater is a device for producing hot water by heating the water through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fuel. Such a conventional water heater is shown in FIG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water heater configuration.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밸브를 조작하면, 직수관(17)을 흐르는 차가운 직수의 흐름을 유량센서(15)가 감지하고, 송풍기(11)에서 공급된 공기와 가스밸브(12)를 통과한 가스가 버너(13)에서 연소된다. 이와 같은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은 열교환기(14)를 통하여 직수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직수는 온수가 되어 온수관(18)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면부호 16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연도를 나타낸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valve to use hot water, the
사용자가 사용하는 유량을 유량센서(15)가 측정하여 버너(13)에 공급되는 공기량과 가스의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버너(13)에서 발생되는 연소 에 너지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공급한다.The
그러나 이와 같은 온수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수의 양을 갑자기 늘리거나 줄이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온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보다 낮거나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water heater, if the user sudden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amount of hot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lower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온수의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을 유량센서(15)가 감지한 후에 버너(13)의 화력을 줄이기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시간 동안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after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온수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The water heater that solves this problem is shown in FIG.
도 2는 믹싱밸브를 사용한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heater using a mixing valve.
유량센서(15)를 통과한 직수는 바이패스관(19)을 통해 믹싱밸브(20)로 유입되고, 믹싱밸브(20)에서는 열교환기(14)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직수와 혼합시킨 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 경우 열교환기(14)를 통과한 온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보다 약간 높게 되도록 하고, 이 온수에 직수를 혼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만든다. The direct water passing through the
사용자가 정상상태(Steady State)로 온수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온수의 양을 늘이거나 줄이게 되면, 순간적으로 믹싱밸브(20)에서 직수와 온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한다. 믹싱밸브(20)의 반응속도는 버너(13)의 반응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믹싱밸브(20)를 사용하게 되면 온수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uses hot water in a steady state and sudden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amount of hot water, the
그러나 이와 같은 온수기에 의하면 열교환기(14) 내의 온수온도가 상대적으 로 높아지기 때문에 열교환기(14) 내부에 석회석 석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water heater, since the hot water temperature in the
예를 들면 물속에 용존되어 존재하던 탄산성분(CO3 2 -)이 칼슘 이온을 만나 물에 잘 녹지 않는 탄산칼슘(CaCO3)의 형태로 석출되는데 이는 배관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스케일을 형성하여 장치 고장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이 스케일을 발생시키는 확률은 물의 온도를 높여 사용하는 경우에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 example is dissolved in the water present carbonate component was (CO 3 2 -) is there is precipitated in the form of calcium carbonate (CaCO 3) meet the calcium ions that are poorly soluble in water, which device forms a scale is attached to the pipe inner wall surface Cause a malfunction. As such, the probability of generating scale is known to be higher when water temperature is used.
도 3은 믹싱밸브를 사용한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using the mixing valve.
콘덴싱 온수기에 사용되는 버너는 상향연소식 버너 및 하향연소식 버너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하향연소식 버너가 사용된 온수기를 예시하였다.The burner used in the condensing water heater may use both an up-burning burner and a down-burning burner, and FIG. 3 illustrates a water heater using a down-burning burner.
열교환기(14)는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의 응축 잠열을 흡수하는 잠열열교환부(14a)와 연소 현열을 흡수하는 현열열교환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직수와 온수를 혼합하기 위해 바이패스관(19)과 믹싱밸브(20)가 도 2에서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콘덴싱 온수기는 버너(13)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이슬점온도 이하로 낮추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상으로 변할 때 방출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The condensing water heater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그러나 이와 같은 온수기에 의하면 직수 중 일부를 바이패스관(19)을 통해 믹싱밸브(20)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열교환기(14)로 공급되는 직수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잠열열교환부(14a)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water heater, because some of the direct water is used i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신속히 공급함과 동시에 효율이 높은 콘덴싱 방식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efficient condensing method while supplying hot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온수 온도를 높임에 의해 발생하는 석회석 석출을 방지할 수 있는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that can prevent the limestone precipitation caused by increasing the hot water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믹싱밸브를 사용하여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고, 현열열교환부와 잠열열교환부로 이루어진 콘덴싱 열교환기를 구비한 콘덴싱 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믹싱밸브에 형성된 2개의 입구 중, 하나의 입구는 상기 현열열교환부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구는 잠열열교환부의 출구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densing water heater equipped with a condensing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a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latent heat exchanger,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using a mixing valve, of the two inlets formed in the mixing valve, One inlet i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the other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현열열교환부와 잠열열교환부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또한 상기 잠열열교환부로부터 믹싱밸브로 유입되는 저온수의 온도가 배기가스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게 되도록 상기 믹싱밸브와 잠열열교환부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이 잠열열교환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bypass pipe connecting the mixing valve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valve from the latent heat exchanger is high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본 발명에 의하면, 믹싱밸브에 의해 고온수와 저온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믹싱밸브에서 혼합되는 저온수는 배기가스의 잠열을 흡수하여 배기가스의 이슬점 온도 이상이 되므로 효율이 높은 콘덴싱 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온수 온도를 불필요하게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배관 내부에 석회석 석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are mixed and supplied by the mixing valve, the user can quickly supply hot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low temperature water mixed in the mixing valve absorbs the latent heat of the exhaust gas so that it is high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o that an efficient condensing method can be realized, and limestone is deposited inside the pip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unnecessarily. Thi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10),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120), 상기 송풍기(110)와 가스밸브(120)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130), 상기 버너(130)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가스와 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40), 온수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직수관(170) 상에 설치된 유량센서(150),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연도(160),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믹싱밸브(20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a
상기 열교환기(140)는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의 응축 잠열을 흡수하는 잠열열교환부(140a)와 버너(130)의 연소 현열을 흡수하는 현열열교환부(140b)로 구성되어 콘덴싱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The
상기 잠열열교환부(140a)에서는 배기가스의 수증기 성분이 응축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응축수배출구(161)를 통해 배출된다.In the
상기 열교환기(140) 즉, 현열열교환부(140b)의 출구는 온수관(180)에 의해 믹싱밸브(2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믹싱밸브(200)와 열교환기(140) 사이에는 바이패스배관(190)이 연결된다.The
도 5를 참조하여 열교환기(140) 및 바이패스배관(190)의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열교환기(140)는 잠열열교환부(140a)와 현열열교환부(140b)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잠열열교환부(140a)와 현열열교환부(140b)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The
잠열열교환부(140a)와 현열열교환부(140b)의 배관 외주면에는 전열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다수의 전열핀이 일정 간격으로 촘촘히 결합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of the
잠열열교환부(140a)는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 성분이 응축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A로 도시된 영역의 배관이 이에 해당한다.The
현열열교환부(140b)는 배기가스의 응축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으로서 도 5의 B로 도시된 영역의 배관이 이에 해당한다.The
바이패스배관(190)의 일측은 잠열열교환부(140a)의 출구단 즉, 잠열열교환부(140a)와 현열열교환부(140b)의 경계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은 믹싱밸브(200)에 연결된다. 상기 현열열교환부(140b)의 출구측에 연결된 온수관(180) 상에는 믹싱밸브(200)가 설치된다.One side of the
여기서 잠열열교환부(140a)와 현열열교환부(140b)의 '경계지점'이란 잠열열교환부(140a)를 벗어난 위치에서부터 현열열교환부(140b)가 시작되는 위치까지의 사이 구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석회석 석출 방지와 콘덴싱 방식의 열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바이패스배관(190) 위치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Here, the "boundary point" of the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온수사용을 시작하면 유량센서(150)에서 직수의 흐름을 감지한다. 유량센서(150)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송풍기(110)와 가스밸브(1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과 가스량을 조절하고, 버너(130)에서는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가스와 공기의 혼합물을 연소시킨다.When the user starts using hot water, the
버너(130)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면, 배기가스와 열교환기(140) 내부를 흐르는 물과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When combustion is performed by the
열교환은, 상부에 위치된 현열열교환부(140b)에서 1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현열열교환부(140b)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가 응축될 때 발생하는 잠열을 하부에 위치된 잠열열교환부(140a)에서 2차로 흡수한다.In the heat exchange, heat exchange is primarily performed in the
상기 현열열교환부(140b)에서는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지만, 잠열열교환부(140a)에서는 응축수가 발생한다.Condensed water does not occur in the
여기서 잠열열교환부(140a)에서 가열된 물을 '저온수'라 하고, 현열열교환부(140b)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 저온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고온수'라 칭한다. Here, the water heated in the
상기 잠열열교환부(140a)를 통과한 저온수 중 일부는 현열열교환부(140b)로 흐르고, 나머지 일부는 바이패스배관(190)으로 흐르게 된다. Some of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latent
믹싱밸브(200)에서는 현열열교환부(140b)를 통과하여 온수관(180)을 통해 공급된 고온수와 상기 바이패스배관(190)을 통해 공급된 저온수를 혼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In the
이 경우 잠열열교환부(140a)의 출구측에서 바이패스배관(190) 측으로 흐르는 저온수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이 되도록 하면 배기가스의 응축 잠열이 충분히 흡수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므로 콘덴싱 방식의 연소장치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water flowing from the outlet side of the latent
또한 종래기술의 도 2에 도시된 온수기의 경우 믹싱밸브(20)로 유입되는 물은 차가운 직수이므로 열교환기(14)에서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그로 인해 석회석 석출의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믹싱밸브(200)로 유입되는 물은 도 2의 직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저온수이므로 열교환기(140) 즉, 현열열교환부(140b)의 온수 온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수기 구조에 의하면 석회석 석출이 방지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 heater shown in FIG. 2 of the prior art, since the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shown in FIG.
본 실시예는 송풍기(110), 가스밸브(120), 버너(130), 유량센서(150), 배기연도(160), 믹싱밸브(20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4 and 5 in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본 실시예는 열교환부(240)와 바이패스배관(290)의 연결위치가 도 4의 실시 예와 상이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열교환부(240)는 콘덴싱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도 7에서 D 구간은 직수가 가열되어 비교적 고온의 온수가 형성되는 고온용 열교환기이고, C 구간은 직수가 가열되어 비교적 저온의 온수가 형성되는 저온용 열교환기를 구성한다.The
여기서 응축이 발생하는 구간(C구간)의 배관(241,290a)은 잠열열교환부를 구성하고, 응축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D구간)의 배관(242,243)은 현열열교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Herein,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잠열열교환부(241,290a)와 현열열교환부(242,243)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atent
이 경우 바이패스배관(290)의 일부분(290a)은 저온용 열교환기(잠열열교환부)를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배관(290)이 잠열열교환부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즉, 직수가 유입되는 열교환기(240)의 입구측에 바이패스배관(29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40) 내부를 가로질러 바이패스배관(290a)이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응축 잠열을 흡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배관(290a)을 통과하는 직수는 배기가스에 내포된 수증기의 응축잠열에 의해 가열된 후 '저온수'가 되어 믹싱밸브(20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저온용 열교환기 출구의 물의 온도 즉, 바이패스배관(290a)을 통과한 후의 물의 온도는 배기가스의 이슬점 온도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direct water passing through the
상기 바이패스배관(290)을 통해 공급되는 저온수와 고온용 열교환기 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수는 믹싱밸브(200)에서 혼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 가 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The low temperatu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높은 효율을 구현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온수 온도를 지나치게 높게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석회석 석출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Even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roblem of limestone precipitation can be prevent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maintain the high efficiency at the same ti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and maintain the hot water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too high. Will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water heater configuration,
도 2는 믹싱밸브를 사용한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heater configuration using a mixing valve;
도 3은 믹싱밸브를 사용한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using the mixing valve,
도 4는 본 발명의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덴싱 온수기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densing water heat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상세도.FIG.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shown in FIG. 6.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송풍기 120 : 가스밸브110: blower 120: gas valve
130 : 버너 140, 240 : 열교환기130:
150 : 유량센서 160 : 배기연도150: flow sensor 160: exhaust flue
170 : 직수관 180 : 온수관170: water pipe 180: hot water pipe
190, 290 : 바이패스배관 200 : 믹싱밸브190, 290: bypass piping 200: mixing valv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879A KR100999996B1 (en) | 2008-08-27 | 2008-08-27 |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879A KR100999996B1 (en) | 2008-08-27 | 2008-08-27 |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5204A KR20100025204A (en) | 2010-03-09 |
KR100999996B1 true KR100999996B1 (en) | 2010-12-15 |
Family
ID=4217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3879A Active KR100999996B1 (en) | 2008-08-27 | 2008-08-27 |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99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542B1 (en) * | 2013-04-10 | 2015-02-26 | (주)귀뚜라미 | Instantaneous hot water boiler having hot water mixing structure |
CN109595781A (en) * | 2018-10-17 | 2019-04-09 | 中山市恒乐电器有限公司 | Water heater device and water temperature adjusting and controlling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1768A (en) | 2000-02-28 | 2001-09-07 | Osaka Gas Co Ltd | Heat source machine |
KR100660565B1 (en) * | 2006-03-06 | 2006-12-2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Condensing Boiler and its Control Method |
-
2008
- 2008-08-27 KR KR1020080083879A patent/KR1009999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1768A (en) | 2000-02-28 | 2001-09-07 | Osaka Gas Co Ltd | Heat source machine |
KR100660565B1 (en) * | 2006-03-06 | 2006-12-2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Condensing Boiler and its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5204A (en) | 2010-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91658B (en) | A condensing constant temperature gas water heater | |
EP1544555B1 (en) | Hot water apparatus | |
US6971335B2 (en) | Water heater | |
KR100999996B1 (en) | High efficiency condensing water heater | |
US6887607B1 (en) | Fuel cell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nd heat | |
CN102252311A (en) | Flue gas heat exchange device of oil field gas injection boiler and heat exchange method thereof | |
JP2005180778A (en) | Water heating appliance | |
JP2002039623A (en) | Water heater | |
JP2002267273A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 |
KR100437192B1 (en) | Water heater | |
CN101761966A (en) | Non-premixed inverted gas condensing hot water heating stove | |
KR101243026B1 (en) | Boiler having condensed water evaporator | |
JP2010117100A (en) | Latent heat recovery type heat source machine | |
CN109579008A (en) | The warm and humid coupling gas fired-boiler low nitrogen burning system of one kind and operation method | |
CN111351222B (en) | A gas wall-hung boiler | |
KR102402775B1 (en) |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Separate type Heat exchanger | |
JP4225677B2 (en) | Heat source machine | |
JP4148492B2 (en) | Boiler with heat storage | |
KR100581589B1 (en) | Latent heat exchanger of condensing boiler | |
CN105387507A (en) |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fuel gas condensation module heating unit | |
KR100973652B1 (en) | Hot water controller of boiler | |
KR100406132B1 (en) | Upper burning type condensing gas boiler | |
KR100579359B1 (en) | Exhaust gas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of proportional control gas boiler | |
RU2819960C1 (en) | Spiral nozzle for gas burners | |
KR20050096663A (en) | Structure for controlling an exhaust gas of a condensing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9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