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7697B1 - Base isolation for bridge - Google Patents

Base isolation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697B1
KR100997697B1 KR1020080035327A KR20080035327A KR100997697B1 KR 100997697 B1 KR100997697 B1 KR 100997697B1 KR 1020080035327 A KR1020080035327 A KR 1020080035327A KR 20080035327 A KR20080035327 A KR 20080035327A KR 100997697 B1 KR100997697 B1 KR 10099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plate
upper body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9880A (en
Inventor
강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강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강용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3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697B1/en
Publication of KR2009010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9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면진받침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하는 면진받침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3532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proof base for a bridge and includes an upper body of a housing shape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formed with a spherical groove, and supported by a bridge of the bridge. 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body,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the spherical protrusions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an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to cushion the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body It relates to an isolating base bearing provided with a ring-shaped buffer.

Figure R1020080035327

Description

교량용 면진받침{Bridge bearing}Seismic isolation for bridges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교량용 면진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충격하중을 완충 및 면진(또는 분산)할 수 있는 교량용 면진받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stand for bridg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ismic stand for bridges, which can be installed between a bridge and an upper structure to buffer and segregate (or disperse) a horizontal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structure.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면진 교량받침으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면진받침은 하중지지 및 하중 전달기능뿐만 아니라 온도, 크리프, 건조수축 및 보의 처짐으로 발생되는 교량의 상부구조에 대한 신축변위를 수용하는 기능 및 지진력을 각각의 교대 및 교각에 분산시켜 지진에 대비하는 면진 설계개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Seismic bearings, which are widely used as seismic bridge bearings in the world so far, are not only load-bearing and load-transfer functions, but also the ability to accommodate the expansion and displacement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caused by temperature, creep, dry shrinkage and deflection of the beam. It is widely used as a seismic isolating design concept to prepare for earthquakes by distributing the to each shift and piers.

이러한 면진받침은 형태에 따라서, 엘라스토머형 교량받침(Elastomeric)과 구형 교량받침(Spherical Bearing), 단일포트형 교량받침(Monopot-Type Bearing) 및 다중 포트형 교량받침(Multipot-Type Bearing)으로 구분된다.These seismic bearings are classified into elastomeric bridge bearings, spherical bearings, spherical bearings, monopot-type bearings and multipot-type bearings. .

이들 중에서 비탄성교량받침인 상기 구형 교량받침은 자체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충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으로 인해서 그 이용이 차츰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se, the spherical bridge bearing, which is an inelastic bridge bearing, has its own strength, but its use is gradually reduced due to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expect a buffer function.

반면, 다중 포트형 교량받침이나, 단일 포트형 교량받침, 혹은 엘라스토머형 교량받침 등은 모두 탄성교량받침으로서, 단일ㅇ다중 포트형 교량받침은 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엘라스토머형 교량받침은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multi-port bridge support, single-port bridge support, or elastomeric bridge support are all elastic bridge supports, and the single-port bridge support supports elastomers stably to support large loads. Type bridge bearings are being used more and more due to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price.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수의 교대, 교각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빔 및 상판으로 이루어져 교량의 상부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교량의 통과하중 또는 온도변화 등에 따른 처짐과 신축이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the brid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idges, bridges and beams and upper plate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to securely support the upper load of the bridge, and to be free from sagging and stretching due to the passage load or temperature change of the bridge.

또한, 경우에도 구조물의 파손 및 추락사고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각상부와 빔 하부의 접속부를 고정단, 종방향 가동단, 횡방향 가동단 및 종횡양방향 가동단 등으로 구분하여 이에 상응하는 탄성받침을 개발 및 실용화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amage or fall of the structure,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pier and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classified into a fixed end, a longitudinal movable end, a lateral movable end and a longitudinally lateral movable end, and the corresponding elastic support is developed. And practical use.

한편,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아니한 교량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진력이 교량받침에 집중되기 때문에 지진시 교량받침의 파괴, 상판의 이탈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붕괴 등이 초래될 수 있으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적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bridges that do not reflect seismic design may cause seismic forces 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concentrated in the bridge support, which may result in destruction of the bridge support during the earthquake, detachment of the top plate, and collapse of the top plate. It is likely to be damaged.

따라서 중ㅇ소규모 지진이 예상되는 지역임에도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아니한 교량은 지진피해에 대한 우려가 그만큼 높아지므로 내진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시 면밀한 검토와 함께 적절한 내진 설계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Therefore, bridges that do not reflect seismic design, even in areas where small and medium earthquakes are expected, are highly concerned about earthquake damage. Therefore, when designing to secure seismic safety, proper seismic design work should be conduct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체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교량의 수평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교량용 면진받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seismic isolator for bridges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excellent strength and cushion the horizontal impact of the brid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형 교량받침을 이용하여 교량에 가해지는 수평 충격하중을 완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자체 지지강도가 우수하고 면진 성능이 우수한 교량용 면진받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spherical bridge bearing to improve the buffer to the horizontal impact load applied to the seismic bearing for bridges excellent in self-support strength and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한다.A seismic isolation bas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of a housing shape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a lower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 support portion, a lower body supported by the pier of the bridge,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protrusion supporting the mount portion, an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an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it has a ring-shaped buffer for cushioning the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upper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ismic isolator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shape slidably coupled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 body,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formed with a spherical groove, a lower body supported by the bridge pier of the bridge, and a spherical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an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has a ring-shaped buffer for cushioning the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and the upper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에 마련되며 교축방향의 진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ismic isolator fo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an enclosure shape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n upper body, a lock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body to limit vibra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mount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upp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groove formed thereon, and a pier on the bridge. A lower portion supported by the lower body,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protrusion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an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having a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uffer portion for cushioning.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에 따르면 자체 지지강도가 우수한 구형 교량받침을 이용하여 교량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교량에 가해지는 수평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eismic isolator fo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uffer the horizontal impact load applied to the bridge by supporting the bridge by using a spherical bridge bearing having excellent self-supporting strengt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을 상세히 설 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eismic isolation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element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meanings that limit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by other names in the art. In addition, the code added to each component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in which these codes are described do not limit each component to the range in the drawing. In addition, as long as the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thereof, even if the modified embodiment is adopted, it can be seen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and even i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modified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employed, it can be seen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한편 이하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들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또는 교대, 이하 "교각"에 포함시켜 설명함)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구조물(10) 및 교각(30) 사이에서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충격하중(또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교량의 상부구조물(10) 및 교각(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seismic isolator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30 (or alternately, including in the "pier" below) of the bridge to form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 30) to attenuate the horizontal impact load (or vibration) transmitted between the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will be omitted.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을 간략히 설명한다.First, the base isolation support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or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or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위치하여 상시 온도변화 등에 의한 신축변위를 고무의 압축강성으로 수용함으로써 수평 전방향의 변위에 대하여 탄성고정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진시 발생하는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충격하중에 대한 마찰감쇠 와 복원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seismic isolato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so that the elastic displacement due to constant temperature change, etc. is accommodated in the compressive rigidity of the rubber, so tha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t the same time to the elastic fixing role for the frict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s 30 generated during the earthquake is to be able to perform a frictional damping and restoring action against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들과의 혼돈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단 면진받침"이라 칭하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event confusion with other embodiments, and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it is referred to as "fixed base isolation base".

이러한, 고정단 면진받침(1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110)와,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Spherical)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120)와, 교량의 교각(30)에 지지되는 하부몸체(130)와, 하부몸체(130)의 상부에 마련되며 거치부(12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도록 구(Spherical)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140)와, 지지부(140)와 상부몸체(110)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부(140) 또는 상부몸체(110)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ring) 형상의 완충부(150)를 구비한다.The fixed end seismic support 100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110 having a housing shape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and a lower groove having a spherical shap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10. Sphe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 120, the lower body 130 that is supported by the bridge pier 30 of the bridge, the upper body of the lower body 130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20 A ring-shaped buff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support portion 14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upper body 110 to cushion the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40 or the upper body 110. 150.

상기 상부몸체(110)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상부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면에 마련되는 솔-플레이트(sole-plate)(미도시)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되는 고정되기 위한 상판(112)이 형성되고, 상판(112)의 하부에는 상판(11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벽(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몸체(110)의 상판(112) 내측면에는 거치부(120)와의 마찰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의 미끄럼판(116)이 마련 된다.The upper body 110 is a cylindrical enclosure shape that is formed with a space that is opened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ortion is welded or welded to a sole-plate (sole-plat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The upper plate 112 to be fastened to be bolted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2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upport wall 114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2. In addition, a sliding plate 116 made of stainless steel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2 of the upper body 110 to damp the fric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120.

상기 거치부(120)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110)의 내측에서 상판(112)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미끄럼판(116)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상면에 미끄럼판(116)에 접하여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마찰판(122)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구 형상의 지지부(140)가 삽입되는 구홈(124)이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to contact the sliding plate 116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112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110 of the enclosure shape.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122 for attenuating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late 116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140) 124 is 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거치부(120)의 마주하는 한쌍의 변에는 전단볼트(127)로 고정되는 다수의 스톱퍼(126)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톱퍼(126)는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고, 과도한 충격하중이 작용될 경우에는 전단볼트(127)가 파손되도록 마련되어 충격하중에 대항 저항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toppers 126 fixed to the front end bolt 127 is provided on the pair of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126 is provided to resist horizontal loads such as constant wind loads, and the shear bolts 127 are broken when excessive impact loads are applied, thereby releasing resistance against impact loads.

상기 지지부(140)는 하부몸체(130)의 상면에 고정되어 거치부(120)의 구홈(124)에 삽입되어 상부몸체(110)가 고정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거치부(120)의 구홈(124)에 삽입되는 구형돌기(142)가 형성된다. The support 1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30 is inserted into the old groove 124 of the mounting portion 1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in which the upper body 110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pherical protrusion 142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124 of the mounting portion 120.

또한, 지지부(140)의 외주면에는 완충부(150)의 중앙에 삽입되었을 때 완충부(150)에 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완충부(15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도록 지지부(1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4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40, when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uffer unit 150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buffer unit 150, and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uffer unit 150,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40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43 is formed along the.

이러한 지지부(140)의 구형돌기(142)는 거치부(120)의 구홈(124)에 삽입되어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며, 상부구조물(10)에 차량의 동하중, 지진과 상부구조물(10)의 처짐에 의해 상부구조물(10)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될 경우 상부구조 물(1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구조물(10)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spherical protrusion 142 of the support 140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124 of the mounting portion 1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the dynamic load of the vehicle, earthquake and the upper structure 10 to the upper structure (10) When the load biased to the upper structure 10 by the deflection of the) is to accommod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the state of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10).

또한, 지지부(140)의 구형돌기(142)와 거치부(120)의 구홈(124)의 사이에는 구형돌기와 구홈 사이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판(146)이 더 마련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142 of th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spherical groove 124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rota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and the spherical groove (PTFE) plate (146) This is more prepared.

상기 하부몸체(130)는 교각(30)의 상부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몸체(130)에는 교각(30)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앵커소켓(132)과, 앵커소켓(13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134)가 더 마련된다. The lower body 130 is seated and fixed to the bed block 32 is placed on top of the pier (30). In the lower body 130, a plurality of anchor sockets 132 to be fixed to the bed block 32 is placed on the pier 30, a plurality of fixing bolts 134 for fixing the anchor socket 132 is further Prepared.

상기 완충부(150)는 중앙부에 지지부(140)가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부몸체(110)의 지지벽(114)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의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15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완충부(150)의 링형상을 고정하고, 완충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보강재(152) 및 외부보강재(154)가 마련된다.The buffer unit 150 has a support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in a ring shape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wall 114 of the upper body 110,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s 30 It is for buffering and restoring the impact load generated between the two,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made of rubber material.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150 are provided with an inner reinforcing material 152 and an outer reinforcing material 154 to fix the ring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150 and prevent breakag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이러한, 외부보강재(154)는 완충부(150)와 상부몸체(110)의 지지벽(114)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150)의 변형시 완충부(150)의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보강재(152)는 완충부와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충격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150)의 변형시 완충부(150)의 형상을 유지한다. The external reinforcing material 154 is provided between the buffer unit 150 and the support wall 114 of the upper body 110 to form the shape of the buffer unit 150 when the buffer unit 1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horizontal load.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52 is provided between the buffer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uffer part 150 when the buffer part 1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impact load.

또한, 내부보강재(152)의 내주면에는 지지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43)에 결합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다수의 결합홈(15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5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52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40 to prevent their separation.

한편 상술한 완충부(150)는 내부보강재(15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53)과, 지지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43)와의 결합에 의해 하부몸체(130)의 하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하부몸체(13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단거리 확보 등 교각의 적용성을 확대하여 불필요하게 하부몸체(130)가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uffer unit 1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30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15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5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40.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body 130, and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piers, such as securing the pore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body 130 from being unnecessarily enlarged.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단 면진받침(1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에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상부몸체(110)의 내측과 거치부(120)의 상면 사이에 마련된 마찰판(122)과, 지지부(140)와 상부몸체(110) 내측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150)에 의해 감쇠 및 완충, 복원 작용을 수행한다. The fixed end isolation bas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ridge is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The impact load generated between the 30 and the friction plate 12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buff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110. Attenuation, cushioning, and restoring actions are performed by 150.

또한, 상부몸체(110)를 지지하는 거치부(120)는 상부몸체(110)에 대하여 스톱퍼(126)에 의해 상시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마련되고, 과도한 충격하중이 발생될 경우 스톱퍼(126)가 파손되도록 하여 전방향에 대한 면진작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20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110 is provided to withstand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usual wind load by the stopper 126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10, the stopper 126 when excessive impact load occurs ) Can be broken to perform the seismic isolation in all directio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을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briefly described a seismic stand for bridg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or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or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 물(10)과 교각(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교축 방향에 대해서는 자유단 역할을 수행하고, 교직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단 역할을 수행하며, 지진시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충격하중이 발생할 경우 교축방향에 대해서는 마찰감쇠, 교직 방향에 대해서는 마찰감쇠와 복원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seismic isolation bas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to perform a free end rol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nd a fixed end rol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If the impact load occu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s 30 during the earthquake, the friction damp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friction damping and restoring a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weaving.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들과의 혼돈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직방향 면진받침"이라 칭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event confusion with other embodiments and at the same time to be referred to as "orthogonal isolation b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러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205)와, 상부플레이트(205)에 교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210)와, 상부몸체(210)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Spherical)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220)와, 교량의 교각(30)에 지지되는 하부몸체(230)와, 하부몸체(230)의 상부에 마련되며 거치부(22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도록 구(Spherical)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240)와, 지지부(240)와 상부몸체(210)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부(240) 또는 상부몸체(210)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ring) 형상의 완충부(250)를 구비한다.Such, the direction of the seismic isolation base 200 is the upper plate 205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and the upper body 210 of the enclosure shape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205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the mounting portion 220 is formed with a spherical groove, the lower body 230 supported by the bridge 30 of the bridge, and the lower body 230 The support part 24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provided with a spherical protrusion having a sphe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part 22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24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210. Or a ring-shaped buffer portion 250 for buffering the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of the upper body 210 is provided.

상기 상부플레이트(205)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면에 마련되는 솔-플레이트(sole-plate)(미도시)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되는 고정되는 것으로, 하면에는 후술할 상부몸체(210)의 가이드바(218)에 안내되도록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206)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205)의 하면에는 후술할 상부몸체(210)의 상면에 마련되는 마찰판(213)에 접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미끄럼 판(207)이 마련된다.The upper plate 205 is fixed to be welded or bolted to a sole-plate (sole-plat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the lower body 210 to be described later Guide grooves 206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guided to the guide bar 218 is formed. In additi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5 is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207 made of stainless steel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plate 2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부몸체(210)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205)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218)가 마련되는 상판(212)이 형성된다.The upper body 2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pace is opened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late 212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18 for guiding the upper plate 205.

상판의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에 마련된 미끄럼판에 접하여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마찰판(213)이 마련되며, 상판(212)의 하부에는 상판(21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벽(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몸체(210)의 상판(212) 내측면에는 거치부(22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의 미끄럼판(216)이 마련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213 for attenuating the horizontal impact load by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12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212 downward An extended supporting cylindrical wall 214 is formed.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2 of the upper body 21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216 made of stainless steel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mounting portion 220.

상기 거치부(220)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210)의 내측에서 상판(212)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미끄럼판(216)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부(220)는 상면에 미끄럼판(216)에 접하여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마찰판(222)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구 형상의 지지부(240)가 삽입되는 구홈(224)이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220 is provided to contact the sliding plate 216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212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210 of the enclosure shape. The mounting portion 220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222 for attenuating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late 216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support portion 240 ( 224 is 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거치부(220)의 마주하는 한쌍의 변에는 전단볼트(227)로 고정되는 다수의 스톱퍼(226)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톱퍼(226)는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고, 과도한 충격하중이 작용될 경우에는 전단볼트(227)가 파손되도록 마련되어 충격하중에 대항 저항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toppers 226 fixed to the front end bolt 227 is provided on the pair of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220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226 is provided to resist horizontal loads such as constant wind loads, and the shear bolts 227 are damaged when excessive impact loads are applied to release the resistance against impact loads.

상기 지지부(240)는 하부몸체(230)의 상면에 고정되어 거치부(220)의 구홈(224)에 삽입되어 상부몸체(210)가 고정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수직방향 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거치부(220)의 구홈(224)에 삽입되는 구형돌기(242)가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2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30 is inserted into the old groove 224 of the mounting portion 2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in which the upper body 210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pherical protrusion 242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224 of the mounting portion 220.

또한, 지지부(240)의 외주면에는 완충부(250)의 중앙에 삽입되었을 때 완충부(250)에 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완충부(25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도록 지지부(2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24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er 240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shock absorber 250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hock absorber 250, and adjust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hock absorber 250 to adjus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er 240.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43 are formed along the same.

이러한 지지부(240)의 구형돌기(242)는 거치부(220)의 구홈(224)에 삽입되어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며, 상부구조물(10)에 차량의 동하중, 지진과 상부구조물(10)의 처짐에 의해 상부구조물(10)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될 경우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구조물(10)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spherical protrusion 242 of the support 240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224 of the mounting portion 2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the dynamic load of the vehicle, the earthquake and the upper structure 10 to the upper structure (10) When the load biased to the upper structure 10 by the deflection of the) is to accommod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the stat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10).

또한, 지지부(240)의 구형돌기(242)와 거치부(220)의 구홈(224)의 사이에는 구형돌기와 구홈 사이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판(246)이 더 마련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242 of the support portion 240 and the spherical groove 224 of the mounting portion 220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rota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and the spherical groove (PTFE) plate (246) This is more prepared.

상기 하부몸체(230)는 교각(30)의 상부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몸체(230)에는 교각(30)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앵커소켓(232)과, 앵커소켓(23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234)가 더 마련된다. The lower body 230 is seated and fixed to the bed block 32 is placed on top of the pier (30). In the lower body 230, a plurality of anchor sockets 232 for fixing to the bed block 32, which is placed on the pier 30,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234 for fixing the anchor socket 232 is further Prepared.

상기 완충부(250)는 중앙부에 지지부(240)가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부몸체(210)의 지지벽(214)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25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완 충부(250)의 링 형상을 고정하고, 완충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보강재(252) 및 외부보강재(254)가 마련된다.The buffer part 250 has a support part 240 inserted into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ring shape supported by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wall 214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30 are provided. It is for cushioning and restoring the impact load generated between the two, and is formed in a rubber ring sha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250 are provided with an inner reinforcing material 252 and an outer reinforcing material 254 to fix the ring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250 and prevent breakag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이러한, 외부보강재(254)는 완충부(250)와 상부몸체(210)의 지지벽(214)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250)의 변형시 완충부(250)의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보강재(252)는 완충부와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충격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250)의 변형시 완충부(250)의 형상을 유지한다. The external reinforcing material 254 is provided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250 and the support wall 214 of the upper body 210 to form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250 wh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2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horizontal load.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252 is provided between the buffer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250 when the shock absorbing part 2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impact load.

또한, 내부보강재(252)의 내주면에는 지지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43)에 결합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다수의 결합홈(25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252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2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53 to prevent their separation.

한편 상술한 완충부(250)는 내부보강재(25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53)과, 지지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43)와의 결합에 의해 하부몸체(230)의 하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하부몸체(23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단거리 확보 등 교각의 적용성을 확대하여 불필요하게 하부몸체(130)가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hock absorbing portion 2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30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25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25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240.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body 230, and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piers, such as securing the pore distance, to prevent the lower body 130 from being unnecessarily enlarged.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은 상부플레이트(205)가 상부몸체(210)에 마련되는 가이드바(218)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이 발생할 경우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에 따른 교축방향의 수평력이 교각(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teaching direction isolating base 2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205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guide bar 218 provided on the upper body 210,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10)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rizontal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10 to be transmitted to the piers (30).

또한,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에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되는 교직방향의 충격하중에 대하여 상부몸체(210)의 내측과 거치부(220)의 상면 사이에 마련된 마찰판(222)과 지지부(240)와 상부몸체(210)의 내측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250)에 의해 감쇠 및 완충 작용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ridg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against the impact load in the direction of the weaving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The friction plate 22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20 and the damping and buffering action by the buffer unit 25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4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210. To perform.

즉,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서 상시에는 교축 방향에 대해서는 자유단 역할을 수행하고, 교직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단 역할을 수행하며, 지진시에는 수평방향으로 충격하중이 발생할 경우 교축방향에 대해서는 마찰감쇠, 교직 방향에 대해서는 마찰감쇠와 복원작용을 수행한다.That is,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30 always performs the free end role in th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the fixed end role in the direction of the teaching direction,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ring the earthquake Friction attenuation in the direction and friction attenuation and restoring in the direction of teaching.

또한, 상부몸체(210)를 지지하는 거치부(220)는 상부몸체(210)에 대하여 스톱퍼(226)에 의해 상시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되도록 마련되고, 과도한 수평하중이 발생될 경우 스톱퍼(226)가 파손되도록 하여 전방향에 대한 면진작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220 supporting the upper body 210 is provided to resis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constant wind load by the stopper 226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210, the stopper 226 when excessive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 Can be broken to perform the seismic isolation in all directio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을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briefly described a seismic stand for bridg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위치하여 상시에는 교축 방향에 대해서는 자유단 역할을 수행하고, 교직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단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구조물(10)과 교 각(3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충격하중이 발생할 경우 교축 및 교직 방향의 진동에 대한 마찰감쇠와 복원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seismic isolation support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and always serves as a fre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nd a fixed end for the direction of the bridge. If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30 is to play a role and to perform a friction damping and restoring action against the vibration in the throttling and teaching direc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들과의 혼돈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방향 면진받침"이라 칭하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event confusion with other embodiments and at the same time to be referred to as "forward seismic suppor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러한, 전방향 면진받침(3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플레이트(305)에 교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310)와,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몸체(310)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몸체(3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하는 잠금장치(360)와, 상부몸체(310)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Spherical)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320)와, 교량의 교각(30)에 지지되는 하부몸체(330)와, 하부몸체(330)의 상부에 마련되며 거치부(32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도록 구(Spherical)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340)와, 지지부(340)와 상부몸체(310)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부(340) 또는 상부몸체(310)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ring) 형상의 완충부(350)를 구비한다.This, the forward-side isolation base 300 is the upper plate 305 is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and the upper body 310 of the enclosure shape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305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305 and the upper body 310, the locking device 360 for cushioning the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305 and the upper body 310, an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310 And a spherical portion 320 in which a spherical groove is formed, a lower body 330 supported by the bridge pier 30 of the bridg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30, A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340 or the upper body 31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340 and the support part 34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40 formed with a spherical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o be formed. It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uffer portion 350 for cushioning.

상기 상부플레이트(305)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면에 마련되는 솔-플레이트(sole-plate)(미도시)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되는 고정되는 것으로, 하면에는 후술할 상부몸체(310)의 가이드바(318)에 이동되도록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206)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5)의 교축방향 양측에는 후술할 잠금장치(36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걸림턱(307)이 잠금장치(360)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The upper plate 305 is fixed to be welded or bolted to a sole-plate (sole)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the lower body 310 to be described later Guide grooves 206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ved to the guide bar 318 is formed.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305 in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locking jaws 307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locking device 360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locking device 360.

상기 상부몸체(310)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305)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바(318)가 마련되는 상판(312)이 형성되고, 상판(312)의 하부에는 상판(31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벽(314)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몸체(310)의 상판(312) 내측면에는 거치부(320)와의 마찰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의 미끄럼판(316)이 마련된다.The upper body 310 has a cylindrical enclosure shape in which a space to be opened downward is formed, the upper plate 312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318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305, the upper plate ( The lower portion of the 312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upport wall 314 extending downward protruding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312).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12 of the upper body 31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316 made of stainless steel to attenuate fric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320).

또한, 지지벽(314)의 외주면에는 교축방향의 양측으로 후술할 잠금장치(360)의 이동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지지돌기(315)가 지지벽(314)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wall 314,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315 for supporting the moving end of the locking device 360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of the axial direction ar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upport wall 314. .

상기 잠금장치(360)는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몸체(310)의 양단에 대칭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몸체(3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대하여 완충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에 일측의 잠금장치(360)에 대하여 설명하고 타측의 잠금장치(36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cking device 360 is provided in a direction symmetrical to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305 and the upper body 310 to exert a buffer against the impact forc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305 and the upper body 310. Therefore, the locking device 360 of one side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locking device 360 of the other side will be omitted.

한편 상술한 잠금장치(360)는 Luck-up Device(이하, LUD라 함)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LUD는 실린더 내부에 실리콘 퍼티(Silicon Putty)를 충전하여 만든 것으로, 급속한 충격하중에 대한 잠금 효과를 발휘 하는 것이다. 이러한 LUD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locking device 360 may be a Luck-up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UD). The LUD is made by filling a silicon putty inside a cylinder, and exhibits a locking effect against rapid impact loads. Description of this LUD is well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거치부(320)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310)의 내측에서 상판(312)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미끄럼판(316)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부(320)는 상면에 미끄럼판(316)에 접하여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마 찰판(322)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구 형상의 지지부(340)가 삽입되는 구홈(324)이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320 is provided to contact the sliding plate 316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312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310 of the enclosure shape. The mounting portion 320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322 to attenuate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late 316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support portion 340 is inserted 324 is 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거치부(320)의 마주하는 한쌍의 변에는 전단볼트(327)로 고정되는 다수의 스톱퍼(326)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톱퍼(326)는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고, 과도한 충격하중이 작용될 경우에는 전단볼트(327)가 파손되도록 마련되어 충격하중에 대항 저항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toppers 326 fixed to the front end bolt 327 is provided on the pair of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320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326 is provided to resist horizontal loads such as wind loads at all times, and to provide shear bolts 327 to be broken when excessive impact loads are applied, thereby releasing resistance against impact loads.

상기 지지부(340)는 하부몸체(330)의 상면에 고정되어 거치부(320)의 구홈(324)에 삽입되어 상부몸체(310)가 고정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거치부(320)의 구홈(324)에 삽입되는 구형돌기(342)가 형성된다. The support portion 3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330 is inserted into the old groove 324 of the mounting portion 3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in which the upper body 310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pherical protrusion 342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324 of the mounting portion (320).

또한, 지지부(340)의 외주면에는 완충부(350)의 중앙에 삽입되었을 때 완충부(350)에 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부(35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도록 지지부(2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24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4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with respect to the buffer portion 350 when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uffer portion 350, the circle of the support portion 240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uffer portion 350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43 are formed along the main surface.

이러한 지지부(340)의 구형돌기(342)는 거치부(320)의 구홈(324)에 삽입되어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며, 상부구조물(10)에 차량의 동하중, 지진과 상부구조물(10)의 처짐에 의해 상부구조물(10)에 편향된 하중이 작용될 경우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구조물(10)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The spherical protrusion 342 of the support part 340 is inserted into the spherical groove 324 of the mounting part 320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 the dynamic load of the vehicle, the earthquake and the upper structure 10 to the upper structure 10 When the load biased to the upper structure 10 by the deflection of the) is to accommod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the stat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10).

또한, 지지부(340)의 구형돌기(342)와 거치부(320)의 구홈(324)의 사이에는 구형돌기와 구홈 사이의 상대적인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판(346)이 더 마련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342 of the support portion 340 and the spherical groove 324 of the mounting portion 320, a PTFE (Poly Tetra Fluoro Ethylene) plate 346 is further reduced to reduce the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and the spherical groove. Prepared.

상기 하부몸체(330)는 교각(30)의 상부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몸체(330)에는 교각(30)에 타설되는 베드블록(32)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앵커소켓(332)과, 앵커소켓(33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334)가 더 마련된다. The lower body 330 is fixed to the bed block 32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30). In the lower body 330, a plurality of anchor sockets 332 to be fixed to the bed block 32 is placed on the pier 30,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334 for fixing the anchor socket 332 is further Prepared.

상기 완충부(350)는 중앙부에 지지부(340)가 삽입되고, 외주면은 상부몸체(310)의 지지벽(314)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35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완충부(350)의 링 형상을 고정하고, 완충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보강재(352) 및 외부보강재(354)가 마련된다.The buffer unit 350 has a support portion 34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in a ring shape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wall 314 of the upper body 310,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s 30 It is for cushioning and restoring the impact load generated between the two, and is formed in a rubber ring sha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350 are provided with an inner reinforcing material 352 and an outer reinforcing material 354 to fix the ring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350 and prevent breakag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이러한, 외부보강재(354)는 완충부(350)와 상부몸체(310)의 지지벽(314)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350)의 변형시 완충부(350)의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보강재(352)는 완충부와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충격하중의 발생에 따라 완충부(350)의 변형시 완충부(350)의 형상을 유지한다.The external reinforcing material 354 is provided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0 and the support wall 314 of the upper body 310 to form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0 wh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horizontal load.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352 is provided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0 wh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impact load.

또한, 내부보강재(352)의 내주면에는 지지부(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43)에 결합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다수의 결합홈(35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5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352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40 to prevent their separation.

한편 상술한 완충부(350)는 내부보강재(35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353)과, 지지부(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43)와의 결합에 의해 하부몸체(330)의 하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하부몸체(33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단거리 확보 등 교각의 적용성을 확대하 여 불필요하게 하부몸체(130)가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hock absorbing portion 3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330 by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groove 35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35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40.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body 330, and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piers, such as securing the pore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body 130 from being unnecessarily enlarged.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방향 면진받침(300)은 상시에는 상부플레이트(305)가 상부몸체(310)에 마련되는 가이드바(318)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이 발생할 경우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에 따른 교축방향의 하중이 교각(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us, the omnidirectional isolating base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305 is alway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guide bar 318 provided on the upper body 310,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When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10 occurs, the load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10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iers 30.

또한, 지진시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에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잠금장치(360)가 고정되면서 상부구조물(10)과 교각(30) 사이에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을 상부몸체(310)의 내측과 거치부(320)의 상면 사이에 마련된 마찰판(322)과, 지지부(340)와 상부몸체(310)의 내측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350)에 의해 교축 및 교직방향에 대해 감쇠 및 완충, 복원 작용을 수행한다. In addition, in case of an earthquake,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pier 30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bridge 30 of the bridge, and the locking device 360 is fixed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ridge. Shock load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enerated between the friction plate 322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20, and the buff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34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310 The unit 350 performs attenuation, cushioning, and restoring operations on the throttling and the teaching directions.

또한, 상부몸체(310)를 지지하는 거치부(320)는 상부몸체(310)에 대하여 스톱퍼(326)에 의해 상시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마련되고, 과도한 충격하중이 발생될 경우 스톱퍼(326)가 파손되도록 하여 양방향에 대한 면진작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320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310 is provided by the stopper 326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310 to resist horizontal loads such as the usual wind load, the stopper 326 when excessive impact load occurs ) Can be broken so as to perform the isolation action in both direction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들의 배치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교량용 면진받침들과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arrangement of the base isolation support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isolation bases for bridges and their respective elements mention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배 치도이다. 여기서, 도 9a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고정단 면진받침과, 교직방향 면진받침을 이용한 면진받침의 배치구조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고정단 면진받침과 전방향 면진받침을 이용한 면진받침의 배치구조이다.9A to 9B are layout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ure 9a is a layout structure of the fixed end of the base bear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ismic base bearing using the orthogonal isolation base, Figure 9b is a layout of the base isolation bearing using the fixed-edge base bearing and omnidirectional base plat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e.

먼저, 도 9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진받침들을 이용한 배치구조를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9a will be described an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base isolation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양단은 상부구조물(10)과 교대(20) 사이에 일반적인 양방향 교좌장치 및 일방향 교좌장치를 배치하고, 교대(20)에 인접한 양측 제 1교각(30a)에는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을 배치하며, 양측 제 1교각(30a) 사이에 위치하는 제 2교각(30b)들에는 고정단 면진받침(100)을 배치한다.As shown, both ends of the bridge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hift 20, the general two-way bridge and one-way bridge, and both sides of the first piers (30a) adjacent to the bridge 20 in the direction of the seismic isolation base Place the 200, and the fixed end seismic isolation base 100 is disposed in the second piers (30b) located between the first piers (30a) on both sides.

이에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온도 및 크리이프에 의한 신축 변형(또는 이동)의 발생시에는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 사이에 마련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과,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에서 변위량을 수용한다. Accordingly, when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is stretched or deformed (or moved) due to temperature and creep, the orthogonal isolating base 2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s 30a and the upper structure ( The displacement amount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end isolating base 100 provided between the 10) and the second piers 30b.

즉,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을 기준으로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에 마련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에서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를 수용한다.That is, based on the fixed end isolation base 1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econd pier 30b, the upper portion in the orthogonal isolation base 200 provided i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30a. To accommodate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10).

한편, 지진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교량에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 사이에 마련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과,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에서 충격하중에 대한 감쇠작용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horizontal impact load occurs on the bridge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the perpendicular direction isolation support 2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bridge 30a, and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structure. The fixed end base isolation bearing 100 provided between the two piers 30b performs a damping effect on the impact load.

즉,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에서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의 전방향에 대하여 감쇠작용을 수행하며,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 사이에 마련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에서 수평방향의 충격하중 중에서 교직방향에 대한 충격하중에 대하여 감쇠작용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fixed end isolation base 1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econd pier 30b, the damping ac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ll directions of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are provided. A damping effect is performed on the impact load in the direction of teaching in the horizontal shock bearing 200 provided between 30a i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고정단 면진받침(100)에 의한 감쇠작용을 설명하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의 지지부(140)에 지지되는 거치부(120) 사이에서 마찰감쇠가 발생하게 되고, 상부몸체(110)의 지지벽(114)과 하부몸체(130)의 지지부(140)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150)가 압축 및 인장 변형을 반복하면서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킨다. In this case, when the damping action by the fixed end base bearing 100 is described,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enerated, the upper body 110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upport of the lower body 130 ( Friction attenuation occurs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20 supported by the 140, the buffer unit 15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wall 114 of the upper body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40 of the lower body 130 is By repeating compression and tensile deformation, shock loads generated between the superstructure 10 and the second piers 30b are buffered and restored.

또한, 교직방향 면진받침(200)에 의한 감쇠작용을 설명하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된 상부플레이트(205)와, 상부몸체(210) 사이에서 교축 방향에 대한 마찰감쇠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damping action by the zigzag isolation base 200, when a horizontal impact load occurs, the throttle between the upper plate 205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upper body 210 Friction attenu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그리고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30)의 지지부(240)에 지지되는 거치부(220) 사이에서 교직방향에 의한 수평충격에 의한 마찰감쇠가 발생하게 되고, 상부몸체(210)의 지지벽(214)과 하부몸체(230)의 지지부(240)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250)가 압축 및 인장 변형을 반복하면서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 사이에 발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킨다. And between the upper body 210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240 of the lower body 230, friction attenuation occurs due to the horizontal impact in the direction of the teaching, the support of the upper body 210 A buffer 250 provided between the wall 214 and the support 240 of the lower body 230 buffers and restores the impact loa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while repeating compression and tensile deformation. .

이하,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진받침들을 이용한 다른 배치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base isolation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B.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양단은 상부구조물(10)과 교대(20) 사이에 일반적인 양방향 교좌장치 및 일방향 교좌장치를 배치하고, 교대(20)에 인접한 양측 제 1교각(30a)에는 전방향 면진받침(300)을 배치하며, 양측 제 1교각(30a) 사이에 위치하는 제 2교각(30b)들에는 고정단 면진받침(100)을 배치한다.As shown in the figure, both ends of the bridge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hift 20, a general two-way bridge device and one-way bridge device, and the first side pier 30a adjacent to the bridge 20, the forward all-quadrant bearings. A 300 is disposed, and the fixed end isolating base 100 is disposed in the second piers 30b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iers 30a on both sides.

이에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이 온도 및 크리이프에 의한 신축 변위(또는 이동)의 발생시에는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 사이에 마련된 전방향 면진받침(300)과,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에서 변위량을 수용한다. Accordingly, when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generates and expands (or moves) due to temperature and creep, the omnidirectional isolating bearing 3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30a and the upper structure ( The displacement amount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end isolating base 100 provided between the 10) and the second piers 30b.

즉,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을 기준으로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에 마련된 전방향 면진받침(300)에서 상부구조물(10)의 신축변위를 수용한다.That is, based on the fixed end isolation base 1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econd pier 30b, the upper portion of the omnidirectional isolation base 300 provided i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30a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10).

한편, 지진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교량에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30a) 사이에 마련된 전방향 면진받침(300)과,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에 마련된 고정단 면진받침(100)에서 충격하중에 대한 마찰감쇠와 복원작용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horizontal impact load occurs on the bridge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the omnidirectional isolating bearing 3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bridge 30a,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structure are provided. In the fixed end seismic support 100 provided between the two piers (30b) performs a friction attenuation and restoring action for the impact load.

이때, 고정단 면진받침(100)에 의한 감쇠작용을 설명하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의 지지부(140)에 지지되는 거치부(120) 사이에서 마찰감쇠가 발생하게 되고, 상부몸체(110)의 지지벽(114)과 하부몸체(130)의 지지부(140)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150)가 압축 및 인장 변형을 반복하면서 상부구조물(10)과 제 2교각(30b) 사이 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킨다. In this case, when the damping action by the fixed end base bearing 100 is described,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enerated, the upper body 110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support of the lower body 130 ( Friction attenuation occurs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20 supported by the 140, the buffer unit 15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wall 114 of the upper body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40 of the lower body 130 is Repeated compression and tensile deformation while buffering and restoring the impact load generated between the superstructure 10 and the second piers (30b).

또한, 전방향 면진받침(300)에 의한 감쇠작용을 설명하면, 수평방향의 충격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구조물(10)에 고정된 상부플레이트(305)와, 상부몸체(310) 사이에서 교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잠금장치(360)에 의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damping effect by the forward side isolation bearing 300, when the impact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ccurs, throttling between the upper plate 305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upper body 310 Movement in the direction is fixed by the lock 360.

이에 상부플레이트에서 수평하중을 전달받는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30)의 지지부(340)에 지지되는 거치부(320) 사이에서 마찰감쇠가 발생하게 되고, 상부몸체(310)의 지지벽(314)과 하부몸체(330)의 지지부(340)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350)가 압축 및 인장 변형을 반복하면서 상부구조물(10)과 제 1교각 사이에 발하는 충격하중을 완충 및 복원시킨다. Accordingly, friction attenuation occurs between the upper body 310 receiving the horizontal loa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mounting part 320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340 of the lower body 330,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310. A buffer 350 provided between the wall 314 and the support 340 of the lower body 330 buffers and restores the impact loa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first pier while repeating compression and tensile deformation.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fore,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받침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a component having another additional function to the seismic isolator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by replacing it with another component. However, all other modified embodiments includ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면진장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8A to 8B are layout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ismic isolato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The upper body of the enclosure shape is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A mount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upp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groove formed therein;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A lower body supported by the pier of the bridge,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A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protrusion supporting the mounting part;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하되,A ring-shaped buffer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to cushion a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upper body,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부면에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마주하는 양변에 다수의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on both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to resis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usual wind loa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고정되기 위한 상판과, The upper body and the top plate for fixing the upper structure, 상기 상판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지지지하는 지지벽과, A support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상기 상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와 접하는 미끄럼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olating base bearing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면에 접하는 마찰판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구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구홈에 삽입되는 구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groove is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the support portion is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pher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Base isola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에는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PTFE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Between the spherical groove and the spherical protrusion, the base plat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TFE plate for facilitating the rota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의 내주면 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량용 면진받침.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An upper plate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An upper body having a housing shape slidably coupled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A mount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upp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groove formed therein;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A lower body supported by the pier of the bridge,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A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protrusion supporting the mounting part;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하되,A ring-shaped buffer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to cushion a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upper body,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부면에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마주하는 양변에 다수의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on both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to resis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usual wind loa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고정되기 위한 상판과, The upper body and the top plate for fixing the upper structure, 상기 상판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지지지하는 지지벽과, A support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상기 상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와 접하는 미끄럼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olating base bearing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면에 접하는 마찰판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구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구홈에 삽입되는 구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groove is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the support portion is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pher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Base isolatio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에는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PTFE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Between the spherical groove and the spherical protrusion, the base plat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TFE plate for facilitating the rotation between the spherical protrusion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coupling groove for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An upper plate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몸체와,An upper body having a housing shape slidably coupled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에 마련되며 교축방향의 진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와,A lock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body to limit vibration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와,A mount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upp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groove formed therein; 상기 교량의 교각에 지지되는 하부몸체와,A lower body supported by the pier of the bridge,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A support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pherical protrusion supporting the mounting part;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상대적 수평이동을 완충하는 링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하되,A ring-shaped buffer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to cushion a relativ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upper body,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부면에 상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마주하는 양변에 다수의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on both sides facing the mounting portion to resis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usual wind loa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고정되기 위한 상판과, The upper body and the top plate for fixing the upper structure, 상기 상판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을 지지지하는 지지벽과, A support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상기 상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와 접하는 미끄럼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olating base bearing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 상면에 접하는 마찰판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구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구홈에 삽입되는 구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l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groove is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the support portion is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pher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Base isolation.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에는 상기 구홈과, 상기 구형돌기 사이의 마찰력을 완화 시키기 위한 PTFE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Between the spherical groove and the spherical protrusion, the bas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TFE plate for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pherical groove and the spherical protrusion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량용 면진받침.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ismic isolation support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ortion.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교축방향 양측에 상기 잠금장치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걸림턱이 형성되고,A pair of locking jaw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locking devic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으로 상기 잠금장치의 이동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받침.The base seismic bearing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moving end of the locking devic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잠금장치는 LU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면진장치.The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device is LUD.
KR1020080035327A 2008-04-16 2008-04-16 Base isolation for bridge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327A KR100997697B1 (en) 2008-04-16 2008-04-16 Base isolation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327A KR100997697B1 (en) 2008-04-16 2008-04-16 Base isolation for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80A KR20090109880A (en) 2009-10-21
KR100997697B1 true KR100997697B1 (en) 2010-12-02

Family

ID=4153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3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697B1 (en) 2008-04-16 2008-04-16 Base isolation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6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79A (en) * 2018-03-22 2019-10-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ructure supporting device and elastic body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35B1 (en) * 2012-01-20 2013-08-20 안창모 Structural bearing having attachment devices for sliding materials
CN106012867B (en) * 2016-06-24 2017-09-22 北京工业大学 Bridge Rotation Construction Technique and base isolation integrating device
CN113969541A (en) * 2020-07-24 2022-01-25 上海通亿橡塑制品有限公司 Damping support for road and brid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91Y1 (en) * 2001-09-29 2002-03-20 조영철 A Structural Bearing with a Large Shock Absorbing Force
KR200420377Y1 (en) 2006-04-06 2006-07-04 주식회사 태명엔지니어링 Leveling device of bridge
KR100660035B1 (en) * 2005-08-02 2006-12-20 (주)알티에스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91Y1 (en) * 2001-09-29 2002-03-20 조영철 A Structural Bearing with a Large Shock Absorbing Force
KR100660035B1 (en) * 2005-08-02 2006-12-20 (주)알티에스 Device
KR200420377Y1 (en) 2006-04-06 2006-07-04 주식회사 태명엔지니어링 Leveling device of bri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79A (en) * 2018-03-22 2019-10-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ructure supporting device and elastic body therefor
KR102104664B1 (en) * 2018-03-22 2020-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ructure supporting device and elastic bod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80A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4062B2 (en) Slide mechanism of bridge seismic device
KR100997698B1 (en) Base isolation for bridge
KR101095959B1 (en) Seismic Expansion Joint for Bridge
KR20110019587A (en) Damper type isolation base
KR100997697B1 (en) Base isolation for bridge
KR100762941B1 (en) Base isolation bearing device for structures
KR100965236B1 (en) Truss bridge with vibration absorption
KR20090080016A (en) Seismic isolator with mechanical damp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on pier or shift
KR101291809B1 (en)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KR20010074179A (en) Multi-directional Seismic Isolation Devices
KR101351069B1 (en) A dumping bearing with a shock absorbing device
JP6567207B1 (en) Sliding seismic isolation device and bridge
JP5214371B2 (en) Structure
KR200431157Y1 (en) Base isolation bearing device for structures
JPH10159022A (en) Device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fixed point in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its use
CN212103646U (en) Bridge lateral support with limiting, wind-resistant and earthquake-resistant functions
KR101291808B1 (en) Seismic isolation device for a bridge
WO2013051702A1 (en) Seismic isolation support device for traveling crane
CN110878521A (en) Bridge lateral support with limiting, wind-resistant and earthquake-resistant functions and bridge lateral support method
KR100646329B1 (en) Seismic device of bridge
JP2025505047A (en) Cushioning mechanism
KR20200076058A (en) Seismic construction structure
KR20090033669A (en) Vibration-absorbing bridge
KR102152740B1 (en) Bridge Bearing Layout Method of Bridge Structures
KR20190023332A (en) Seismic equipment for mechanical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1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12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