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2872B1 - 요도 카테터 - Google Patents

요도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872B1
KR100992872B1 KR1020080019241A KR20080019241A KR100992872B1 KR 100992872 B1 KR100992872 B1 KR 100992872B1 KR 1020080019241 A KR1020080019241 A KR 1020080019241A KR 20080019241 A KR20080019241 A KR 20080019241A KR 100992872 B1 KR100992872 B1 KR 10099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luid
passage
main pip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616A (ko
Inventor
이택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2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balloon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 주관; 주관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소변유입구; 주관 일단의 측면에 유체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유체유출구;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를 감싸면서 주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부; 소변통로와 연결되고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소변배출부; 및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유체유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도 카테터가 제공된다.
개시된 요도 카테터에 의하면, 방광목 근처에서 걸리기 용이하고 환자의 아픈 느낌도 줄일 수 있고, 소변의 배출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유체유입부를 소변배출부와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환자의 관리가 용이하며 카테터의 파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테터, 팽창부, 유체

Description

요도 카테터 {Urethal Catheter}
본 발명은 요도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인들의 장시간 마취상태 수술시 배뇨가 필요한 경우, 척추손상 등으로 인한 방광 및 요도의 기능 이상 문제로 소변의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위적 도뇨가 필요한 상태이나 요도 괄약근의 강직도가 너무 강하거나 요도 협착이 심하여 요도의 내경이 좁아져 배뇨시마다 도뇨관을 삽입하기 힘든 경우, 또는 방광이 과도하게 예민하여 수축되거나 방광 주위 섬유화로 방광이 수축되어 방광 내 소변 저장능력이 현저히 저하된 경우, 또는 도뇨법 등의 방법으로 인한 요도 손상으로 빈번한 도뇨법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방광 내에 유치시키는 요도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환자의 방광 내의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요도 카테터(catheter)로 본체의 일측에 소변유입구와 풍선 형태의 팽창 가능한 팽창부가 설치되고, 관의 중심에 위치한 주관이 본체의 타측에 위치한 소변배출부와 연통되어 환자의 방광 내의 소변을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 폴리(Foley) 카테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요도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도 카테터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요도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주관(30), 소변유입구(11), 유체유출구(21), 팽창부(40), 소변배출부(13), 유체유입부(23)를 구비한다.
주관(30)은 일단(50)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10)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20)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소변유입구(11)는 주관(30)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10)와 연결되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고, 유체유출구(21)는 주관(30) 일단의 측면에 유체통로(20)와 연결되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팽창부(40)는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21)를 감싸면서 주관(30)의 측면에 결합되며, 소변배출부(13)는 소변통로(10)와 연결되고 주관(30)의 타단에 결합되고, 유체유입부(23)는 유체통로(20)와 연결되고 주관(30)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요도 카테터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요도 카테터 중 방광 내에 삽입되는 일단에는 방광 내의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구(11)와 요도 카테터를 방광 내에 고정하기 위한 팽창부(40)가 설치된다. 상기 팽창부(40)는 요도 카테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유체유입부(23)로부터 팽창부(40) 직경 조절용 유체가 유입되면 부풀어오르는 풍선의 형태를 갖는다. 이 때, 주사기 등에 유체를 미리 주입하고, 유체유입부(23)의 말단인 유입공(22)에 주사기 바늘을 끼워 놓고, 주사기를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즉, 방광 내에 요도 카테터의 일단을 삽입한 후, 유체유입부(23)로부터 유체통로(20)를 통해 팽창 부(40) 직경 조절용 유체가 팽창부(40) 내로 유입됨에 따라, 팽창부(40)가 풍선 모양으로 부풀어올라 요도 카테터를 방광 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요도 카테터의 본체는 2중의 관상체 형상으로서 단면의 중심부에는 소변유입구(11)와 연결된 소변통로(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변통로(10)의 말단에는 소변배출부(13)가 설치된다. 즉, 요도 내에서 발생하는 소변은 요도 내에 위치하는 소변유입구(11)를 통해 소변통로(10)로 유입된 후, 요도 밖에 위치하는 소변배출부(13)의 말단인 배출공(12)을 통해 배출된다.
도 3은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사용 개념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도 카테터는 비록 2중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변과 유체를 동시에 유입, 배출할 수는 있으나, 요도 카테터를 방광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풍선 형태의 팽창부(40)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 도중에 밖에서 당기면 요도 카테터가 원래의 고정 위치에서 이탈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고, 요도 카테터 삽입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한 부분이 바로 이런 풍선의 하부가 닿게 되는 방광목 부분이기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팽창부(40)가 카테터 주위로 균등하게 부풀게 되면, 팽창부(40)의 하부는 유선형이 되고, 이는 방광목 부분을 균등하게 압력을 주므로 불편함을 주며, 또한 요도 카테터를 밖에서 당기면 유선형이기 때문에 풍선이 탄력에 의해 변형이 쉽게 와서, 원래의 고정 위치에서 방광목으로 이탈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환 자가 무의식 상태에서 잡아 뽑거나 힘을 세게 주면 잘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도 4 참고) 실제 임상적으로도 이러한 현상이 매우 빈번하며, 이런 경우 요도 손상을 일으켜 더 큰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환자들에게 요도 카테터를 그냥 삽입하게 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말단(50) 근처에 소변유입구(11)가 위치하기 때문에 그 부근이 약해서 힘이 가해지면 잘 꺾이며 삽입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요도 카테터 설치 후에도 소변이 소변통로에 의해 어느 정도 배출이 되면, 방광 윗부분(dome)이 아래로 내려와 소변유입구(11)를 눌러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소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막혀 요도 카테터를 삽입한 후에도 잔뇨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특히 소아나 신경인성 방광의 작은 방광을 가진 환자에게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도 카테터 내에는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10)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20)가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2 참고). 관을 이렇게 만드는 이유는 소변이 감염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서 소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분리하기 위한 것인데, 이 부분을 함께 제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가격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즉, 관의 중앙부에 큰 소변통로(10)가 있고, 관의 일부를 두껍게 만들어 그 안에 유체통로(20)를 형성하고, 팽창부(40)와 유체유입부(23) 등과 연결하여 만드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정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요도 카테터는 팽창부(40)를 부풀리기 위하여 유체유입부(23) 와 같은 부가적인 장치가 요구되어 요도 카테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팽창부(40)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유체유입부(23)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그로 인해 제조 과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소변통로(10)의 직경 또한 줄어들게 되어 요도 카테터의 기능적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요도 카테터의 단부는 소변배출부(13)와 별도로 설치된 유체유입부(23) 때문에 부피가 매우 증가하는데, 이 부분이 너무 크고 무거워서 환자들이 가지고 다니다가 중심부가 꺾여서 잘 나오지 않거나, 관이 터지는 경우가 사례가 빈번히 일어났고, 그 때문에 이 부분이 손상되기 쉬워서 소변이 새는 주된 원인이 되었으며, 비뇨기과 의사들조차도 이 부분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방광목 근처에서 걸리기 용이하여 환자의 힘든 느낌도 줄일 수 있고, 소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로 설치된 소변배출부와 유체유입부를 하나의 관으로 만들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요도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도 카테터는 일단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 주관; 주관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소변유입구; 주관 일단의 측면에 유체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유체유출구;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를 감싸면서 주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부; 소변통로와 연결되고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소변배출부; 및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유체유입부를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팽창부는, 주관의 축방향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팽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변유입구는, 팽창부보다 주관의 축방향 안쪽으로 혹은 팽창부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주관은, 막혀 있는 일단에 소변통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도 카테터는 일단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일단에는 제1삽입관이 구비된 주관; 주관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소변유입구;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며, 소변통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소변유출구와 유체가 유입되는 제2삽입관이 구비된 소변배출부; 삽입홈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삽입관 및 제2삽입관에 결합되는 보조관; 주관 일단의 측면에 제1삽입관과 연결되어 형성된 유체유출구; 및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를 감싸면서 주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팽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관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양단부 중 제2삽입관과 연결되는 쪽의 내부에 한 쌍의 반원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보조관은, 반원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고정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도 카테터에 의하면,
첫째, 팽창부를 복수로 구비하고, 방광목과의 직접 접촉을 줄임으로써 실제 환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방광목을 피하여 접촉하게 하여, 팽창부가 방광목 근처 바깥부분에서 걸리게 하여 환자의 불편감도 줄일 수 있다.
둘째, 소변유입구가 팽창부보다 주관의 축방향 안쪽으로 혹은 팽창부와 약간 겹치게 형성되어, 말단의 불필요한 부분을 줄일 수 있고, 요도에 삽입시 관의 말단 부의 꺾임과 그 꺾임으로 인해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광점막이 팽창부 쪽으로 내려와 소변유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의 배출을 항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주관의 막혀 있는 일단에 소변통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홀을 미리 형성시켜 놓고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좁은 요도에 내시경으로 미리 넣은 가이드 와이어에 연결하여 요도 카테터를 삽입할 때 방광으로의 진입을 쉽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넷째, 내부에 소변통로가 형성된 주관의 외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에 유체통로가 형성된 보조관을 삽입시켜 별도의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소변통로와 유체통로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기존 카테터처럼 소변에 의한 감염의 가능성을 막을 수 있다.
다섯째, 유체유입부를 소변배출부와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중심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환자가 관리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 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사용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100)는 주관(130), 소변유입구(111), 유체유출구(121), 팽창부(140), 소변배출부(113), 유체유입부(123)를 구비한다.
주관(130)은 일단(150)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110)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120)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소변유입구(111)는 주관(130)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110)와 연결되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고, 유체유출구(121)는 주관(130) 일단의 측면에 유체통로(120)와 연결되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복수의 팽창부(140)는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121)를 감싸면서 주관(130)의 측면에 결합되며, 소변배출부(113)는 소변통로(110)와 연결되고 주관(130)의 타단에 결합되고, 유체유입부(123)는 유체통로(120)와 연결되고 주 관(130)의 타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100)의 주관(130), 소변유입구(111), 유체유출구(121), 팽창부(140), 소변배출부(113), 유체유입부(123)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주관(30), 소변유입구(11), 유체유출구(21), 팽창부(40), 소변배출부(13), 유체유입부(23)와 서로 대응되므로 도면에 따로 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팽창부(140)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팽창부(140)는 주관(130)의 축방향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팽창할 수 있다.
이렇게 팽창부(140)를 두 개 내지 세 개로 나눈 뒤, 방광 내부에서 이발 내지 삼발이 모양으로 걸리게 만들어, 팽창부(140)의 접촉면을 줄이며, 가장 자극이 되는 방광목(60) 바깥 부분에 걸리게 만들어 환자의 힘든 느낌도 줄이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도에 삽입할 때 아직 팽창되기 전의 수축된 팽창부(140)와 주관(130)의 결합된 부분의 구경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그를 막기 위하여, 분리된 복수의 팽창부(140)들이 관의 축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가 아니라 약간의 차이를 둔 위치에 존재하여, 요도 카테터 삽입시 소변유입구(111) 부근이 약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복수의 팽창부(140)에 의한 요도 카테터 구경의 증가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소변유입구(111)는 팽창부(140)보다 주 관(130)의 축방향 안쪽으로 혹은 팽창부(140)와 약간 겹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유입구(111)가 이렇게 안쪽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시 관의 꺾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었던 방광점막이 팽창부(140)쪽으로 내려와 소변유입구(111)를 막아 소변의 유입을 어렵게 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주관(130)에는 막혀 있는 일단에 소변통로(110)와 연통되는 가이드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도협착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요도 카테터를 그냥 삽입하게 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소변유입구 부근이 약해서 잘 들어가지 않는데, 내시경으로 길을 찾아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라는 작은 줄을 넣은 후 카테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카테터를 안내할 수 있는 부분이 카테터 내부에 없어 삽입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관(130)의 막혀 있는 일단에 소변통로(110)와 연통되는 가이드홀(160)을 미리 형성시켜 놓고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홀(160)에 삽입하면, 요도 카테터를 삽입할 때, 쉽게 방광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이드홀(160)은 직경이 약 5 Fr(3Fr=1mm)인 것이 적당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요도 카테터의 C-C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D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D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200)는 주관(230), 소변유입구(211), 소변배출부(213), 보조관(220), 유체유출 구(221) 및 팽창부(240)를 구비한다.
주관(230)은 일단(250)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210)가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삽입홈(232)이 형성되고, 삽입홈(232)의 일단에는 제1삽입관(280)이 구비된다.
또한, 소변유입구(211)는 주관(230) 일단의 측면에 소변통로(210)와 연결되어 형성된 부분이며, 소변배출부(213)는 주관(230)의 타단에 결합되며, 소변통로(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소변유출구(212)와 유체유입구(222)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2삽입관(260)이 구비된 부분이다.
종래 카테터가 유체유입부와 소변배출부를 분리하여 구비한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소변배출부(213)에 유체유입구(222)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중심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환자가 관리하기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조관(220)은 삽입홈(232)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223)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삽입관(280) 및 제2삽입관(260)에 결합되며, 유체유출구(221)는 주관(230) 일단의 측면에 제1삽입관(280)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232)에 삽입된 보조관(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홈(232)에는 복수의 이탈방지막(23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관(220)은 제1삽입관(280) 및 제2삽입관(260)과 유사한 직경의 관으로, 그 탄성력에 의해 제1삽입관(280) 및 제2삽입관(260)과 결합된다.
이렇게 내부에 소변통로(210)가 형성된 주관(230)의 외부에 삽입홈(232)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232)에 유체통로(223)가 형성된 보조관(220)을 삽입시켜 별도의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관이 손상된 경우에도 팽창부(240)의 부풀림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240)는 신축이 가능하고, 유체유출구(221)를 감싸면서 주관(230)의 측면에 결합된다. 팽창부(240)는 제2실시예의 도면상에는 종래의 팽창부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팽창부(140)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220)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양단부 중 제2삽입관(260)과 연결되는 쪽의 내부에 한 쌍의 반원판(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원판(270)은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엇물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반원판(270)을 제1반원판(271)과 제2반원판(272)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게다가, 상기 보조관(220)은, 반원판(27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고정돌기(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삽입관(260)의 길이는 보조관 끝에서 고정돌기(223)까지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고, 보조관 끝에서 고정돌기(223)까지의 거리는 주사기 바늘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관(220) 내부의 고정돌기(223)에 의해 반원판(270)이 고정되고, 그 반원판을 사이에 두고 보조관(220)이 제2삽입관(260)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사기 등에 유체를 미리 주입하고, 유체유입구(222)에 주사기 바늘을 끼워 넣으면 주사기 바늘에 의해 상기 제1반원판(271)과 제2반원판(272)이 열리게 되고 주사기 를 압축시키면 유체가 유입된다.
또한, 유체가 유체통로(223)를 통해 팽창부(240)로 유입되다가 주사기를 빼게 되면, 반원판이 닫히게 될 뿐만 아니라, 유입된 유체의 역방향 압력에 의해 반원판(270)이 막히게 되고 그에 의해 팽창부(240)가 더 이상 팽창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요도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도 카테터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사용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사용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도 카테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요도 카테터의 C-C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D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D 부분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원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요도 카테터 110, 210...소변통로
120...유체통로 220...보조관
130, 230...주관 140, 240...팽창부
150, 250...일단 160...가이드홀
260, 280...제1삽입관, 제2삽입관 270...반원판

Claims (7)

  1. 일단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 주관;
    상기 주관 일단의 측면에 상기 유체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유체유출구;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유체유출구를 감싸면서 상기 주관의 축방향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팽창하여 방광내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부;
    상기 주관 일단의 측면에 상기 소변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팽창부보다 상기 주관의 축방향 안쪽으로 혹은 상기 팽창부와 겹치게 형성되는 소변유입구;
    상기 소변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소변배출부; 및
    상기 유체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유체유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관에는 상기 막혀 있는 일단에 상기 소변통로와 연통되고, 환자의 방광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도 카테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단이 막혀 있고,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일단에는 제1삽입관이 구비된 주관;
    상기 주관 일단의 측면에 상기 소변통로와 연결되어 형성된 소변유입구;
    상기 주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소변통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소변유출구와 유체가 유입되는 제2삽입관이 구비된 소변배출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삽입관 및 제2삽입관에 결합되는 보조관;
    상기 주관 일단의 측면에 상기 제1삽입관과 연결되어 형성된 유체유출구; 및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유체유출구를 감싸면서 상기 주관의 축방향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팽창하여 방광 내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관은, 양단부 중 제2삽입관과 연결되는 쪽의 내부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는 주사기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반원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도 카테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은,
    상기 반원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도 카테터.
KR1020080019241A 2008-02-29 2008-02-29 요도 카테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99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41A KR100992872B1 (ko) 2008-02-29 2008-02-29 요도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41A KR100992872B1 (ko) 2008-02-29 2008-02-29 요도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16A KR20090093616A (ko) 2009-09-02
KR100992872B1 true KR100992872B1 (ko) 2010-11-09

Family

ID=4130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2872B1 (ko) 2008-02-29 2008-02-29 요도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432A1 (ko) * 2015-03-17 2016-09-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 카테터 삽입용 가이더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요도 카테터 키트
KR101664348B1 (ko) 2015-11-02 2016-10-11 전북대학교병원 접힘부를 갖는 요도카테터
KR20200007243A (ko) 2018-07-12 2020-01-22 최대한 요로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426B1 (ko) * 2016-09-02 2017-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KR102190984B1 (ko) 2018-03-13 2020-12-15 정호헌 요도 카테터
KR102150487B1 (ko) * 2018-04-03 2020-09-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CN109045373B (zh) * 2018-09-18 2024-06-11 柳州市工人医院 一种留置式除血栓导尿装置
CN115154694B (zh) * 2022-07-07 2024-07-30 刘松林 一种用于泌尿外科的困难尿道可视辅助导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753A1 (en) 2004-08-02 2006-02-02 Kubalak Thomas P Urinary cathe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753A1 (en) 2004-08-02 2006-02-02 Kubalak Thomas P Urinary catheter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432A1 (ko) * 2015-03-17 2016-09-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 카테터 삽입용 가이더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요도 카테터 키트
KR101664348B1 (ko) 2015-11-02 2016-10-11 전북대학교병원 접힘부를 갖는 요도카테터
KR20200007243A (ko) 2018-07-12 2020-01-22 최대한 요로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16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872B1 (ko) 요도 카테터
AU646868B2 (en) Direct vision prostate balloon catheter
US8088170B2 (en) Ureteral stent
US3630206A (en) Bladder catheter
JP4025648B2 (ja) 尿道内で用いる装置
US6949125B2 (en) Ureteral stent with end-effector and related methods
US8475435B2 (en) Partial-leng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permitting selective urine discharge
US20040044307A1 (en) Urinary catheters
CN109475718A (zh) 安全导尿管及制造方法
US20190240448A1 (en) Drainage and anchoring system for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US20250121158A1 (en) Atraumatic catheter
KR20200007243A (ko) 요로 카테터
KR20210001149A (ko) 배액용 카테터
CN111050832A (zh) 导管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9538166A (ja) 前立腺ステント
CN215460782U (zh) 双腔防漏尿冲洗导尿管
CN113499531A (zh) 安全防漏尿冲洗导尿管
CN211584805U (zh) 一种防止棱角直接接触尿道的导尿管
CN215426865U (zh) 防移位防漏尿冲洗导尿管
CN221831256U (zh) 一种导尿管
CN221491145U (zh) 一种单j形导尿管
CN215231458U (zh) 三腔二囊防漏尿冲洗导尿管
US20250161627A1 (en) Catheter
CN223095959U (zh) 尿道球囊扩张导管
CN219836026U (zh) 一种输尿管支架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1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1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