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1415B1 -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 Google Patents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15B1
KR100991415B1 KR1020030052718A KR20030052718A KR100991415B1 KR 100991415 B1 KR100991415 B1 KR 100991415B1 KR 1020030052718 A KR1020030052718 A KR 1020030052718A KR 20030052718 A KR20030052718 A KR 20030052718A KR 100991415 B1 KR100991415 B1 KR 10099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receiver
communication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227A (ko
Inventor
사무엘 길루아르
빠뜨리끄 로페
빠뜨리끄 퐁텐느
르노 도르
빈셍 드물링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4001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7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digitally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이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해 송신기에 할당가능한 슬롯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프레임의 환경 내에서 설정되는 시스템에서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의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조정은, 제 1 버스트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 초기화 파라미터, 또는 현재 수신되는 버스트의 프리앰블로부터 연산 유닛(4)에 의해 연산된 조정 파라미터를 고려함으로써, 버스트의 도착에 적응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규정된 조정 파라미터는, 새로운 버스트가 무신호 임계값보다 적은 시간까지만 이러한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러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를 위해 연산 유닛(4)에 의해 결정된다.

Description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METHOD OF ADJUSTMENT FOR RECEIVER OF SIGNALS TRANSMITTED IN BURSTS AND CORRESPONDING RECEIV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을 허용하도록 제조된 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관련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방법이 수신기에 구현될 때, 각각 스케줄링된 스위칭 시간 및 스케줄링된 조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수신기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시간 프레임의 환경 내에서 수 개의 송신기로부터 나오는 의사 동시 버스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조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을 허용하는 주파수 조정에 관련된 수단이 더 구체적으로 예시되는 수신기의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파수 변경기 2: 입력 스테이지
4: 연산 모듈 5: 입력 증폭기
7, 16: 스위치 6, 17: 상태 기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burst)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연속적인 버스트에 의해 수행된 송신을 수반하는 경우에, 수신기를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버스트의 특성에 동적으로 적응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의 수신 동안 이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것은,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의해 사용된 송신 주파수(Ftx)로 수신기를 동조하는 것과, 수신기로 하여금 양호한 조건 하에서 이 주파수(Ftx)를 이용하여 송신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픽업(pick up)하도록 하는 이득 조정을 수반한다. 주파수 동조에 관한 고 정밀도와 넓은 동적 전력 범위는 일반적으로 수신기 레벨에 필요하다. 이것은, 특히 수신기가, 공통 표준이 고정되고 이러한 표준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는 하드웨어에 의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 내에서 송신되는, 상이한 응용에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때의 경우이다. 그러한 하드웨어는 특히 전력에 관해 상이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더욱이 서로에 대한 송/수신에 관해 동일한 조건 하에 있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수신된 신호가 하나 또는 가능하면 그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버스트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경우에, 수신기의 양호한 조정을 달성하기가 까다로울 수 있다. 신호가 버스트로 송신되는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버스트로 정보를 수신기로 송신할 때,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사용된 주파수에 빠르게 동기를 맞출 수(locked)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수신기는 버스트에 의해 송신된 페이로드(payload)를 구성하는 데이터 패킷을 복구하도록 하는 조건 하에 놓이도록, 전력에 관해 빠르게 스스로 조정하여 의도된 임의의 버스트를 정확히 픽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특히 디지털 변조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OFDM 유형의 수신기에 대한 필요조건인데, 이에 따라 송신될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몇몇 협대역 채널에 걸쳐 분할된다.
각 수신기는 특히 버스트 도착, 이에 따라 이 버스트의 헤드에 나타나는 프리앰블(preamble)의 도착의 실패 없이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자신을 패킷의 버스트의 송신에 이용된 주파수(Ftx)에 빠르게 동조를 맞추고 및/또는 수신하는 신호의 전력의 함수로서 그 이득을 맞출 수(tailoring) 있어야 한다.
종래에, 수신기에 의해 픽업된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의 추출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아날로그 수단의 소조립 부품(subassembly)에 의해 고려되는데, 상기 무선 신호는 수신기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에 사용되며, 처해있는 환경에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전술한 수단의 소조립 부품은 일반적으로 하향 변환(downconversion)에 의해 작용하는 조정가능한 주파수 변경기(changer)와, 자동 이득 제어기를 포함한다. 변경기는 주파수(Frx)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Ftx)를 낮추기 위해 이용된다. 자동 이득 제어기는, 변경기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고 그 이득이 조정 신호(G)에 의해 제어되는 조정가능한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그러한 소조립 부품은 교차(transposed) 신호를 공급하도록 설계되는데, 상기 교차 신호의 주파수는 후속하는 신호 처리 소조립 부품의 제 1 스테이지에 의해 허용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있고, 상기 신호의 전력은 이러한 제 1 스테이지에 의해 입력에서 허용된 전력과 매칭된다.
관례상, 제 1 소조립 부품의 수단은 유용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트가 수신될 때 효과적이 되도록 미리 조정가능하다.
그러므로, 버스트 기반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각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필요시 상기 제 1 소조립 부품의 수단을 재 초기화(reinitialize)할 수 있어야 한다.
관례상, 수신기에는, 하나가 주파수 보정의 미리 결정된 값(Frst)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가 이득 보정의 미리 결정된 값(Grst)에 대응하는 2개의 고정된 재 초기화 파라미터가 공급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하나가 이득 조정 증폭기 상에 작용하고 다른 하나가 주파수 변경기 상에 작용하도록 각각 이용되고자 한다.
새로운 버스트의 프리앰블이 수신될 때, 상기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레벨에서 처리된다. 이러한 프리앰블의 처리 목적은, 포함되는 버스트에 관련된 신호 주파수 및 전력을 빨리 결정할 수 있게 하고, 대응하는 조정 파라미터를 한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버스트에 의해 송신된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패킷의 최적의 수신을 허용하기 위해, 그에 대한 필요조건이 있을 때 변경기 및/또는 조정 증폭기에 즉시 작용할 수 있게 하도록 이용된다. 버스트가 전부 수신될 때, 변경기 및 조정 증폭기는 보통 재 초기화된다.
그러나, 버스트 프리앰블을 고려함으로써 수행된 주파수 및 전력 결정은 정 확도가 부족하고 불충분한 정밀 조정을 야기하는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부정확하고 빈번한 조정 및/또는 이득 조정은 수신기의 수신 성능에서 상당한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또한, 프리앰블 검출 단계가 이러한 부정확하게 조정된 수신기에 의해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송신된 버스트의 스트링(string)이 수신기에 의해 처리되지 않을 수 있음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통신이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해 송신기에 할당가능한 슬롯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프레임의 환경 내에서 설정되는 시스템에서, 버스트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에 대한 수신기의 조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버스트가 현재 수신되는 경우에 제 1 버스트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재 초기화 파라미터, 또는 버스트의 프리앰블로부터 연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라미터를 고려함으로써, 버스트의 도착시에 적응시키도록 하는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송신기로부터 연속적인 버스트에 의해 수행된 송신을 수반하는 경우에, 수신기의 보충적인 조정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보충적인 조정은, 상기 새로운 버스트가 규정된 무신호(silence) 임계값보다 적은 시간까지만 이러한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러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와 동일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조정 파라미터는, 고려된 상기 부분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수신기의 레벨에서 결정된, 주파수 드리프트(drift)에 대응하는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에 따라,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와 동일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조정 파라미터는 수신시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변형의 특성에 따라, 버스트의 페이로드 및/또는 제공된 응용에 대응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연산된 다양한 파라미터 유형과 선택적으로 연관되는 상이하게 규정된 무신호 임계값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수신기를 제안한다.
이러한 수신기 중 하나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저주파수 교차의 조정가능한 수단과,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가능한 형태로 복구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의 소조립 부품의 입력 스테이지에 대한 필요조건의 함수로서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입력에서 이득 제어의 조정가능한 수단과, 몇몇 파라미터가 수신기 재 초기화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유닛에 기초하고, 그 밖의 파라미터가 버스트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에 의해 기초하는, 주파수 보정 및/또는 이득 보정 파라미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저장되거나 연산된 파라미터의 선택은 스위치를 통해 상태 기계(state machines)와 시간 베이스(time base)를 연관시키는 관리 수단의 통제 하에 달성되고, 스위치는 파라메터를 보조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주파수 교차 수단 및 이득 조정 수단에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 또한 이러한 수신기는, 버스트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을 통해 관리 수단의 통제 하에 스위치를 경유하여 주파수 보정 및/또는 이득 보정 파라미터를 주파수 교차 및/또는 이득 조정 수단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보조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수신기의 특성에 따라, 상기 변형 수신기는, 수신기가 동시 통신할 수 있는 송신기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스위치에 메모리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각 통신을 위해 각 버스트로 연산된 보정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고, 버스트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과, 관리 수단의 통제 하에 보조 수단과의 다른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재 초기화 파라미터 메모리 유닛의 선택적인 접속을 허용하여 주파수 교차 및/또는 이득 조정 수단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추가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은 이후에 언급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에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정 수단은 더 구체적으로 버스트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의도되는 수신기의 환경(context) 내에서 구 현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는 OFDM 유형의 변조를 겪는 신호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용을 허용하는 예시적인 수신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신기는, 특히 이러한 무선 신호가 송신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데이터를 추출할 책임이 있는 신호 처리 소조립 부품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가 고려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픽업하고 조건 설정(conditioning)하기 위해 의도되는 아날로그 수단의 소조립 부품을 포함한다.
종래에, 아날로그 수단의 소조립 부품은 주파수 변경기(1)에 접속된 안테나를 포함하는데, 상기 주파수 변경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Ftx)는 신호 처리 소조립 부품의 제 1 스테이지(2)에 의해 고려되도록 하는 감소된 레벨로 교차된다. 이러한 제 1 스테이지(2)는 특히 OFDM 수신기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 고속 퓨리에 변환) 연산 모듈이다.
변경기(1)는, 변경기를 포함하는 수신기가 신호의 주파수(Ftx)에 정밀하게 로킹되고, 그 다음에 최적의 수신을 위해 수신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정가능하다. 알려진 방법으로, 이러한 조정은 각 새로운 버시트에 대한 버스트 프리앰블로부터 미리 결정되거나 대안적으로 연산되는 조정 파라미터를 고려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통 미리 결정된 조정 파라미터는, 어떠한 버스트도 없을 때 고정값이고 더 구체적으로 무신호 단계 이후에 사용되는 재 초기화 파라미터이다. 상기 파라미터는 도 1에서 참조 번호가 3인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프리앰블의 수신시 각 새로운 버스트의 프리앰블로부터 새로운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fpr)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파라미터(fpr)는 여기서 상기 처리 소조립 부품의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4)에 의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연산 모듈(4)은 송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의 조정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증폭기(5)를 통해 변경기(1)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러한 신호는 처리 소조립 부품의 모듈, 즉 여기서는 모듈(2 및 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파라미터(frst 및 fpr) 간의 선택은, 파라미터(frst)를 저장하는 유닛(3) 또는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4)을 생성기(8)에 선택적인 접속을 허용하는 스위치(7)를 제어하는 상태 기계(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생성기(8)는 수신하는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변경기(1)에 대한 주파수 제어 신호(Frx)를 생성할 수 있도록 알려진 방식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태 기계(6) 및 스위치(7)는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9)에 의해 연산된 추가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faco)를 고려할 수 있게 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모듈(9)은,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버스트의 부분을 고려하고, 정확하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버스트에 대해 이용되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버스트에 포함된 페이로드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일반적으로 프리앰블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현저하게 더 길고, 그러므로 주파수 결정 및 연산에 관해 더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9)에 의해 고려된 값은 신호 처리 조조립 부품의 제 1 스테이지(2)를 구성하는 IFFT 연산 모듈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한 등화기(10)에 의해 공급된다. 도 1에 예시된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등화기(10)는 직렬로 배치된 복조기(11) 및 디코더(12)의 업스트림에 위치해 있다.
등화기(10)는 더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을 위해 이용된 채널로 인한 수신된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복조기(11)는 등화기에서 나오는 신호에서 나타나는 코딩된 시퀀스를 검색하도록 이용되는 반면, 디코더(12)는 복조기에 의해 공급된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수신기의 출력 스테이지(13)의 레벨에 데이터를 초기 형태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등화기(10)는 이러한 버스트 동안 등화 계수의 순환을 관찰함으로써 수신된 무선 신호의 버스트에 사용된 주파수(Ftx)의 함수로서 필요한 하향 변환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이상적인 주파수(Frx)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듈(9)은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결정된 주파수를 고려하여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faco)를 공식화(formulate)하는데 이용된다. 스위치(7)는, 메모리 유닛(3), 또는 연산 모듈(4 및 9) 중 어느 하나를 생성기(8)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태 기계(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태 기계(6)는 출력 상에서 스위치(7)의 입력의 스위칭을 허용하여, 그 결과 시간 카운팅(time counting) 함수로서 생성기(8)와의 선택적인 접속을 허용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접속은 시간 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 논리(18)에 의해 본래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태 기계(6)의 동작 방법은, 통신의 환경 내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결정된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faco)가, 이러한 2개의 버스트를 분리하는 시간이 규정된 무신호 임계값보다 적은 순간으로부터 이러한 통신의 다음 버스트에 대해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구성된다.
무신호 임계값보다 긴 시간이 일정한 통신을 위한 버스트의 수신으로부터 경과한 순간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가 초기에 재 초기화 파라미터(first)인 통상적인 동작 방법으로 되돌아가도록 전술한 수신기의 상태 기계(6)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조정 방법은, 이득 조정의 재 초기화를 위한 통상적으로 의도된 파라미터(Grst) 및 버스트 프리앰블의 함수로서 이득 조정을 위한 파라미터(Gpr) 외에도, 이러한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버스트의 부분에 기초하여 수행된 연산을 통해 페이로드 연산 모듈(9)에 의해 결정된 추가 이득 조정 파라미터(Gaco)를 결정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기의 경우에, 이러한 3가지 파라미터가, 인터페이스 스테이지(14)를 통해 종래에 수신기의 입력 증폭기(5)가 포함하는 이득 조정 입력 상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득 파라미터(Gaco)의 값은 등화기(10)의 레벨에서 관찰된 등화 계수의 크기의 평균값으로부터 결정된 이상적인 이득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다. 재 초기화시의 이득 조정 파라미터(Grst)의 값 및, 버스트 프리앰블의 함수로서 확립된 이득 파라미터(Gpr)의 값이 각각 본래 알려진 방식으로 공급되는데,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은 여기서 참조 번호가 15인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공급되고, 다른 하나는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4)로부터 공급된다.
스위치(7)와 유사한 스위치(16)는, 메모리 유닛(15) 또는 연산 모듈(4 및 9) 중 어느 하나를 인터페이스 스테이지(14)의 입력과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태 기계(17)에 의해 제어되고, 이를 통해 증폭기(5)의 이득이 통제된다. 상태 기계(17)는 상태 기계(6)에 대해 위에서 한정된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조건 하에서 일시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조직화된다.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결정된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Gaco)는, 규정된 임계값보다 적은 시간이 2개의 버스트를 분리하는 순간으로부터 동일한 통신에 관련된 그 다음 버스트에 대해 이용된다. 이러한 임계값은, 2개의 기계(6 및 17)가 동시에 사용될 때, 또한 이득 조정 및 주파수 조정이 병행하여 수행될 때 상태 기계(6)의 동작에 대해 의도된 임계값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교란으로 인한 전력 변동이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수신된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 상기 임계값은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직면하게 된 이용의 조건을 고려하여 2개의 조정 중 하나가 불필요한 것으로 증명되는 경우, 이러한 2개의 조정 중 단지 하나에 대해서만 수신기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수신기에 대한 통신의 시작시, 이득 보정 파라미터(Grst) 값 및 재 초기화 목적을 위해 먼저 의도된 주파수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이용되고, 특히 도 2에 도시되는, 차트에서 참조 번호가 SG0인 이득 보정 대 시간을 초래한다. 이러한 보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스트 즉 버스트 1의 수신 이전에 수신된 신호에 적용된다. 이러한 제 1 버스트가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블록(4)에 의해 고려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때, 상기 블록(4)은, 도 2의 차트에서 참조 번호가 SG1인 이득 및 참조 번호가 frapb1인 조정 주파수에 대한 선택을 조종하도록 각각 이용되는 새로운 이득 조정 값(Gpr) 및 새로운 주파수 조정 값(fpr)을 전달한다. 버스트(1)의 페이로드에 해당하는 부분이 연산 유닛(9)에 의해 복구될 수 있게 될 때, 연산 유닛(9)은 이득 조정 값(Gaco) 및 주파수 조정 값(faco)을 전달한다. 이러한 2개의 값은, 그 다음 대응하는 버스트를 위해 버스트 1이 종료할 때, 도 2에서 참조 번호가 SG21인 이득 및 참조 번호가 frxaco1인 조정 주파수에 대한 선택을 조종하도록 각각 이용된다. 이러한 이득 및 주파수는 동일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얻어진 주파수 및 이득과 가능하면 동일하게 남아있을 수 있다. 동일한 통신의 다음 버스트는 여기서 참조 번호가 2이고, 만일 이러한 버스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임계값보다 적은 지속 기간을 갖는 시간 스팬(time span)에 의해서만 버스트 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조정 주파수(frxaco1)를 구현하고 이득(SG21)을 나타내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그렇지 않으면, 수신기는, 연속적으로 재 초기화시 먼저 이득 보정 파라미터(Grst) 및 주파수 보정 파라미터(first)를 이용하고, 버스트 2의 프리앰블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이득(Gaco) 및 주파수 조정 값(faco)을 이용하여 그 동작을 반복한다. 새로운 조정 값(frxaco2) 및 새로운 이득 값(SG22)은 버스트 2의 마지막에 다시 얻어진다. 물론 상기 새로운 값은 조정 값(frxaco1) 및 이득 값(SG21)에 대응한다. 이러한 새로운 값은, 다음 버스트 3을 위한 수신 시간 래그(lag)가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이 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트 3은, 이득(SG22)을 나타내고 조정 주파수(frxaco2)를 구현하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데, 양쪽 모두 버스트 2에 의해 전송된 페이로드에 기초하여 한정된다.
도 3은, 수신기가 그와 동시에 확립된 통신과 관련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버스트를 수신할 수 있기 위해 의도될 때, 또는 이를 통해, 동일한 연속적인 프레임의 경우에, 예를 들어 상이한 송신기에 해당하는 응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용을 허용하도록 제조된 변형 수신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적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수단의 조조립 부품 및 신호 처리 조조립 부품을 포함하며, 그 모듈은 도 3의 주파수 변경기(1') 및 도 1의 주파수 변경기와 같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참조 번호가 매겨진다. 그러므로, 도 3에서의 신호 처리 조조립 부품의 제 1 스테이지(2')를 구성하는 IFFT 연산 모듈의 기능은 도 1에서의 신호 처리 조조립 부품의 제 1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모듈의 기능에 전부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동일한 것은, 도 1의 모듈(4, 9, 5, 8, 10, 11, 12, 13, 18)과 관련하여 도 3의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4') 및 페이로드 모듈(9'), 입력 증폭기(5'), 생성기(8'), 등화기(10'), 복조기(11'), 디코더(12'), 출력 스테이지(13'), 및 관리 논리(18')에 대해서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득 레벨에서 개입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주파수 상에 개입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부터 간단히 추론될 수 있는 한 여기에서 전개되지 않고, 이후에 전개되고, 이득과 관련된 디바이스로부터,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전개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3개의 상이한 송신물(transmission)이 확립되는 연속적인 프레임의 경우에 상이한 슬롯에 분배된 3개의 상이한 송신물의 준-동시(quasi-simultaneous) 수신을 허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송신물은, 특히 송신물이 상이한 송신기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 상이한 주파수(Ftx) 및 상대적으로 상이한 전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2가지 경우가 여기서 의도되는데, 한 가지 경우는, 수신기가 송신기의 송신 순서를 알고 있으므로, 일정한 순간에 버스트를 수신해야 하는 그 다음 활성 송신기가 어떤 것이 될 것인지를 정의할 수 있는 경우고, 다른 하나의 경우는, 수신기가 그 다음 활성 송신기가 어떤 것이 될 것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 경우는 특히 하이퍼랜(Hyperlan) 2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업링크, 및 직접 링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경우는 예를 들어 802.11a 표준에 따라 조직화된 링크에 관한 것이다.
양쪽 경우에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재 초기화를 위해 메모리 유닛(3'i)에 저장된 수신기를 위한 초기에 미리 결정된 주파수 보정 파라미터(frsti)가 준비된다. 또한, 동시에 확립될 수 있는 3개의 특정한 통신 각각을 위한 상이한 파라미터가 준비되는데, 이러한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frst1, frst2, frst3) 각각은 여기서 상이한 메모리 유닛(3'1, 3'2, 3'3)에 저장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유닛이 이전과 같이 각 버스트 프리앰블의 수신시 조정 파라미터(fpr)를 공급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수신된 버스트가 부분을 형성하는 통신에 할당된 스위치(7'1, 7'2, 7'3)의 입력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라,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유닛(9')은 수신되는 통신 버스트의 각각의 유용한 부분으로부터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faco)를 공급할 수 있다. 버스트가 규정된 무신호 임계값보다 적은 시간 래그 내에서 동일한 통신의 버스트보다 앞서면, 제 2의 수신을 위해 수신기의 주파수(Frx)를 조정하도록 제 1 버스트를 위해 얻어진 파라미터(faco)를 이용하는 것이 준비된다. 무신호 임계값은 모든 통신에 대해 가능하면 동일하도록 선택되지 않을 것이다. 각각 얻어진 조정 파라미터(faco1, faco2, faco3)는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유닛(9')에 의해 공급된 메모리의 요소(19'1, 19'2, 19'3)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각 요소(19'1, 19'2, 또는 19'3)는, 할당되는 통신의 마지막으로 수신된 버스트에 대해 연산된 저장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7'1, 7'2 또는 7'3)를 통해 생성기(8')의 제어 입력으로의 송신을 허용한다.
이전과 같이, 상태 기계(6'1, 6'2 또는 6'3)는 각 스위치(7'1, 7'2, 7'3)와 연관된다. 추가 상태 기계(6's)가 할당되는 추가 스위치(7's)는, 다양한 상태 기계에 의해 작용하는 관리 논리(18')의 통제 하에 메모리 유닛(3'i)의 출력, 또는 스위치(7'1, 7'2, 7'3) 중 어느 한 쪽의 출력을 생성기(8')의 제어 입력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된다. 그 다음에,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frst1, Fpr1 및 faco1과 같은 통신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여기서 먼저 제 1 송신기를 통해 확립되는 것으로 간주된 규정된 통신의 경우에 전술한 조건과 유사한 조건 하에 선택적으 로 사용된다. 이와 동일한 것은, 예를 들어 제 2 송신기를 통해 확립된 제 2 통신과 관련하여 파라미터(frst2, Fpr2 및 faco2)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파라미터(frsti)는 완전한 재 초기화의 경우에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연속적인 버스트에 의해 수행된 송신을 수반하는 경우에, 수신기를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버스트의 특성에 동적으로 적응시키는데 효과적이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의 수신 동안 이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수신기 등에 효과적이다.

Claims (6)

  1.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해 송신기에 할당가능한 슬롯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프레임의 환경(context) 내에서 통신이 설정되는 시스템내에서 버스트(burst)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기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버스트가 현재 수신되는 경우에 제 1 버스트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재 초기화(reinitialization) 파라미터 또는 상기 버스트의 프리앰블(preamble)로부터 연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라미터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수신기가 상기 버스트의 도착시에 적응하도록 하는 상기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조정을 제공하는, 신호 수신기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송신기로부터 연속적인 버스트에 의해 수행된 송신을 수반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의 보충적인(complementary) 조정을 제공하며, 상기 보충적인 조정은, 새로운 버스트가 규정된 무신호(silence) 임계값보다 적은 시간까지만 이러한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상기 버스트의 페이로드(payload)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기의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 동일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상기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조정 파라미터는 고려된 상기 부분을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기의 레벨에서 결정된, 주파수 드리프트(drift)에 대응하는 주파수 조정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기의 조정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통신의 새로운 버스트에 대해 이 동일한 통신을 위해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신호의 부분을 고려함으로써, 연산에 의해 결정된 상기 조정 파라미터는 수신시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기의 조정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연산된 다양한 파라미터 유형과 선택적으로 연관되는 상이하게 규정된 무신호 임계값이 제공되는, 신호 수신기의 조정 방법.
  5.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해 송신기에 할당가능한 슬롯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프레임의 환경 내에서 통신이 설정되는 시스템에서 버스트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기로서,
    수신된 무선 신호의 조정가능한 저주파수 교차(transposition) 수단(1)과,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가능한 형태로 복구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의 소조립 부품(subassembly)의 입력 스테이지(2)의 필요조건의 함수로서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변형시킬 수 있는 입력에서 조정가능한 이득 제어 수단(5)과,
    몇몇은 수신기 재 초기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유닛(3, 15)에 기초하고, 그 밖의 것은 버스트 프리앰블 기반의 연산 모듈(4)을 통해, 주파수 보정 및/또는 이득 보정 파라미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저장되거나 연산된 상기 파라미터의 선택은 스위치(7, 16)를 통해 시간 베이스(time base)를 상태 기계(6, 17)와 연관시키는 관리 수단의 통제 하에 달성되고, 상기 스위치(7,16)는 상기 파라미터를 보조 수단(8, 14)으로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주파수 교차 수단과 이득 조정 수단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신호의 수신기에 있어서,
    버스트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9)을 통해 상기 관리 수단의 통제 하의 상기 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보조 수단에 주파수 보정 및/또는 이득 보정 파라미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수신기.
  6. 제 5항에 있어서, 버스트 페이로드 기반의 연산 모듈(9')은, 상기 수신기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송신기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스위치(7'1, 7'2, 7'3)에 메모리 수단(19'1, 19'2, 19'3)을 경유하여 접속되어, 각 통신을 위해 각 버스트로 연산된 보정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추가 스위치는, 상기 관리 수단의 통제 하에 다른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재 초기화 파라미터 메모리 유닛(3'i)의 보조 수단과의 선택적인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주파수 교차 수단 및/또는 이득 조정 수단에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신호의 수신기.
KR1020030052718A 2002-08-08 2003-07-30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0296 2002-08-08
FR0210296A FR2843503B1 (fr) 2002-08-08 2002-08-08 Procede de reglage pour recepteur de signaux transmis par salves et recepteurs correspond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227A KR20040014227A (ko) 2004-02-14
KR100991415B1 true KR100991415B1 (ko) 2010-11-03

Family

ID=3012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7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415B1 (ko) 2002-08-08 2003-07-30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22535B2 (ko)
EP (1) EP1388936B1 (ko)
JP (1) JP4209278B2 (ko)
KR (1) KR100991415B1 (ko)
CN (1) CN100581065C (ko)
DE (1) DE60332691D1 (ko)
FR (1) FR2843503B1 (ko)
MX (1) MXPA030066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4665B1 (en)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DE602005025261D1 (de) 2005-06-17 2011-01-20 Fujitsu Ltd Systeme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im Mehrstreckenkommunikationssystem
EP1734666A1 (en)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7B1 (en)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2041880B1 (en) * 2006-07-11 2011-02-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ceiver for receiving at least two types of signal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a receiver.
GB0619454D0 (en) 2006-10-02 2006-11-08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GB2443464A (en) 2006-11-06 2008-05-07 Fujitsu Ltd Signalling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s
GB2447883A (en) 2007-03-02 2008-10-01 Fujitsu Lt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447635A (en) * 2007-03-19 2008-09-24 Fujitsu Ltd Scheduling qos communications between nod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n wimax systems
US8682318B2 (en) * 2008-02-04 2014-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after applying back-off
US20100067364A1 (en) * 2008-09-12 2010-03-18 Francis Swarts Method and system for variance-based automatic gain control in ofdm systems
CN112213709B (zh) * 2020-10-17 2022-03-04 中国电波传播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二研究所) 一种基于相参脉冲串的仿机载数据分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491A (en) 1988-08-05 1991-04-30 Nec Corporation Preamable detection circuit for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5184349A (en) 1991-01-16 1993-02-02 Motorola, Inc. Amplitude control of a burst signal in a receiver
EP0869647A2 (en) 1997-04-01 1998-10-0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of multicarreir modulation with dynamically scalable operating parameters
US6363127B1 (en) 1999-06-23 2002-03-26 At&T Wireless Services, Inc.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OFDM receiv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226A (en) * 1975-07-23 1977-01-18 Codex Corporation QAM receiver having automatic adaptive equalizer
US5065395A (en) * 1990-04-09 1991-11-12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Rudimentary digital speech interpo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334219B1 (en) *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US5825771A (en) * 1994-11-10 1998-10-20 Vocaltec Ltd. Audio transceiver
US5749066A (en) * 1995-04-24 1998-05-05 Ericsson Messag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a neural network for phoneme recognition
JP3803149B2 (ja) * 1996-10-23 2006-08-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Ofdm受信機
EP1037303B1 (en) * 1999-03-12 2003-11-12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ransmitter antenna weights
US6791995B1 (en) * 2002-06-13 2004-09-14 Terayon Communications Systems, Inc. Multichannel, multimode DOCSIS headend re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491A (en) 1988-08-05 1991-04-30 Nec Corporation Preamable detection circuit for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5184349A (en) 1991-01-16 1993-02-02 Motorola, Inc. Amplitude control of a burst signal in a receiver
EP0869647A2 (en) 1997-04-01 1998-10-0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of multicarreir modulation with dynamically scalable operating parameters
US6363127B1 (en) 1999-06-23 2002-03-26 At&T Wireless Services, Inc.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OFDM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8936A2 (en) 2004-02-11
FR2843503B1 (fr) 2004-10-15
EP1388936B1 (en) 2010-05-26
DE60332691D1 (de) 2010-07-08
MXPA03006646A (es) 2004-12-03
US20040037232A1 (en) 2004-02-26
EP1388936A3 (en) 2005-09-07
US7522535B2 (en) 2009-04-21
CN1496015A (zh) 2004-05-12
JP2004072745A (ja) 2004-03-04
KR20040014227A (ko) 2004-02-14
FR2843503A1 (fr) 2004-02-13
JP4209278B2 (ja) 2009-01-14
CN100581065C (zh)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415B1 (ko) 버스트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기에 대한 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EP2127131A1 (en) Radio communications using scheduled power amplifier backoff
US2006014030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71626A (ko) 가변 다중 속도 통신 시스템용 고속 적응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A2425986C (en) Selectively activated agc signal measurement unit
US20020160801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EP1804414B1 (en) Gai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bursty data frame reception system
US712700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s comprising bursts modulated with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on radio communication channel
EP1861921B1 (en) A method to track analog gain step magnitudes online during operation of wireless mobile devices
US20030091123A1 (en) Method of clipping sig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riers transmitted by the same non-linear amplifier
US8761003B2 (en) Digital transmission method and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20030092462A1 (en) Method of optimizing the efficiency of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plurality of modulated carriers simultaneously
JP2010081015A (ja) 自動利得制御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ofdm受信装置および該方法
US76802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n RF amplifier lineariz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orporating same
US7593477B2 (en) Training sequence for linearizing an RF amplifier
JP4683507B2 (ja) 信号伝送チャネルのインパルス応答の評価方法および移動局
JP2002152174A (ja) Ofdm方式受信装置
JP3201598B2 (ja) 多方向時分割多重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88895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단말용 변조 장치의 시간오프셋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80032651A1 (en) Relay For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0492921B (zh) 一种发射信道功率自适应方法及自适应装置、发送装置
JP3792163B2 (ja) 無線通信装置
El-Arabawy et al. Reduced mobile complexity scheme for fast fading channel estimation in OFDM-F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1401119B1 (en) Uplink power adjustment for a point-to-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63180B2 (ja) ディジタル変調無線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