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14B1 -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 Google Patents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1414B1 KR100991414B1 KR1020090123073A KR20090123073A KR100991414B1 KR 100991414 B1 KR100991414 B1 KR 100991414B1 KR 1020090123073 A KR1020090123073 A KR 1020090123073A KR 20090123073 A KR20090123073 A KR 20090123073A KR 100991414 B1 KR100991414 B1 KR 100991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s
- shoe
- walking
- sole
- front bott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977 ja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cushioning body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9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21 bronchi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26 to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16 hear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832 should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35 urin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54196 Affect lab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496 Disturbance in atten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59 Dys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425 Pain in extrem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15 ascending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303 breathing proble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526 bru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34 cec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31 descending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64 rec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220 shortness of br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6 ure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7—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for car driving or rac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저부가 높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신발 갑피와; 신발 갑피 하부에 결합되고,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되며, 뒷저부는 앞저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밑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및 경보 등의 걷기운동이나, 장시간 좌업 또는 운전을 할 때 착지충격배제와 바른 앉는 자세유도 및 정확한 패달 밟기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 특히 인체반응에 부합되는 공학적 균형 신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high front bottom,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upper;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upper, the front bottom is formed high in the shape of an arch, the rear bottom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bottom;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lking exercise, such as walking and warning, or long time left-up or driving provides an effect such as landing shock exclusion and right sitting posture and accurate pedal step, and in particular, an engineering balance shoe structure to match the human respons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앞저부를 높게 하여 사용자가 발바닥의 전반부만으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앞저부가 높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having a high front bottom so that the user can walk on only the first half of the sole.
사회 각 분야의 발전과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눈부시게 성장해온 현시대는 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자신의 건강의 중요성이 고조되면서 신발분야에도 보행용, 등산용, 신체교정용, 특정운동용, 다이어트용, 기능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분화 발전되어 오고 있다. 특히, 등산용, 운동용 신발은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듭하였고, 새로운 소재와 구조의 신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resent age has grown remarkably, and the importance of one's health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xtension of lifespan, so that the shoes field is walking, climbing, body correction, specific exercise, diet, It has evolved into various fields such as functional use. In particular, mountaineering and athletic shoes have made remarkable developments, and new materials and structure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그러나 인체 구조적으로 고려해 볼 때, 지금의 모든 신발에서 몸무게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이 쿠션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발, 발목, 다리, 무릎관절, 대퇴부, 허리 등의 보행으로 인한 피로 누적과 통증 유발, 보행습관 및 신발구조가 문제가 되고 있다. However, considering the human body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act due to the weight of the load in all the current shoes is not solved only by the cushion. And foot, ankle, leg, knee joints, thighs, the accumulation of pain due to walking and pain, walking habits and shoe structure is a problem.
거의 모든 신발 밑창은 뒷굽이 높거나 바닥이 평면으로 되어 있고, 신발 후반부는 높고 전반부는 낮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평면이면서 전, 후반부의 두께가 같거나 후반부가 약간 높게 경사된 것들로 되어있다.Nearly all shoe soles have high heels or flat bottoms, high shoe rears, low fronts, flat, equal thicknesses in the front and rear, or slightly inclined rears.
이러한 구조의 신발들은 보행 시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되고, 다음에 신발 바닥, 최종적으로 신발 전반부 발가락 부분이 지면에 닿게 된다. 이로 인해, 보행충격이 발뒤꿈치 착지로 인해 일어나고, 다른 발로 이동되기 직전 보행측 발의 발가락에 체중의 하중이 모두 실려, 발가락 관절이 꺾이면서 보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시간 보행을 하게 되면 발과 다리에 중압감을 일으키고, 피로가 누적되며, 통증을 수반하게 되는 것을 인체 구조적 측면 특히 발의 위치별 기능을 신발 공학적으로 고려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분야에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Shoes of this type have a heel to land first when walking, and then the bottom of the shoe and finally the toe of the first part of the shoe touches the ground. Due to this, the walking shock occurs due to the heel landing,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is loaded on the toes of the walking side foot just before being moved to the other foot, and the toe joints are walking while being folded. Therefore, when walking for a long time,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body,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each position of the foot, which causes heavy pressure on the feet and legs, cumulative fatigue, and pain. It is also true tha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본 발명은 일반 신발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행으로 인한 피로도 누적현상 및 통증을 감소시키고, 척추교정효과 및 바른자세를 유지시키며, 걸음걸이와 호흡을 일치시켜 보행함으로써 유산소운동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는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ordinary shoes, aerobic exercise by reducing the cumulative fatigue and pain caused by walking, maintaining the spine correction effect and correct posture, and walking with walking and breathing It is to provide shoes with high front and bottom to achieve the eff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신발 갑피와; 상기 신발 갑피 하부에 결합되고,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되며, 뒷저부는 상기 앞저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밑창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상기 밑창부는, 상기 신발 갑피 하부에 결합되고, 발바닥 볼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인솔과; 상기 인솔 하부에 결합되고,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되며, 상부면에서 상기 인솔의 개구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요홈, 상기 제1 요홈 주위에 상기 제1 요홈보다 작은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요홈, 및 뒷부분 내부에 삽입되는 강철 보강체를 포함하는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 하부에서 상기 미드솔의 형태대로 결합되고, 저부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아웃솔;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Shoes having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hoe upper; 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upper, the front bottom is formed high in the shape of an arch, the rear bottom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addition, the sole portion of the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ol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upper, the insole includ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in the sole ball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the front bottom is formed high in the shape of an arch,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insole, the smaller than the first groove around the first groove A midsol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recesses formed and a steel reinforcement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And an outsole coupled to a shape of the midsole under the midso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상기 인솔은, 동박판, 쿠션체, 텍션 또는 동박판, 쿠션체, 피혁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And the insole of the high front bottom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pper plate, cushion body, texturing or copper plate, cushion body, lea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상기 개구 및 제1 및 제2 요홈에 삽입되는 자석 또는 옥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hoe having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gnet or jad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구두, 운동화, 단화, 슬리퍼, 실내화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에 특징이 있다.And shoes with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form of shoes, sneakers, shoes, slippers, slipp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전, 후, 좌, 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아웃솔의 하단면에서 장방향으로 U 자 형태인 것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to flow to the front, rear, left, righ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상기 인솔, 미드솔, 또는 아웃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And the high front bottom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sole, midsole, or outsole.
발바닥 형상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단부와 아치부가 위치하는 중앙부 및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후단부로 이루어진 발바닥 형상의 신발 밑창본체의 전단부와 중앙부를 연결하는 신발밑창 하단면을 높게 하여 아치 형태인 호형으로 구비하고, 후단부 뒷굽을 제거하여 낮춘 구조로 신발 중창을 구비하고 아웃솔 및 신발 갑피를 접합시켜서 형성된 신발에 상기 신발밑창 상단면에 별도, 구조로 구성된 인솔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제공한다.In the sole shape of the sole, the bottom of the sole that connects the front and center of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ole shape, which is composed of the front end of the toe, the center of the arch, and the rear end of the heel,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arc, provided with a shoe midsole with a lowered structure by removing the rear end heel and is formed by inserting a separate, insole structu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to a shoe formed by joining the outsole and the shoe upper. To provide high-heeled shoes.
그리고 상기 신발밑창 상단면 전단부와 중앙부가 연결되는 중간위치에 요홈을 다수개 형성시켜 구비하고, 별도구조로 구성된 인솔을 제작함에 있어서 구성소재로서는 동박판과 텍션, 피혁이나 쿠션체로 복합시켜서 구비된 소재를 발바닥 형상으로 재단하되 전단부와 중앙부가 연결되는 중간 위치에 요홈을 다수개 천공하여 구비한다. 이렇게 제작된 인솔을 상기 신발 밑창 상단면에 안착시키고 선로 대접되는 요홈의 인솔상면으로 조금 돌출되게 옥 또는 자석을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제공한다.And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hoe sole upper surface and the center portion, in the production of insoles composed of a separate structure as a composite material is provided by combining a copper plate and a texture, leather or cushioning body Cut the material into the shape of the sole, b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and the center are connected. The insole thus manufactured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the front bott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ied jade or magnet to be slightly protruded into the insole upper surface of the groove to be treated with the trac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밑창의 전반부 앞저부를 높게 하여 아치 형태인 호형으로 하고, 후단부 뒷굽을 제거하여 낮게 함으로써 발바닥 전반부만으로 보행가능하게 한다. 즉,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보행에서 착지되지 않게 함으로써, 발가락과 발, 발목, 다리, 무릎관절, 대퇴부, 허리, 척추, 뇌로 이어지는 착지충격의 영향을 회피하고, 피로 누적현상과 통증을 줄이며, 척추교정 및 바른 자세유지로 체형의 불균형을 해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oe having a high front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 shape in the shape of an arch by raising the front bottom of the front sole of the sole, and lowering by removing the rear heel of the sole so as to be able to walk with only the front sole of the sole. That is, by avoiding landing of the toes and heel in walking, it avoids the impact of landing impacts leading to the toes and feet, ankles, legs, knee joints, thighs, waist, spine and brain, reduces fatigue accumulation and pain, and reduces the spine. By correcting and maintaining the correct pos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or prevent the body imbalance.
그리고 경보 시에는 통증 없는 유산소 운동과 가속이 수반된 걷기운동을 제공하고, 장시간 좌업을 할 때는 안정되고 바른 자세유지와 시력을 잃지 않게 예방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pain-free aerobic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with acceleration when alerting, and provide a stable and correct posture and preventive measures without losing sight when doing long-term sit-ups.
또한, 운전 시에는 편안하고 정확한 패달 밟기와 예기치 않는 접촉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등 상기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종합적으로는 인체 반응에 부합하는 공학적 균형 신발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ile driving to maximize the above effects, such as providing a comfortable and accurate stepping on the pedals and to prepare for unexpected contact accidents,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an engineering balance sho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human response.
그리고 보조적 기능효과로서, 동박판에 의한 수맥에 의한 사기의 회피와 보행으로 인한 신발 내부에서 축적되는 열을 방열시켜 청량감을 부여하고, 옥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로 세균증식의 억제 및 지압효능, 자석에 의한 자기력 보강으로 혈액순환을 돕게 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supplementary functional effect, it avoids fraud due to the water vein caused by copper foil and dissipates heat accumulated inside the shoes due to walking, giving a refreshing feeling, and suppressing bacterial growth, acupressure effect, and magnetism by far-infrared radiation by jade. Magnetic force reinforcement by may provide an effect to help blood circula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 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일반신발 즉 구두, 운동화, 단화, 슬리퍼는 물론이고 특히 경보로 걷는 운동과 장시간 좌업을 하는 사람 및 자동차 운전 등에 기능적으로 사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저부가 높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eneral shoes, ie shoes, sneakers, shoes, slippers, as well as shoes with high front and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use, especially for walking exercise and long-time sit-ups and driving a car by alarm.
보행과 호흡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일반적인 평상 보행 또는 경보 등 걷기 운동을 할 때, 정지 상태에서는 발바닥의 전반부가 들려서 착지되고 발뒤꿈치에 체중이 걸리게 되나, 동적상태로 이동하는 순간 발가락과 발뒤꿈치 및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을 제외한 발바닥 전반부(이하 '전반부'라 칭한다)가 지면에 닿는 주부분이 되고 발가락과 발뒤꿈치는 지면에 닿지 않는 보행이 되므로 보행으로 인한 운동량이 자연스럽게 발바닥의 전반부에 집중되게 한 구조이다.When walking and breathing, such as walking or breathing with a constant walking and breathing, the first half of the sole is lifted and the weight is placed on the heel while moving, but the toes, heel, and sole of the foot move dynamically. The first half of the s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half') is the main part touching the ground, and the toes and heel are walking not touching the ground, so the amount of movement due to walking is naturally concentr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sole.
발바닥의 전반부는 인체지도에서 알 수 있듯이 어깨, 어깨관절, 위, 심장, 비장, 신장, 췌장, 간장, 담상, 수뇨관 등 인체 중요부위가 집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에 가장 중요한 폐와 기관지가 위치해 있어 발바닥 중에서 이곳의 운동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human body map, the first half of the sole of the foot is concentrated not only the important parts of the human body such as the shoulder, shoulder joint, stomach, heart, spleen, kidney, pancreas, liver, bed, urinary tract, but also the most important lung and bronchus. Because of the soles of the exercise here is very important.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간격과 호흡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평상보행 또는 경보로 걷기 운동을 하게 되면, 발바닥 전반부만으로 걷기가 가능하게 되고, 보행 시 체중이 보행진행방향으로 걸려 보행동작에 가속이 붙게 되어 경쾌하고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Wearing the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keeping the walking interval and breathing interval constant and walking walking in normal walking or alarming, it is possible to walk only in the front sole of the foot, when walking, the weight is caught in the walking progress direction and accelerated to the walking mo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vel lightly and at high speed.
이렇게 일정한 시간동안 평상보행 또는 경보로 걷기 운동을 하게 되면, 보행 과 호흡이 일치하게 되고 온몸에 산소공급이 충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들숨과 날숨의 반복운동이 편하게 되고 호흡량이 늘어나 에너지 균형 즉 걷기운동으로 인한 소비에너지와 생산에너지가 일치되어 피로감이 없는 운동이 될 수 있다.When walking exercise for walking or alarming for a certain time like this, walking and breathing are not only coincided with oxygen supply to the whole body, and repetitive movements of exhalation and exhalation are made easier and breathing volume is increased. The energy consumed and the energy produced can be matched to exercise without fatigue.
일반적인 신발로 장시간 보행하게 되면 몸의 피로도가 보행시간과 정비례하여 증가하는 이유는 발의 뒤꿈치와 발가락에 체중이 모두 걸리게 되어 있는 신발구조와 보행습관 때문이며, 발가락 및 발목, 다리, 무릎, 대퇴부, 골반, 허리, 척추 및 뇌에 통증과 몸의 무거움증을 유발하고 피로가 쉽게 쌓이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발바닥 전반부의 운동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발을 내디딜때는 발뒤꿈치가, 한걸음 옮길 때는 발가락이 지면에 착지되는 과정의 연속으로 보행하기 때문에 보행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과 다리에 피로가 쌓이고 무거워지면서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When walking with general shoes for a long time, the fatigue of the body increase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walking time because of the shoe structure and walking habits in which both the heel and toes of the weight are put on, and toes and ankles, legs, knees, thighs, pelvis, It causes pain and heaviness in the lower back, spine and brain, and fatigue easily accumulates.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exercise in the first half of the sole is relatively decreased, and when the foot is stepped, the heel is moved, and the toes are moved to the ground. Walking in the process of landing, so as the walking time passes, the feet and legs become tired and heavier and more painful.
사람의 보행동작을 발이 지면에 착지되는 순서에 따라서 자세히 살펴보면, 체중의 중심점 이동이 한발을 옮기는 동작에서 발뒤꿈치, 발바닥, 발가락 순으로 진행되는데 체중이 걸려 가장 피로가 많이 쌓이는 곳은 발가락이며 여기에 통증이 오면 발이 아프고, 그 다음은 발뒤꿈치이며 여기에 피로가 쌓이면 발목, 다리, 무릎, 대퇴부, 골반, 허리, 뇌에 통증과 몸의 무거움증이 나타나고, 발바닥 전반부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Looking closely at the walking motion of a person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foot lands on the ground,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of weight progresses from the movement of one foot to the heel, the sole, and the toe. Pain causes pain in the foot, followed by heel, and fatigue builds up in the ankles, legs, knees, thighs, pelvis, lower back, and the brain, resulting in pain and heaviness in the body, and the first half of the foot is relatively unaffected. .
보행동작에서 발바닥은 평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발목이 다리와 발의 관절 역할을 하고 발바닥과 다리는 직각상태에서 상, 하로 15도 이내의 동작범위를 가지고, 그리고 발바닥 전반부와 발가락사이의 관절은 위로 70도, 아래로 50도 이 내의 동작범위를 가지고 보행기능을 충족시키고 있다.In walking, the sole does not move flat, but the ankle serves as the joint of the leg and foot, and the sole and the leg have a range of motion within 15 degrees of up and down at right angles, and the joint between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toe is up 70 In addition, it has a range of operation within 50 degrees to satisfy the walking function.
지면 착지 시 몸의 자세와 발의 이동순간을 살펴보면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될 때 몸은 아래로 내려가고 발바닥 전반부가 착지될 때 몸은 위로 들려서 올라가고, 발가락 끝단이 착지되면서 다른 발이 이동준비를 하게 되고, 다른 발의 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됨과 동시에 선행 이동한 발은 지면에서 떨어져 보행의 한 단위가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position of the body and the moment of movement of the foot during landing, the body goes down when the heel lands on the ground, the body is lifted up when the first half of the foot lands, and the other foot is ready for movement as the toe tip lands. At the same time, the heel of the other foot lands on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pre-moved foot falls off the ground and constitutes a unit of walking.
일반적인 신발을 착용한 보행은 발뒤꿈치와 발가락 끝단에 전체의 체중을 실고, 진행되기 때문에 힘이 들며 오래 걷기 어렵다. 발목에서 가까운 발뒤꿈치는 정지 시에는 몸을 지지해 주는 중심역할을 하고 보행 시에는 체중의 하중이 작용하여 착지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이 발뒤꿈치, 발목, 다리, 무릎, 대퇴부, 골반, 허리, 척추, 뇌에 전달되는데 오래 걷게 되면 이 충격이 누적되어 피로가 쌓이고 통증이 나타나나 발목에서 거리가 먼 발바닥 전반부와 발가락은 착지충격이 없으면서 다만 체중을 싣고 보행의 중심역할을 할뿐이다.Walking with ordinary shoes puts the entire weight on the heel and toe tip, and it is difficult to walk long because of the progress. Heels close to the ankle serve as the center of support for the body when stationary, and the impact of landing upon the weight of the body when walking is the heel, ankle, leg, knee, thigh, pelvis, waist, spine, If you walk to the brain for a long time, the impact accumulates, fatigue accumulates, and pain appears, but the first half of the foot and the toes, which are far from the ankle, do not have a landing shock, but serve as the center of walking with weight.
뒷굽이 높은 신발은 다리와 발바닥의 각도를 둔각으로 만들어 보행 및 정지시 발바닥 전반부 및 특히 발가락에 몸의 하중을 집중시키게 되어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며, 뒷굽이 없는 평저 신발은 보행시 전반부와 발가락의 기동면적을 넓게 하므로 이 부분의 운동량은 늘어나나, 보행시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보행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소위 마사이 신발이라 하여 뒷굽을 낮추고 발바닥 중앙 오목한 부분을 받쳐주는 형태의 신발은 다이어트용이라 하여 보급 되고 있으나 이 신발의 초기 목적은 특수한 발형태를 가진 사람이나 특별한 경우에 의료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변용 사용되고 있는데, 이 신발은 보행시 발뒤꿈치와 발바닥 중앙 부분이 거의 동시에 착지되고 연이어 발가락 끝단이 착지되게 된 것으로서 뒷굽이 높은 신발에 비해 발뒤꿈치 착지로 인한 충격이 줄어들고 조금 유연스러운 부분이 있으며 발바닥 중앙부분의 운동량은 증가하나 한 보행단위마다 발가락에 체중의 하중이 걸려 발가락에 중압감을 주고 장시간 보행시 통증을 유발하는 결과는 일반 신발에서와 동일하다.Shoes with high heels make the angle between the legs and soles obtuse to focus the body's load on the soles of the soles and toes, especially when walking and stopping, which increases fatigue. Because of increasing the maneuvering area, the momentum of this part increases, but it acts as a factor that increases energy consumption and makes walking difficult. The so-called Masai shoes, which lower the heel and support the concave part of the sole of the foot, are spreading as a diet, but the initial purpose of this shoe is to have a person with a special foot shape or to develop a medical purpose in a special case. This shoe is used when the heel and the center of the foot are landed almost at the same time and the toe tip is landed in succession, which reduces the impact of the heel landing and is a little more flexible than the shoes with high heel. The amount of exercise increases, but the weight of the toe is increased on each walking unit, resulting in heavy pressure on the toe and causing pain when walking for a long time.
상기 인체지도에서 발바닥 중앙 부위는 수뇨관, 상행결장, 하행결장, 맹장, 직장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는 신체의 복부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발뒤꿈치는 생식기, 난소, 골반부, 슬관절, 좌골로 연결되어있고 이는 신체의 하복부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발가락은 눈, 귀, 뇌에 연결되어 있고 이는 신체의 머리에 해당하는 위치로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보통 사람들에게는 이곳의 운동량 증가가 꼭 필요한 부분은 아니라고 판단되어진다.The central part of the plantar foot is connected to the ureter, ascending colon, descending colon, cecum, and rectum, which corresponds to the abdomen of the body, and the heel is connected to the genitals, ovaries, pelvis, knee joint, and sciatic This position corresponds to the lower abdomen of the body, and the toes are connected to the eyes, ears, and brain, and this is the position of the head of the body. .
그러나 발바닥의 전반부는 어깨, 어깨관절, 위, 심장, 비장, 췌장, 간장, 담낭, 수뇨관, 폐, 기관지로 연결되어 있고 운동에 필수적인 호흡과 연관된 폐와 기관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곳의 운동량 증가는 호흡과 연계되어 보행으로 인한 인체 각 부분에 유산소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것으로 사료된다.However, because the first half of the sole is connected to the shoulders, shoulder joints, stomach, heart, spleen, pancreas, liver, gallbladder, urinary tract, lungs, and bronchus, the lungs and bronchus are connected to the respiratory system, which is essential for exercise. It is thought that the aerobic exercise effect is increased in each part of the human body due to walking.
여기서 본 발명은 발바닥 전반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발명하였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발창의 발바닥 전반부 위치를 높이고 뒷굽을 낮춰서 보행시 발바닥 전반부만 지면에 닿게 하였으며, 높이가 높은 발바닥 전반부의 신발창을 아치 형태로 하여 각 보행단위 마다 발뒤꿈치와 발가락이 지면 에 닿지 않고 발과 다리의 각도가 항상 직각내지는 예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 shoe having a high front bottom so that only the front sole of the sole can be used,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ole is touched to the ground during walking by raising the position of the sole of the sole and lowering the heel of the sole, and the height of the sole of the sole of the foot is high. The sole is arched so that the heel and toe do not touch the ground for each walking unit, so that the angle of the feet and legs is always perpendicular.
이는 보행 중 인체의 구조적 측면에서 둔각보다 예각이 편안하고 보행시 에너지 소비와 힘이 적게 들기 때문이며 유연한 보행을 돕기 위해서이다.This is because the acute angle is more comfortable than the obtuse angle in walking and less energy consumption and strength during walking.
앞저부가 높은 아치형 신발창을 만들어 완성된 신발을 착용하고 경보를 실시한 결과, 보행상태에서 발바닥과 신발바닥이 서로 이탈되지 않고 착용한 상태 그대로 일체가 되어 이동이 가능하였고 아치형 신발밑창의 자태에 따라 보행이 굴러서 되기 때문에 발바닥은 항상 다리와 예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고, 장시간 경보 후에도 일반신발에 비해 몸의 피로도가 월등히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발목, 다리, 무릎, 대퇴부, 골반, 허리, 척추, 뇌에 전달되는 착지충격이 없었고, 특히 보행간격과 호흡간격을 일치시켜 두걸음에 들숨, 또 두걸음에 날숨으로 하여 규칙적인 보행을 한 결과 온몸에 힘이 돌면서 가벼워지는 몸상태를 인지할 수 있었고 경보로 인한 피로, 호흡곤란, 다리통증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편안하고 경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발명하게 된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As a result, an arched sole of the front and a high sole was worn and alerted. As a result, the soles and the soles of the shoes were mov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ecause of the rolling, the sole can always keep the leg and acute, and even after a long warning, the fatigue of the body is much reduced compared to the normal shoes, and the landing is transmitted to the ankle, leg, knee, thigh, pelvis, waist, spine and brain. There was no shock, especially when the walking interval and breathing interval were matched, two steps of exhalation and two steps of exhalation resulted in regular walking. Shortness of breath, pain in the legs did not appear, and became comfortable and cheerful . To this end, the first object is to invent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다른 한편으로는 장시간 좌업을 하는 사람을 위해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적용하였다. 일반신발 즉 구두, 운동화, 단화 등 뒷굽이 높거나 신발밑창이 평저로 된 신발이나 슬리퍼를 착용하고 장시간 책상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람은 처음 앉을때 발의 착지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발과 다리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고 있어 쉽게 불편을 느끼며, 부지불식간에 발을 의자 아래로 당겨 넣으면서 편 안한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착지상태에 변화를 일으키고 더 편한 착지 위치를 찾기위해 발은 무의식상태에서 자주 움직이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high front bottom shoes were used for long time sit-ups.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sit at a desk for a long time while wearing regular shoes such as shoes, sneakers, shoes, or high heels, or flat soles or slippers, and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sit at the desk for the first time. Because the angle of the foot and the leg is obtuse, it makes it easy to feel uncomfortable, and unintentionally pulls the foot under the chair to make it comfortable and changes the landing state and the foot is unconscious to find a more comfortable landing position. Because it moves often.
세밀히 살펴보면 발은 앉은 자세에서 다리와 직각에서 예각을 이루기 위해 발을 의자 아래로 당기면서 발뒤꿈치는 들고 발가락은 지면에 닿는 형태가 되어 발바닥 전체가 편안히 착지한 상태를 취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발과 다리에 피로도가 쌓이게 되고 좌, 우 양발을 교차시켜 포개게 되고 앉는 자세가 흐트러지게 된다.If you look closely, your feet will be pulled down the chair to make an acute angle with your legs in a sitting position, your heel will be lifted, your toes will touch the ground, and you will not be able to comfortably rest your soles. As time passes, fatigue builds up in the feet and legs, crosses the left and right feet, and the sitting posture is disturbed.
특히 발을 의자 아래로 당겨 넣게 되면 허리가 움직여져서 상체를 뒤틀거나 앞으로 내밀게 되는데, 이때 눈은 전방의 업무도구 즉, 컴퓨터모니터 또는 문서, 도서 등과의 거리가 근접하게 되고 습관이 되면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앉는 자세의 균형을 깨뜨려 몸을 바른 자세에서 이탈시켜 허리와 등을 휘게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oot is pulled under the chair, the waist is moved and the upper body is twisted or pushed forward. At this time, the eyes are close to the work tools, such as computer monitors, documents, books, etc. It can also cause problems and balance your sitting position, causing you to bend your back and back out of your body position.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장시간 좌업을 하는 사람에게 편안한 착지와 바른 자세를 항상 유지하고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발명하게 된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It is a second object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invent shoes having a high front and bottom in order to always maintain a comfortable landing and a correct posture and provide a feeling of comfort to a person who works for a long time.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앞저부가 높게 된 신발은 처음 앉을 때 발의 착용상태 그대로 발바닥 전체가 들림이 없이 편안한 착지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간혹 발과 다리에 피로도를 느끼게 되면 착용한 그 상태에서 발가락을 움직여 주는 정도로 발과 다리의 중압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리와 발의 착지상태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기 때문에 허리가 움직여지지 않으므로 허리와 등이 굽혀지지 않고 눈이 전방의 업무도구와 일정한 거리를 항상 유지하게 되어 바르게 앉는 자세를 지속시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As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bottom is high, the shoes are kept in a comfortable landing state for a long time without lifting the entire sole as it is when the foot is first worn, and sometimes when the feet and legs feel fatigue, the toes are moved in the worn state. It can relieve the pressure on the feet and legs, and because the landing state of the legs and feet is at right or acute angle, the waist does not move, so the waist and back are not bent and the eyes are always kept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work tools in front. You can keep your body in balance by maintaining a good sitting position.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운전을 하는 사람을 위해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착용하였다. 일반신발 즉 구두, 운동화, 단화 등 뒷굽이 높거나 신발 밑창이 평저로 된 신발이나 슬리퍼를 착용하고 운전을 하는 사람은, 변속기어가 스틱이거나 오토이거나 패달을 밟게 되는데 장시간 운전의 경우 발을 편하게 하기 위해 통상 신는 신발 외에 운전 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신발을 두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때 별도의 신발은 슬리퍼이거나 뒷굽이 없는 평저신발로서 운동화나 단화가 대부분이며, 구두나 하이힐 등 뒷굽이 높은 신발을 착용할 경우도 있으나 어떠한 경우라도 일반신발을 착용하고 패달을 밟을 경우 발의 착지지점이 책상에 앉을 경우보다 10cm정도 앞으로 더 나가기 때문에 다리와 발의 각도가 더 큰 둔각을 이루며 이로인한 장시간 운전 시 발목과 다리의 통증이 심하고, 급정지 시 브레이크 패달이나 변속기어 패달을 밟을때는 다리와 발의 각도가 더 큰 둔각이 되어 패달밟기가 용이하지 않고, 패달을 밟는 동작 또한 신속하지 못해 예기치 않는 사고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소하고 운전하는 사람에게 패달을 편하게 밟게하고 발목 및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발명하게 된 것이 세 번째 목적이다.On the other hand, high front shoes were worn for motorists. People who drive with regular shoes, such as shoes, sneakers, or shoes with high heels or flat soles or slippers, are geared with sticks, autos, or pedals. It is common to put on separate shoes for use when driving in addition to shoes. At this time, the separate shoes are slippers or flat shoes without heel, and most of them are sneakers or shoes, and some shoes or high heels such as shoes may be worn. The legs and feet are more obtuse because they move forward 10cm more than when sitting at the desk, resulting in severe ankle and leg pain during long driving, and the angle of the feet and feet when stepping on the brake pedal or gearbox pedal during sudden stops. The larger obtuse angle makes it difficult to step on the pedals, and the pedaling movements are not quick enough to lead to unexpected accidents.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vent a shoe having a high front and botto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to allow the driver to comfortably step on the pedal and to drive the ankle and leg without difficulty.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앞저부가 높게 된 신발은 운전석에 있을 때 발의 착지 상태가 다리와 발이 직각 또는 예각상태를 유지하여 편하게 패달을 밟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패달을 밟을 때 높은 앞저부로 인해 일반신발과 비교하여 다리와 발 의 각도가 훨씬 작은 범위에서 작용하게 되고, 원하는 정도의 패달 밟기를 신속하고 확실히 할 수 있고, 발목과 다리에 그다지 무리를 주지 않고 운전할 수 있어 장시간 운전은 물론이고 평상 운전에도 운전자에게 유익한 운전 전용신발이 될 것이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shoes with a high front bottom are in a state where the landing of the foot is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hen the driver is in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foot can be comfortably stepped on, and when the pedal is stepped on, the general footwear is high due to the high bottom. Compared to, the foot and foot angles are operated in a much smaller range, it can be quickly and surely stepped on the pedals as desired, and it can be operated without too much pressure on the ankles and legs,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s well as for normal driving. It will be a profitable driving shoes for the dri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정지 및 보행완료 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인솔 사시도 및 확대 측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미드솔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아웃솔 저면도이다.Hereinafter,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a and Figure 3b is a side view when the stop and walking completion of the high front bottom sho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4a and Figure 4b is an insole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sid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s a midsole perspective and a sid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ront bottom of the shoe is a high sole bottom view.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은 신발 갑피(10)와 밑창부, 예컨대 인솔(in sole; 20), 미드솔(mid-sole; 30), 및 아웃솔(out sole; 40)로 구성된다.1 to 6, the
신발 갑피(10)는 가죽 또는 부드러운 합성재질 등으로 되어 대략적으로 발을 위에서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발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개구를 이룬다. 신발 갑피(10)는 발의 형상을 딴 기본적인 형태를 먼저 잡은 후에 인솔(20) 또는 일체형의 인솔(20), 미드솔(30), 및 아웃솔(40)에 부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이 운동화(100)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두(도 7의 200), 슬리퍼(도 8의 300), 단화, 실내화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밑창부는 신발 갑피(10) 하부에 결합되고,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되며, 뒷저부는 앞저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밑창부는 인솔(20), 미드솔(30), 및 아웃솔(40)을 포함한다.Shoe upper 10 is made of leather or soft synthetic material or the like, has a shape that roughly wraps the foot from above, and forms an opening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foot. The shoe upper 10 is first attached to the
The sole is coupled to the lower shoe upper 10, the front bottom is formed high in the shape of an arch, the rear bottom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bottom. The sole portion includes an
인솔(20)은 신발 갑피(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인솔(20)은 발바닥의 볼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개구(21)를 포함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솔(20)은 발바닥의 볼 부분에, 예컨대 세 개의 개구(21)가 형성된다. 개구(21)에는 도 5c를 참조한 하기되는 바와 같이, 미드솔(30)의 제1 요홈(31)에 삽입되는 자석 또는 옥(50)이 돌출된다. 인솔(20)은 동박판(22), 쿠션체(23), 텍션 또는 피혁(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드솔(30)은 인솔(20)의 하부에 결합된다. 미드솔(30)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형성하게 되고, 발과 다리의 각도를 직각내지는 예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미드솔(30)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치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은 모든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경보용, 장시간 좌업용, 운전용, 다이어트용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미드솔(30)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요홈(31) 및 제2 요홈(32)과 내부에 형성되는 강철 보강체(33)를 포함한다. 제1 요홈(31)은 미드솔(30)의 상부면에서 인솔(20)의 개구(21)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1 요홈(31)에는 자석 또는 옥(50)이 삽입되고, 자석 또는 옥(50)은 인솔(20)의 개구(21)를 통해 돌출된다. 제2 요홈(32)은 제1 요홈(31)의 주위에 형성되고, 제1 요홈(31)보다 작은 형태 로 형성된다. 제2 요홈(32)에도 제1 요홈(31)과 마찬가지로, 자석 또는 옥(50)이 삽입된다. 이 때, 제2 요홈(32)에 삽입되는 자석 또는 옥(50)은 제1 요홈(31)에 삽입되는 것보다 작은 크기이고, 인솔(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는 아니다. 이러한 자석 또는 옥(50)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 또는 자기력 발생 및 지압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강철 보강체(33)는 미드솔(30)의 뒷부분 내부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은 앞저부로만으로 걷도록 되어 있어, 발의 뒷꿈치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강철 보강체(33)가 미드솔(3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아웃솔(40)은 미드솔(30) 하부에에서 미드솔(30)의 형태대도 결합된다. 즉, 아웃솔(40)은 미드솔(30)의 앞저부가 아치 형태로 높게 형성되는 형태대로 결합된다. 아웃솔(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면에 복수 개의 돌기(41)가 형성된다. 돌기(41)는 아웃솔(40)의 앞부분은 물결무늬로, 발바닥의 볼 부분과 뒷부분에는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신고 보행 시, 착지력이 증강되고, 착지 부위별 지면 상태에 따른 저항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41)는 전, 후, 좌, 우로 유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사도가 있는 길을 보행 시, 체중의 쏠림 또는 미끄럼 현상 등이 완화되고, 발목 및 발가락 통증을 유발하지 않음으로써 안전한 보행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신고 정지할 때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는 보행 완료할 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시, 신발(100)의 앞부분에서 발바닥의 볼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과 뒷부분만 지면에 닿고, 그 외 부분은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완료 시, 발바닥의 볼 부분이 지면에 밀착되어 구르게 되므로 사용자가 신발(100)을 착용한 자태대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평면으로 된 일반 신발 밑창과 비교해 볼 때, 발가락 관절의 꺽임 현상이 없는 보행을 할 수 있고, 연속보행시에는 아치 형태인 호형의 앞저부만 지면에 닿게 되므로, 발가락과 발뒤꿈치는 연속보행에서 자유로워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3a is a side view showing when to stop wearing a high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착용하고 보행 시, 어느 경우에나 발가락 부분은 지면에 착지되지 않는 보행이 가능하고, 발뒤꿈치만 독립적으로 착지되지 않아 착지충격을 받지 않는 보행이 가능하다. 특히, 비탈진 내리막길에서는 앞저부가 높은 형태로 인해, 약 10도가 들리게 되므로 내리막길 경사각도 10도까지는 평지를 걷는 것과 같은 상태이고, 경사각도 25도 까지는 일반 구두를 착용하고 평지를 보행하는 정도와 비슷하므로, 급경사길 보행을 평지와 같이 안전하고 편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when walking with high
그리고 경보 등 빠른 걸음으로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도 앞저부의 호형 부분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고, 경보를 시작하게 되면 가속이 붙어 빠른 주행이 가능하다. 보행 걸음수를 들숨과 날숨에 일치시켜 장시간 주행하게 되면 유산소 운동이 충분히 되고, 온 몸에 에너지가 차오르는 느낌을 받게 되며, 숨이 차지 않고, 호흡곤란현상이 없으며, 근육 뭉침 현상이 없고, 피로도 누적현상 및 통증유발이 없는 등 인체에 유익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경보 운동만으로도 체내지방 소비의 촉진을 가능하게 하여, 균형적 체형유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다이어트 운 동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장시간 경보 후 맨손체조 등 간단한 동작을 통해 몸 풀기도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walking exercise with a quick step such as an alarm can be moved by using the arc part of the front bottom, and when the alarm is triggered,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fast running. When you walk for a long time with inspiration and exhalation, you will have enough aerobic exercise, feel energy filling up all over your body, no breathing, no breathing problems, no muscle clumping, and no fatigue It has a beneficial positive effect on the human body such as no symptoms and no pa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fat in the body only by the alarm exercise, which can also contribute to the diet movement that can provide a balanced body shape, and to easily loosen the body through simple movement such as bare hand gymnastics after a long time alarm. have.
또한, 일반 신발을 신고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경우, 앉아있는 자태가 뒷굽으로 인해 다리와 발의 각도가 직각에서 10도에서 15도 정도 아래편으로 둔각 상태로 착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은 발의 착지 자태가 상방으로 10도 정도 들려 직각내지는 예각으로 된다. 일반 신발, 예컨대 구두를 착용할 경우에 비해 20도에서 25도, 운동화 및 단화를 착용한 경우에 비해서도 15도에서 20도의 각도로 발바닥 앞부분이 들어 올려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you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while working or studying in normal shoes, your sitting position will be at an angle of 10 degrees to 15 degrees from right angle to the lower angle because of your heel.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앉는 자세에서 다리와 발의 착지각도를 직각내지는 예각의 자태로 앉게 하는 구조로 되므로, 허리를 움직이지 않고 장시간 안정된 바른 자세를 지속시킬 수 있고, 업무 및 공부 도구인 컴퓨터 모니터, 책, 노트 등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 도구에 근접하게 되어 발생되는 시력 장애 및 손상 위험을 피할 수 있고, 특히 장시간 좌업 시 수반하는 발과 다리, 허리, 척추, 어깨, 목 및 눈에 누적되는 피로현상과 통증발현 등으로 온몸 뒤틀기, 발과 다리의 빈번한 위치이동, 목 젖히기, 허리 두드리기, 눈 비비기 등 불안정한 몸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추스리는 행동,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불안정 현상,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문제들은 맨발 또는 일반신발을 착용하고 의자에 앉게 되면 자동적으로 발과 다리의 착지각도가 둔각을 이루는 불안정한 착지자세에서 기인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와 같은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착용하는 것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서 좌업하는 동안 착지자태가 안정되고, 안락하고, 바른 자세를 지킬 수 있고, 집중력을 증가시키고, 피로도 누적현상및 통증 발현이 거의 없고, 인체 반응과 체형의 균형 유지에 부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botto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of allowing the sitting angle to sit at the acute angle of the leg and the foot in a sitting position by simply wearing the
그리고 일반 신발을 신고 운전을 하는 경우, 의자에 앉아서 좌업을 할 경우에서 보다 착지각도가 더 큰 둔각을 이루는 자태가 되고, 패달 밟기 각도가 둔각에서 시작되어 더 큰 둔각이 되기 때문에 발목 꺾임이 크게 되며, 운전 시 계속되는 패달 밟기로 인해 발목에 무리가 가게 되어, 장시간 운전 시 피로 누적현상은 급격히 고조되고 몸에 멍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100)을 착용하고 운전 시, 패달을 밟거나 밟지 않는 것에 상관없이, 직각 또는 예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패달 밟기를 할 경우에는 직각 내지 예각에서 시작되어 둔각으로 되나 발목꺾임이 일반신발에 비교해 10도가 적게 되어 10도 만큼 적게 꺾이면서 패달 밟기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달 밟기 능력을 10도 각도만큼 여유를 부여할 수 있고, 패달을 밟지 않는 동안에도 발목꺾임이 10도가 적게 되므로 장기간 운전 시 앉는 자세가 안정되며, 발목에 무리가 적게 가고, 정확한 패달 밟기를 할 수 있고, 패달 밟는 힘이 적게 들며, 이상 증상이 감소되어 쾌적하고 안락한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다.And when driving in general shoes, the landing angle becomes a larger obtuse angle than when sitting on a chair and sitting on the chair, and the angle of the ankle is increased because the pedal step starts at the obtuse angle and becomes a larger obtuse angle. In addition, the pedaling of the foot due to the continuous driving while driving, the fatigu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driving rapidly rises, and sometimes the appearance of a bruise on the body. When driving with high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shoes having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front bottom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a high front bottom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정지 및 보행완료 시 측면도이다.Figure 3a and Figure 3b is a side view at the completion of the stop and walking of the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인솔 사시도 및 확대 측면도이다.4a and 4b is an insole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sid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미드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Figures 5a to 5c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idsole of the high front bottom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아웃솔 저면도이다.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outsole of the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저부가 높은 신발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high front bott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200, 300; 앞저부가 높은 신발 10; 신발 갑피100, 200, 300; Shoes with high front and bottom 10; Shoe upper
20; 인솔 21; 개구20;
22; 동박판 23; 쿠션체22;
24; 텍션/피혁 30; 미드솔24; Text /
31; 제1 요홈 32; 제2 요홈31;
33; 강철 보강체 40; 아웃솔33;
41; 돌기 50; 자석/옥41;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073A KR100991414B1 (en) | 2009-12-11 | 2009-12-11 |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
PCT/KR2010/008371 WO2011071260A2 (en) | 2009-12-11 | 2010-11-25 | Shoe wherein front bottom portion is hig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073A KR100991414B1 (en) | 2009-12-11 | 2009-12-11 |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1414B1 true KR100991414B1 (en) | 2010-11-02 |
Family
ID=434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3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414B1 (en) | 2009-12-11 | 2009-12-11 |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1414B1 (en) |
WO (1) | WO2011071260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0136B1 (en) | 2020-02-25 | 2020-06-08 | 김학수 | Shoe soles and shoes with high front he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85312A1 (en) * | 2012-06-13 | 2013-12-19 | Guo Zhengfang | Jewelry magnetic sho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481Y1 (en) | 2004-08-04 | 2004-12-31 | 김종식 | Footwear |
KR200410363Y1 (en) * | 2005-12-17 | 2006-03-08 | 양재규 | Forefoot Shoe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2596A (en) * | 1989-07-10 | 1991-05-07 | Schiller Joan E | Shoe |
IT1283052B1 (en) * | 1996-05-22 | 1998-04-07 | Brue S P A | SOLE-INSOLE SET, BREATHABLE IN A SINGLE DIRECTION, FOR FORCED AREA SHOES |
KR200299651Y1 (en) * | 2002-03-22 | 2003-01-06 | 고진석 | Sole |
US20040078996A1 (en) * | 2002-10-11 | 2004-04-29 | Jeffrey S. Brooks, Inc. |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
KR100825431B1 (en) * | 2007-12-13 | 2008-04-25 | (주)알와이엔코리아 | Through-tunnel midsole structure of professional shoes for Masai walking |
-
2009
- 2009-12-11 KR KR1020090123073A patent/KR1009914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11-25 WO PCT/KR2010/008371 patent/WO2011071260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481Y1 (en) | 2004-08-04 | 2004-12-31 | 김종식 | Footwear |
KR200410363Y1 (en) * | 2005-12-17 | 2006-03-08 | 양재규 | Forefoot Sho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0136B1 (en) | 2020-02-25 | 2020-06-08 | 김학수 | Shoe soles and shoes with high front heel |
KR20210108286A (en) | 2020-02-25 | 2021-09-02 | 김학수 | Shoe soles and shoes with high front h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71260A3 (en) | 2011-11-03 |
WO2011071260A2 (en) | 2011-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41647A (en) | ACU-pressure massaging insoles | |
KR100966709B1 (en) | Outsole and shoes with it | |
JP3027143B2 (en) | Health promotion footwear | |
KR100960562B1 (en)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
JP2010094480A (en) | Footwear | |
CN100430003C (en) | a fitness shoe | |
KR100991414B1 (en) | Shoe having high front bottom side | |
US20090049713A1 (en) | Functional footwear | |
WO2019047451A1 (en) | Shoe for diabetes rehabilitation | |
WO2019047453A1 (en) | Negative heel shoe having special sole pattern | |
JP2009533132A (en) | Functional footwear | |
JP3150974U (en) | shoes | |
JP3195381U (en) | Sandal board and sandals | |
WO2019047452A1 (en) | Negative heel fitness shoe | |
WO2022188529A1 (en) | Negative heel fitness shoes | |
CN113367442A (en) | Body-building sports shoes with negative heel | |
KR102120136B1 (en) | Shoe soles and shoes with high front heel | |
CN204812332U (en) | Multi -functional playshoes with temper tip of foot heel and balanced capacity | |
KR101263614B1 (en) | Shoes | |
CN111671199A (en) | negative heel fitness sneakers | |
JP3211541U (en) | footwear | |
JP6721995B2 (en) | Method for training strength and footwear used therefor | |
JP2005169053A (en) | Footwear | |
WO2020181901A1 (en) | Negative-heeled fitness shoes | |
CN209950493U (en) | Light orthopedic waist-protecting massage sh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