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874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비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비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8874B1 KR100988874B1 KR1020080046103A KR20080046103A KR100988874B1 KR 100988874 B1 KR100988874 B1 KR 100988874B1 KR 1020080046103 A KR1020080046103 A KR 1020080046103A KR 20080046103 A KR20080046103 A KR 20080046103A KR 100988874 B1 KR100988874 B1 KR 100988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 sequence number
- avoidance
- sequence
- p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2)
-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모듈연산을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터미널은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Duplicate Avoidance and Reordering Function)을 지원하며, 상기 방법은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을 구축하는 단계와;상기 수신터미널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모듈 기본값을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및 상기 수신버퍼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수신윈도우 크기 +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 중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지원하며, 모듈연산을 정확하게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함으로써 잘못된 비교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상기 통신장치는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 및상기 통신장치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포함하되,상기 프로그램코드는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을 구축하는 단계;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모듈 기본값을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및 상기 수신버퍼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고,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수신윈도우 크기 +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모듈연산을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터미널은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방법은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사용할 때,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저장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저장윈도우 크기 +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 중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지원하며, 모듈연산을 정확하게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함으로써 잘못된 비교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상기 통신장치는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상기 프로그램코드는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사용할 때,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저장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저장윈도우 크기 +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모듈연산을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터미널은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Duplicate Avoidance and Reordering Function) 및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방법은수신터미널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제공하는 단계; 및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 및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수신버퍼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패킷 시퀀스넘버에 설정값을 더하여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 중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및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지원하며, 모듈연산을 정확하게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함으로써 잘못된 비교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상기 통신장치는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 및수신터미널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포함하되,상기 프로그램코드는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 및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수신버퍼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패킷 시퀀스넘버에 설정값을 더하여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모듈연산을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터미널은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및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Duplicate Avoidance and Reordering Function)을 지원하며, 상기 방법은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을 구축하는 단계와;상기 수신터미널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와;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모듈 기본값을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및 상기 수신버퍼에게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사용할 때,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 및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수신버퍼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패킷 시퀀스넘버에 제1 설정값을 더하여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 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수신윈도우 크기 + 제2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저장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저장윈도우 크기 + 제2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 중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에서 조작되면서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및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지원하며, 모듈연산을 정확하게 이용하여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 비교함으로써 잘못된 비교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상기 통신장치는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 및수신터미널이 수신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버퍼를 포함하되,상기 프로그램코드는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을 구축하는 단계;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모듈 기본값을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및 상기 수신버퍼에게 제공하는 단계;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을 사용할 때,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를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및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기능 및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이 모두 비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수신버퍼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패킷 시퀀스넘버에 제1 설정값을 더하여 상기 모듈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중복회피 및 재정렬유닛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수신윈도우 크기 + 제2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 치.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 결정은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 중 이미 수신된 최대 패킷 시퀀스넘버에 대응되는 상태변수 및 상기 저장윈도우의 크기를 근거로, 상기 저장윈도우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윈도우 범위의 최소 시퀀스넘버는 (상태변수 - 저장윈도우 크기 + 제2 설정값)으로 연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외 패킷 전송기능은 시퀀스외 서비스데이터유닛 전송기능(Out of Sequence SDU Deliv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93870707P | 2007-05-18 | 2007-05-18 | |
US60/938,707 | 2007-05-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1808A KR20080101808A (ko) | 2008-11-21 |
KR100988874B1 true KR100988874B1 (ko) | 2010-10-20 |
Family
ID=4002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6103A KR100988874B1 (ko) | 2007-05-18 | 2008-05-19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비교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159965B2 (ko) |
KR (1) | KR100988874B1 (ko) |
TW (1) | TWI40548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19630B2 (en) | 2019-10-02 | 2025-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of-order delivery for PDCP layer in wireless D2D communic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205B1 (ko) * | 2008-08-21 | 2016-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유발 방법 및 수신기 |
KR100917832B1 (ko) | 2008-09-19 | 2009-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시간 정렬 타이머를 고려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
KR100972166B1 (ko) * | 2008-10-13 | 2010-07-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데이터유닛 순서정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
US8743763B2 (en) * | 2010-07-23 | 2014-06-03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device dormancy |
US9510285B2 (en) | 2010-07-23 | 2016-11-29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device dormancy |
CN103840927B (zh) * | 2012-11-23 | 2017-09-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据传输的方法和相关设备 |
CN110506436B (zh) | 2017-04-14 | 2023-11-14 | 富士通株式会社 |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方法及无线通信系统 |
WO2021142764A1 (en) * | 2020-01-17 | 2021-07-22 | Qualcomm Incorporated | Avoiding erroneous discardment of downlink data in an unacknowledged mode (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3385A1 (en) | 2002-05-06 | 2003-12-04 | Jiang Sam Shiaw-Shiang | Abnormal case handling for 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and un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
KR20040040710A (ko) * | 2002-11-07 | 2004-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따르는 수신기에서의 알엘씨데이터 수신 윈도우 처리 방법 |
WO2005117317A1 (en) * | 2004-04-19 | 2005-12-08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um rlc data handling |
US20060221833A1 (en) * | 2005-04-05 | 2006-10-05 | Sam Shiaw-Shiang Jiang |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Size of a Receiving Window in a Communications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1899A (en) * | 1991-02-11 | 1992-09-29 |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 Tracking sequence numbers in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
WO1998048528A1 (en) * | 1997-04-24 | 1998-10-29 |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WO2000045550A2 (fr) * | 1999-01-27 | 2000-08-03 | France Telecom | Procede destine a prouver l'authenticite d'une entite ou l'integrite d'un message au moyen d'un exposant public egal a une puissance de deux |
CN1855887A (zh) * | 2005-04-29 | 2006-11-01 |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 在接收端中减少数据串流前后跳动的方法及其相关装置 |
TWI310911B (en) * | 2005-09-29 | 2009-06-11 | Innovative Sonic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storage window in a periodic packet re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operated in unacknowledged mode |
-
2008
- 2008-05-16 US US12/121,797 patent/US8159965B2/en active Active
- 2008-05-16 TW TW097118161A patent/TWI40548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5-19 KR KR1020080046103A patent/KR1009888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3385A1 (en) | 2002-05-06 | 2003-12-04 | Jiang Sam Shiaw-Shiang | Abnormal case handling for 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and un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
KR20040040710A (ko) * | 2002-11-07 | 2004-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따르는 수신기에서의 알엘씨데이터 수신 윈도우 처리 방법 |
WO2005117317A1 (en) * | 2004-04-19 | 2005-12-08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um rlc data handling |
US20060221833A1 (en) * | 2005-04-05 | 2006-10-05 | Sam Shiaw-Shiang Jiang |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Size of a Receiving Window in a Communications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19630B2 (en) | 2019-10-02 | 2025-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of-order delivery for PDCP layer in wireless D2D commun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47718A (en) | 2008-12-01 |
TWI405481B (zh) | 2013-08-11 |
KR20080101808A (ko) | 2008-11-21 |
US20080285493A1 (en) | 2008-11-20 |
US8159965B2 (en) | 2012-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8874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태변수 또는 패킷 시퀀스넘버를비교하는 방법 및 장치 | |
US80234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UM RLC data handling | |
US8699361B2 (en) | Out-of-synchronization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0940839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헤더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RU2372732C2 (ru) | Исправление ошибок в данных услуги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многоадрес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 |
KR100972405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기능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 |
CA2795071C (en) | Method to control multiple radio access bearers in a wireless device | |
TW507432B (en) |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nd balancing the bit rates of transport channels to the bit rate of a physical channel | |
JP2014220840A (ja) | マルチキャスト通信またはブロードキャスト通信において拡張したファイル配信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 |
AU2005253495A1 (en) |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protocol data unit having processing time information | |
RU2701523C1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передачах в режиме без соединения | |
JP2005006320A (ja)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無線通信局、およびデータ・パケットを送信する方法 | |
CN110574321A (zh) | 数据传输方法及传输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
US852052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storage window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CN100583805C (zh) | 在使用共同混合自动请求重发过程的情况下数据包的传输方法和装置 | |
KR100927980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삭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0947530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 |
KR101158912B1 (ko) | Hsdpa시스템에서 윈도우를 이용한 교착회피 방법 | |
US799551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nits of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ohnson et al. | US MIL-STD-188-141B appendix C-a unified 3rd generation HF messaging protocol | |
US793327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IP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type-of-service identifier | |
JP2009135931A (ja) | 最大受信状態変数を設定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 |
US2006007792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LLC packet data of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CN112261673A (zh) | 环回测试的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