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8682B1 - 트리거코일 - Google Patents

트리거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682B1
KR100988682B1 KR1020100019264A KR20100019264A KR100988682B1 KR 100988682 B1 KR100988682 B1 KR 100988682B1 KR 1020100019264 A KR1020100019264 A KR 1020100019264A KR 20100019264 A KR20100019264 A KR 20100019264A KR 100988682 B1 KR100988682 B1 KR 10098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obbin
core
trigger coil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김수민
배용환
강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to KR102010001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6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3/0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용 트리거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보빈의 상부의 중심에는 코어삽입홈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권선핀과 SMD핀이 몸체와 일체로 구비되며 가운데에는 권선이 권취되는 권선부가 구비되고, 가운데에 보빈상부가 삽입되도록 통공된 캡이 구비되어 보빈과 결합하며, 보빈상부의 중심에 구비된 코어삽입홈에는 누설자속을 모아주는 코어가 삽입된 수직형 트리거코일을 구비하여,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한 5㎸까지의 대용량 트랜스포머에도 적용할 수 있고, 가운데에 코일을 삽입시켜 트리거코일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방지하여 PCB에 SMD된 다른 전자부품에 간섭을 차단하며 오동작을 방지하는 수직형 트리거코일의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트리거코일{TRIGGER COIL}
본 발명은 모바일용 트리거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스트로보용 고전압 트리거 펄스를 만들어서 플래시램프(FLASHLAMP)를 이온화하여 램프를 통해 플래시 스트랜지 콘덴서(FLASH STORAGE CAPACTIOR)에 방전되면서 빛을 만들게 하는 트리거코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리거코일은 일본공개특허 2003-332157호(도 1 참조)로서, 막대모양의 코어(11)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11)의 양측에는 코어(11)와 고정되는 보빈(12)이 구비되며, 상기 보빈(12)에는 인서트핀이 삽입되어 PCB기판에 SMD 결합되는 단자부(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보빈(12)의 측면에는 권선 권취 처리단자인 보조핀(18)이 구비되어 있고, 단자(16a ~ 16d)로 권선을 권취하여 코어(11)에 권선을 감아서 1차코일을 형성하고, 코일(21)은 2차코일이 구비된 종래 트리거코일은 보빈(12)에 권선을 결선하여 코어(11)를 삽입한 구조로서, 코어(11)의 단면적이 보빈(12)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출력전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에 비례하여 권선을 많이 감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당연히 트리거코일의 크기가 커야하는 문제점도 있었고, PCB 기판과 SMD 결합되는 단자부를 잡아주는 보빈(12)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578040호(도 2 참조)로서, 코어(101)의 우측에는 제1권취부(105) 및 도금부(109)를 갖춘 제1접합부(113)로 구성된 입력부(102)와, 제2권취부(106) 및 도금부(109)를 갖춘 제2접합부(114)로 구성된 GR부(103)를 구비하고, 코어(101)의 좌측에는 제3권취부(107) 및 도금부(109)를 갖춘 제3접합부(115)로 구성된 출력부(104)를 구비하고, 코어(101)의 좌·우측의 상부에 각각 권선가이드부(108)와 권선이탈방지부(1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코일을 구비하여, PCB 기판과 SMD 결합 시에 필요했던 보빈을 없애고, 트리거 코일의 접합부에 도금부를 형성하여 트리거코일의 코어와 PCB 기판을 직접 SMD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빈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와, 보빈이 없으므로 크기가 작아지며 코어의 단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을 많이 감지 않더라도 출력전압을 높일 수 있고, 권선 소요량이 줄어들며, 그 결과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며,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므로 용이한 회로설계가 가능한 트리거코일의 구성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3.8V를 310V로 승압하는 트랜스포머에 적용되는 일자형 트리거코일로서, 저용량의 트랜스포머에서는 사용가능하지만 최근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5㎸까지의 대용량 트랜스포머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길이가 긴 형태의 일자형 트리거코일은 누설자속의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PCB에 SMD(표면 실장 소자)된 다른 전자부품에 간섭을 발생하여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자형 트리거코일이 아닌 수직형 트리거코일을 구비하여,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한 5㎸까지의 대용량 트랜스포머에도 적용할 수 있고, 가운데에 코일을 삽입시켜 트리거코일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방지하여 PCB에 SMD된 다른 전자부품에 간섭을 차단하며 오동작을 방지하는 수직형 트리거코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형 트리거코일을 구비하여, 5㎸까지의 대용량 트랜스포머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와, 트리거코일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방지하여 다른 전자부품에 간섭을 차단하며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트리거코일의 구성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 트리거코일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보빈에 대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캡과 보빈의 결합부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조립순서도
본 발명은 모바일용 트리거코일에 관한 것으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보빈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캡과 보빈의 결합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조립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트리거코일(200)은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구형 보빈의 상부(226)에는 코어삽입홈(221)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권선핀(223)과 SMD핀(224)이 구비되며 양 측면에는 결합홈(222)이 구비되며 장구형 보빈의 가운데에는 권선이 감겨지는 권선부(225)로 구비된 보빈(220)과, 캡(210)의 하부에는 보빈(220)의 결합홈(222)과 조립하는 결합돌기(211)가 양 측면에 구비되고 가운데에는 보빈상부(226)가 삽입되도록 통공이 구비된 캡(210)과, 보빈(220) 상부(226)의 중심에 구비된 코어삽입홈(221)에 삽입되어 누설자속을 모아주는 코어(230)로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빈(220)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b')는 b)의 단면도이고 c)는 저면도이며 d)와 d')는 사시도인데, 장구형 보빈의 상부(226)에는 코어삽입홈(221)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사출로 보빈(220)에 일체화된 권선핀(223)과 SMD핀(224)이 구비되며 양 측면에는 결합홈(222)이 구비되며 장구형 보빈의 가운데에는 권선이 감겨지는 권선부(225)로 구비된 보빈(220)에 있어서, 코어삽입홈(221)에 코어(230)를 삽입하되 코어(230)의 하단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코어삽입홈(221)에 삽입한 후 건조하면 보빈(220)과 코어(230)가 결합되는 구성이고, 보빈(220)의 하부에는 사출금형으로 보빈(220)과 일체화된 권선핀(223)과 SMD핀(224)이 구비되는데, 권선핀(223)에 먼저 2차 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후 보빈(220)의 가운데에 구비된 권선부(225)에 권취한 후 2차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권선부에 1차 와이어를 권취하여 권선핀(223)에 감으면 권선의 권취가 완료되며, 권선핀(223)과 연결되어 보빈(220)의 하부에 구비된 SMD핀(224)을 PCB에 표면실장하면 조립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캡(210)과 보빈(220)을 조립한 후 1차권선과 2차권선을 권취하면 자동으로 캡(210)과 보빈(220)이 결합하지만 이를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캡이고 b)는 보빈인데, 보빈(220)의 하부에는 양 측면에 구비된 결합홈(222)에 조립하는 캡(210)의 결합돌기(211)를 양 측면에 구비하였는데, 결합홈(222)에 돌출된 결합돌기(211)가 걸리게 되어 캡(210)과 보빈(220)이 기계적으로 단단하게 결합조립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 트리거코일의 조립순서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① 보빈(220)의 권선핀(223)에 2차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후 보빈(220)의 가운데에 구비된 권선부(225)에 권취하면 2차고압단 권선의 권취가 완료되고, ② 보빈(220)의 권선부(225)에 2차고압단 와이어가 권취된 상부에 1차 와이어를 권취한 후 권선핀(223)에 감으면 1차 권선의 권취가 완료되며, ③ 보빈(220) 하부의 권선핀(223)에 2차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후 권선부(225)에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지나가는 홈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절연시키며 또 한 권선부(225)의 이외의 보빈(220)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캡(210)을 상부에서 결합시킬 때 실리콘에 의하여 서로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④ 보빈(220)에 권선을 권취한 후 캡(210)을 결합시킨 후 보빈(220) 상부(226)의 중심에 코어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의 코어삽입홈(221)에 코어(230)의 하부 즉 코어삽입홈(221)의 중심부 아래쪽으로 삽입되는 부분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삽입하면 건조되는 과정에서 보빈(220)에 코어(230)가 단단하게 결합하며, ⑤ 보빈(220)에 캡(210)과 코어(2302)가 조립된 후 캡(210)의 통공부에 삽입된 보빈(220)의 상부 사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캡과 보빈의 결합을 더욱 단단하게 고정한다.
그 후 결합완료된 트리거코일(200)의 보빈(220) 하부에 사출금형으로 보빈과 권선핀(223)에 일체로 연결 구비된 SMD핀(224)을 PCB에 표면실장하면 PCB에 크리거코일(200)이 조립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보빈(220) 상부(226)의 중심에 구비된 코어삽입홈(221)에 삽입하되 코어(230)의 하단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코어삽입홈(221)에 삽입한 후 건조하면 보빈(220)과 코어(230)가 접속결합되어 트리거코일(200)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코어(230)가 모아줌으로써, 누설자속의 발생이 최소화되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PCB에 SMD된 다른 전자부품에 간섭을 차단하며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한 5㎸까지의 대용량 트랜스포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바일용 트리거코일의 구성을 제공한다.
200. 트리거코일 210. 캡
211. 결합돌기 220. 보빈
221. 코어삽입홈 222. 결합홈
223. 권선핀 224. SMD핀
225. 권선부 226. 보빈상부
230. 코어

Claims (3)

  1. 상부(226)의 중심부에는 코어삽입홈(2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권선핀(223)과 SMD핀(224)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가운데에는 권선이 권취되는 권선부(225)로 구성된 보빈(220)과 가운데에 보빈 상부가 삽입되도록 통공된 캡(210)이 구비되어 보빈과 캡이 결합하는 트리거코일(200)에 있어서,
    보빈(220) 상부(226)의 중심에 구비된 코어삽입홈(221)에는 누설자속을 모아주는 코어(2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코일.
  2. 삭제
  3. 트리거코일(200)에 있어서,
    보빈(220)의 권선핀(223)에 2차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후 보빈의 가운데에 구비된 권선부(225)에 권취하여 2차고압단 권선을 권취하는 단계;
    보빈(220)의 권선부(225)에 2차고압단 와이어가 권취된 상부에 1차 와이어를 권취한 후 권선핀(223)에 감아서 1차 권선을 권취하는 단계;
    보빈(220) 하부의 권선핀(223)에 2차고압단 와이어를 감은 후 권선부(225)에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지나가는 홈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절연시키며 또한 권선부(225)의 이외의 보빈(220)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캡(210)을 상부에서 결합시킬 때 실리콘에 의하여 서로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
    보빈(220)에 권선을 권취한 후 캡(210)을 결합시킨 후 보빈상부(226)의 중심에 코어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의 코어삽입홈(221)의 아래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삽입하면 건조하여 결합하는 단계;
    보빈(220)에 캡(210)과 코어(230)가 조립된 후 캡의 통공부에 삽입된 보빈의 상부 사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건조하여 캡과 보빈을 결합하는 단계; 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코일.
KR1020100019264A 2010-03-04 2010-03-04 트리거코일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64A KR100988682B1 (ko) 2010-03-04 2010-03-04 트리거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64A KR100988682B1 (ko) 2010-03-04 2010-03-04 트리거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682B1 true KR100988682B1 (ko) 2010-10-18

Family

ID=4313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682B1 (ko) 2010-03-04 2010-03-04 트리거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6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47A (ko) * 1997-10-23 1999-05-15 이근범 보빈
JP2003282336A (ja) 2002-03-26 2003-10-03 Tokyo Coil Engineering Kk トリガコイル
KR20080040220A (ko) * 2006-11-02 2008-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쵸크 코일에 의한 편향 간섭 방지 장치
KR100897485B1 (ko) * 2007-09-19 2009-05-14 주식회사 유니온 트랜스포머의 코일장치 및 코일결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47A (ko) * 1997-10-23 1999-05-15 이근범 보빈
JP2003282336A (ja) 2002-03-26 2003-10-03 Tokyo Coil Engineering Kk トリガコイル
KR20080040220A (ko) * 2006-11-02 2008-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쵸크 코일에 의한 편향 간섭 방지 장치
KR100897485B1 (ko) * 2007-09-19 2009-05-14 주식회사 유니온 트랜스포머의 코일장치 및 코일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797B1 (ko)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8773234B2 (en) Transformer
KR101913172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EP2012330A2 (en) Insulating cover-equipped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JP5715258B2 (ja) トランス
CN103137305A (zh) 一种变压器导电结构及变压器
CN109755003B (zh) 集成垂直电感器
KR20040054586A (ko) 전자부품, 트랜스, 인덕터 및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88682B1 (ko) 트리거코일
US7057487B2 (en) Former and coil for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CN205582719U (zh) 一种内设电阻的三相一体式电压互感器
CN104051143B (zh) 具有平面初级绕组的变换器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16069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43212B (zh) 新穎變壓器結構
CN210865846U (zh) 多路开关电源变压器
CN204407162U (zh) 骨架和电感器
KR102194177B1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KR100578040B1 (ko) 트리거 코일
CN110970400B (zh) 一种功率电感集成芯片及其封装制造方法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2009246257A (ja) コイル部品
CN216957671U (zh) 一种新型磁性元器件的变压器结构
JP4021746B2 (ja) 電源装置用コイル部品の基板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