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7551B1 -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551B1
KR100987551B1 KR1020090012835A KR20090012835A KR100987551B1 KR 100987551 B1 KR100987551 B1 KR 100987551B1 KR 1020090012835 A KR1020090012835 A KR 1020090012835A KR 20090012835 A KR20090012835 A KR 20090012835A KR 100987551 B1 KR100987551 B1 KR 10098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ray
housing
strike
hinge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757A (ko
Inventor
노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1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5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5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에 의한 트레이 충격시에 잠금 상태의 트레이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는 자동차 운행 도중에 충돌이나 추돌이 발생하여 트레이가 강한 외부 충격을 받게 될 때에 그 충격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게 되면서 트레이 하우징에 보관중이 물품이 쏟아져 나오게 되고, 트레이 하우징으로부터 쏟아져 나온 물품에 의해 승객이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트레이 하우징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트레이 커버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가 설치되는 것과, 버튼 조립체는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상기 스트라이크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버튼 락; 상기 버튼 락에 좌우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버튼 락의 전후방향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 상기 스트라이크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바디;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버튼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감성품질이 우수한 푸시 버튼 방식으로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자동차 충돌에 의한 트레이 충격 발생시 트레이 커버의 열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트레이 커버 열림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트레이의 원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트레이, 하우징, 커버, 버튼 조립체, 스트라이크, 버튼 락, 버튼 바디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a tra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트레이 하우징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에 의한 트레이 충격시에 잠금 상태의 트레이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의 대쉬보드 등의 판넬에는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가 설치되며, 이와 같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트레이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된 트레이 하우징와; 트레이 하우징의 전방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커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는 자동차 운행 도중에 충돌이나 추돌이 발생하여 트레이가 강한 외부 충격을 받게 될 때에 그 충격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게 되면서 트레이 하우징에 보관중이 물품이 쏟아져 나오게 되고, 트레이 하우징으로부터 쏟아져 나온 물품에 의해 승객이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자동차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트레이 커버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는 트레이 하우징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트레이 커버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버튼 조립체는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상기 스트라이크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버튼 락; 상기 버튼 락에 좌우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버튼 락의 전후방 향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 상기 스트라이크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바디;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버튼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삽입구멍이 마련되고, 하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접속구멍이 마련되며, 양측 전방에 각각 힌지핀이 접속되는 수직장공 형태의 힌지핀 접속구멍이 형성된다.
스트라이크는 중앙에 버튼 락 삽입부가 마련되고, 양측 중앙에 힌지핀 통과구멍이 마련되며, 전방 하단부에 트레이 커버 접촉경사면이 마련된다.
버튼 락은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부 전방에 누름돌출부가 마련되며, 상부 후방에 스트라이크 탄성접촉부가 마련되고, 하부 후방에 트레이 커버의 상단의 걸림구멍과 접속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된다.
힌지핀은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힌지핀 접속구멍과 후술한 버튼 바디의 힌지핀 접속구멍, 스트라이크의 힌지핀 통과구멍, 그리고 버튼 락의 힌지핀 결합구멍에 삽입 결합된다.
버튼 바디는 전방에 누름부가 마련되고, 누름부의 후방에 누름편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스프링 접속봉이 마련되고, 후방 양측면에 힌지핀 접속구멍이 마련된다.
상기 버튼 바디의 힌지핀 접속구멍은 경사부의 하단에 수평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버튼 바디의 스프링 접속봉에 삽입 설치되고, 그 후단부가 버튼 조 립체 하우징의 내부 후단면에 지지되어 버튼 바디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성품질이 우수한 푸시 버튼 방식으로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자동차 충돌에 의한 트레이 충격 발생시 트레이 커버의 열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트레이 커버 열림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트레이의 원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열린 상태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에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및 버튼 바디의 측면도,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4c에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및 버튼 바디의 측면도,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c에는 동 실시예의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 구멍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및 버튼 바디의 측면도,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f까지에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덮개 닫힘 과정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 및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도 14까지에는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 구성 부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개방된 트레이 하우징(100)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200)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의 상단 전방에 트레이 커버(200)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버튼 조립체(300)는 트레이 하우징(100)의 상단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31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1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라이크(320); 상기 스트라이크(32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버튼 락(330); 상기 버튼 락(330)에 좌우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버튼 락(330)의 전후방향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340); 상기 스트라이크(320)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바디(350);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버튼 바디(35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 조립체(300)에 있어서 하우징(310)은 상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삽입구멍(311)이 마련되고, 하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접속구멍(312)이 마련되며, 양측 전방에 각각 힌지핀(340)이 접속되는 수직장공 형태의 힌지핀 접속구멍(313)이 형성된다.
스트라이크(320)는 중앙에 버튼 락 삽입부(321)가 마련되고, 양측 중앙에 힌지핀 통과구멍(322)이 마련되며, 전방 하단부에 트레이 커버 접촉경사면(323)이 마련된다.
버튼 락(330)은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331)이 마련되고, 상부 전방에 누름돌출부(332)가 마련되며, 상부 후방에 스트라이크 탄성접촉부(333)가 마련되고, 하부 후방에 트레이 커버(200)의 상단의 걸림구멍(201)과 접속되는 걸림돌기(334)가 마련된다.
힌지핀(340)은 버튼 조립체 하우징(310)의 힌지핀 접속구멍(313)과 후술한 버튼 바디(350)의 힌지핀 접속구멍(354), 스트라이크(320)의 힌지핀 통과구멍(322), 그리고 버튼 락(330)의 힌지핀 결합구멍(331)에 삽입 결합된다.
버튼 바디(350)는 전방에 누름부(351)가 마련되고, 누름부(351)의 후방에 누름편(352)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스프링 접속봉(353)이 마련되고, 후방 양측면에 힌지핀 접속구멍(354)이 마련된다.
상기 버튼 바디(350)의 힌지핀 접속구멍(354)은 경사부(354a)의 하단에 수평부(354b)가 마련된 형태를 갖는다.
스프링(360)은 버튼 바디(350)의 스프링 접속봉(351)에 삽입 설치되고, 그 후단부가 버튼 조립체 하우징(310)의 내부 후단면에 지지되어 버튼 바디(35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이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스프링(360)의 힘에 의해 버튼 바디(35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버튼 락(330)의 걸림돌기(334)가 트레이 커버(200)의 상단의 걸림구멍(201)에 걸려 있게 된다.
상기의 트레이 커버 닫힘상태에서 트레이 커버(200)를 열기 위하여 버튼 바디(350)의 누름부(351)를 누르게 되면 버튼 바디(350)의 누름편(352)이 버튼 락(330)의 누름돌출부(332)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버튼 락(330)이 힌지핀(340)을 통해 회전하게 되면서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버튼 락(330)의 걸림돌기(334)가 트레이 커버(200)의 걸림구멍(201)으로부터 이탈되며, 버튼 바디(350)가 좀더 눌려지게 되면 힌지핀(340)이 버튼 바디(350)의 힌지핀 접속구멍(354)의 경사부(354b)를 통해 상승하면서 스트라이크(320)와 버튼 락(330)이 상승하게 되어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버튼 락(330)의 걸림돌기(334)가 트레이 커버(200)의 걸림구멍(201)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므로 트레이 커버(200)를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열린 상태의 트레이 커버(200)를 닫을 때에는 트레이 커버(200)를 트레이 하우징(100) 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도 6a와 같이 트레이 커버(200)의 후방 상단부가 스트라이크(320)의 트레이 커버 접촉경사면(323)을 누르게 되어 도 6b와 같이 스트라이크(320)와 버튼 락(330)이 상승하게 되고, 도 6c와 같이 트레이 커버(200)의 힘으로 스트라이크(320)와 버튼 락(330)이 완전히 상승한 후에 도 6d와 같이 다시 스프링(360)의 힘으로 스트라이크(320)와 버튼 락(330)이 하강하게 되며, 이 때 버튼 락(330)과 트레이 커버(200) 입구부의 굴곡 형상으로 인하여 버튼 락(330)이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어 회전된 버튼 락(330)과 스트라이크(320)가 계속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도 6e와 같이 스트라이크(320)와 버튼 락(330)이 완전히 하강된 후에는 버튼 락(330)의 스트라이크 탄성접촉부(333)의 탄성력을 통해 버튼 락(330)이 좀더 회전하여 도 6f와 같이 버튼 락(330)의 걸림돌기(334)가 트레이 커버(200)의 걸림구멍(201)에 걸리게 되므로 트레이 커버(200)가 닫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를 2중 잠금방식으로 구성하여 차량 충돌(H/IMPACT)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단계는 버튼 락(330)이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식으로 되어 있어 트레이에 충격이 작용할 때에 트레이 조립체 하우징(310)과 버튼 바디(350)가 벌어지는 것을 잡아줄 수 있게 되고, 제2단계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라이크(320)가 상승하면서 버튼 락(3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에 트레이 충격시에 상기 제1, 2단계를 모두 거쳐야 트레이 커버(200)가 열릴 수 있게 되지만 자동차 충돌에 의한 트레이 충격시 상기 제1, 2단계가 서로 작동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트레이 커버(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의 종단면도
도 1b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열린 상태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a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의 버튼 바디의 측면도
도 3c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가 닫힌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
도 4a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도 4b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버튼 바디의 측면도
도 4c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
도 5a는 동 실시예의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구멍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측면도
도 5b는 동 실시예의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구멍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의 버튼 바디의 측면도
도 5c는 동 실시예의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구멍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의 버튼 조립체의 요부 종단면도
도 6a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트레이 커버가 스트라이크 경사면에 접촉되는 요부 종단면도
도 6b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스트라이크가 상승되는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6c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스트라이크와 버튼 락이 완전히 상승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6d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스트라이크와 버튼 락이 하강하여 버튼 락의 걸림턱이 트레이 커버에 접촉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6e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하강한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구멍에 삽입된 상승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6f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의 닫힘 과정에서 버튼 락이 트레이 커버의 걸림구멍에 걸린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
도 9는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버튼 바디의 사시도
도 11은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스트라이크의 사시도
도 12는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버튼 락의 사시도
도 13은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힌지핀의 사시도
도 14는 동 실시예의 버튼 조립체의 스프링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트레이 하우징 200 : 트레이 커버
300 : 버튼 조립체 310 : 버튼 조립체 하우징
311 : 스트라이크 삽입구멍 312 : 스트라이크 접속구멍
313 : 힌지핀 접속구멍 320 : 스트라이크
321 : 버튼 락 삽입부 322 : 힌지핀 통과구멍
323 : 트레이 커버 접촉경사면 330 : 버튼 락
331 : 힌지핀 결합구멍 332 : 누름돌출부
333 : 스트라이크 탄성접촉부 334 : 걸림돌기
340 : 힌지핀 350 : 버튼 바디
351 : 누름부 352 : 누름편
353 : 스프링 접속봉 354 : 힌지핀 접속구멍
354a : 경사부 354b : 수평부
360 : 스프링

Claims (2)

  1. 트레이 하우징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트레이 커버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를 트레이 하우징의 상단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상기 스트라이크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버튼 락; 상기 버튼 락에 좌우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버튼 락의 전후방향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 상기 스트라이크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바디;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버튼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은 상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삽입구멍이 마련되고, 하단 전방에 스트라이크 접속구멍이 마련되며, 양측 전방에 각각 힌지핀이 접속되는 수직장공 형태의 힌지핀 접속구멍이 형성되고; 스트라이크는 중앙에 버튼 락 삽입부가 마련되고, 양측 중앙에 힌지핀 통과구멍이 마련되며, 전방 하단부에 트레이 커버 접촉경사면이 마련되고; 버튼 락은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부 전방에 누름돌출부가 마련되며, 상부 후방에 스트라이크 탄성접촉부 가 마련되고, 하부 후방에 트레이 커버의 상단의 걸림구멍과 접속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힌지핀은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힌지핀 접속구멍과 후술한 버튼 바디의 힌지핀 접속구멍, 스트라이크의 힌지핀 통과구멍, 그리고 버튼 락의 힌지핀 결합구멍에 삽입 결합되고; 버튼 바디는 전방에 누름부가 마련되고, 누름부의 후방에 누름편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스프링 접속봉이 마련되고, 후방 양측면에 힌지핀 접속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버튼 바디의 힌지핀 접속구멍은 경사부의 하단에 수평부가 마련되며; 스프링은 버튼 바디의 스프링 접속봉에 삽입 설치되고, 그 후단부가 버튼 조립체 하우징의 내부 후단면에 지지되어 버튼 바디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KR1020090012835A 2009-02-17 2009-02-17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35A KR100987551B1 (ko) 2009-02-17 2009-02-17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35A KR100987551B1 (ko) 2009-02-17 2009-02-17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57A KR20100093757A (ko) 2010-08-26
KR100987551B1 true KR100987551B1 (ko) 2010-10-12

Family

ID=4275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8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7551B1 (ko) 2009-02-17 2009-02-17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8306B1 (en) 2016-05-18 2020-12-16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215A (ja) 1997-11-27 1999-06-15 Daihatsu Motor Co Ltd 収納部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2006022482A (ja) 2004-07-06 2006-01-26 Honda Motor Co Ltd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KR20060010338A (ko) * 2004-07-28 2006-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100814516B1 (ko)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215A (ja) 1997-11-27 1999-06-15 Daihatsu Motor Co Ltd 収納部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2006022482A (ja) 2004-07-06 2006-01-26 Honda Motor Co Ltd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KR20060010338A (ko) * 2004-07-28 2006-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100814516B1 (ko)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57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9026B (zh) 汽车的滑动门构造
KR10083790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US20160343522A1 (en) Emblem integrated trunk switch module
KR20110134851A (ko) 로크장치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JP4100197B2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KR100987551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CN108104620B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
KR100395067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CN107150724B (zh) 后背门的弹出结构
KR100811950B1 (ko) 차량용 어퍼트레이
US20070018474A1 (en) Center upper tray
JP2016211205A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JP200323747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738805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덮개 잠금장치
KR10061037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록킹장치
US20080143120A1 (en) Device for locking door of a tray in a vehicle
JP3635290B2 (ja)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ラッチ
JP3926807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222169B1 (ko) 글로브 박스의 핸들 록킹구조
KR10054375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개폐 구조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5800201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4614289B2 (ja) 自動車の着脱可能な座席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