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6086B1 - 마운팅 부시유닛 - Google Patents

마운팅 부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086B1
KR100986086B1 KR1020080115635A KR20080115635A KR100986086B1 KR 100986086 B1 KR100986086 B1 KR 100986086B1 KR 1020080115635 A KR1020080115635 A KR 1020080115635A KR 20080115635 A KR20080115635 A KR 20080115635A KR 100986086 B1 KR100986086 B1 KR 10098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outer pipe
pipe
bush un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707A (ko
Inventor
노석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086B1/ko
Priority to US12/512,851 priority patent/US201001230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5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0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4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with the possibility for the connection to absorb deformation, e.g. thermal or vibrat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터 파이프의 형상을 개선하여 아웃터 파이프와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을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아웃터 파이프에서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을 향상시키도록
프론트 및 리어 멤버와, 좌, 우측의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차체와 연결되고,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부시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통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 내통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중앙에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너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을 포함하는 마운팅 부시유닛을 제공한다.
서브 프레임, 아웃터 파이프, 인슐레이터, 접촉이음

Description

마운팅 부시유닛{MOUNTING BUSH UNIT}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차체와 연결되는 마운팅 부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차량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다수개의 부재들이 각기 적절하게 접합되는 차체(Body)와, 서스펜션, 조향장치 등을 포함하여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성되는 샤시(Chassis)로 이루어진다.
이 중, 특히, 서브 프레임은 차체의 하부에서 엔진과 변속기를 지지하며, 차량의 구조 강성을 확보하여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프레임은 프론트 멤버와 리어 멤버, 및 프론트 멤버와 리어 멤버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여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은 상기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어 마운팅 부시유닛이 장착되고, 이 마운팅 부시유닛을 통하여 차체와 연결된다.
여기서, 마운팅 부시유닛은 외통을 형성하는 아웃터 파이프와, 내통을 형성하는 인너 파이프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 외주면에 접착되 는 인슐레이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운팅 부시유닛은 차량의 주행 중, 엔진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인슐레이터를 통해 흡수하여 차체 진동 유발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운팅 부시유닛은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아웃터 파이프와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인슐레이터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마운팅 부시유닛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이 저하되며,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과속 방지턱 통과 시에는 아웃터 파이프와 이탈된 인슐레이터에서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터 파이프의 형상을 개선하여 아웃터 파이프와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을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아웃터 파이프에서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운팅 부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은, 프론트 및 리어 멤버와, 좌, 우측의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차체와 연결되고,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부시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통을 형성하는 몸 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 내통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중앙에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너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그 내측으로 몸체부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는 그 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몸체부와 절곡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절곡부의 내, 외주면에 각각 접착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에 의하면, 아웃터 파이프의 형상을 개선하여 아웃터 파이프와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인슐레이터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마운팅 부시유닛의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시유닛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서 인슐레이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에 과도한 충격력 발생 시, 인슐레이터와 아웃터 파이 프가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접촉이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이 적용된 서브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1)은 아웃터 파이프(20)의 형상을 개선하여 아웃터 파이프(20)와 인슐레이터(40)의 접착부분을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아웃터 파이프(20)에서 인슐레이터(40)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마운팅 부시유닛(1)의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및 리어 멤버(4)(5)와, 좌, 우측의 사이드 멤버(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3)에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 부시유닛(1)은 각 사이드 멤버(6)(7)의 단부에 장착되어 미도시된 차체와 연결되고,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1)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재(10), 아웃터 파이프(20), 인너 파이프(30), 인슐레이터(40), 및 스토퍼 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캡부재(10)는 상기 각 사이드 멤버(6)(7)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부재(10)의 내부에는 아웃터 파이프(20)가 삽입된다.
상기 아웃터 파이프(20)는 외통을 형성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3)는 상기 몸체부(21)의 상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그 내측으로 상기 몸체부(21)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3)는 그 길이가 상기 몸체부(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파이프(20)의 내부 중앙에는 인너 파이프(30)가 구성되며, 내통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40)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20)와 인너 파이프(3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40)는 상기 몸체부(21)와 절곡부(23)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21)의 내주면과 절곡부(23)의 내, 외주면에 각각 접착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50)는 상기 인너 파이프(3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20)와 인너 파이프(30)의 사이에 접착된 상기 인슐레이터(4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 플레이트(50)는 상기 인너 파이프(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50)의 하부에서 삽입되는 마운팅 볼트(60)가 상기 인너 파이프(30)로 삽입되도록 삽입홀(51)이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볼트(60)는 상기 인너 파이프(30)에 삽입된 상태로 미도시된 차체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1)을 적용하면, 아웃터 파이프(20)의 형상을 개선하여 아웃터 파이프(20)와 인슐레이터(40)의 접착부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인슐레이터(40)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마운팅 부시유닛(1)의 내구성 및 진동 절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시유닛(1)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20)에서 인슐레이터(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에 과도한 충격력 발생 시, 이탈된 인슐레이터(40)와 아웃터 파이프(20)가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접촉이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이 적용된 서브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유닛의 단면도이다.

Claims (4)

  1. 프론트 및 리어 멤버와, 좌, 우측의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어 차체와 연결되고, 엔진 및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부시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장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통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
    내통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중앙에 구성되는 인너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너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시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그 내측으로 몸체부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시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그 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마운팅 부시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몸체부와 절곡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절곡부의 내, 외주면에 각각 접착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시유닛.
KR1020080115635A 2008-11-20 2008-11-20 마운팅 부시유닛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35A KR100986086B1 (ko) 2008-11-20 2008-11-20 마운팅 부시유닛
US12/512,851 US20100123068A1 (en) 2008-11-20 2009-07-30 Mounting Bush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35A KR100986086B1 (ko) 2008-11-20 2008-11-20 마운팅 부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707A KR20100056707A (ko) 2010-05-28
KR100986086B1 true KR100986086B1 (ko) 2010-10-07

Family

ID=4217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86B1 (ko) 2008-11-20 2008-11-20 마운팅 부시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23068A1 (ko)
KR (1) KR100986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46A (ko)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샤시프레임 솔리드 부시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8858A1 (de) * 2010-10-19 2012-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orderachsträger mit Anordnung eines Lenkgetriebes und eines Vorderachsstabilisators
KR101240707B1 (ko) * 2011-07-28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US8500191B1 (en) * 2012-01-12 2013-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angible connector for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842U (ko) * 1996-11-25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00527784B1 (ko) 2004-04-02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JP2006170270A (ja) 2004-12-14 2006-06-29 Nok Corp マウント装置のブラケッ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619A (en) * 1988-03-09 1992-07-2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mount
DE4011827A1 (de) * 1990-04-12 1991-10-17 Daimler Benz Ag Abstuetzlager
DE19511641C1 (de) * 1995-03-30 1996-07-04 Lemfoerder Metallwaren Ag Oberes Federbeinstützlager für Radaufhängungen in einem Kraftfahrzeug
JP3525567B2 (ja) * 1995-07-17 2004-05-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筒形防振支持体
US5580028A (en) * 1995-10-30 1996-12-03 Chrysler Corporation Jounce plate fastener retention system
CA2298972A1 (en) * 1999-02-23 2000-08-23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Body mount having independent vertical and lateral rates
US6095481A (en) * 1999-05-07 2000-08-01 Illinois Tool Works, Inc. Breakaway shock isolating mount
US6502883B2 (en) * 2000-12-04 2003-01-07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Two stage body mount rebound cushion
JP4296894B2 (ja) * 2003-09-30 2009-07-1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チューブのブラケット
US7722018B2 (en) * 2006-07-11 2010-05-25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Rear and/or front axle subframe bear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rear and/or front axle subframe bearing
CN201106655Y (zh) * 2007-08-30 2008-08-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减震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842U (ko) * 1996-11-25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00527784B1 (ko) 2004-04-02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JP2006170270A (ja) 2004-12-14 2006-06-29 Nok Corp マウント装置のブラケッ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46A (ko)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샤시프레임 솔리드 부시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3068A1 (en) 2010-05-20
KR20100056707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783B1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JP5366723B2 (ja) サブフレーム支持構造
CN101612885B (zh) 消声器吊架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20080026351A (ko) 차량용 서프 프레임의 마운팅 부시 스토퍼
KR100569994B1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1034019B1 (ko) 다이나믹 댐핑장치
KR101093206B1 (ko) 차량용 로어 암 부시유닛
JP361392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100622505B1 (ko) 반경방향 고강성 부시 조립체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KR100992815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20110136524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20090114178A (ko) 전치, 전륜 구동방식 엔진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20100008980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유닛
KR200362004Y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20048489A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20110071239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마운팅 부시 스토퍼
KR20020081965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마운팅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