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907B1 -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4907B1 KR100984907B1 KR1020057001309A KR20057001309A KR100984907B1 KR 100984907 B1 KR100984907 B1 KR 100984907B1 KR 1020057001309 A KR1020057001309 A KR 1020057001309A KR 20057001309 A KR20057001309 A KR 20057001309A KR 100984907 B1 KR100984907 B1 KR 1009849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gripping
- removable
- members
- locking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세히, 파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부재들 중 하나는, 개방 위치와(opened position), 상기 부재들이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게 되는 폐쇄 위치(clos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파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파지 몸체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병진 운동 가능하다.
상기 변위 수단은, 레버(lever)와 전달 수단(transmission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연장 위치와, 파지부를 형성하는 이동 부재(mobile member)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파지 몸체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운동 가능하다.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레버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버가 회동(pivot)될 때 상기 이동 부재를 병진 운동하도록 위치 이동 시킨다. 그리고, 상기 변위 수단은 파지된 용기의 두께에 맞게 상기 두 개의 부재들을 분리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적용된다.
발생되는 과제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부재들을 분리하는 거리가, 상기 파지되는 가장자리의 두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변위 수단(displacement means)이 적용되더라도, 폐쇄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부재들이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없을 때, 더 두꺼운 가장자리를 가지는 용기를 파지하도록 설계된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2는 파지부를 형성하는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파지부를 형성하는 부재들이 개방 위치에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핀의 측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2 : 파지 몸체부
3 : 제1부재 4 : 제2부재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 1 부재(3)는 파지 몸체부(2)의 일단에 고정되고,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2부재(4)는, 개방 위치(도 3)와 폐쇄 위치(도 2) 사이에서, 상기 파지 몸체부(2)에 대하여 자유롭게 병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개방 위치라 함은, 상기 제2부재(4)가 상기 제1부재(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병진 이동한 상태로서, 용기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폐쇄 위치라 함은, 용기의 가장자리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제2부재(4)가 역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여, 용기를 파지한 상태를 의미한다 하겠다.
이동 가능한 상기 제2부재(4)는, 상기 제2부재(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제1부재(3)와 조력(助力)하도록하는 파지 단부(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3)는 고정 부재(fixed member)로, 상기 제2부재(4)는 이동 부재(mobile member)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3)와, 제2부재(4)의 상기 파지 단부(5)는, 가장자리의 상측 단부가 외측으로 짧게 만곡되는 깃(collar)을 형성하는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이룬다.
개방 스프링(opening spring)(10)은, 파지 몸체부(2) 및 상기 파지 단부(5)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2부재(4)의 지지 단부(11)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2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는 상기 제2부재(4)를 파지 몸체부(2)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변위 수단(displacement means)(6)을 포함한다.
상기 변위 수단(6)은 또한, 상기 레버(7)와 상기 제2부재(4)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버(7)가 회동될 때에 상기 제2부재(4)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달 수단(transmission means)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전달 수단은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9)이고, 변위 수단(6)은 토글 조인트(toggle joint)로서 구성된다. 즉, 상기 변위 수단(6)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7)가 안정한 평형 위치(stable equlibrium position)에 있게 되고, 이들 두 개의 안정한 평형 위치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통과할 때에(상기 변위 수단(6)의 평형 라인에 의해 형성된) 불안정한 평형 위치(unstable equilibrium position)를 통과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2부재(4)와 비교하여, 상기 커넥팅 로드(9)는 상기 제2부재(4)의 지지 단부(11)와 상기 커넥팅 로드(9)의 제1단부에 인접하는 회동축(pivot axis)(1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기 커넥팅 로드(9)는 축(shaft)(13)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7)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운동한다. 상기 축(13)은, 토글 조인트(toggle joint)로서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팅 로드(9)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9)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14) 내부에서 자유롭게 병진 이동 가능하다. 상기 축(13)은, 상기 회전축(8)과 회동축(12)에 의하여 정의되는 토클 조인트 메카니즘의 평형 라인 상에 상기 축(13)이 위치되는 불안정한 평형 위치와, 상기 레버(7)가 연장 위치(상기 축(13)이 상기 평형 라인의 소위 개방측에 놓임) 또는 후퇴 위치(상기 축(13)이 상기 평형 라인의 소위 폐쇄 측에 위치됨)에 있는 안정한 평형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토글 조인트 스프링(toggle joint spring)(15)은 상기 축(13)을 안정한 평형 위치 쪽으로 영구적으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상기 축(13)이 평형 라인의 개방측 상에 위치되는 때에, 상기 개방 스프링(10)은 먼저 상기 제2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레버(7)를 상기 커넥팅 로드(9)를 통하여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상기 축(13)이 평형 라인의 폐쇄측 상에 위치되는 때에, 상기 개방 스프링(10)은 상기 레버(7)를 후퇴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먼저, 상기 레버(7)가 파지 몸체부(2)와 접촉하도록 가압하고, 이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9)가 상기 제2부재(4)와 접촉하도록 가압하며, 상기 토글 조인트 스프링(15)이 상기 개방 스프링(10)의 방향에 매우 근접한 방향을 따라서 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축(13)을 평형 위치로 이동시키려는 상기 토글 조인트 스프링(15)은, 상기 개방 스프링(1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폐쇄 위치 쪽으로 상기 제2부재(4)를 병진 이동하도록 힘을 가한다.
사용자가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고자 할 때, 그 가장자리를 상기 제1부재(3)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제2부재(4)의 파지 단부(5)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레버(7)가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7)의 회전은 상기 커넥팅 로드(9)의 회전과 상기 제2부재(4)의 병진 이동을 야기시키고, 이어서 상기 축(13)은, 용기 가장자리를 안정하게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글 조인트 메카니즘의 평형 라인을 가로지른다.
상기 슬릿(14) 내에서의 상기 축(13)의 자유 이동은, 폐쇄 위치에서의 상기 제2부재(4)의 파지 단부(5)와 상기 제1부재(3)사이의 거리를, 용기의 가장자리 두께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부재(4)의 파지 단부(5)와 상기 제1부재(3)를 분리 시키는 거리의 범위는, 상기 축(13)이 안정한 파지를 달성하기 위한 평형 라인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14) 내에서의 상기 축(13)의 이동 폭(movement amplitude)보다 훨씬 작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13)은 상기 회전 축(8)에 인접한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상기 레버(7)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14)은, 상기 회동축(12)에 인접하는 커넥팅 로드(9)의 제1 단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팅 로드(9)의 제2단부 부근에 형성되고, 상기 축(13)은 상기 토글 조인트 스프링(15)에 의하여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토글 조인트 스프링(15)은, 상기 커넥팅 로드(9)의 제2 단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슬릿(14)의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하여 상기 축(13)을 이동시킨다.
상기 변위 수단(6)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변동 범위(0.5 mm 와 3 mm 사이) 내에서 용기의 가장자리를 신뢰성있게 파지할 수 있다.
더욱이, 토글 조인트 스프링(15)으로서 작동하는 커넥팅 로드(9)의 내측의 코일 스프링의 사용은, 파지되는 용기 가장자리 두께의 범위가 큰 경우에도 상기 토글 조인트 메카니즘이 파손되는 위험성을 제거한다.
또한, 레버(7)가 연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레버(7)의 길이는,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를 잡는 사용자가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레버(7)와 접촉하게 하고,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을 파지 몸체부와 접촉하게 하도록 짧다. 따라서, 사용자는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이 파지 몸체부(2)를 집는 위치에서 유지시키면서, 집게 손가락과 중간 손가락으로 구성된 파지 영역으로부터 레버(7)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버의 길이는 서로 각각 접촉하는 세 개의 손가락의 폭(또는 회전 축(8)으로부터 약 7cm, 또는 파지 몸체부(2)의 외측으로 회동하는 레버 부분이 약 6cm)과 일치한다.
더욱이, 더 짧은 커넥팅 로드(9)의 사용은, 상기 레버(7)가 연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를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레버(7)에 작은 이동폭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7)가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때에 자신의 파지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특징적으로, 상기 레버(7)와 상기 커넥팅 로드(9)는, 상기 레버(7)가 연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카니즘 조립체가 숨겨지고 먼지가 쌓이는 것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되는 수직 벽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핀(27)은 몇 개의 계단(53)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32)를 상기 베이스(33)에 연결하는 계단벽(52)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잠금핀(27)의 일 측부가 테이퍼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도 2 및 도 3의 형태 외에, 상기 헤드(32)에서 상기 베이스(33)로 갈수록 측부가 계단 형태로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수직부(계단벽)와 수평부(계단)가 교대로 형성되는 계단 형태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단벽(52)은 상기 제2부재(4)의 병진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부재에 의한 상기 잠금핀(27)의 손상은 아주 경미하다.
명백하게 본 발명은 이곳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달 수단이 커넥팅 로드가 아닌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레버 상부가 아닌 커넥팅 로드(또는 어떤 다른 전달 수단) 상부에 위치하는 잠금핀의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파지 몸체부에 장착된 두 개의 파지부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를 갖는 것도 가능한데, 두 파지부 형성 부재중의 하나는, 파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파지 몸체부에 대하여 개방 위치와 파지부 형성 부재가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도록 이루어진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는 또한, 파지부 형성 부재를 서로 각각에 대하여 위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변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수단은, 연장 위치와 파지부 형성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파지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이동이 자유로운 레버와, 레버가 회동될 때에 파지부 형성 부재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레버와 파지부 형성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에 있어서, 레버가 연장 위치에 있느냐 또는 후퇴 위치에 있느냐에 관계 없이 파지 상태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상기 레버가 짧은(전술한 바와 같이, 환언하면 파지 몸체부가 적어도 새끼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에 의하여 상기 레버 뒤에서 파지될 수 있다)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가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 수단(커넥팅 로드와 같은)이 파지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의 단부 맞은편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명백하게는, 이런 형태의 파지 장치는 본 출원에서 언급된 어떤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위 수단의 배치를 통하여, 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는 0.5 mm 와 3.5 mm 사이의 비교적 큰 범위(대략 슬릿에서의 축의 이동폭에 실질적으로 일치함)내에서 변화되는 용기의 두께에 따라서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와 전달 수단이 짧아서, 사용자는 항상 검지와 중지는 레버에 위치된 상태에서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으로 파지 몸체부를 잡을 수 있는 공간을 갖고, 따라서 레버의 이동 거리를 줄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겠다.
Claims (17)
- 파지 몸체부(2)와, 상기 파지 몸체부(2)에 장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3,4), 상기 제2부재(4)는,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지 않은 개방 위치와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파지 몸체부(2)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병진 이동 가능함;상기 파지 몸체부(2)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및 제2부재(3,4)를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변위 수단(6), 상기 변위 수단(6)은,일단이 상기 파지 몸체부(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연장 위치 및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 가능한 레버(7)와,상기 레버(7)가 회동될 때 상기 제2부재(4)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버(7)와 상기 제2부재(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수단(6)은, 상기 레버(7)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및 제 2 부재(3,4)를 파지되는 용기의 두께로 이격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됨; 및상기 레버(7)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부재(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부재(4)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 수단(26)을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에 있어서,상기 잠금 수단(26)은 상기 변위 수단(6)에 설치되는 잠금핀(27)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7)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29,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9,30)은,상기 파지 몸체부(2) 내에 형성된 공동(29)과,상기 제 2 부재(4)를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30)을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9,30)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부재(4)의 위치에 의존하는 통과 단면을 가지며,상기 통과 단면은, 상기 공동(29)의 통과 단면과, 상기 슬롯(30)의 통과 단면을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슬롯(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부재(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공동(29)과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부재(3,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부재(3,4)가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29,30)의 통과 단면은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잠금핀(27)은 상기 레버(7)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잠금핀(27)이 레버(7)에 대해 자유로운 병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잠금 스프링(31)이 연속적으로 상기 잠금핀(27)을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레버(7)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잠금핀(27)은 상기 제1 및 제2 부재(3,4)간 거리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및 제2부재(3,4)의 방향으로 공동(29)의 경계를 설정하는 벽과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잠금핀(27)은,상단부로 정의되는 헤드(32)와,상기 헤드의 하측으로 정의되고, 상기 변위 수단(6)에 연결되는 베이스(33)를 포함하고,상기 헤드(32)로부터 상기 베이스(33) 까지의 거리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잠금핀(27)은, 상기 헤드(32)와 베이스(33)를 연결하는 곧은 벽(51)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잠금핀(27)은, 상기 헤드(32)와 베이스(33)를 연결하고 다수의 계단식 벽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변위 수단(6)은, 상기 레버(7)가 연장 위치 및 후퇴 위치에서 각각 안정한 평형 위치에 있고, 상기 레버(7)가 상기 두 개의 안정한 평형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회동될 때, 중간의 불안정한 평형 위치(intermediate unstable equilibrium position)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달 수단에 내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상기 스프링(15)은, 상기 제1 및 제2부재(3,4)를 분리하는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재(4)에 힘을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레버(7)와 상기 제2부재(4)에 대해 회전 이동이 자유로운 커넥팅 로드(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4항에 있어서,커넥팅 로드(9)는, 상기 레버(7)가 상기 파지 몸체부(2)에 연결되는 단부의 맞은 편에 해당하는 상기 레버(7)의 단부에 인접하는 축(13)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레버(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레버(7)의 길이는, 서로 접촉하는 세 손가락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레버(7)와 상기 파지 몸체부(2)의 길이는,상기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를 잡는 사용자가 자신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이 상기 레버(7)에 접촉하고,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이 상기 파지 몸체부(2)에 접촉하도록 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2/09384 | 2002-07-24 | ||
FR0209384A FR2842718B1 (fr) | 2002-07-24 | 2002-07-24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et adaptable a differentes epaisseurs de recipi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7129A KR20050027129A (ko) | 2005-03-17 |
KR100984907B1 true KR100984907B1 (ko) | 2010-10-01 |
Family
ID=3001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1309A Expired - Lifetime KR100984907B1 (ko) | 2002-07-24 | 2003-07-16 |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7481330B2 (ko) |
EP (1) | EP1523265B1 (ko) |
JP (1) | JP3905106B2 (ko) |
KR (1) | KR100984907B1 (ko) |
CN (1) | CN100560010C (ko) |
AT (1) | ATE345724T1 (ko) |
AU (1) | AU2003267522A1 (ko) |
CA (1) | CA2493148C (ko) |
DE (1) | DE60309875T2 (ko) |
ES (1) | ES2277102T3 (ko) |
FR (1) | FR2842718B1 (ko) |
MX (1) | MXPA05000967A (ko) |
WO (1) | WO200401083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456A (ko) * | 2017-01-06 | 2018-07-16 | 세브 에스.아. |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427060T1 (de) | 2004-11-23 | 2009-04-15 | Product Works Ltd | Abnehmbarer griff |
ITMI20060233A1 (it) * | 2006-02-10 | 2007-08-11 | Ballarini Paolo & Figli Spa | Manico reclinabile per una padella |
FR2898032B1 (fr) * | 2006-03-06 | 2008-04-18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avec moyens d'ouverture des organes formant pince |
FR2898031B1 (fr) * | 2006-03-06 | 2008-04-18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
KR200439045Y1 (ko) * | 2007-02-08 | 2008-03-17 | 김종득 | 조리용기 탈부착용 손잡이 |
US20090134055A1 (en) * | 2007-06-02 | 2009-05-28 | Spellman Edward F | Stable basting utensil holding container |
US20110005037A1 (en) * | 2008-03-14 | 2011-01-13 | Jong Deuk Kim |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KR100991721B1 (ko) * | 2008-05-08 | 2010-11-03 |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KR100883903B1 (ko) * | 2008-06-13 | 2009-02-17 | 정진헌 |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
WO2010005158A1 (ko) * | 2008-07-11 | 2010-01-14 | Jung Jin Heon |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
US7975874B2 (en) * | 2008-08-11 | 2011-07-12 | Ian Scott | Bracket and handle for cooking vessel |
KR100971872B1 (ko) * | 2008-09-05 | 2010-07-22 | 김종득 |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
US20100288783A1 (en) * | 2009-05-12 | 2010-11-18 | Hoe Suk Park | Detachable handle usable with kitchen container |
FR2962636B1 (fr) | 2010-07-13 | 2012-09-14 | Seb Sa | Appareil de cuisson en deux zones |
CN101904704B (zh) * | 2010-08-02 | 2012-02-29 |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拆卸手柄 |
CN101947077B (zh) * | 2010-09-27 | 2012-04-04 |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 一种可脱卸式锅提手 |
KR101226750B1 (ko) * | 2010-10-01 | 2013-01-28 |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 탈착식 자루 |
USD671364S1 (en) | 2011-01-31 | 2012-11-27 |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 Portion of a grill |
US8899145B2 (en) | 2011-01-31 | 2014-12-02 |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 Grill inserts and tool for the same |
USD671363S1 (en) | 2011-01-31 | 2012-11-27 |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 Portion of a grill |
DE102011075204B4 (de) * | 2011-05-04 | 2014-05-22 | Baumgarten handle systems KG |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Koch- oder Bratgefäß |
FR2982139B1 (fr) | 2011-11-04 | 2014-01-10 | Amefa France Sa |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pour recipient de cuisson sans indexation |
USD677979S1 (en) | 2012-05-18 | 2013-03-19 | Hy Cite Enterprises LLC | Pan lid |
USD677517S1 (en) | 2012-05-18 | 2013-03-12 | Hy Cite Enterprises LLC | Pan |
USD677518S1 (en) | 2012-05-18 | 2013-03-12 | Hy Cite Enterprises LLC | Pan |
US9149157B2 (en) | 2012-07-19 | 2015-10-06 | Michael Caplan |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
FR3002428B1 (fr) * | 2013-02-27 | 2015-02-20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d'un recipient culinaire muni de moyens antiretour de deux bras |
EP2815848B1 (en) | 2013-06-21 | 2019-02-27 | Stanley Works (Europe) GmbH | A slogging wrench |
USD734983S1 (en) * | 2013-06-27 | 2015-07-28 | Michael Doyle | Detachable handle for cookware |
KR101409024B1 (ko) * | 2013-07-17 | 2014-07-02 | 양원준 |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
CN103829813B (zh) * | 2014-02-20 | 2015-11-18 | 常熟市碧溪新区和宝纺织机械厂 | 用于锅的手把结构 |
KR101596210B1 (ko) | 2015-01-09 | 2016-02-23 | (주)네오플램 |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
US9919424B1 (en) | 2015-07-27 | 2018-03-20 | X Development Llc | Analog control switch for end-effector |
USD892546S1 (en) * | 2018-08-28 | 2020-08-11 | Cristel | Pan lifter |
CN110464229B (zh) * | 2019-07-23 | 2020-09-22 | 浙江意可味厨具制造有限公司 | 一种易于调节和拆卸的锅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5303U (ko) * | 1989-11-27 | 1991-07-29 | ||
JP2001224514A (ja) | 2000-02-15 | 2001-08-21 | Beishitei:Kk | 調理容器の把持具 |
JP2002017581A (ja) | 2000-06-29 | 2002-01-22 | Hitsui Cho | 容器用着脱式取っ手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06826A (en) * | 1921-04-06 | 1922-02-14 | Thomas O Dugger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utensils |
US2712151A (en) * | 1951-10-22 | 1955-07-05 | Becht Adolph | Detachable handle for a utensil |
US3065016A (en) * | 1958-12-24 | 1962-11-20 | Anthony W Serio | Detachable handle apparatus |
US3065017A (en) * | 1960-04-18 | 1962-11-20 | Anthony W Serio | Detachable handle apparatus |
US3065018A (en) * | 1960-09-27 | 1962-11-20 | Anthony W Serio | Detachable handle apparatus |
US3157909A (en) * | 1961-08-31 | 1964-11-24 | West Bend Co | Detachable handle |
US3108316A (en) * | 1961-12-05 | 1963-10-29 | Marshall B Peale | Removable handle and related and otherwise handleless utensils |
US3186026A (en) * | 1962-10-04 | 1965-06-01 | James W Serio | Detachable handle apparatus |
US3474486A (en) * | 1964-06-12 | 1969-10-28 | Youngstown Steel Door Co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ware |
US3306648A (en) * | 1965-03-17 | 1967-02-28 | Anthony W Serio | Detachable handle apparatus |
US3438082A (en) * | 1966-06-23 | 1969-04-15 | Youngstown Steel Door Co | Detachable handle |
DE3462430D1 (en) * | 1983-02-28 | 1987-04-09 | Verrerie & Cristallerie | Device for securing a detachable handle to a cooking utensil |
DE3314346A1 (de) * | 1983-04-20 | 1984-10-25 |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7340 Geislingen | Topfdeckel mit loesbarem griff |
FR2739772B1 (fr) * | 1995-10-17 | 1997-12-26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pour recipient |
FR2768914B1 (fr) | 1997-10-01 | 1999-12-17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pour recipient |
ITTO980274A1 (it) * | 1998-03-27 | 1999-09-27 | Termoplastic Fbm Srl | Dispositivo di impugnatura per un recipiente di cottura per cibi, in particolare per una padella |
FR2788956B1 (fr) * | 1999-01-28 | 2001-03-30 | Seb Sa | Ustensile culinaire a manche de prehension amovible |
US6257439B1 (en) * | 1999-12-01 | 2001-07-10 | Te Hui Hsu | Handle for a food container |
FR2802074B1 (fr) * | 1999-12-13 | 2002-03-01 | Dja Dodane Jean Et Associes | Dispositif de prehension pour ustensile de cuisson |
KR100372571B1 (ko) * | 2000-07-08 | 2003-02-17 |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
US6318776B1 (en) * | 2000-08-22 | 2001-11-20 | Sung Chang Mart Co., Ltd. |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
US6439420B1 (en) * | 2001-03-29 | 2002-08-27 | Jong Peter Park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utensil |
-
2002
- 2002-07-24 FR FR0209384A patent/FR2842718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7-16 MX MXPA05000967A patent/MXPA05000967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3-07-16 US US10/521,475 patent/US748133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CA CA2493148A patent/CA2493148C/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16 KR KR1020057001309A patent/KR100984907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AT AT03748213T patent/ATE34572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7-16 JP JP2004523853A patent/JP3905106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AU AU2003267522A patent/AU20032675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16 CN CNB038201321A patent/CN100560010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EP EP03748213A patent/EP1523265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ES ES03748213T patent/ES2277102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16 WO PCT/FR2003/002250 patent/WO2004010832A1/fr active IP Right Grant
- 2003-07-16 DE DE60309875T patent/DE60309875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5303U (ko) * | 1989-11-27 | 1991-07-29 | ||
JP2001224514A (ja) | 2000-02-15 | 2001-08-21 | Beishitei:Kk | 調理容器の把持具 |
JP2002017581A (ja) | 2000-06-29 | 2002-01-22 | Hitsui Cho | 容器用着脱式取っ手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456A (ko) * | 2017-01-06 | 2018-07-16 | 세브 에스.아. |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
KR102440050B1 (ko) * | 2017-01-06 | 2022-09-06 | 세브 에스.아. |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493148A1 (fr) | 2004-02-05 |
KR20050027129A (ko) | 2005-03-17 |
DE60309875D1 (de) | 2007-01-04 |
AU2003267522A1 (en) | 2004-02-16 |
US20060006186A1 (en) | 2006-01-12 |
US7481330B2 (en) | 2009-01-27 |
DE60309875T2 (de) | 2007-03-08 |
EP1523265A1 (fr) | 2005-04-20 |
CN100560010C (zh) | 2009-11-18 |
FR2842718A1 (fr) | 2004-01-30 |
CA2493148C (fr) | 2010-09-14 |
MXPA05000967A (es) | 2006-03-08 |
ATE345724T1 (de) | 2006-12-15 |
ES2277102T3 (es) | 2007-07-01 |
WO2004010832A1 (fr) | 2004-02-05 |
FR2842718B1 (fr) | 2005-02-11 |
CN1678225A (zh) | 2005-10-05 |
JP3905106B2 (ja) | 2007-04-18 |
JP2006501880A (ja) | 2006-01-19 |
EP1523265B1 (fr) | 2006-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4907B1 (ko) |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 |
KR100984879B1 (ko) | 사용자가 파지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 |
KR101017496B1 (ko) | 안전한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 |
US6000100A (en) | Removable container holding device | |
US8365948B2 (en) | Detachable grip device comprising button-activated gripping jaws | |
KR101671826B1 (ko) |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 |
JP6301682B2 (ja) | 2つのアームのための戻り防止手段が装備された調理容器用の着脱可能な把持装置 | |
KR910000176Y1 (ko) | 휴대용 용기 | |
JP6231552B2 (ja) | 自動ロック式アクチュエータを持つリングバインダー機構 | |
CA2638461A1 (en) | Ring binder mechanism | |
US6318776B1 (en) |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 |
JP2018134391A (ja) | 枢動ボタン付きの開放システムを備える脱着可能なハンドル | |
KR100372571B1 (ko) |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 |
JP3245821B2 (ja) |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 |
EP0748598B1 (en) | Eyelash curler | |
EP3496564B1 (en) | Locking mechanism with push- and pull-to-release function and device comprising such locking mechanism | |
CN216166948U (zh) | 一种煎烤机 | |
KR101873868B1 (ko) |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 |
KR200488864Y1 (ko) |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 |
KR101303960B1 (ko) | 착탈식 손잡이 | |
JP3014125U (ja) | 携帯用保温容器の取っ手 | |
KR101815350B1 (ko) | 팽이 홀더 | |
CN115279234A (zh) | 用于可拆卸地紧固在烹饪容器上的把手元件 | |
JP2020132267A (ja) | ティッシュ箱収納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1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