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118B1 -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 Google Patents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4118B1 KR100984118B1 KR1020090121138A KR20090121138A KR100984118B1 KR 100984118 B1 KR100984118 B1 KR 100984118B1 KR 1020090121138 A KR1020090121138 A KR 1020090121138A KR 20090121138 A KR20090121138 A KR 20090121138A KR 100984118 B1 KR100984118 B1 KR 100984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amper
- outside air
- indoor
-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외기흡입구(110); 상기 케이스(1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구(120); 상기 케이스(100)의 타단에 상기 급기구(12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내기흡입구(130);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 상기 외기흡입구(11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40); 상기 외기흡입구(110)와 상기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와 상기 내기흡입구(130)와 상기 배기구(140)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공급되는 외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전열교환부(2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구(12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급기팬(3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배기구(1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배기팬(400); 상기 외기흡입구(110)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댐퍼(150); 상기 배기구(140)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댐퍼(160); 상기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열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급기구(120)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외기냉방통로(500); 상기 외기냉방통로(500) 상에 설치되는 제3댐퍼(510); 상기 제1댐퍼(150), 상기 제2댐퍼(160), 상기 제3댐퍼(510), 상기 배기팬(400) 및 상기 급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부(600); 및, 실내외 환경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감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100 is empty inside; An outside air suction port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case 100; An air supply unit 1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100 and supply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suction port 110 into the room; An air intake 13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100 in parallel with the air supply 120 and sucking indoor air; An exhaust port 140 formed at one end of the case 100 in parallel wit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110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take port 130 to the outside; Indoor air and outdoor air supplied and discharged are installed to cross a passage connecting the outside air intake port 110 and the air supply port 120 and a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air intake port 130 and the exhaust port 140 to each other. A total heat exchanger 200 performing heat exchange while crossing; An air supply fan 30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to generate power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suction port 110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20; An exhaust fan 40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generating power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take 130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40; A first damper 150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outside air suction port 110; A second damper 160 installed at an outlet side of the exhaust port 140; An outside air cooling passage 500 which is branch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damper 150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ort 1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art 200; A third damper 510 installed on the outside air cooling passage 500;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amper 150, the second damper 160, the third damper 510, the exhaust fan 400 and the air supply fan 300; And a sensing unit 700 which senses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0.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기냉방통로가 별도로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이용한 직접 냉방이 필요한 경우 전열교환부를 경유하지 않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개념의 환기유니트 및 그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and a control technology of the concept that the outdoor air cooling passage is provided separately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room without direct heat exchange unit when direct cooling using outdoor air is required.
일반적으로 환기유니트(VENTILATION UNIT)라 하면, 실내 또는 실외측의 공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실외 또는 실내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주로 학교, 병원, 조리실, 오피스건물, 지하철역사, 지하도상가, 터미널대합실, 공항시설, 도서관, 박물관, 찜질방, PC방 및 사무실 등과 같은 많은 인원이 함께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용으로 공조기나 청정실 등에서 외부공기를 필터링(filtering)한 이후에 실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며, 제어기술로는 수동운전, 타임스케쥴운전, CO2 감지에 의한 자동운전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ventilation unit (VENTILATION UNIT) is for forcibly drawing air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and blowing it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mainly for schools, hospitals, cooking rooms, office buildings, subway stations, underground shopping malls, terminal waiting rooms, For ventilation of multi-use facilitie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airport facilities, libraries, museums, saunas, PC rooms, and offices, the outside air is filtered in an air conditioner or clean room,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oom. Manual operation, time schedule operation, and automatic operation by CO 2 detection are common.
따라서, 종래의 환기유니트의 구조는 케이싱의 일측단에 외기유입구와 내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외기 배출구와 내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케이싱의 내측에는 급기팬과 배기팬이 각각 설치되고, 그 내측 중앙에 전열교환부와 필터 등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unit is formed wit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t one end of the casing, and an air outlet and an air inlet ar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It is common to install a heat exchanger and a filter in the inner center.
특히,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환기유니트는 실외공기를 급기팬에 의해 케이싱 내측으로 유입시켜 필터로 필터링후 실내로 배출하고, 동시에 실내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케이싱 내측으로 유입시켜 필터로 필터링 후 실외로 배출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전열교환부에 의해서 겨울철에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난방손실을 줄이고, 여름철에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냉기를 흡수하여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방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 In particular, the ventilation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allows the outdoor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casing by the air supply fan,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by the exhaust fan,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process, the heat exchanger absorbs the heat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during the wint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thereby reducing the heating loss, and absorbs the cold air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during the summe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outdoor air, the cooling loss is reduced.
그러나, 봄·가을철(혹은 초여름 및 초가을)이나 여름철 야간에 일사 축열에 의해 실내온도(엔탈피)보다 외기온도(엔탈피)가 낮을 경우 외기를 직접 도입하여 환기와 함께 자연냉방을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종래의 환기유니트는 전열교환부를 반드시 거쳐야만 환기가 되기 때문에 실내온도에 의해 가열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관계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when there is a need for natural cooling with ventilation by introducing fresh air directly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enthalpy) is lower than the room temperature (enthalpy) due to solar heat storage during spring and autumn (or early summer and early autumn) or during summer night.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unit ha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this desire because the outdoor air heated by the room temperature is introduced because the ventilation unit must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한편, 기존의 환기유니트 제어기술은 수동운전, 타임스케쥴운전, CO2 감지 또는 공기오염을 판단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한 자동운전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외기냉방 운전을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염감지에 의한 운전이 실 제 실내 공기질 상태와 다르게 운전되는 경향도 있는 바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폐열회수 환기유니트 본연의 목적인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하면서도 에너지절약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보다 정밀한 실내오염제어와 외기냉방 제어의 병합운전 방법을 고안하여 최소한의 운전만으로도 최적운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the existing ventilation unit control technology includes manual operation, time schedule operation, CO 2 detection, or automatic operation by a sensor that can determine air pollution. However, this method cannot realize air cooling ope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due to the tendency that the operation by pollution detection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ore precise indoor pollution control and air cooling control combined operation method to maximize the energy saving while realiz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that is the purpose of the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unit. hav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기존의 환기유니트 케이스에 별도의 외기냉방통로와 댐퍼를 설치하여 필요시 외기를 직접 도입하여 환기와 함께 자연냉방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외기냉방 겸용 환기유니트와 그 제어기술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separate air cooling passage and a damper in the existing ventilation unit case b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directly if necessary, a new concept of outdoor air cooling that can perform natural cooling with ventil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bined ventilation unit and its control technolog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echn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외기흡입구(110); 상기 케이스(1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구(120); 상기 케이스(100)의 타단에 상기 급기구(12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내기흡입구(130);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 상기 외기흡입구(11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40); 상기 외기흡입구(110)와 상기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와 상기 내기흡입구(130)와 상기 배기구(140)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공급되는 외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전열교환부(2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급기구(120)를 통하 여 실내로 공급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급기팬(3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배기구(1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배기팬(400); 상기 외기흡입구(110)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댐퍼(150); 상기 배기구(140)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댐퍼(160); 상기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열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급기구(120)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외기냉방통로(500); 상기 외기냉방통로(500) 상에 설치되는 제3댐퍼(510); 실내외 공기환경을 분석하여 상기 제1댐퍼(150), 상기 제2댐퍼(160), 상기 제3댐퍼(510), 상기 배기팬(400) 및 상기 급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 및, 실내외 환경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감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Technical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외기냉방 운전조건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3댐퍼(510)를 차단하고, 제1댐퍼(150) 및 제2댐퍼(160)를 개방하여 일반적인 환기유니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외기냉방 운전조건이 형성될 경우에는 제3댐퍼(510)와 제2댐퍼(160)를 개방하고, 제1댐퍼(150)를 차단하여 외기를 직접 도입하는 외기 냉방이 가능하다.First, when the external air cooling operation conditions are not formed, the
둘째,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실외온습도센서(710)와 내기흡입구(130)의 내측, 외측, 또는 실내측 벽면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실내온습도센서(720)를 구비하여 센서와 연동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Second, the inside, outside, or inside of the outdoor temperature and
셋째. 외기냉방통로(500)에도 프리필터와 고성능헤파필터를 구비하여 외기 도입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third. The outside
넷째, 도3의 자동제어 순서도와 같이 실내온습도센서(720) 및 실외온습도센서(710)로 감지한 데이터를 이용한 환기유니트의 외기냉방 운전과, 실내공기환경을 감지하는 CO2센서(740)와 TVOC센서(730) 등을 이용한 환기유니트의 오염제어 운전을 조합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하면서도 최소한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 할 수 있다.Fourth, the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using the data sensed by the indoor temperature and
다섯째, 실내온습도센서(720) 및 실외온습도센서(710)뿐만 아니라 각종 실내외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인 CO2센서(740), TVOC센서(730), 실내먼지센서(770), 실외먼지센서(775), HCHO센서(750), 풍향/풍속센서(760), 일사량센서(790), 빗물감지센서(780) 등을 활용하여 유익한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동 차양장치, 전동 창문, 조명설비 등과의 연동운전을 통해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 할 수 있다.Fifth, CO 2 sensor 740, TVO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 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제어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automatic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으며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몸체 및 공기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The
외기흡입구(110)는 케이스(100)의 일단(외기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outside
급기구(120)는 케이스(100)의 타단(실내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즉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기흡입구(110)와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를 통과하는 경로 상에 전열교환부(200)가 구비된다.That is, a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내기흡입구(130)는 케이스(100)의 타단(실내를 향하는 일측면)에 급기구(120)와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배기구(140)는 케이스(100)의 일단(외기를 향하는 일측면)에 외기흡입구(110)와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즉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내기흡입구(130)와 배기구(140)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를 통과하는 경로 상에 전열교환부(200)가 구비된다.That is, a passage connecting the
전열교환부(200)는 외기흡입구(110)와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와 내기 흡입구(130)와 배기구(140)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공급되는 외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The total
전열교환부(200)의 구조는 일반적인 종래의 환기유니트에 사용되는 전열교환부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total
급기팬(3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기흡입구(110)로 유입된 외기를 급기구(12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The
즉 급기팬(300)은 외기흡입구(110)와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충분한 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급기구(120) 내측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외기흡입구(110)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That is, if the
배기팬(4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기흡입구(1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배기구(1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The
배기팬(400)의 경우도 내기흡입구(130)와 배기구(140)를 연결하는 통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충분한 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배기구(140) 내측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내기흡입구(130)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제1댐퍼(150)는 외기흡입구(110)의 입구 측에 설치되고 제어부(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제2댐퍼(160)는 배기구(140)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제어부(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외기냉방통로(500)는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서 분기되어 전열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급기구(120)의 내측으로 연결된다.The outside
즉, 외기냉방통로(500)는 제1댐퍼(150)의 전단부와 급기구(120)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외기냉방통로(500)를 경유할 경우 전열교환부(200)를 통과하지 않은 외기를 직접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outside
제3댐퍼(510)는 외기냉방통로(500) 상에 설치되고 제어부(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제어부(600)는 제1댐퍼(150), 제2댐퍼(160), 제3댐퍼(510), 배기팬(400), 및 급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실내 오염도와 실내외 온습도를 감지 및 해석하여 오염제어 운전과 외기냉방 운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역할을 한다.The
감지부(700)는 실내외 환경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감지부(700)에는 실내 측에 설치되는 실내온습도센서(720), CO2센서(740), TVOC센서(730), HCHO센서(750), 실내먼지센서(770), 및 실외 측에 설치되는 실외온습도센서(710), 풍향/풍속센서(760), 빗물감지센서(780), 일사량센서(790), 실외먼지센서(775)가 포함된다.The
실외온습도센서(710)는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트랜스미터를 통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데, 외기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반드시 제1댐퍼(150)의 전단부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The outdoor temperature and
실내온습도센서(720)는 내기흡입구(130)의 내측, 외측, 또는 실내측 벽면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트랜스미터를 통하여 제어 부(600)로 전달하는데,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The indoor temperature and
이와 같이 실외온습도센서(710)와 실내온습도센서(720)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실외온습도센서(710)와 실내온습도센서(7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외기엔탈피와 실내엔탈피를 각각 연산하는데, 이와 같은 연산은 도2에 도시된 연산 및 제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인 산출이 가능하다. As such,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CO2센서(740), TVOC센서(730), HCHO센서(750), 실내먼지센서(770)는 실내의 공기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하나 혹은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 각 센서는 별개로 설치하거나 한 개의 유니트로 조합하여 설치 할 수도 있다. The CO 2 sensor 740, TVOC
실외측에 설치되는 풍향/풍속센서(760), 실외먼지센서(775), 일사량센서(790), 빗물감지센서(780)는 실외측 적정 위치에 하나 혹은 그 이상으로 설치하여 실외 환경 정보를 전달한다.The wind direction /
제어부(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외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인 환기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냉방기기 및 보일러를 함께 제어하고, 정보를 해석하여 유익한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제어부(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및 설정부, 연산 및 제어부(MCU), 외부신호입력부 및 출력구동부(Gateway & I/O Module) 등으로 세분화할 수도 있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운전이나 타임스케쥴 운전에 의해 전열교환 운전 및 외기냉방 운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 운전을 선택할 경우 전 열교환부(200)를 경유하는 환기가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외기냉방 운전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외기냉방 기간 부합 조건, 외기온도가 외기냉방 설정 외기온도보다 낮은 조건, 실내온도가 외기냉방 설정 실내온도보다 높은 조건, 연산된 외기엔탈피가 실내엔탈피보다 낮은 조건에 한 가지라도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댐퍼(510)를 차단하고, 제1댐퍼(150) 및 제2댐퍼(160)를 개방하여 일반적인 전열교환 환기유니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전열교환부(200)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의 모든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제3댐퍼(510)와 제2댐퍼(160)를 개방하고, 제1댐퍼(150)를 차단하여 실외 공기가 전열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냉방 모드로 운전하게 된다.When the air cooling operation is selected, the
외기냉방 기간 부합 조건이란 해당 지역의 기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외기냉방이 필요한 기간으로서 국내의 경우 일반적으로 봄, 가을철(혹은 초여름 및 초가을) 또는 여름철 야간을 의미한다. A condition that meets the outside air cooling period is a time period in which outside air cooling is pre-set in consideration of the climate of the region. In Korea, it generally means spring, autumn (or early summer and early autumn) or summer night.
자동운전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실내 공기환경에 따른 오염제어 운전과 실내외 공기환경에 따른 외기냉방 운전을 조합하여 운전하게 되며, 이 때 오염제어 운전의 전열교환 운전은 제3댐퍼(510)를 차단하고, 제1댐퍼(150) 및 제2댐퍼(160)를 개방하여 운전하되 오염도에 따라 급배기팬의 단수가 1,2,3단으로 자동 조절된다.When the automatic operation is selected, the
즉 제어부(600)는 CO2센서(740), TVOC센서(730), HCHO센서(750), 및 실내먼 지센서(77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미리 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실내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급기팬(300)과 상기 배기팬(400)의 작동을 자동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the
오염제어 운전의 외기냉방 운전과 비오염 상태에서의 외기냉방 운전은 제3댐퍼(510)와 제2댐퍼(160)를 개방하고, 제1댐퍼(150)를 차단하여 실외 공기가 전열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며 급배기팬은 정해진 단수에 의해 운전된다. In the air cooling operation of the pollution control operation and the air cooling operation in a non-pollution state, the
제1필터부(210)는 외기흡입구(110)를 향하는 전열교환부(200)의 일면에 설치되고, 제2필터부(220)는 내기흡입구(130)를 향하는 전열교환부(200)의 타면에 설치되고, 제3필터부(520)는 외기냉방통로(500) 상에 설치되는데, 제2필터부(220)의 경우 프리필터(11)만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제1필터부(210)와 제3필터부(520)는 프리필터(11)와 고성능헤파필터(12)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벽하게 걸러낸 후 실내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 changes within the scope no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ddition or deletion of well-known technology, and simple numerical limitations also make it clear that they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제어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automatic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케이스100: case
110:외기흡입구110: outside air intake
120:급기구120: supply air
130:내기흡입구130: bet suction
140:배기구140: exhaust vent
150:제1댐퍼150: first damper
160:제2댐퍼160: the second damper
200:전열교환부200: electric heat exchanger
210:제1필터부210: first filter unit
220:제2필터부220: second filter unit
300:급기팬300: supply fan
400:배기팬400: exhaust fan
500:외기냉방통로500: air cooling passage
510:제3댐퍼510: third damper
520:제3필터부520: third filter unit
600:제어부600: control unit
700:감지부700: detection part
710:실외온습도센서710: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720:실내온습도센서720: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730: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센서 730: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740:CO2(이산화탄소)센서740: CO 2 (carbon dioxide) sensor
750:HCHO(포름알데히드)센서750: HCHO (formaldehyde) sensor
760:풍향/풍속센서760: Wind / wind sensor
770:실내먼지센서770: indoor dust sensor
775:실외먼지센서775: outdoor dust sensor
780:빗물감지센서780: rainwater sensor
790:일사량센서790: solar radiation sensor
11:프리필터11: pre-filter
12:고성능헤파필터12: high performance HEPA filt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138A KR100984118B1 (en) | 2009-12-08 | 2009-12-08 |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138A KR100984118B1 (en) | 2009-12-08 | 2009-12-08 |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4118B1 true KR100984118B1 (en) | 2010-09-28 |
Family
ID=4301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1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4118B1 (en) | 2009-12-08 | 2009-12-08 |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4118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240B1 (en) * | 2010-09-29 | 2013-01-11 | 현대건설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total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outdoor air cooling function |
KR101320703B1 (en) * | 2013-01-21 | 2013-10-21 | 서효명 | Multi-functional ventilating unit |
KR20150056389A (en) | 2013-11-15 | 2015-05-26 | 주식회사 서우테크놀러지 | Outside air cooling system efficiency |
CN105276702A (en) * | 2015-11-24 | 2016-01-27 | 太仓市大友空调设备有限公司 | Orange type air purifier convenient to clean filter screen |
KR101835347B1 (en) * | 2016-03-02 | 2018-03-08 | (주)한성윈도우 | A ventilation device of double window |
CN109751700A (en) * | 2017-08-23 | 2019-05-14 | 河北蓝海风科技有限公司 | Passive residential environment adaptive cloud control fresh air system |
KR101986962B1 (en) | 2018-12-19 | 2019-06-10 | 서진공조 주식회사 | Ventilation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upply or exhaust air flow rate which goes up and down due to strength and weakness of draft in order to maintain constant ventilation air flow ra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R3096117A1 (en) * | 2019-05-13 | 2020-11-20 |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 ROOM VENTILATION DEVICE |
KR20220155526A (en) * | 2021-05-14 | 2022-11-23 | 이영재 | air conditioning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8903Y1 (en) * | 2005-03-17 | 2005-07-07 | 강남필터 주식회사 | Ventilating system for saving energy using thermal efficiency of indoor air |
KR100623526B1 (en) | 2005-05-23 | 2006-09-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ventilation control method |
KR100628078B1 (en) * | 2005-02-15 | 2006-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system |
JP2008309381A (en) * | 2007-06-13 | 2008-12-25 | Mitsubishi Electric Corp |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
-
2009
- 2009-12-08 KR KR1020090121138A patent/KR10098411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8078B1 (en) * | 2005-02-15 | 2006-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system |
KR200388903Y1 (en) * | 2005-03-17 | 2005-07-07 | 강남필터 주식회사 | Ventilating system for saving energy using thermal efficiency of indoor air |
KR100623526B1 (en) | 2005-05-23 | 2006-09-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ventilation control method |
JP2008309381A (en) * | 2007-06-13 | 2008-12-25 | Mitsubishi Electric Corp |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240B1 (en) * | 2010-09-29 | 2013-01-11 | 현대건설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total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outdoor air cooling function |
KR101320703B1 (en) * | 2013-01-21 | 2013-10-21 | 서효명 | Multi-functional ventilating unit |
KR20150056389A (en) | 2013-11-15 | 2015-05-26 | 주식회사 서우테크놀러지 | Outside air cooling system efficiency |
CN105276702A (en) * | 2015-11-24 | 2016-01-27 | 太仓市大友空调设备有限公司 | Orange type air purifier convenient to clean filter screen |
KR101835347B1 (en) * | 2016-03-02 | 2018-03-08 | (주)한성윈도우 | A ventilation device of double window |
CN109751700A (en) * | 2017-08-23 | 2019-05-14 | 河北蓝海风科技有限公司 | Passive residential environment adaptive cloud control fresh air system |
KR101986962B1 (en) | 2018-12-19 | 2019-06-10 | 서진공조 주식회사 | Ventilation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upply or exhaust air flow rate which goes up and down due to strength and weakness of draft in order to maintain constant ventilation air flow ra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R3096117A1 (en) * | 2019-05-13 | 2020-11-20 |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 ROOM VENTILATION DEVICE |
KR20220155526A (en) * | 2021-05-14 | 2022-11-23 | 이영재 | air conditioning system |
KR102648691B1 (en) * | 2021-05-14 | 2024-03-18 | 이영재 | air condition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4118B1 (en) | Outdoor air cooling ventilation unit | |
KR101003258B1 (en) | Total heat exchange ventilator for both air cooling | |
KR101221240B1 (en) | Control method of total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outdoor air cooling function | |
KR100617080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2056470B1 (en) |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 |
CN205245451U (en) | Coordinated control system | |
CN111059624B (en) | Fresh air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CN103322629B (en) | Household air purification treatment and heat energy recovery device and household air purification treatment and heat energy recovery method | |
CN108253574A (en) | A kind of furred ceiling fresh air ventilator energy-saving control system and its energy-saving control method | |
KR101426733B1 (en) | heat exchanging air conditioner for cycling recycle heat and its control method | |
CN204648576U (en) | A kind of unattended operation transformer station VMC device | |
CN106594930B (en) | Energy-saving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achine room | |
CN204301210U (en) | A kind of intelligent air purifying window and window intelligent air purifying system | |
KR20130012411A (en) | Ventilating device for outdoor air cooling | |
CN203010833U (en) | Intelligent ventilator | |
CN202868925U (en) | Fresh air energy-saving system | |
KR20120107229A (en) | Air cleaning and energy saving system | |
CN206572714U (en) | A kind of multi-way intelligence room air regulation device | |
CN106382707A (en) | Ventilating energy-saving system for sliding window and use method therefor | |
KR20120015059A (en) | Intelligen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 |
CN103822325A (en) | Intelligent bedroom fresh air system and air distribution method | |
CN218495081U (en) | Passive room fresh air conditioning equipment with passive ultralow energy consumption | |
CN205037523U (en) | Formula of taking a breath air conditioner | |
CN103438553A (en) | Indoor fresh air and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 |
CN204254823U (en) | A kind of intelligent ventila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