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086B1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2086B1 KR100982086B1 KR1020080045764A KR20080045764A KR100982086B1 KR 100982086 B1 KR100982086 B1 KR 100982086B1 KR 1020080045764 A KR1020080045764 A KR 1020080045764A KR 20080045764 A KR20080045764 A KR 20080045764A KR 100982086 B1 KR100982086 B1 KR 100982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ai
- keypad array
- area
- vowel
- key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0)
- 휴대폰(M)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표음문자인 태국어의 표기방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키패드어레이는;키패드어레이 상에서 사용자조작이 용이한 선택적인 키패드어레이(K1) 상에서의 키버턴(B)의 영역에 태국어 사전에서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키에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하여 모음영역(VA)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음영역(VA)에 인접한 키버턴(B)에 반모음영역(SVA)을 배당하며,상기 키패드어레이(K1)에서 상기 모음영역(VA)을 제외한 키버턴(B)은 자음영역(CA)을 구성하며, 상기 자음영역(CA)에 배당되는 자음은 구강 내에서의 조음의 위치와 발성을 위한 조음의 방법의 유사성에 따라서 할당되어 지고,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되며,상기 모음영역(VA)-반모음영역(SVA)과 자음영역(CA)의 조합된 키버턴(B)의 조작으로서 모든 자모를 구성하여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휴대폰(M)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표음문자인 태국어의 표기방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키패드어레이는;키패드어레이 상에서 사용자조작이 용이한 선택적인 키패드어레이(K1) 상에서의 키버턴(B)의 영역에 태국어 사전에서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키에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하여 모음영역(VA)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음영역(VA)에 인접한 키버턴(B)에 반모음영역(SVA)을 배당하며,상기 키패드어레이(K2)에서 상기 모음영역(VA)을 제외한 키버턴(B)은 자음영역(CA)을 구성하며, 상기 자음영역(CA)에 배당되는 자음은 자음문자의 형태적이고 기하학적인 형상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하여 할당되어 지고,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되며,상기 모음영역(VA)-반모음영역(SVA)과 자음영역(CA)의 조합된 키버턴(B)의 조작으로서 모든 자모를 구성하여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어레이(K1)에서의 모음영역(VA)은 좌상하라인어레이 또는 상단라인어레이에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루엉 프라방 문자의 표기에 필요한 성조를 나타내는 부호 및 특수부호들은 상기 해당 키버턴(B)의 조작( 연속 3번 누름 )에 의하여 표기되어지고 연속 4번 누름에 의하여 숫자(뉴메릭)가 표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루엉 프라방 문자들중 중복자음 및 중복모음과 일부 음절모음을 상기 해당 키버턴(B)의 조작( 0.5초 이내의 1번 또는 2번 길게 누름 )에 의하여 표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어레이(K1)의 해당 키버턴(B)에서의 시프트키(S) 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되어 나타내어 지는 자음들은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모음의 단음들은 별도로 설정된 시프트키(S)의 사용으로 전환되고,상기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설정된 자음들외의 자음들은 별도로 설정된 시프트키(S)의 사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키버턴(B)의 조작방법은 키의 1회 누름은 상기 키패드어레이의 모음영역(VA)과 자음영역(CA)의 표제음이 입력되고, 연속 2 회의 키의 누름은 해당 키패드어레이의 표제음에 종속되어 할당된 부제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태국어 입력용의 개인용컴퓨터의 키보드에 적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태국어의 표기방식인 타이문자의 전신인 인도 브라프미문자에서 유래되고 전파되어 형성된 티벳어, 라오스어, 크메르어, 미얀마어 등의 문자 입력에 유사 내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는 키패드어레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764A KR100982086B1 (ko) | 2008-05-16 | 2008-05-16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764A KR100982086B1 (ko) | 2008-05-16 | 2008-05-16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613A KR20090119613A (ko) | 2009-11-19 |
KR100982086B1 true KR100982086B1 (ko) | 2010-09-13 |
Family
ID=4160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5764A Active KR100982086B1 (ko) | 2008-05-16 | 2008-05-16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20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404B1 (ko) * | 2009-11-24 | 2012-05-08 | 윤정호 | 태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ko)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
JPH11353096A (ja) | 1998-06-10 | 1999-12-24 | Sharp Corp |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
KR20010020973A (ko) * | 1999-06-09 | 2001-03-15 | 김민겸 |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US6934564B2 (en) | 2001-12-20 | 2005-08-2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ndi input to a device using a numeric keypad |
-
2008
- 2008-05-16 KR KR1020080045764A patent/KR1009820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ko)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
JPH11353096A (ja) | 1998-06-10 | 1999-12-24 | Sharp Corp |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
KR20010020973A (ko) * | 1999-06-09 | 2001-03-15 | 김민겸 |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US6934564B2 (en) | 2001-12-20 | 2005-08-2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ndi input to a device using a numeric keyp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613A (ko) | 2009-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25449A1 (en) | Integratd phonetic Chinese system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 |
CN102253728B (zh) | 一种声韵双拼汉字输入法及其虚拟键盘 | |
CN101667068B (zh) | 用于便携式装置的拼音输入方法 | |
KR100982086B1 (ko)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
KR20030049443A (ko) |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080099060A (ko) | 러시아어권역 언어의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용키패드어레이 | |
CN101071336A (zh) | 键盘国际音标英汉文字转换输入法 | |
CN1195265C (zh) | 一种汉语拼音简捷全拼输入法 | |
WO2011035705A1 (zh) | 一种数序码元键盘及其信息输入方法 | |
CN102368177B (zh) | 新汉字声韵输入方法及输入键盘 | |
KR200421161Y1 (ko) |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 |
CN101093417A (zh) | 中文标准键盘及千字文置换输入法 | |
CN100498663C (zh) | 一种利用韩文字母输入汉字的方法 | |
CN101515207A (zh) | 全球语言在键盘上的通用有声输入法 | |
KR100432267B1 (ko) | 간편한 한글자판 | |
JP2008139835A (ja) | 発音学習法 | |
JPH021011A (ja) | 2ストローク用キー配列のキーボード | |
CN100419650C (zh) | 双声码汉字输入法 | |
KR20080083986A (ko)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힌디어용 키패드어레이 | |
CN101067769B (zh) | 一种利用数字进行输入文字的方法 | |
CN107066104B (zh) | 电脑汉英互读互译键盘最佳键位 | |
JP3072312U (ja) |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 |
JP2001075707A (ja) | 本キーボードの形に於ける、文字配列 | |
KR101128734B1 (ko) |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 |
JPS6275757A (ja) | 中国語入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