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913B1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0913B1 KR100980913B1 KR1020030071144A KR20030071144A KR100980913B1 KR 100980913 B1 KR100980913 B1 KR 100980913B1 KR 1020030071144 A KR1020030071144 A KR 1020030071144A KR 20030071144 A KR20030071144 A KR 20030071144A KR 100980913 B1 KR100980913 B1 KR 1009809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lens
- portable terminal
- fixing body
- lens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단말기의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음형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카메라결합홈과, 그 카메라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구형의 렌즈고정체와, 그 렌즈고정체에 설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렌즈의 촬영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렌즈고정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촬영을 함으로써, 촬영각도의 제한없이 편리하게 다양한 각도의 촬영을 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mispherical camera coupling groove which is formed so as to be negatively inwar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erminal and is opened to the front, and is inserted into the camera coupl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camera coupling groove up, down, left, right. It consists of a hemispherical lens fix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and a camera lens installed in the lens fixing body for capturing the image of the subject,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hooting angle of the lens By photographing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hotograph various angles without limiting the photographing ang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가 설치된 일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가 설치된 다른예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영상촬영 동작을 보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n image capturing operation using a camer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카메라결합홈 112 : 렌즈고정체111: camera coupling groove 112: lens fixing body
113 : 카메라렌즈 114 : 렌즈고정체회전돌기113: camera lens 114: lens fixed rotating projection
115 : 렌즈회전각도제한돌기115: Lens rotation angle limit projection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상,하,좌,우로 촬영각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영상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in particular, a camer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capture an image of a desired angle by adjusting a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about.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영상촬영을 위하여 카메라가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다.Recently developed and released portable terminal has a video recording and sending and receiving functi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ideo as well a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camera is provided in the terminal itself for such a video recording.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s shown in FIG. 1, which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와, 그 단말기 본체(1)에 힌지(2)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에 대하여 개,폐되며 본체(1)를 보호함과 아울러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3a)이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main body 1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PCB mounted thereon with various components therein, and a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는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4)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폴더(3)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6)가 설치되어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1)에 덮어있는 폴더(3)를 열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때는 폴더(3)를 열고 얼굴 측면에 단 말기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된다. When a user transmits / receives a vo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pens a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6)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폴더(3)를 열어서 카메라(6)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n image using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형태의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6)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 반드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있는 방향으로 단말기의 방향을 변환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must be chang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required when the image is to be captured using the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가 설치된 다른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조는 도 1과 동일하며, 다만 카메라(11)가 힌지(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 the basic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except that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송수신을 할 때는 상술한 일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성송수신을 하고,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때는 폴더(3)를 열고 카메라(11)의 외측면에 설치된 손잡이부(11a)를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11)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그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보관하거나 송신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xample when performing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terminal, and open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카메라가 설치된 다른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도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11)를 회전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제한적인 촬영각도의 조정이 가능할뿐, 다양한 각도를 편리하게 촬영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ortable terminal of another type in which the camera shown in FIG. 2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hen capturing an image using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상,하,좌,우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venient portable terminal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providing a camera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단말기의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음형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카메라결합홈과,Hemispherical camera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negatively inwar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erminal and is formed to open in the front,
그 카메라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구형의 렌즈고정체와,A hemispherical lens fixing body inserted into the camera coupling groove and rotatably install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 렌즈고정체에 설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A camer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on the lens fixture and comprises a camera lens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 되어 있고 그 수용공간의 내측에 피시비가 수용되어 있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01)와, 그 단말기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102)에 의해 결합되며 화면(103)이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104)와, 상기 본체(101)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105)와, 본체(101)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6)와, 상기 폴더(104)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107)을 구비한다.As shown there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카메라 장치(107)는 단말기의 폴더(104) 외측면에 내측으로 음형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구부(111a)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구형의 카메라결합홈(111)과, 그 카메라결합홈(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구형의 렌즈고정체(112)와, 그 렌즈고정체(112)에 고정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113)로 구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렌즈고정체(112)의 외측면에는 카메라 렌즈(113)의 일측에 렌즈고정체(112)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렌즈고정체회전돌기(114)가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ns fixing
또한, 상기 렌즈고정체(112)의 카메라 렌즈(113) 상측과 하측에는 렌즈고정체(112)의 회전시 필요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렌즈회전각도제한돌기(115)가 소정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ns rot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때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촬영이 이루어진다.When taking an image using the camer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cording is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of taking a picture using a camera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즉, 폴더(104)를 열고 폴더(10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107)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면(103)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확인하며 본체(1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카메라 장치(107)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현재 보다 상측 또는 하측의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는 렌즈고정체회전돌기(114)를 손가락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촬영를 하고,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촬영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때도 도 6)의 b)에서와 같이, 렌즈고정체회전돌기(114)를 손가락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각도를 회전시켜서 촬영을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shooting an image using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카메라 렌즈(113)의 촬영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렌즈고정체(112)를 회전시킬 때 렌즈고정체(112)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렌즈회전각도제한돌기(115)가 카메라결합홈(111)의 개구부(111a) 내주면에 의해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렌즈고정체(112)가 필요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s rota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폴더의 외측면에 반구형의 카메라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카메라결합홈에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반구형의 렌즈고정체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렌즈의 촬영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렌즈고정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 전시켜서 촬영을 함으로써, 촬영각도의 제한없이 편리하게 다양한 각도의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amer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emispherical camera coupling groo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and the hemispherical lens fixing body in which the lens is installed in the camera coupling groove up, down, left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hooting angle of the lens by rotating the lens in the right direction, the user can rotate the lens fixing body in the desired direction to shoot, and the shooting angle can be conveniently taken without limiting the shooting angle. It work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1144A KR100980913B1 (en) | 2003-10-13 | 2003-10-13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1144A KR100980913B1 (en) | 2003-10-13 | 2003-10-13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5466A KR20050035466A (en) | 2005-04-18 |
KR100980913B1 true KR100980913B1 (en) | 2010-09-07 |
Family
ID=3723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1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913B1 (en) | 2003-10-13 | 2003-10-13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091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622A (en) | 1998-04-06 | 1999-12-24 | Toshiba Corp | Image pickup device |
JP2001352380A (en) | 2000-06-08 | 2001-12-21 | Minolta Co Ltd | Mobile terminal |
JP2003108982A (en) | 2001-09-28 | 2003-04-11 | Nec Corp | Imag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built in |
JP2003143270A (en) | 2001-11-02 | 2003-05-16 | Nec Access Technica Ltd |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
2003
- 2003-10-13 KR KR1020030071144A patent/KR1009809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622A (en) | 1998-04-06 | 1999-12-24 | Toshiba Corp | Image pickup device |
JP2001352380A (en) | 2000-06-08 | 2001-12-21 | Minolta Co Ltd | Mobile terminal |
JP2003108982A (en) | 2001-09-28 | 2003-04-11 | Nec Corp | Imag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built in |
JP2003143270A (en) | 2001-11-02 | 2003-05-16 | Nec Access Technica Ltd |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5466A (en) | 2005-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46503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mproved image communication performance | |
EP1455505A1 (en) |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module | |
JP2004274304A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equipment | |
KR100518002B1 (en) | Camera angle control apparatus of mobile phone | |
JP4199576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KR100824358B1 (en)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JP2004274777A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apparatus | |
KR100215309B1 (en) | Digital steel camera combined handphone | |
KR100980913B1 (en)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90077605A (en) | Handheld terminal | |
JP2003018261A (en) | Portable terminal | |
JP4187068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KR20120040824A (en) | Accessories for bar type cellular phone | |
KR20040070899A (en) | Mobile phone having cover for camera | |
KR100473502B1 (en)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KR100511311B1 (en) | Folder connect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 |
KR101718113B1 (en) | Portable terminal case able to take selfie | |
JP2002237880A (en) | Cellular phone | |
KR10094153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85756B1 (en) | Record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31677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swivel type folder | |
KR101120089B1 (en) |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 |
JP2006154660A (en) | Mobile phone with camera | |
KR20040076009A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JP2003298694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