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4548B1 -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 Google Patents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548B1
KR100974548B1 KR1020080051023A KR20080051023A KR100974548B1 KR 100974548 B1 KR100974548 B1 KR 100974548B1 KR 1020080051023 A KR1020080051023 A KR 1020080051023A KR 20080051023 A KR20080051023 A KR 20080051023A KR 100974548 B1 KR100974548 B1 KR 10097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interlock
shift lever
switch unit
ign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677A (ko
Inventor
정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48B1/ko
Priority to US12/336,235 priority patent/US8128531B2/en
Priority to DE102008064421.8A priority patent/DE102008064421B4/de
Priority to CN2008101865287A priority patent/CN101590839B/zh
Publication of KR2009012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은 변속 레버가 파킹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와,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조합하여 키 인터록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변속 레버 위치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 인터록 시스템의 내구 수명이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변속 레버, 주차위치 스위치부, 이그니션 스위치부, 제어부, 키 인터록

Description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KEY INTER LOCK CONTROLL SYSTEM AND STAR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인터록의 발열 및 작동 소음을 해결하기 위한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에는 안전을 위해 변속 레버가 파킹, 즉, "P"의 위치에 있을 때만 시동키가 시동 스위치에서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키 인터록 시스템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키 인터록 시스템은 오토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함은 물론, 경사로 주차시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변속 레버가 'P' 이외의 위치로 이동시 변속 레버의 변속을 감지하는 주차위치 스위치('P' Position Switch)는 변속 레버가 'P' 이외의 위치에 이동되었다고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이를 확인한 후, 키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전되면 솔레노이드는 키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켜 변속 레버가 'P' 이외의 위치에 있을 경우, 키의 탈거를 못하도록 방지한다.
반면, 변속 레버가 'P' 에 위치했을 경우, 키 인터록 장치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차단 즉, 통전을 차단하여 키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으며, 이로 인해 키의 탈거를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종래 키 인터록 장치는 변속 레버가 'P' 위치이거나 'P' 이외의 위치일 경우를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변속 레버를 'P'에서 'R'로 이동시킬 때마다 키 인터록 장치가 동작하고, 이로 인해 작동 소음이 발생하여 감성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주행 중에는 항상 'P' 이외의 위치에서 변속 레버가 동작되기 때문에 'P' 이외의 위치에서 동작되는 키 인터록 시스템에 많은 부하가 걸리고 특히, 키 인터록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의 통전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에 과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솔레노이드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어 키 인터록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위치 이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인터록 시스템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은 변속 레버가 파킹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와,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조합하여 키 인터록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변속 레버가 파킹단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고 전원 단자 중 IG1 신호가 온되면, 키 인터록을 미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IG1 신호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면 키 인터록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동 장치는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캠 샤프트와, 상기 이그니션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변속 레버가 파킹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와,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부로부터 측정된 신호에 의해 이그니션 키가 ON 단자에서 ACC 단자로 이동되면 캠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키 인터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변속 레버가 파킹 이외에 위치했더라도 이그니션 키가 ON 단자에 위치했을 경우, 키 인터록을 미작동시킴으로써, 변속 레버가 P에서 R로 변경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키 인터록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솔레노이드의 지속적인 통전으로 인한 솔레노이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키 인터록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의 이그니션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은 변속 레버(200)가 파킹 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P' Position Switch, 100)와,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300)와,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부(30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조합하여 키 인터록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는 변속 레버(200)에 일측에 설치되며, 변속 레버(200)의 동작 예컨데, 변속 레버(200)가 파킹(P)단에 위치하는지 파킹단 이외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200)를 'P'단에 위치시키면,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는 변속 레버(200)가 'P'단에 있음을 인식하고 'P'에 대한 신호 예컨데, 온(On) 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면, 운전자가 변속 레버(200)를 'P'단 이외에 위치시키면 예컨데, R(후진), N(중립), D(드라이브), 1(1단), 2(2단)에 위치시키면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는 변속 레버(200)가 'P'단 이외에 위치되었다는 신호 예컨데, 오프(Off)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니그션 스위치부(300)는 이그니션 록(400)에 구비되며, 이그니션 록(400)은 이니그션 키 조작에 의해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록(400)에는 LOCK, ACC, ON, START, 단자가 마련되며, 이니그션 키는 상기 단자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컨데, 이니그션 키가 ACC에 위치하면 B1 단자와 ACC 단자에 연결되고, 이니그션 키가 ON에 위치하면 B1이 ACC 단자 및 IG1과 연결됨과 동시에 B2가 IG2와 연결된다. 또한, 이그니션 키가 START에 위치하면 B1이 IG1과 연결됨과 동시에 B2가 ST단자와 연결된다.
여기서, IG1 단자는 연료회로, 점화회로, 전자제어, 방향지시등, 후진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IG2 단자는 등화, 보안, 공조, 파워윈도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ACC단자는 시계, 오디오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ST단자는 시동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B1은 ACC와 IG1에 관련된 전장품을 위한 배터리 전원이고, B2는 ST와 IG2에 관련된 전장품을 위한 배터리 전원이다.
제어부(KEY INTER LOCK CONTROLLER, 500)는 솔레노이드(4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솔레노이드(420)의 동작 여부의 판단은 주차위치 스위치부(100)와, 이니그션 스위치부(300)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즉, 변속 레버(200)가 P단에 위치되어 주차위치 스위치(100)로부터 ON 신호를 받고, 이니그션 스위치부(300)로부터 IG1 신호를 제공받으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420)를 미작동시켜 이니그션 키가 이그니션 록(400)에서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며, 그 외의 신호에서는 키 인터록(400)을 동작시켜 이니그션 키가 키 인터록(40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제어부로서 키 인터록 컨트롤러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로서 비시엠(BODY CONTROLL MODULE)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로부터 솔레노이드(420)의 작동 신호를 발생하면, 솔레노이드(4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솔레노이드(420)를 통전시키고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420)가 푸시 유닛(430)의 중앙부의 스프링(440)이 가지는 탄성력을 이기고 밀어내어 캠 샤프트(410)에 걸려 캠 샤프트(4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키의 탈거를 방지시킨다. 여기서, 캠 샤프트(410)는 이그니션 키에 의해 조작되며 예컨데, 이그니션 키가 캠 샤프트(410)에 결합되고, 이그니션 키가 LOCK, ACC, ON, START로 이동될 때마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반면, 제어부(500)로부터 솔레노이드(420)의 미작동 신호를 발생하면, 솔레노이드(420)의 통전은 오프되고, 푸시 유닛(430)은 스프링(440)의 탄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푸시 유닛(430)은 캠 샤프트(410)에 빠지게 되어 캠 사프트(410)의 움직임이 가능해져 키의 탈거가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이그니션 스위치(300)부로부터 IG1 신호가 온인지 판단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여기서, IG1 신호가 온되었다는 것은 이그니션 키의 위치가 ON 또는 START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어서, 제어부(500)는 주차위치 스위치부(100)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로부터 ON 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여기서, ON 신호는 변속 레버(200)가 P단에 위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에 통전을 오프시켜 키 인터록을 미작동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어서, 주차위치 스위치(100)로부터 ON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변속 레버(200)가 P단 이외에 위치되었다고 판단하고, IG1이 온인지 여부를 판 단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IG1 신호가 온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니그션 키의 상태가 LOCK, ACC 단자에 위치했다고 판단하고, 솔레노이드 통전을 온시켜 키 인터록을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IG1 신호와 주차위치 스위치부의 ON 신호에 의해 키 인터록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변속 레버가 P 이외에 위치했더라도 이그니션 키가 ON 단자에 위치했을 경우, 키 인터록은 미작동되며, 이로 인해 P에서 R로 변속 레버가 변경되더라도 키 인터록이 미작동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키 인터록이 작동되어 솔레노이드의 지속적인 통전으로 인한 솔레노이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키 인터록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의 이그니션 스위치부의 전원 분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주차위치 스위치부 200: 변속 레버
300: 이그니션 스위치부 400: 이그니션 록
410: 캠 샤프트 420: 솔레노이드
430: 푸시 유닛 500: 제어부

Claims (4)

  1. 삭제
  2. 변속 레버(200)가 파킹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100);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300); 및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부(30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조합하여 솔레노이드(42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500)는 변속 레버(200)가 파킹단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고 전원 단자 중 IG1 신호가 온되면 키 인터록을 미작동시키고, 상기 IG1 신호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면 키 인터록을 작동시키는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3. 삭제
  4.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캠 샤프트(410);
    이그니션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300)와,
    변속 레버(200)가 파킹단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100);
    상기 주차위치 스위치부(100)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부(300)로부터 측정된 신호에 의해 상기 변속 레버(200)가 파킹단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고 전원 단자 중 IG1 신호가 ON 되면, 키 인터록을 미작동시키고, 상기 IG1 신호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면 상기 캠 샤프트(410)의 회전을 제한하여 키 인터록을 작동시키는 키 인터록
    을 포함하는 시동 장치.
KR1020080051023A 2008-05-30 2008-05-30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Active KR100974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023A KR100974548B1 (ko) 2008-05-30 2008-05-30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US12/336,235 US8128531B2 (en) 2008-05-30 2008-12-16 Key inter lock control system and starting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08064421.8A DE102008064421B4 (de) 2008-05-30 2008-12-22 Schlüsselverriegelungssteuersystem und Startvorrichtung, die ein Schlüsselverriegelungssteuersystem aufweist
CN2008101865287A CN101590839B (zh) 2008-05-30 2008-12-25 钥匙互锁控制系统以及具有该系统的启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023A KR100974548B1 (ko) 2008-05-30 2008-05-30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677A KR20090124677A (ko) 2009-12-03
KR100974548B1 true KR100974548B1 (ko) 2010-08-11

Family

ID=4125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023A Active KR100974548B1 (ko) 2008-05-30 2008-05-30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28531B2 (ko)
KR (1) KR100974548B1 (ko)
CN (1) CN101590839B (ko)
DE (1) DE10200806442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4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10B1 (ko) * 2009-10-30 2011-12-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US8142331B2 (en) * 2010-03-23 2012-03-27 Studio Allumage, Inc. Vehicle engine shutdown prevention system
JP5520683B2 (ja) * 2010-05-11 2014-06-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の操作規制機構
CN102797842A (zh) * 2012-08-30 2012-11-28 黄山市汽车电器股份公司 一种点火开关防误操作结构
CN110217149B (zh) * 2018-03-02 2021-07-1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自卸载重车箱体与箱盖联动互锁安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28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인히비터 스위치를 이용한 쉬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장치
KR20050015679A (ko) * 2003-08-07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키 인터락 시스템
JP2006192990A (ja) * 2005-01-12 2006-07-27 Fujikura Ltd 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295A (en) * 1989-12-08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to operator controlled mechanism interlock
JP2725520B2 (ja) 1992-03-03 1998-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7329716A (ja) * 1994-06-08 1995-12-19 Tokai Rika Co Ltd 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US5685183A (en) * 1994-07-19 1997-11-1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le locking device
US5562568A (en) * 1994-08-18 1996-10-08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Brake-transmission-ignition key interlock system
US5759132A (en) * 1994-10-27 1998-06-0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 Vehicle park/lock mechanism with control module having a locking mechanism and a control switch actuated by the locking mechanism
US5647818A (en) * 1995-03-27 1997-07-15 Pontiac Coil, Inc. Shifter interlock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194796B1 (ko) 1996-12-05 1999-06-15 정몽규 글로브 박스 자동 록킹장치
US5938562A (en) * 1998-02-17 1999-08-17 Pontiac Coil, Inc. Brake shifter interlock with improved park lock switch
KR100918389B1 (ko) 2006-12-04 2009-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28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인히비터 스위치를 이용한 쉬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장치
KR20050015679A (ko) * 2003-08-07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키 인터락 시스템
JP2006192990A (ja) * 2005-01-12 2006-07-27 Fujikura Ltd 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4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KR101883201B1 (ko) 2016-11-30 2018-08-24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8531B2 (en) 2012-03-06
US20090298643A1 (en) 2009-12-03
CN101590839B (zh) 2013-06-05
DE102008064421A1 (de) 2009-12-03
CN101590839A (zh) 2009-12-02
DE102008064421B4 (de) 2019-11-28
KR20090124677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548B1 (ko)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JP4983785B2 (ja) 電子制御装置
JPWO2015016109A1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202023A (ja) 車両電源システム
JP2000515955A (ja) 自動車における制御装置の作動装置
KR20110062865A (ko)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세차모드 제어방법
US690055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and stopping of engine
US20120072083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0986462B1 (ko) 자동차의 키 인터록
CN109751408B (zh) 车辆停驻系统及控制该车辆停驻系统的方法
US74421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rking lock holding magnet
KR20100049890A (ko) 키 인터록 장치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JP5218343B2 (ja) インジケータ点灯装置
KR20070092412A (ko) 차량용 버튼 시동장치
KR100958743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791786B1 (ko) 원터치 시동 스위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방법
KR100821716B1 (ko) 비상안전기능을 가지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110062419A (ko)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주차 제어방법
JP2005351237A (ja) 動力装置の起動スイッチの故障検出装置及び故障検出方法
KR20130013442A (ko) 자동화 변속장치의 제어장치 전원회로
KR0147733B1 (ko) 자동차의 테일램프 점등장치
JP5696637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70070466A (ko) 차량용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
JPS63192623A (ja)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