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78B1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0178B1 KR100970178B1 KR1020100017360A KR20100017360A KR100970178B1 KR 100970178 B1 KR100970178 B1 KR 100970178B1 KR 1020100017360 A KR1020100017360 A KR 1020100017360A KR 20100017360 A KR20100017360 A KR 20100017360A KR 100970178 B1 KR100970178 B1 KR 100970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ptide
- cell epitope
- helper
- seq
- polypept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75—Apolipopept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의 (b)는 재조합 ApoCII/pQE30 벡터로 형질전환된 이.콜라이 JM109에서 단편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2의 (a)는 RVNP 유전자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사진이다(레인 1 : 100bp ladder (Bioneer), 레인 2 : PCR 산물, 2ul/well load. 2% 아가로스 겔, TBE 버퍼 시스템).
도 2의 (b)는 B4RCII/pQE30 벡터로 형질전환시킨 이.콜라이 JM109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SalI으로 잘라 단편이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의 (c)는 B4RB2/pQE30 벡터로 형진전환시킨 이.콜라이 JM109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SalI으로 잘라 단편이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의 (d)는 B4TB2/pQE30 벡터로 형진전환시킨 이.콜라이 JM109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SalI과 HindII로 잘라 단편이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B4RCII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B4RB2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B4TB2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pB4RCII 의 유전자및 단백질 서열을 DNA 시퀀싱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pB4RB2 의 유전자및 단백질 서열을 DNA 시퀀싱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pB4TB2 의 유전자및 단백질 서열을 DNA 시퀀싱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9의 (a)는 형질전환된 에쉐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M15/pB4RCⅡ를 IPTG로 B4RCⅡ의 발현을 유도한 후 시간에 따라 SDS-PAG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M : 단백질 크기 마커(NEB), 레인 1 : IPTG-유도되지 않은 이.콜라이 M15, 레인 2 내지 5 : IPTG-유도 1 내지 4 시간 후의 이.콜라이 M15/pB4RCⅡ. pB4TB2
도 9의 (b)는 형질전환된 에쉐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M15/pB4RB2를 IPTG로 B4RB2의 발현을 유도한 후 시간에 따라 SDS-PAG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M : 단백질 크기 마커(NEB), 레인 1 : IPTG-유도되지 않은 이.콜라이 M15, 레인 2 내지 5 : IPTG-유도 1 내지 4 시간 후의 이.콜라이 M15/pB4RB2.
도 9의 (c)는 형질전환된 에쉐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M15/pB4TB2를 IPTG로 B4RB2의 발현을 유도한 후 시간에 따라 SDS-PAG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M : 단백질 크기 마커(NEB), 레인 1 : IPTG-유도되지 않은 이.콜라이 M15, 레인 2 내지 3 : IPTG-유도 3 내지 5 시간 이후의 이.콜라이 M15/pB4TB2, 레인 4 : total soluble protein, 레인 5 : total solublized protein by 8M 요소).
도 9의 (d)는 토끼(Rabbit) 항-PB14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B4RCⅡ의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레진에 결합된 B4RCⅡ를 용출하기 위해 이미다졸 선형 농도 구배를 정제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SDS-PAGE로 나타낸 것이다(M1: NEB prestained 마커, 레인 1 : no induction cell crude extract, 레인 2 : 4hr induction cell crude extract, 레인 3 : total soluble protein, 레인 4 : total solublized protein by 8M 요소(레진 결합 전), 레인 5 : flow-through, 레인 6 : wash fraction (50mM 이미다졸), 레인 7 : 용출 조각(500mM 이미다졸). 웰 당 각 분획 7.5ul 씩을 로딩함.
도 10의 (c)는 레진에 결합된 B4RB2를 용출하기 위해 이미다졸 선형 농도 구배를 정제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d)는 SDS-PAGE로 나타낸 것이다(1: Elpis prestained protein 마커, 레인 2 : total soluble protein, 레인 3 : total solublized protein by 8M 요소(레진 결합 전), 레인 4 : flow-through, 레인 6: 용출 조각(500mM 이미다졸). 웰 당 각 분획 3 ul 씩을 로딩함.
도 10의 (e)는 레진에 결합된 B4TB2를 용출하기 위해 이미다졸 선형 농도 구배를 정제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f)는 SDS-PAGE로 나타낸 것이다(1: Elpis prestained protein 마커, 레인 2 : total soluble protein, 레인 3 : total solublized protein by 8M 요소(레진 결합 전), 레인 4 : flow-through, 레인 5 : wash fraction (50mM 이미다졸), 레인 6 : 용출 조각(500mM 이미다졸)-1, 레인 7 : 용출 조각(500mM 이미다졸)-2. 웰 당 각 분획 7.5 ul 씩을 로딩함.
도 11은 B4RCII, B4RB2 및 B4TB2를 주사했을 때 C57BL/6 마우스 그룹의 체중 증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파란 화살표는 DIO의 시작점을, 빨간 화살표는 백신 처리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도 12는 B4RCII, B4RB2 및 B4TB2의 접종에 따른 항 B14 특이적 항체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백신의 3차 부스팅한 지 일주일 후 (16주령) 얻은 혈청 내 지방 성분의 농도를 나타낸다.
Claims (14)
2)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에 연결된, 광견병 바이러스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3) 상기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C-말단에 연결된, 마우스 아포지 단백질 CII의 C-말단 펩타이드 절편, 또는 서열번호 1, 2 및 3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가 융합된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1)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량체 내지 삼량체;
2) 상기 펩타이드 단량체 내지 삼량체의 C-말단에 연결된, 광견병 바이러스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3) 상기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C-말단에 연결된, 마우스 아포지 단백질 CII의 C-말단 펩타이드 절편, 또는 서열번호 1, 2 및 3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가 융합된 것인,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1)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사량체;
2) 상기 펩타이드 사량체의 C-말단에 연결된, 광견병 바이러스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3) 상기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C-말단에 연결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량체, 또는 서열번호 2 또는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가 융합된 것인,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1)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사량체;
2) 상기 펩타이드 사량체의 C-말단에 연결된,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3) 상기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C-말단에 연결된, 마우스 아포지 단백질 CII의 C-말단 펩타이드 절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량체, 또는 서열번호 2 또는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가 융합된 것인,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1) 서열번호 2 또는 3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내지 사량체;
2) 상기 펩타이드 단량체 내지 사량체의 C-말단에 연결된, 광견병 바이러스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3) 상기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C-말단에 연결된, 마우스 아포지 단백질 CII의 C-말단 펩타이드 절편, 또는 서열번호 1, 2 및 3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가 융합된 것인,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3130 | 2006-09-25 | ||
KR20060093130 | 2006-09-25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7000A Division KR100956893B1 (ko) | 2006-09-25 | 2007-09-21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3395A KR20100033395A (ko) | 2010-03-29 |
KR100970178B1 true KR100970178B1 (ko) | 2010-07-14 |
Family
ID=39230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7000A Active KR100956893B1 (ko) | 2006-09-25 | 2007-09-21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KR10201000173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0178B1 (ko) | 2006-09-25 | 2010-02-25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7000A Active KR100956893B1 (ko) | 2006-09-25 | 2007-09-21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02955A1 (ko) |
EP (1) | EP2076544A4 (ko) |
JP (1) | JP2010504094A (ko) |
KR (2) | KR100956893B1 (ko) |
CN (1) | CN101516915A (ko) |
AU (1) | AU2007300842B2 (ko) |
BR (1) | BRPI0717223A2 (ko) |
CA (1) | CA2664529A1 (ko) |
MX (1) | MX2009003188A (ko) |
RU (1) | RU2418005C2 (ko) |
WO (1) | WO20080389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383B1 (ko) * | 2011-07-12 | 2014-12-2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단백질 분비융합인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비만백신 단백질의 대량생산 방법 |
US10858422B2 (en) | 2016-05-31 | 2020-12-08 | Abcentra, Llc | Methods for treat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an anti-apolipoprotein B antibody |
WO2017210360A1 (en) | 2016-05-31 | 2017-12-07 | Cardiovax, Llc |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US20230134067A1 (en) * | 2020-07-22 | 2023-05-04 | 3H Bio. Co., Ltd. | A peptide used for immunotherapeutics |
KR102261457B1 (ko) * | 2020-07-22 | 2021-06-09 | (주)쓰리에이치바이오 | 면역 치료제용 펩타이드 |
EP4572780A2 (en) * | 2022-08-19 | 2025-06-25 | University of Washington | Th2 vaccine-base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 in obesit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3926A (ja) * | 1984-03-15 | 1985-10-02 | Tokyo Daigaku | 単クローン性抗ヒトアポリポ蛋白質b100抗体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37249A (en) * | 1985-04-19 | 1998-11-17 | The Wistar Institute | Method for generating an immunogenic T cell response protective against a virus |
US5693325A (en) * | 1994-03-15 | 1997-12-02 | Molecumetics, Ltd. | Peptide vaccin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KR0135708B1 (ko) * | 1994-05-31 | 1998-04-23 | 김은영 | 인간 혈중 아포지단백질 비-100(b-100)에 대한 신규 단일클론 항체 및 이들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
GB0121171D0 (en) | 2001-08-31 | 2001-10-24 | Glaxosmithkline Biolog Sa | Vaccine |
KR100472841B1 (ko) | 2000-09-04 | 2005-03-07 | (주)에스제이바이오메드 | 아포지단백질 비-100의 에피토프에 대한 모조 펩타이드,그들의 연쇄물 또는 변형체와 이들을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 |
EE200200238A (et) * | 2000-09-04 | 2003-06-16 | Kim Hyo-Joon | Apolipoproteiin B-100 epitoobi mimeetpeptiidid, nende konkatemeer ja modifitseeritud peptiidid ningneid sisaldavad vaktsiinikompositsioonid |
EP1394177A4 (en) * | 2001-05-15 | 2005-03-30 | Japan Immunores Lab Co Ltd | REACTIVE PEPTIDES WITH HIGH DENSITY LIPOPROTEIN |
AU2003259358A1 (en) * | 2002-08-30 | 2004-03-19 | Claire Ashman | Immun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an il-13 element and t cell epitopes, and its therapeutic use |
ES2330748T3 (es) * | 2003-08-07 | 2009-12-15 | F. Hoffmann-La Roche Ag | Peptidos antigenicos de la artritis reumatoide (ar). |
KR100639397B1 (ko) * | 2004-03-18 | 2006-10-26 | (주)에스제이바이오메드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
2007
- 2007-09-21 JP JP2009529132A patent/JP2010504094A/ja not_active Ceased
- 2007-09-21 EP EP07808454A patent/EP207654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9-21 BR BRPI0717223-0A2A patent/BRPI0717223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9-21 KR KR1020070097000A patent/KR100956893B1/ko active Active
- 2007-09-21 CA CA002664529A patent/CA266452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9-21 MX MX2009003188A patent/MX2009003188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9-21 US US12/442,760 patent/US201100029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9-21 WO PCT/KR2007/004692 patent/WO200803899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9-21 RU RU2009115688/10A patent/RU2418005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9-21 CN CNA2007800356531A patent/CN101516915A/zh active Pending
- 2007-09-21 AU AU2007300842A patent/AU2007300842B2/en not_active Ceased
-
2010
- 2010-02-25 KR KR1020100017360A patent/KR10097017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3926A (ja) * | 1984-03-15 | 1985-10-02 | Tokyo Daigaku | 単クローン性抗ヒトアポリポ蛋白質b100抗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7300842B2 (en) | 2011-01-27 |
US20110002955A1 (en) | 2011-01-06 |
AU2007300842A1 (en) | 2008-04-03 |
CA2664529A1 (en) | 2008-04-03 |
RU2418005C2 (ru) | 2011-05-10 |
BRPI0717223A2 (pt) | 2013-09-24 |
WO2008038990A1 (en) | 2008-04-03 |
EP2076544A1 (en) | 2009-07-08 |
EP2076544A4 (en) | 2009-11-11 |
KR20100033395A (ko) | 2010-03-29 |
RU2009115688A (ru) | 2010-11-10 |
JP2010504094A (ja) | 2010-02-12 |
CN101516915A (zh) | 2009-08-26 |
KR100956893B1 (ko) | 2010-05-11 |
KR20080027753A (ko) | 2008-03-28 |
MX2009003188A (es) | 2009-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0178B1 (ko)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
TWI780058B (zh) | 作為抗瘧疾疫苗之生物融合蛋白 | |
EP1111053A2 (fr) | Fragment peptidique de la protéine g du virus respiratoire syncytial, agent immunogène, composition pharmaceutique le contentant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 |
JP2010059164A (ja) | 新しい免疫防御性インフルエンザ抗原及びそのワクチン接種への使用 | |
JP2010504094A5 (ko) | ||
ES2236718T3 (es) | Proteina portadora de efecto adyuvante, complejo inmunogenico que la contiene,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secuencia nucleotidica y vacuna. | |
KR100639397B1 (ko) |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포함하는 항비만 백신 조성물 | |
US20240252606A1 (en) | Phosphorylated Polypeptide Antigen Vaccin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 |
WO2016205434A1 (en) | Virb10 for vaccination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 |
JP2001503750A (ja) | B型肝炎インヒビター | |
JP2001517447A (ja) | B型肝炎ウイルスポリペプチド | |
CN110819653A (zh) | 一种重组马血清白蛋白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H10509865A (ja) | 細菌膜上で発現される呼吸器多核体ウイルスプロテインg | |
US8758759B2 (en) | Transmucosal administration of aggregated antigens | |
JP2022059682A (ja) | Ctgf由来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 |
Ren et al. | Improved method to raise polyclonal antibody using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transgenic m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607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7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