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6627B1 -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627B1
KR100966627B1 KR1020060053441A KR20060053441A KR100966627B1 KR 100966627 B1 KR100966627 B1 KR 100966627B1 KR 1020060053441 A KR1020060053441 A KR 1020060053441A KR 20060053441 A KR20060053441 A KR 20060053441A KR 100966627 B1 KR100966627 B1 KR 10096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action
acid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176A (ko
Inventor
송윤석
송은섭
강두성
송인웅
강필구
오성수
문성철
이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대웅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대웅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102006005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627B1/ko
Priority to PCT/KR2007/002889 priority patent/WO2007145476A1/en
Publication of KR2007011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6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09Esters of phosphoric acids
    • C07F9/091Esters of phosphoric acids with hydroxyalkyl compounds with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를 R-(+)-글리시돌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짧은 반응 단계 및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 R-(+)-글리시돌

Description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ation of L­α­glycerophosphoryl choline}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와 R-(+)-글리시돌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0
화학식 1의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은 신경전달기능을 정상화 시켜주고, 손상된 신경세포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주며, 뇌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어 치매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EP 0 217 765 B1는 반응식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레시틴으로부터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6041602496-pat00002
상기 식에서,
GPC는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의미하며,
GPE는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에탄올아민을 의미하며,
X는 염소 혹은 브롬을 나타내고,
n과 m은 GPC와 GPE의 당량수이며, n+m은 1이다.
반응식 1의 방법은 콩, 계란 등에서 추출한 레시틴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GPC와 GPE를 분리함으로써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GPC와 GPE를 분리하기 위해 이온교환 수지 설비를 필요로 하고, 이 과정에 사용되는 과량의 물과 수지 재생에 사용되는 산성 및 염기성 물질은 다량의 폐액을 발생시킨다. 또한, 출발물질의 가격이 높고, 수율이 매우 낮다.
EP 0 486 100 A1는 반응식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이소프로필리덴-글리세롤으로부터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1
그러나, 반응식 2의 방법은 트리메틸아민 가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업적 스케일로 적용할 경우, 원료 보관 및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출발물질로부터 높은 수율로 화학식 1의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을 합성하고, 공업적 스케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2
[화학식 4]
Figure 112006041602496-pat00005
[화학식 5]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3
이하, 본 발명을 반응식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L-α- 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 클로라이드(5)의 제조
하기 반응식 3에서와 같이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형성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결정화시키는 것이 좋다.
[반응식 3]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6
본 단계에 사용되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양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1 내지 4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 당량이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양이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4 당량을 초과하면 부생성물이 증가 하고, 1 당량 미만이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는다. 본 단계에 사용되는 반응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 또는 케톤, 바람직하게는 C1-C6-알코올, C1-C6-에테르 또는 C1-C6-케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용매가 혼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반응 pH는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이다. 반응 pH가 10을 초과하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고, 5 미만이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는다. 반응물의 pH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염기는 트라이에틸아민, 피리딘, 이소프로필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아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 온도는 상기 반응 용매가 환류되는 온도라면 제한이 없으나,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다. 반응 온도가 120℃를 초과하면 불순물이 증가하고, 4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매우 늦어지게 된다.
반응 종결 후, 형성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과량의 결정화 용매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함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첨가되는 결정화 용매의 양은 반응 용매, 결정화 용매 및 결정화 온도 등을 포함하는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결정화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8 당량이 사용된다.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결정화 용매는 알코올 또는 케톤, 바람직하게는 C1-C6-알코올 또는 C1-C6-케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결정화 용매가 혼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결정화는 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결정화 온도가 25℃를 초과하면 결정 형성이 잘 안되고, 0℃ 미만이면 결정이 생성되지 않고 죽처럼 뭉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단계는 결정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화학식 5의 화합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결정화 단계 이전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응 불순물 제거는 형성된 반응물로부터 반응 용매를 예컨대 감압농축법에 의해 제거하고, 형성된 농축물을 물에 용해시킨 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수층을 세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응 불순물 제거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할로겐화 C1-C4-알칸;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C1-C4-알콕시카보닐C1-C4-알칸; sec-부탄올, 사이클로헥산올 또는 사이클로펜탄올과 같은 C3-C8-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sec-부탄올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가 혼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결정화 단계 이전에 불순물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불순물 제거 단계 후 화학식 5의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수층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농축시키고, 형성된 농축물을 가 열시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에테르 또는 케톤, 바람직하게는 C1-C6-알코올, C1-C6-에테르 또는 C1-C6-케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가 혼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L-α- 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1)의 제조
하기 반응식 4에서와 같이, 화학식 5의 화합물로부터 염소 이온을 제거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염소 이온의 제거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뒤,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5
본 단계에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는 염소 이온을 화학식 5의 화합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양이온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1급, 2급 또는 3급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약한 염기형 이온교환수지; 4급 암모늄 염기를 가지는 강한 염기형 이온교환수지; 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와 함께 술폰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께 가지는 양쪽성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이온교환수지의 예는 IONAC NM-60 (Sybron Chemicals Inc.), Lewatit SM-94(Sybron Chemicals Inc.), IONAC NM-73(Sybron Chemicals Inc.), Dowex MB-46(Dow Chemical), Dowex MR-3(Dow Chemical), Amberite IRN-150(Rohm & Haas), Amberite MB-20(Rohm & Haas), MB-400(Purolite), NRW-37(Purolite) 또는 IONAC NM60 SG(Bayer), 보다 바람직하게는 Lewatit SM-94(Sybron Chemicals Inc.) 또는 IONAC NM-60 SG(Bayer)이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3)의 제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산 조건하에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칼슘이온을 제거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냈다.
[반응식 5]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6
본 반응에 사용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무수 형태 또는 수화물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칼슘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로 테트라하이드레이트이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중국 chem.-sourcing사를 포함한 다양한 시판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칼슘이온을 제거하는데 사 용되는 산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황산, 붕산, 인산, 질산, 염산, 옥살산, 아세트산,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구연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EDTA 또는 옥살산이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단계에 사용되는 산의 양은 사용되는 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반응물의 pH를 2이하, 바람직하게는 1.2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하로 만들 수 있는 양이 사용된다. 반응물의 pH가 2를 초과하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는다. 본 반응이 수행되는 온도는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이다. 반응 온도가 60℃를 초과하면 칼슘염이 잔류하여 다음 반응을 방해 하고, -1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본 단계에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물, 알코올 또는 케톤, 바람직하게는 물, C1-C6-알코올 또는 C1-C6-케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용매가 혼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사용기기 및 조건
HPLC: JASCO HPLC 2000
컬럼: capcellpak C18 MG 5㎛ 4.6mmI.D. x 230mm컬럼
이동상: 물 (0.5mL/분)
검출기: RI-detector
실시예 1: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3)의 제조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7
350 mL의 물에 100 g의 칼슘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레이트(중국, Chem.-Sorucing사; 1 당량, 303.2 mmol)를 용해시킨 후 50℃로 가열한 뒤 60g의 옥살산(1.5 당량, 475.9 mmol)을 첨가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칼슘의 중량%가 0.1%이하일 때 반응을 완결하였다. 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모은 후 감압 농축하였다. 수득물을 100 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감압 농축시켜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를 얻었다 (63.27 g, 수율 95%). 1H NMR (D2O, 300MHz): δ 3.09 (s, 9H), 3.54 (m, 2H), 4.18 (m, 2H).
실시예 2: L-α- 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 클로라이드(5)의 제조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7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63.27 g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1 당량, 288.1 mmol)를 189.8 mL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80℃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여기에 40 g의 R-(+)-글리시돌(1.87 당량, 539.9 mmol)을 천천히 첨가한 후 12시간 반응시킨 다음 이소프로필아민을 이용하여 pH를 8.0으로 조절하여 3시간 더 반응시킨 후 냉각시켰다. 얻은 용액을 감압 농축시켜 얻은 농축물을 313.2 ml의 물에 용해시킨 후, 156.1g 의 sec-부탄올로 3회 세척하였다. 얻은 수층을 감압 농축하여 수분 함량을 5% 이내로 하였다. 여기에 260.4 mL의 에탄올을 넣고 80℃로 가열시켜 용해 시킨 뒤, 0℃로 냉각하였다. 그 후, 130.2 mL의 이소프로필알콜을 첨가하였고, 얻은 결정을 여과하여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 클로라이드를 얻는다 (52.08 g, 수율 70.3%). 1H NMR (D2O, 300MHz): δ 3.18 (s, 9H), 3.41 (m, 4H), 3.86 (m, 4H), 4.27 (m, 2H). 13C NMR (D2O, 100MHz): δ 53.88, 59.35, 61.90, 65.91, 66.45, 70.54
실시예 3: L-α- 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1)의 제조
Figure 112007043187419-pat00029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52.08 g의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 클로라이드를 156.24mL의 정제수에 용해시킨 뒤, IONAC NM60 SG 이온교환수지(Bayer)에 통과시켰다. 염소 이온의 제거는 0.1N 질산은 시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얻은 물질을 감압 농축시켜 최종 물질인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을 얻었다 (49.45g, 수율 97%). 1H NMR (D2O, 300MHz): δ 3.21 (s, 9H), 3.63 (m, 4H), 3.90 (m, 4H), 4.30 (m, 2H). 13C NMR (D2O, 100MHz): δ 53.87, 59.35, 61.90, 65.93, 66.44, 70.53
본 발명은 포스포릴콜린클로라이드 및 R-(+)-글리시돌을 이용하여, 저가의 출발물질로부터 높은 수율로 화학식 1의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을 합성할 수 있고, 본 방법은 공업적 스케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양이 매우 적고, 형성된 화합물을 이온교환수지에 단순히 통과시키면 되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15)

  1.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0
    [화학식 4]
    Figure 112007043187419-pat00014
    [화학식 5]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1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양이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1 내지 4 당량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 pH가 5 내지 10이고, 반응온도가 40 내지 120℃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C1-C6-알코올, C1-C6-에테르, C1-C6-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반응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반응 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C1-C6-알코올, C1-C6-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결정화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결정화 용매가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결정화가 0℃ 내지 25℃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반응 용매를 제거하여 농축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형성된 농축물을 물에 용해시킨 뒤, 할로겐화 C1-C4-알칸, C1-C4-알콕시카보닐C1-C4-알칸, C3-C8-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층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층으로부터 물을 제거한 뒤, 형성된 농축물을 C1-C6-알코올, C1-C6-에테르, C1-C6-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결정화 용매의 첨가 전에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산 조건하에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칼슘을 제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2
    [화학식 3]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3
  11. 제10항에 있어서, 산이 황산, 붕산, 인산, 질산, 염산, 옥살산, 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구연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반응 pH가 2 이하이고, 반응온도가 -10 내지 60℃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반응이 물, C1-C6-알코올, C1-C6-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14.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5의 화합물로부터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4
    [화학식 1]
    Figure 112007043187419-pat00035
  15. 제14항에 있어서, 이온교환수지가 IONAC NM-60(Sybron Chemicals Inc.), Lewatit SM-94(Sybron Chemicals Inc.), IONAC NM-73(Sybron Chemicals Inc.), Dowex MB-46(Dow Chemical), Dowex MR-3(Dow Chemical), Amberite IRN-150(Rohm & Haas), Amberite MB-20(Rohm & Haas), MB-400(Purolite), NRW-37(Purolite) 및 IONAC NM60 SG(Bayer)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KR1020060053441A 2006-06-14 2006-06-14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Active KR10096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41A KR100966627B1 (ko) 2006-06-14 2006-06-14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PCT/KR2007/002889 WO2007145476A1 (en) 2006-06-14 2007-06-14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l-alpha-glycerophosphoryl cho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41A KR100966627B1 (ko) 2006-06-14 2006-06-14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76A KR20070119176A (ko) 2007-12-20
KR100966627B1 true KR100966627B1 (ko) 2010-06-29

Family

ID=3883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441A Active KR100966627B1 (ko) 2006-06-14 2006-06-14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6627B1 (ko)
WO (1) WO20071454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63A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한서켐 L-α-글리세릴 포스포릴 콜린의 III형 결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27B1 (ko) * 2007-10-17 2009-06-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리세릴 포스포릴콜린의 합성 방법
KR100951108B1 (ko) * 2008-04-15 2010-04-07 엔자이텍 주식회사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019728B1 (ko) * 2008-09-29 2011-03-07 엔자이텍 주식회사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포스파티딜콜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023455B1 (ko) * 2008-12-29 2011-03-25 엔자이텍 주식회사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제조방법
DE102009052034A1 (de) * 2009-11-05 2011-05-12 Merck Patent Gmbh Synthese von Phosphorestern
KR101330814B1 (ko) * 2009-12-10 2013-11-15 주식회사 한서켐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제조방법
CN102093410B (zh) * 2011-01-11 2015-04-22 江南大学 一种用硅胶柱层析法分离纯化甘油磷酸胆碱的方法
CN103429603A (zh) 2011-03-14 2013-12-04 株式会社韩西克慕 甘油磷酰胆碱的i型和ii型结晶及其制造方法
US8981141B1 (en) 2011-03-14 2015-03-17 Hanseochem Co., Ltd. I-and II-type crystals of L-A-glyceryl phosphoryl choli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233138B1 (ko) * 2012-11-06 2013-02-22 주식회사 한서켐 L-α-글리세릴 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CN103172659A (zh) * 2013-03-29 2013-06-26 山东罗欣药业股份有限公司 L-α-甘油磷酰胆碱晶型化合物
KR101616945B1 (ko) * 2014-02-10 2016-04-29 엔자이텍 주식회사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ES2695505T3 (es) * 2014-06-10 2019-01-08 Chemi Spa Proceso para la purificación de L-alfa-glicerofosforilcolina
KR20160037031A (ko) * 2014-09-26 2016-04-05 엔자이텍 주식회사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D 또는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 고체의 제조방법
CN104628766B (zh) * 2015-01-16 2017-02-22 王志训 一种甘油磷酸胆碱的工业制造方法
CN108101937B (zh) * 2017-11-13 2020-03-10 湖南华纳大药厂手性药物有限公司 一种制备L-α-甘油磷脂酰胆碱的方法
CN108191908B (zh) * 2017-12-28 2020-04-21 上海科一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L-α-甘油磷酸胆碱的制备方法
CN109021010B (zh) * 2018-06-25 2020-08-07 金久奇(抚顺)药业有限公司 一种L-α-甘磷酸胆碱的制备方法
CN109265477A (zh) * 2018-11-13 2019-01-25 科利生物科技(徐州)有限公司 L-ɑ-甘油磷酸胆碱的制备方法
KR102221211B1 (ko) 2019-02-13 2021-03-03 한국바이오켐제약 주식회사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제제
KR20230023339A (ko) 2021-08-10 2023-02-17 스마트바이오팜 주식회사 연속흐름공정을 이용하여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95126B1 (ko) 2022-09-27 2023-10-30 하나제약 주식회사 콜린알포세레이트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과 그 용도
KR20240124730A (ko) 2023-02-09 2024-08-19 스마트바이오팜 주식회사 연속흐름공정을 이용하여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5479A1 (en) * 1993-08-17 1995-0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ssay and substrate for arachidonoyl-specific phospholipase a¿2?
WO1997044053A1 (en) * 1996-05-20 1997-11-27 Flarer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sporine and a carrier comprising at least an ester of alpha-glycerophosphoric acid
JP2006111624A (ja) 2004-10-13 2006-04-27 Chemi Spa リゾ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の製造方法
JP4086305B2 (ja) 2003-12-02 2008-05-14 株式会社資生堂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化合物及び該化合物からなる表面改質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04B2 (ja) * 1986-05-02 1996-01-24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新規ホスホリルコリン誘導体の製造法
US5137660A (en) * 1991-03-15 1992-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ioselective synthesis of 1,3-disubstituted glycerides
DE10133202A1 (de) * 2001-07-07 2003-01-16 Beiersdorf Ag Osmolyte enthalten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und aktiven Prävention trockener Haut und anderer negativer Veränderungen der physiologischen Homöostase der gesunden Ha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5479A1 (en) * 1993-08-17 1995-0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ssay and substrate for arachidonoyl-specific phospholipase a¿2?
WO1997044053A1 (en) * 1996-05-20 1997-11-27 Flarer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sporine and a carrier comprising at least an ester of alpha-glycerophosphoric acid
JP4086305B2 (ja) 2003-12-02 2008-05-14 株式会社資生堂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化合物及び該化合物からなる表面改質剤
JP2006111624A (ja) 2004-10-13 2006-04-27 Chemi Spa リゾ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63A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한서켐 L-α-글리세릴 포스포릴 콜린의 III형 결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76A (ko) 2007-12-20
WO2007145476A1 (en)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27B1 (ko) L-α-글리세로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EP3106465B1 (en) Method for preparing racemic or optically active glycerophosphoryl choline
JP2011246429A (ja) アダマンチル基を有する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KR101653064B1 (ko) 가도부트롤의 제조방법
JPH08505382A (ja) N−ホスホノメチルイミノジ酢酸の製造方法
KR100951108B1 (ko)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180056162A (ko) 이미노디아세트산의 제조방법
KR101330814B1 (ko)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제조방법
DE69909165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Glycyltyrosin
WO2014012988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n-(phosphonomethyl)glycine
JPS5843939A (ja) マンデル酸塩及びその製法
KR101233138B1 (ko) L-α-글리세릴 포스포릴 콜린의 제조방법
KR20190088793A (ko) 칼코부트롤의 제조방법
JP2013508440A (ja) ホスホノアルキルイミノ二酢酸の製造のための方法
KR20220147435A (ko) 카르밤산염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03819505B (zh) 一种提高双甘膦收率的方法
CS239903B2 (en) Processing of aminomethyl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N100364963C (zh) 制备o-取代羟胺的方法
JPH01228995A (ja) N―ホスホノ―メチル―イミノージ酢酸及び酸塩化物の製造方法
JP3901321B2 (ja) リボフラビン−5’−リン酸またはそのナトリウム塩の製造法
US2517856A (en) Method of preparing diphenyl acetic acid
JP3896113B2 (ja) N−ホスフォノメチルグリシンの製造方法
CN101245037B (zh) 一种氧甲基异脲醋酸盐的制备方法
JPH07330787A (ja) テトラ置換ホスホニウム有機酸塩の合成法
JPH08134088A (ja) N−ホスホノメチルグリシンの単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