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579B1 -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4579B1 KR100964579B1 KR1020090075870A KR20090075870A KR100964579B1 KR 100964579 B1 KR100964579 B1 KR 100964579B1 KR 1020090075870 A KR1020090075870 A KR 1020090075870A KR 20090075870 A KR20090075870 A KR 20090075870A KR 100964579 B1 KR100964579 B1 KR 100964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 glass
- mold
- polarizing
- polarizing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가스켓금형이 필요하지 않고 편광필름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가능한 편광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하부금형의 상부에 하부지그를 안치하고, 상기 하부지그의 상부에 편광필름을 안치한 다음, 상기 편광필름이 지지되도록 하부지그의 상부에 상부지그를 안치하며, 상기 상부지그의 상부에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상부금형을 안치한 다음으로 유리상,하부금형과 상,하부지그의 외주면에 테이핑 장치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를 테이핑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편광필름, 하부지그, 유리하부금형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하부공간과, 유리상부금형, 상부지그, 편광필름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상부공간에 상기 내열마스킹용 테이프 및 상,하부지그를 관통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액상의 원재료를 주입한 후 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편광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하여; 일체 형태의 가스켓금형 대신 상,하부지그로 편광필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유리상부금형을 상부지그에서 이격시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that can support a polarizing film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gasket mold and can adjust the thickness of the processed surface. The upper jig is placed on the lower jig, the polarizing film is placed on top of the lower jig, and the upper jig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jig so that the polarizing film is supported, and the upper upper jig moves up and down by a pneumatic device. Next, the glass and the lower mol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jig are integrated by taping the heat-resistant masking tape with a taping device, and the lower space formed by contacting the polarizing film, the lower jig and the lower glass mold, and the upper glass mold. , The upper jig, the heat-resistant masking tape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upper spac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polarizing film And a through via the process of solidification after the injection of the raw material liqui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ens configured to produce a polarizing lens; Instead of the integrated gasket mold, the upper and lower jig can support the polarizing film, and the glass upper mol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jig, there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processed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가스켓금형이 필요하지 않고 편광필름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가능한 편광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capable of supporting a polarizing film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gasket mold and adjusting a thickness of a processed surface.
일반적으로, 편광렌즈는 유리제와 고분자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고분자수지 편광렌즈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olarizing lens is typically used a polymer resin polarizing lens using a glass and a polymer synthetic resin as a main raw material.
이때, 고분자 합성수지 안경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편광렌즈 제조시에 현실적으로 도수가 없는 렌즈를 중점으로 생산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ion of a polarized len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synthetic eyeglass lens is producing a lens that is practically impossible.
이러한, 종래의 편광렌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캐스팅방법으로 제조한 CR39 렌즈의 앞, 뒷면에 편광필름을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Looking at such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lens, it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adhering the polarizing film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CR39 lens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casting method.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접착제와 편광필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제작 에 필요한 시간과 생산효율성 저하로서 대량생산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is heavily influenced by adhesives and polarizing films, and has a limitation of mass production due to a decrease in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efficiency.
다시 말해, 일반 선글라스에서 차단할 수 없는 여러 반사체로부터 반사굴절을 극대화시켜 시야로 들어오는 편광화한 눈부신 반사 간섭광선을 수직의 편광필름이 렌즈에서 차단하여 보다 선명하고 반사로 인해 시야가 흐려짐을 제거한 편광렌즈의 대량 보급하는 방법에서 미흡한 단점과 함께 편광필름을 안경렌즈 표면에 접착시키기 때문에 편광효과의 효율성 및 편광필름을 정확하게 렌즈의 중간에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편광필름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안경으로서의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olarized lens that maximizes the refraction of refraction from the various reflectors that can not be blocked by the sunglasses, the polarized dazzling reflected interference light entering the field of view is blocked by the vertical polarizing film from the lens, more clear and the view is blurred due to reflection In addition to the shortcomings in the method of mass distribution, the polarizing film is adhered to the spectacle lens surfa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place the polarizing film in the middle of the lens, and the polarizing film is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 Due to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unction as glasses falls.
또한, PC렌즈를 이용한 편광렌즈는 무도수 렌즈로써 단순한 선글라스 효과에 편광 기능만을 추가한 것으로 캐스팅 방법이 아닌 사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사람의 시력 보정용 안경렌즈와의 기준에서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 polarized lens using a PC lens is a non-lensable lens, which adds only a polarization function to the simple sunglasses effect, and is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ethod, not a casting method, and has a limitation in reference to a spectacle lens for correcting vision of a person.
즉, 사출에 의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상의 흐트러짐 현상 및 시력에 맞게 가공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That is, because i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process according to the image disturbance phenomenon and vis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3-57617호를 개발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3-57617.
그런데, 상기한 선 출원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링이 편광필름의 끝 테두리 전체를 따라 지지하면서 끝 테두리 전체를 지지하지 않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편광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간혹 발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line application, since the ring used does not support the entire end edge while supporting the entire edge of the polarizing film, there is a problem in which wrinkles are sometimes generated in the polarizing film without attention. .
아울러, 가공면의 두께를 다르게 제조할 경우 가스켓금형을 새로 제작하여 교체해야함으로 렌즈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a different thickness of the processing surface has to be produced by replacing the new gasket mol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convenience and cost of having to manufacture a separate mold according to the type of len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체 형태의 가스켓금형 대신 상,하부지그로 편광필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유리상부금형을 상부지그에서 이격시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편광렌즈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 gasket mold of the integrated type, the polarizer film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jig, and the glass upp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jig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processed surf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adjusting the thickness.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상,하부금형과 상,하부지그의 이격된 공간을 테이프로 폐쇄하여 편광렌즈의 액상 원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고품질의 편광렌즈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glass,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lower jig with a tape so that the liquid raw material of the polarizing lens does not leak to make a high quality polarizing lens in a stable stat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하부금형의 상부에 하부지그를 안치하고, 상기 하부지그의 상부에 편광필름을 안치한 다음, 상기 편광필름이 지지되도록 하부지그의 상부에 상부지그를 안치하며, 상기 상부지그의 상부에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상부금형을 안치한 다음으로 유리상,하부금형과 상,하부지그의 외주면에 테이핑 장치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를 테이핑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편광필름, 하부지그, 유리하부금형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하부공간과, 유리상부금형, 상부지그, 편광필름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상부공간에 상기 내열마스킹용 테 이프 및 상,하부지그를 관통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액상의 원재료를 주입한 후 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편광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하는 편광렌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the lower jig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lower mold moving up and down by a pneumatic device, and the polarizing film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jig, The upper jig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jig so that the polarizing film is suppor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jig is placed with a glass upper mold moving up and down by a pneumatic device, and then tap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glass, lower mold and upper and lower jig. Tape and integrate the heat-resistant masking tape, and the heat-resistant masking is integrated into the lower space formed by contacting the polarizing film, the lower jig and the lower glass mold, and the upper space formed by contacting the upper glass mold, the upper jig and the polarizing film. Through the tape and the upper and lower jig to inject the liquid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lens, and then solidify Provides a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configured to manufacture a polarizing lens through a proces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 형태의 가스켓금형 대신 상,하부지그로 편광필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유리상부금형을 상부지그에서 이격시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upper and lower jig instead of the integral gasket mold, and the glass upper mold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jig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processed surface.
더불어, 유리상,하부금형과 상,하부지그의 이격된 공간을 테이프로 폐쇄하여 편광렌즈의 액상 원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고품질의 편광렌즈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lass, the lower mold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ig is closed with a tape to prevent the liquid raw materials of the polarizing lens from leaking has the effect of producing a high-quality polarizing lens in a stable state.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준비과정은 아래와 같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and 12,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aration process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is as follows.
먼저, 도면상 미도시된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하부금형(10)의 상부에 하부지그(40)를 안치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하부지그(40)는 링 형태로 내측 하부측 일부분을 내측에서 외측 으로 진행하며 상향 경사면(41)을 형성한 후 둔각을 이루도록 상향 수직면(42)을 연장 형성하도록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이후, 상기 상향 경사면(41)에 상향 수직면(42)이 연장 형성하여 단면의 형태를 'ㄱ'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향 경사면(41)과 상향 수직면(42)은 90°가 넘는 둔각의 형태로 형성된다.Subsequently, an upward
그리고, 상기 하부지그(40)의 원주에는 두께를 관통하는 하나의 주입홀(4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ircumference of the
이후, 상기 하부지그(40)의 상부에 편광필름(30)을 안치한 다음, 상기 편광필름(30)이 지지되도록 하부지그(40)의 상부에 상부지그(20)를 안치한다.Thereafter, the polarizing
이때, 상기 상부지그(20)는 링 형태로 외측 상부측 일부분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수평면(21)을 형성한 후 둔각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면(22)을 연장 형성하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이후, 상기 수평면(21)에 하향 경사면(22)이 연장 형성되도록 제거하여 단면의 형태를 'ㄴ'형상으로 형성한다.Thereafter, the downward
즉, 상기 수평면(21)과 하향 경사면(22)은 90°가 넘는 둔각의 형태로 형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상부지그(20)의 원주에는 두께를 관통하는 하나의 주입홀(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circumference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하부지그(40)는 내측단(44)을 중심을 향해 길게 연장하여 편광필름(30)의 상부면이 지지되는 상향 경사 면(41)의 지지면적이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in another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하부지그(40)의 상향 경사면(41)의 지지면적을 증대시켜 흔들림이나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할 때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by increasing the support area of the upwar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하부지그(40)는 상향 경사면(41)이 편광필름(3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상향 곡률면(45)을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in another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하향 곡률면(15)에 편광필름(40)의 상부면이 곡률에 따라 밀착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ing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그(20)의 상부에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상부금형(50)을 안치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and 12, the upper portion of the
그 다음으로, 유리상,하부금형(50)(10)과 상,하부지그(20)(40)의 외주면에 테이핑 장치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여 일체화시킨다.Subsequently, the
즉, 상기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로 유리상,하부금형(50)(10)과 편광필름(30)이 상,하부지그(20)(40)에 끼임된 상태를 유지하며 테이핑하여 편광필름(3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그(40)와 상부지그(20)는 일체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즉, 상기 하부지그(40)와 상부지그(20)를 일체로 합친 형태로써의 일체지그(8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제1 경사면(81)을 형성한다.That is, the integrated
이후, 상기 제1 경사면(81)에 대해 상향 수직면(82)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한다.Thereafter, the upward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면(81)을 이격하여 마주보게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는 수평면(83)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irst
아울러, 상기 상향 수직면(82)에 맞닿도록 수평면(83)과 둔각을 이루는 제2 경사면(85)으로 구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이러한, 상기 일체지그(80)는 상향 수직면(82)에 맞닿아 홈(84)을 형성하도록 수평면(81)과 둔각을 이루는 제2 경사면(85)을 형성한다.The integrated
더불어, 상기 홈(84)을 기준으로 상,하부분에 한 쌍 또는 상,하 부분에 각각 하나씩의 주입홀(86)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pair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r one or
여기서, 도 6의 (a)도면은 주입홀(86)이 없는 상태, (b)도면은 한 쌍의 주입홀(86)이 형성된 상태, (c)와 (d)도면은 주입홀(86)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Here, Figure 6 (a) is a state in which no
그리고, 상기 일체지그(80)의 상,하부에 각각 유리상,부금형(50)(10)을 밀착시킨 후 외주면에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grated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상부금형(50)은 상부지그(20)와이격 간격을 조정하여 편광렌즈(70)의 가공면(72) 두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7 to 9, the glass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필름(30)은 하부로 융기되어진 돔 형태로써 테두리(31)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으로 진입되어진 홈(32)이 형성된다.10 and 11, the polarizing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써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2 and FIG. 16,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lens by another method is as follows.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하부금형(10)의 상부로 상단(91)은 짧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리막 경사면(92)을 내측면에 형성하는 하단(93)이 길게 중심쪽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지지홈(94)을 형성하는 지그(90)를 유리하부금형(10)의 상부에 하단(93)이 접촉하도록 안치한다.The
그리고, 상기 지그(90)의 상단(91) 쪽을 통해 편광필름(30)을 지지홈(94) 내로 위치시키며 경사면(92)에 지지되도록 안치한다.Then, the polarizing
아울러, 상기 지그(90)의 상단(91) 상부에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상부금형(50)을 안치한 다음으로 유리상,하부금형(50)(10)과 지그(90)의 외주면에 테이핑 장치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여 일체화시켜 편광렌즈(70)를 제조할 준비를 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준비과정을 이용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하부금형(10), 하부지그(40), 편광필름(30), 상부지그(20), 유리상부금형(50)을 순차적으로 밀착시켜 적층한다.As shown in FIG. 13, the glass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중요한 것은 편광필름(30)의 설치시 편광필름(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편광필름(30)의 곡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유의하여 편광필름(30)의 형태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조립한다.In such an assembled state, it is important that the shape of the polarizing
아울러, 상기 하부지그(40)의 내측단(44)을 길게 형성하여 상향 경사면(41)의 면적이 증대시킨 경우에는 면적이 넓은 편광렌즈(70)를 제조하기 위해서 편광필름(30)의 안정된 지지력 확보가 요구될 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더불어, 상기 하부지그(40)에 하향 곡률면(45)을 형성한 경우에는 편광필름(30)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을 위해 회전시키거나 주입시에 편광필름(30)의 유동의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즉, 상기 편광필름(30), 하부지그(40), 유리하부금형(10)이 접촉하여 하부공간(a)이 생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유리상부금형(50), 상부지그(20), 편광필름(30)이 접촉하여 상부공간(b)이 생성된다.Then, the
한편, 상기 편광필름(30)은 하부로 융기되어진 돔 형태로써 테두리(31)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으로 진입되어진 홈(32)이 형성되어 상부공간(b)과 하부공간(a) 중 하나로 주입되는 액상의 원재료(71)가 상,하부공간(a)(b)으로 상호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상기 유리하부금형(10), 하부지그(40), 편광필름(30), 상부지그(20), 유리상부금형(50)의 외주면에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여 밀폐시킨다.Next, by sealing the
이후, 상기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 및 상,하부지그(20)(40)을 관통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기 위한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한다.Thereafter, the liquid
이때, 상기 상,하부지그(20)(40)에는 주입홀(43)(23)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 며 주입홀(43)(23)이 상부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하고, 주입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을 관통시켜 주입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즉, 상기 주입홀(43)(23)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로 테이핑되어진 유리하부금형(10), 하부지그(40), 편광필름(30), 상부지그(20), 유리상부금형(50)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킨다.That is, the glass
예를 들어, 주입홀(43)을 통해 액상의 원재료(71)를 별도의 주입장치(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주입하게 되면 하부공간(a)에 충진되는 동시에 편광필름(30)의 홈(32)을 통해 상부공간(b)으로 유동하면서 충진된다.For example, when the
이때, 상기 상,하부공간(a)(b)에 존재하는 공기는 주입홀(23)을 통해 배출되면서 액상의 원재료(71)가 상,하부공간(a)(b)에 충만하게 충진시킨다.At this time, the air present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a) and (b) is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일련의 액상의 원재료(71)의 공급을 완료한 상태에서 원재료를 충분히 고형화한 다음, 유리상,하부금형(50)(10)와 상,하부금형(50)(10)을 제거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는 것이다.The raw material is sufficiently solidified in the state of supplying th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지그(80)를 이용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할 경우에는 상향 수직면(82)과 제2경사면(85)이 맞닿아 생성되는 홈(84) 내로 편광필름(30)의 테두리단(31)을 삽입시킨 후 상,하로 유리상,하부금형(50)(10)을 밀착시킨 다음 외주면으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 한 후 주입홀(86)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주입홀(86)을 통해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한 후 고형화한 다음, 유리상,하부금형(50)(10)와 상,하부금형(50)(10)을 제거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렌즈(70)의 가공면(72) 두께를 변형시켜 제조할 경우에는 상기 유리하부금형(10), 하부지그(40), 편광필름(30), 상부지그(2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유리상부금형(50)을 상부지그(20)에서 제조할 가공면(72)의 두께로 이격시킨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thickness of the
이때, 상기 상,하부지그(20)(40)에는 주입홀(23)(43)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이후, 이격 공간이 폐쇄되도록 유리상,하부금형(50)(10)과 상,하부지그(20)(40)의 외주면을 따라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 한다.Thereafter, the
그리고, 상기 유리상부금형(50)과 상부지그(20)의 사이에 위치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의 상,하부분에 두께를 관통하는 주입홀(61)(62)을 형성한다.In addition, injection holes 61 and 62 penetrating a thickness are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
이때, 상기 주입홀(61)(62) 중 주입홀(62)을 통해 액상의 원재료(71)를 별도의 주입장치(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주입하게 되면 상부공간(b)에 충진되는 동시에 편광필름(30)의 홈(32)을 통해 하부공간(a)으로 유동하면서 충진된다.In this case, when the
이때, 상기 상,하부공간(b)(a)에 존재하는 공기는 주입홀(62)을 통해 배출되면서 액상의 원재료(71)가 상,하부공간(b)(a)에 충만하게 충진시켜 고형화한 다음, 유리상,하부금형(50)(10)와 상,하부금형(50)(10)을 제거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ir present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b) and (a) is discharged through th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하부금형(10)의 상부로 상단(91)은 짧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리막 경사면(92)을 내측면에 형성하는 하단(93)이 길게 중심쪽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지지홈(94)을 형성 하는 지그(90)를 유리하부금형(10)의 상부에 하단(93)이 접촉하도록 안치한다.As shown in FIG. 16, the
그리고, 상기 지그(90)의 상단(91) 쪽을 통해 편광필름(30)을 지지홈(94) 내로 위치시키며 경사면(92)에 지지되도록 안치한다.Then, the
이후, 상기 지그(90)의 상단(91) 상부에 공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리상부금형(50)을 안치한 다음으로 유리상,하부금형(50)(10)과 지그(90)의 외주면에 테이핑 장치로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여 일체화시킨다.Subsequently, the glass
다음으로, 상기 편광필름(30), 지그(90), 유리하부금형(10)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하부공간(a)과, 유리상부금형(50), 지그(90), 편광필름(30)이 접촉하여 생성하는 상부공간(b)에 상기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 및 지그(90)의 주입홀(95)을 관통하여 액상의 원재료(71)를 주입한 후 고형화한 다음, 유리상,하부금형(50)(10)와 상,하부금형(50)(10)을 제거하여 편광렌즈(70)를 제조하는 것이다.Next, the lower space a generated by the
공통적으로, 상기 편광렌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렌즈(70)은 편광필름(30)를 내부에 함침한 상태로 내장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상기 제조된 편광렌즈(70)는 다시 도수를 위하여 표면 가공 또는 끝단을 가공하여 도수가 있는 선글라스 등의 렌즈로 사용하게 된다.The manufactured
이로써, 상기 편광필름(30)을 편광렌즈(70)의 내부에 내장하는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편광필름(30)의 훼손의 우려가 없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도 편광필름(30)의 효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그리고, 상기 가공면(72)의 두께에 따라 다른 편광렌즈(70)를 제조할 경우 상부지그(20)와 유리상부금형(50)의 이격간격을 간단히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이로써, 별도의 가스켓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내열마스킹용 테이프(60)를 테이핑하여 틀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편광렌즈(70)의 제조가 가능한 동시에 대량 생산과 대량 생산으로 인한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다.Thus, by forming a mold by taping the heat-
또한, 상기 가공면(72)을 다양한 두께로 제조할 수 있어 가공면(72)의 두께에 따른 별도의 금형이 요구되지 않게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렌즈 제조를 위한 구성요소의 저면 투영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상부지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jig;
도 5는 상부지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jig;
도 6은 일체지그의 다양한 실시 예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tegrated jig;
도 7은 가공면을 조절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by adjusting the processing surface;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도 10은 편광필름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film,
도 11은 편광필름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polarizing film,
도 12는 일체형 지그를 나타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grated jig,
도 13은 도 1의 편광렌즈 제조 방법를 이용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공정도,13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using the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of FIG.
도 14는 일체지그로 편광렌즈 제조 방법를 이용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14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by us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with an integrated jig.
도 15는 가공면의 두께를 조절하여 편광렌즈 제조 방법를 이용하여 편광렌즈 를 제조하는 공정도,15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using a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rocessing surface;
도 16은 도 12의 일체형 지그로 편광렌즈 제조 방법를 이용하여 편광렌즈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FIG. 16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lens using the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with the integrated jig of FIG. 1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유리하부금형 20 : 상부지그10: glass lower mold 20: upper jig
21 : 수평면 22 : 하향 경사면21: horizontal plane 22: downward slope
23 : 주입홀 30 : 편광필름23: injection hole 30: polarizing film
31 : 테두리단 32 : 홈31: edge 32: groove
40 : 하부지그 41 : 상향 경사면40: lower jig 41: upward slope
42 : 상향 수직면 43 : 주입홀42: upward vertical plane 43: injection hole
50 : 유리상부금형 60 : 내열마스킹용 테이프50: upper glass mold 60: heat-resistant masking tape
70 : 편광렌즈 71 : 액상의 원재료70
72 : 가공면 80 : 일체지그72: machining surface 80: integral jig
81 : 제1 경사면 82 : 상향 수직면 81: first inclined plane 82: upward vertical plane
83 : 수평면 84 : 홈83: horizontal plane 84: groove
85 : 제2 경사면 86 : 주입홀85: second inclined surface 86: injection hole
90 : 지그 91 : 상단90: jig 91: top
92 : 경사면 93 : 하단92: slope 93: lower
94 : 지지홈94: support groove
a : 하부공간 b : 상부공간 a: lower space b: upper spac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870A KR100964579B1 (en) | 2009-08-17 | 2009-08-17 |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5870A KR100964579B1 (en) | 2009-08-17 | 2009-08-17 |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4579B1 true KR100964579B1 (en) | 2010-06-21 |
Family
ID=4237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5870A KR100964579B1 (en) | 2009-08-17 | 2009-08-17 |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457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129B1 (en) * | 2011-07-26 | 2013-06-28 | 신승종 |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lens |
US9579857B2 (en) | 2015-05-18 | 2017-02-28 | Izon Optics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and polarizing lens manufactured by the same |
KR20190122067A (en) | 2018-04-19 | 2019-10-29 | (주)아이존옵틱 | A jig to hold the lens of the spectacle with polarised film on it |
KR102231541B1 (en) | 2019-11-21 | 2021-03-24 | 최현식 | Manufacturing Method of Diopter Polarizing Lens using various Mold |
KR102397482B1 (en) * | 2020-11-05 | 2022-05-12 | 주식회사 씨엔와이 | The forming mehtod for PC polarized film |
US20220227082A1 (en) * | 2021-01-21 | 2022-07-21 | Tobii Ab | Relating to lens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7617A (en) * | 2001-12-29 | 2003-07-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sensor |
JP2005067186A (en) * | 2003-08-20 | 2005-03-17 | Hanii Optical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structure of gasket mold used therefor and polarizing lens manufactured by using these |
-
2009
- 2009-08-17 KR KR1020090075870A patent/KR10096457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7617A (en) * | 2001-12-29 | 2003-07-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sensor |
JP2005067186A (en) * | 2003-08-20 | 2005-03-17 | Hanii Optical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structure of gasket mold used therefor and polarizing lens manufactured by using thes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129B1 (en) * | 2011-07-26 | 2013-06-28 | 신승종 |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lens |
US9579857B2 (en) | 2015-05-18 | 2017-02-28 | Izon Optics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and polarizing lens manufactured by the same |
KR20190122067A (en) | 2018-04-19 | 2019-10-29 | (주)아이존옵틱 | A jig to hold the lens of the spectacle with polarised film on it |
KR102231541B1 (en) | 2019-11-21 | 2021-03-24 | 최현식 | Manufacturing Method of Diopter Polarizing Lens using various Mold |
KR102397482B1 (en) * | 2020-11-05 | 2022-05-12 | 주식회사 씨엔와이 | The forming mehtod for PC polarized film |
US20220227082A1 (en) * | 2021-01-21 | 2022-07-21 | Tobii Ab | Relating to lens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4579B1 (en) | Polarized len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40076761A (en) | Lens module | |
US8947795B2 (en) | Plastic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937676B2 (en) | Method for creating a viewing screen having an injection overmolded insert | |
MY176368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hthalmic devices | |
JP2010240866A5 (en) | Plastic lens for eyeglasses before mold processing, mold mold, and plastic lens molding device | |
CN101439565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module and lens module made by the method | |
JP2010240866A (en) | Plastic lens molding equipment | |
JP2005067186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structure of gasket mold used therefor and polarizing lens manufactured by using these | |
KR102585805B1 (en) | Corrective lenses and shields of a single structure and methods | |
KR101280129B1 (en) |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lens | |
KR100614844B1 (en) | Gasket Device for Polarizing Lens Manufacturing | |
KR100482299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lens, gasket mould structure used in this method, and polarizing lens made thereby | |
KR20100033721A (en) | Optical lens | |
KR200343926Y1 (en) | A ring structure of gasket moul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 |
JP3852612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d light control lens | |
JP5717363B2 (en) | Mold for molding plastic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lens | |
JP5795186B2 (en) | Plastic lens for specta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919067B1 (en) | Low aberration lens manufacturing method | |
JP5717364B2 (en) | Mold for molding plastic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lens | |
JP5748597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lens | |
JP2020104301A (en) | Resin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04313B1 (en) | Lens | |
KR200376230Y1 (en) | Formation frame structure of spectacles frame main bady | |
CN201181354Y (en) | Optical Glass Lens Gro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9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