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3891B1 -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 Google Patents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91B1
KR100963891B1 KR1020080056648A KR20080056648A KR100963891B1 KR 100963891 B1 KR100963891 B1 KR 100963891B1 KR 1020080056648 A KR1020080056648 A KR 1020080056648A KR 20080056648 A KR20080056648 A KR 20080056648A KR 100963891 B1 KR100963891 B1 KR 10096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ntact
force
movable contact
rot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928A (ko
Inventor
김동훈
안진성
Original Assignee
김동훈
안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안진성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102008005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01H33/423Driving mechanisms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32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rectiline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에 링크를 통하여 이중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동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구동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마주보는 위치인 디스크의 볼록한 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한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구동축에는 3상의 가동접점을 동작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링크 및 회전링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와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은 가동접점이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에서 고정접점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레버를 얼마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내지 제3 링크와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에 의해 회동링크가 회전하는 중에 가동접점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축에 결합된 디스크를 60° 회전시켜 고정접점에 고정된 상태인 디스크의 볼록한 면 끼리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디스크에 의한 압력까지 가해져서 최적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회전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마주보는 디스크의 볼록한 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져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 구동축, 가동접점, 링크, 스프링, 고정접점, 회전축, 디스크

Description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본 발명은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에 링크를 통하여 이중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동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구동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마주보는 위치인 디스크의 볼록한 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한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로기는 개폐기의 일종으로 수용가의 인입구 부근에 붙여서 무부하 상태의 전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차단기, 변압기, 피뢰기 등 고전압 기기의 1차 측에 붙여서 기기를 점검, 수리할 때 회로를 차단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단로기는 접점이 긴밀하게 접속되어야 하므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한 탄성력을 받도록 한다.
그러므로 개폐시 강한 힘을 가하면서 접속시키거나 개방시켜야 하므로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이 접점을 통하여 흐르면서 불꽃 반응 등이 발생하여 접점에 무리 를 주게 되는 원인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순간적으로 큰 힘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단로기의 레버에 조작기의 레버를 연결하여 조작기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단로기의 레버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고정접점에 접속하는 가동접점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큰 전압이 흐르게 되면서 접점이 마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에 링크를 통하여 이중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동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구동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마주보는 위치인 디스크의 볼록한 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한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는,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구동축에는 3상의 가동접점을 동작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링크 및 회전링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와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은 가동접점이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에서 고정접점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레버를 얼마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내지 제3 링크와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에 의해 회동링크가 회전하는 중에 가동접점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축에 결합된 디스크를 60° 회전시켜 고정접점에 고정된 상태인 디스크의 볼록한 면 끼리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디스크에 의한 압력까지 가해져서 최적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회전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마주보는 디스크의 볼록한 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져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에 의하여서는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3상의 제1 내지 제3 링크 및 회전링크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 및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은 회동링크를 통해 가동접점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에서 고정접점과 접속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레버를 얼마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내지 제3 링크 및 회전링크를 통한 회전력에 의해 가동접점의 회전축이 더 회전하면서 가동접점의 회전축에 결합된 디스크의 볼록면과 고정접점에 고정된 디스크의 볼록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최적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이 1차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적은 힘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회전축이 2차로 회전하는 중에 경사면을 갖는 디스크에 의해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져 처음부터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데에 따른 무리를 없애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단로기 본체(1)의 레버(2)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3)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구동축(3)에는 3상의 가동접점(4)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링크(6)와 제2 링크(7)를 통한 회전력은 회전링크(8)가 동대(5)에 고정한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3 링크(9)가 연결된 회동링크(11)를 통한 회전력으로 가동접점(4)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스프링(12)(13)(14)(15)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에서 고정접점(16)(17)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레버(2)를 얼마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통한 회전력에 의해 가동접점(4)이 결합된 회동링크(11)를 60°회전시켜 회전축(18)(19)에 결합된 디스크(20)(21)(22)(23)를 60° 회전시키면서 고정접점(16)(17)에 고정된 상태인 디스크(24)(25)(26)(27)에 의해 서로 밀어주면서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16)(17)이 긴밀하게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디스크(20)(21)(22)(23)의 오목한 면(28) 및 볼록한 면(29)과 디스크(24)(25)(26)(27)과 볼록한 면(31) 및 오목한 면(32)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경사면(30)(33)을 따라 회전하면서 볼록한 면(29)(32) 끼리 접하도록 함으로써 긴밀하게 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는,
수동 조작기 또는 전동 조작기에 의해 작동하는 단로기 본체(1)의 레버(2)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3)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의 구동축(3)에는 3상의 가동접점(4)을 동작하기 위한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3상의 가동접점(4)을 고정접점(16)(17)에 접속하거나 분리시키도록 한다.
가동접점(4)을 고정접점(16)(17)에 접속하는 과정을 단상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통한 회전력이 가동접점(4)에 결합된 회동링크(11)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스프링(12)(13)(14)(15)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에서 가동접점(4)이 고정접점(16)(17)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단로기 본체(1)의 레버(2)를 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얼마 간 더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축(3)을 통해 결합한 제1 링크(6)도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링크(7)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제2 링크(7)의 이동에 따라 회전링크(8)가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3 링크(9)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주어 회동링크(11)가 회전축(18)(19)을 중심으로 60° 회전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18)(19)에 결합된 디스크(20)(21)(22)(23)도 60° 회전하면서 고정접점(16)(17)에 고정된 상태인 디스크(24)(25)(26)(27)와 서로 밀어주는 상태가 되어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16)(17)이 긴밀하게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의 디스크(20)(21)(23)(24)의 오목한 면(28) 및 볼록한 면(29)과 디스크(24)(25)(26)(27)과 볼록한 면(31) 및 오목한 면(32)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경사면(30)(33)을 따라 회전하면서 볼록한 면(29)(31) 끼리 접하도록 함으로써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16)(17)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한다.
가동접점(4)을 고정접점(16)(17)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단상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긴밀하게 접속한 상태에서 단로기 본체(1)의 레버(2)를 얼마간 역회전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통한 회전력에 의해 회동링크(11)가 60° 역회전하면서 가동접점(4)의 회전축(18)(19)도 60° 역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8)(19)에 결합된 디스크(20)(21)(22)(23)도 따라서 60° 역회전하는 중에 디스크(20)(21)(23)(24)의 볼록한 면(29)과 디스크(24)(25)(26)(27)의 볼록한 면(31)이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오목한 면(28)(32)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되어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16)(17)이 긴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스프링(12)(13)(14)(15)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의 디스크(20)(21)(22)(23)의 볼록한 면(29)과 디스크(24)(25)(26)(27)의 볼록한 면(31)이 긴밀하게 접하는 상태에서 디스크(20)(21)(22)(23)의 오목한 면(28) 및 볼록한 면(29)과 디스크(24)(25)(26)(27)의 볼록한 면(31) 및 오목한 면(32)이 접하는 상태로 경사면(30)(33)을 따라 역회전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단로기 본체(1)의 레버(2)를 계속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10) 및 제3 링크(9)를 통한 회전력이 가동접점(4)을 위쪽으로 이동시켜 스프링(16)(17)(18)(19)에 의한 탄성력만 받는 상태의 고정접점(12)(13)과의 접속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더 회전시켜 디스크에 의해 가압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레버 3 : 구동축
4 : 가동접점 6, 7, 8, 9, 11 : 링크
12, 13, 14, 15 : 스프링 16, 17 : 고정접점
18, 19 : 회전축 28. 32 : 오목한 면
20, 21, 22, 23, 24, 25, 26, 27 : 디스크
29, 31 : 볼록한 면 30, 33 : 경사면

Claims (2)

  1. 레버(2)가 회전하는 중에 구동축(3)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구동축(3)에는 3상의 가동접점(4)을 동작하기 위한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링크(8)는 동대(5)에 고정한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링크(6)와 제2 링크(7)와 회전링크(8) 및 제3 링크(9)를 통해 가동접점(4)의 회동링크(11)에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접점(4)의 회전축(18)(19)에는 스프링(12)(13)(14)(15)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고정접점(16)(17)과 디스크(24)(25)(26)(27)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동접점(4)의 회전축(18)(19)에는 디스크(20)(21)(22)(23)를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디스크(20)(21)(22)(23)와 디스크(24)(25)(26)(27)는 오목한 면(28)(32)과 볼록한 면(29)(31) 및 경사면(30)(33)이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KR1020080056648A 2008-06-17 2008-06-17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6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48A KR100963891B1 (ko) 2008-06-17 2008-06-17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48A KR100963891B1 (ko) 2008-06-17 2008-06-17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28A KR20090130928A (ko) 2009-12-28
KR100963891B1 true KR100963891B1 (ko) 2010-06-17

Family

ID=4169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3891B1 (ko) 2008-06-17 2008-06-17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10B1 (ko) 2015-12-09 2017-02-23 디티알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단로기의 개폐레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05Y1 (ko) 2002-06-17 2002-09-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수직형 단로기
KR100425854B1 (ko) 2002-02-01 2004-04-03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배전반용 단로기의 구동메카니즘
KR20070066190A (ko) * 2005-12-21 2007-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 단로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54B1 (ko) 2002-02-01 2004-04-03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배전반용 단로기의 구동메카니즘
KR200289905Y1 (ko) 2002-06-17 2002-09-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수직형 단로기
KR20070066190A (ko) * 2005-12-21 2007-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 단로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10B1 (ko) 2015-12-09 2017-02-23 디티알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단로기의 개폐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28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5807B2 (ja) 開閉器の接圧調整機構
CN101436471B (zh) 电开关设备单元及其操作装置
US10229800B2 (en) Air break electrical switch having a blade toggle mechanism
CA2803182A1 (en) Mechanical switch contact
US9275807B2 (en) Interlock system for switchgear
CN105405694A (zh) 断路器与隔离开关的联锁装置
KR100963891B1 (ko) 이중 가압 구조를 갖는 단로기
US5272291A (en) Dual switch actuator mechanism with Geneva drive plate and follower plates detent assembly
CN101290845A (zh) 一种夹紧式高压隔离开关
US4103133A (en) Dual switch operator using modified geneva movement
JP2010097943A (ja) バスバー断路器及び接地断路器のような2つの断続器を具備し、かつ該断続器の可動接点用の共通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を含んでいる電気スイッチ装置
KR20130094779A (ko) 개폐 스위칭 기능을 포함한 스위치 차단기용 드라이브
AU2008202132A1 (en) Operating device for moving two parts into contact or out of contact and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one such device
CN111508760B (zh) 隔离开关
US5584379A (en) Disconnect switch double motion mechanism
US6271489B1 (en) Cam-lock enhanced pressure switch contacts
JP4682039B2 (ja) 開閉装置
KR200461063Y1 (ko) 진공차단기의 조작기
JP6437356B2 (ja) 開閉装置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JP2015201345A (ja) 開閉装置
JP7499703B2 (ja) 高電圧遮断器
CN105742087A (zh) 一种大电流隔离开关
KR20250073502A (ko) 스위치기어 장치용의 작동 기구
JP4679252B2 (ja) 電力用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