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2368B1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68B1
KR100962368B1 KR1020100033093A KR20100033093A KR100962368B1 KR 100962368 B1 KR100962368 B1 KR 100962368B1 KR 1020100033093 A KR1020100033093 A KR 1020100033093A KR 20100033093 A KR20100033093 A KR 20100033093A KR 100962368 B1 KR100962368 B1 KR 10096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impact
acrylate
scratch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아
이호상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68B1/ko
Priority to JP2012529698A priority patent/JP5930964B2/ja
Priority to ES11769062.8T priority patent/ES2669563T3/es
Priority to HUE11769062A priority patent/HUE037636T2/hu
Priority to PL11769062T priority patent/PL2558533T3/pl
Priority to PCT/KR2011/002587 priority patent/WO2011129596A2/en
Priority to TR2018/08213T priority patent/TR201808213T4/tr
Priority to PT117690628T priority patent/PT2558533T/pt
Priority to EP11769062.8A priority patent/EP25585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에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2968013-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R2,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렌기이고, m,n은 1이상의 정수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Impact 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Improved Scratch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록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흐름성 및 내충격성, 특히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높은 투과율, 표면 광택 및 우수한 강성에 기인한 뛰어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자동차의 후미등, 계기판 커버, 휴대폰 윈도우 등의 사출 제품으로 이용되며, 압출 가공을 통하여 각종 판재로 사용되는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다른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충격강도가 약해 내충격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적용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내충격성의 향상을 위해 적합한 충격보강제를 도입하여 내충격성을 개선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충격보강제에 의해 표면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외장, 전자기기의 하우징 등으로 사용될 경우, 외부 오염물이나 긁힘, 사용자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불량이 발생되어 심각한 품질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생산공정에서도 작업자에 의해 기인되는 스크래치로 인해 제품 불량률이 증대되어 생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 보호 필름 등을 사용하는데, 이에 따른 제조 비용 상승과 제품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실록산 화합물을 도입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및 유동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을 도입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를 10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는 PMMA계 수지 및 상기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296801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R2,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렌기이고, m,n은 1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은 R1,R2은 -(CH2)3-이고, R3, R4는 -(CH2)5-이며, m, n은 m:n=18:30을 만족하는 1이상의 정수인 것이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록산 화합물을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이 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 충격강도 및 유동성 향상 효과가 적으며, 5중량부 초과이면 광투과율 및 광택도가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 광투과율, 광택도 및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평균입경은 0.2 ~ 0.25㎛인 분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킬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티렌계 방향족 화합물;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록산화합물; 및 디비닐벤젠, 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로 이루어진 2층 이상의 다층구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독 중합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으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0중량%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기계적 물성 저하로 인해 자동차 외장, 전자기기의 하우징 등의 용도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충격보강제를 함유한 PMMA계 수지는 220~240℃에서 용융하는 압출 가공으로 얻어진다. 상기 압출 가공된 충격보강제를 함유한 PMMA계 수지는 상기 화학식 1의 실록산 화합물과 혼합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얻게 되고, 이를 압출성형법, 사출성형법 또는 중공성형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제, 안정제, 내열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형광 증백제, 난연제, 착색제, 염료, 무기 첨가제 및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PMMA계 수지 조성물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갖는 우수한 유동성, 광투과율, 광택도 및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자동차 외장재, 디스플레이 및 전기전자 제품 등의 산업전반의 하우징 부품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종래 보호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물성 특성 평가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조드 충격강도 : ASTM D256
(2) 유동성 : ASTM D1238, 3.8kg, 230℃
(3) 내스크래치성 : ASTM D7027, 시편의 사출 성형 후 30N의 하중을 가하고 100mm/s의 속도로 긁은 후 스크래치 하드니스 (Hs)를 측정하고 표면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평균입경이 0.25㎛인 분말 형태의 충격보강제 15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5 중량%를 230℃에서 용융시켜 충격보강제를 함유한 PMMA계 수지를 압출한다. 상기 압출된 PMM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2의 실록산 화합물(TEGOMER H-Si 6440) 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얻고, 그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성형한 후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22968013-pat00002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압출된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화합물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압출된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화합물 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압출된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화합물 3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압출된 PMMA계 수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22968013-pat00003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내충격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 및 유동 지수가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스크래치 하드니스가 매우 높고 스크래치 발생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실록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충격보강제를 10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는 PMMA계 수지 및 상기 PMMA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2296801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R2,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렌기이고, m,n은 1이상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R1,R2은 -(CH2)3-이고, R3, R4는 -(CH2)5-이며, m, n은 m:n=18:30을 만족하는 1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부타디엔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중합한 것인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독 중합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0중량%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MA계 수지 조성물은 활제, 안정제, 내열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형광 증백제, 난연제, 착색제, 염료, 무기 첨가제 및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하우징.
KR1020100033093A 2010-04-12 2010-04-12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6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93A KR100962368B1 (ko) 2010-04-12 2010-04-12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12529698A JP5930964B2 (ja) 2010-04-12 2011-04-12 耐スクラッチ性が向上した耐衝撃性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
ES11769062.8T ES2669563T3 (es) 2010-04-12 2011-04-12 Composición de resina de metacrilato de metilo resistente al impacto que tiene resistencia mejorada a los rayones
HUE11769062A HUE037636T2 (hu) 2010-04-12 2011-04-12 Javított karcolásállósággal rendelkezõ ütésálló metil-metakrilát gyantakészítmény
PL11769062T PL2558533T3 (pl) 2010-04-12 2011-04-12 Odporna na uderzenia kompozycja żywicy metakrylanu metylu o zwiększonej odporności na zarysowanie
PCT/KR2011/002587 WO2011129596A2 (en) 2010-04-12 2011-04-12 Impact-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TR2018/08213T TR201808213T4 (tr) 2010-04-12 2011-04-12 İyileştirilmiş çizilme mukavemetine sahip darbeye dayanıklı metil metakrilat reçine bileşimi.
PT117690628T PT2558533T (pt) 2010-04-12 2011-04-12 Metacrilto de metilo resistente ao impacto: composição de resina com melhor resistência a riscos
EP11769062.8A EP2558533B1 (en) 2010-04-12 2011-04-12 Impact-resistant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93A KR100962368B1 (ko) 2010-04-12 2010-04-12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368B1 true KR100962368B1 (ko) 2010-06-10

Family

ID=4236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93A KR100962368B1 (ko) 2010-04-12 2010-04-12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558533B1 (ko)
JP (1) JP5930964B2 (ko)
KR (1) KR100962368B1 (ko)
ES (1) ES2669563T3 (ko)
HU (1) HUE037636T2 (ko)
PL (1) PL2558533T3 (ko)
PT (1) PT2558533T (ko)
TR (1) TR201808213T4 (ko)
WO (1) WO2011129596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0381A (zh) * 2010-09-17 2013-06-26 赢创罗姆有限公司 具有改进的光泽和耐擦性的耐候性着色成型制品
KR101414058B1 (ko) * 2014-01-24 2014-07-02 세원정공 주식회사 펄 감 광택 또는 패턴을 갖는 수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욕조
KR101420288B1 (ko) * 2013-09-27 2014-07-17 세원정공 주식회사 펄 감 광택 또는 패턴을 갖는 수지 시트
WO2016080758A1 (ko) * 2014-11-21 2016-05-26 (주) 엘지화학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계 공중합체 얼로이 고광택 조성물 및 성형품
US9663651B2 (en) 2014-11-21 2017-05-30 Lg Chem, Ltd. High-gloss polymethylmethacrylate acrylic copolymer alloy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2403367B1 (ko) 2021-10-26 2022-05-30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표면 질감을 개선한 저광택 복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785B2 (ja) * 2016-07-21 2019-10-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車両材料
EP3772527A1 (de) * 2019-08-08 2021-02-10 Evonik Operations GmbH Durchsichtige zusammensetzung
EP4010429B1 (de) 2019-08-08 2022-10-05 Evonik Operations GmbH Verzweigte polyestersiloxane
CN112390906B (zh) * 2019-08-19 2022-08-1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耐热型甲基丙烯酸甲酯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321A (en) 1997-09-16 1998-10-13 Bayer Corporation Mold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KR100804547B1 (ko) 2006-10-26 2008-02-20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표면광택, 대전방지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0526A1 (de) * 1983-01-10 1984-07-12 Röhm GmbH, 6100 Darmstadt Schlagzaehmodifizierungsmittel
DE3535283A1 (de) * 1985-10-03 1987-04-09 Byk Chemie Gmbh Polyestergruppenhaltige polysiloxane fuer lacke und formmassen und die verwendung hierfuer
DE3821337A1 (de) * 1988-06-24 1989-12-28 Roehm Gmbh Schlagzaehe polymethylmethacrylat-formmasse
DE4300596A1 (de) * 1993-01-13 1994-07-14 Basf Ag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methylmethacrylat mit verbesserter Kerbschlagzähigkeit
US5414054A (en) * 1994-06-01 1995-05-09 Miles Inc. Copolycarbonate having improve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FR2809741B1 (fr) * 2000-05-31 2002-08-16 Atofina Materiaux thermodurs a tenue au choc amelioree
KR100725940B1 (ko) * 2005-12-06 2007-06-11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94671B1 (ko) * 2007-12-12 2009-04-24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CN103180381A (zh) * 2010-09-17 2013-06-26 赢创罗姆有限公司 具有改进的光泽和耐擦性的耐候性着色成型制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321A (en) 1997-09-16 1998-10-13 Bayer Corporation Mold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KR100804547B1 (ko) 2006-10-26 2008-02-20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표면광택, 대전방지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록산의 분자량과 사슬길이에 따른 PDMS-b-PMMA공중합체의 표면에너지와 열적거동 고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0381A (zh) * 2010-09-17 2013-06-26 赢创罗姆有限公司 具有改进的光泽和耐擦性的耐候性着色成型制品
KR101935220B1 (ko) * 2010-09-17 2019-01-03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광택 및 내와이프성이 개선된 내후성 염색 성형물
KR101420288B1 (ko) * 2013-09-27 2014-07-17 세원정공 주식회사 펄 감 광택 또는 패턴을 갖는 수지 시트
KR101414058B1 (ko) * 2014-01-24 2014-07-02 세원정공 주식회사 펄 감 광택 또는 패턴을 갖는 수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욕조
WO2016080758A1 (ko) * 2014-11-21 2016-05-26 (주) 엘지화학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계 공중합체 얼로이 고광택 조성물 및 성형품
US9663651B2 (en) 2014-11-21 2017-05-30 Lg Chem, Ltd. High-gloss polymethylmethacrylate acrylic copolymer alloy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2403367B1 (ko) 2021-10-26 2022-05-30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표면 질감을 개선한 저광택 복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8533A2 (en) 2013-02-20
EP2558533A4 (en) 2013-08-28
WO2011129596A3 (en) 2012-03-08
HUE037636T2 (hu) 2018-09-28
PL2558533T3 (pl) 2018-08-31
JP2013504680A (ja) 2013-02-07
JP5930964B2 (ja) 2016-06-08
TR201808213T4 (tr) 2018-07-23
WO2011129596A2 (en) 2011-10-20
EP2558533B1 (en) 2018-03-14
PT2558533T (pt) 2018-06-19
ES2669563T3 (es)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368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내충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JP645709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KR101293787B1 (ko)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78366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CN103910967B (zh) 透明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它的模制品
KR20110077881A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인계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조성물
KR1012777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74427A (ko) 유동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60432A (ko) 수지 조성물
KR1012885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94671B1 (ko)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후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804547B1 (ko) 표면광택, 대전방지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5000199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956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50137558A (ko) 내열성 및 내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88684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079487A (ko)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996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76521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412139B1 (ko) 고화속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029957B1 (ko) 내스크래치성, 광택, 충격성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035579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4001294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1139825B1 (ko)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