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2308B1 - Ccd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Ccd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08B1
KR100962308B1 KR1020030050251A KR20030050251A KR100962308B1 KR 100962308 B1 KR100962308 B1 KR 100962308B1 KR 1020030050251 A KR1020030050251 A KR 1020030050251A KR 20030050251 A KR20030050251 A KR 20030050251A KR 100962308 B1 KR100962308 B1 KR 10096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ower
substrate
lens hold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243A (ko
Inventor
이운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부에 줌렌즈 모듈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줌렌즈 모듈을 지지하는 렌즈홀더와; 렌즈홀더에 지지되는 DC 전원 구동기판과; 줌렌즈모듈의 후단에 연결되는 CCD 모듈과; 렌즈홀더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AC 전원 구동유닛; 및 구동유닛의 후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AC 전원 구동유닛의 분리시 렌즈홀더의 후단에 직접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리어 구동기판;을 포함하여, AC 및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CCD 카메라장치{CCD camera apparatu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카메라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CCD 카메라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구동기판과 하우징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 각각은 도 1의 상태에서 AC 전원 구동유닛이 배제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케이스 20..줌렌즈모듈
30..렌즈홀더 40..DC 전원 구동기판
50..CCD 모듈 60..AC 전원 구동유닛
61..하우징 63..AC/DC 전원 구동기판
65..하우징 커버 70..리어 구동기판
본 발명은 CCD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D 카메라로 널리 사용되는 감시용 카메라는 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를 이용하며, 은행이나 주차장 등기타 고정적 감시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D 카메라는 카메라본체 케이스의 전단부에 프런트캡이 결합되고, 후단부에는 리어캡이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스 내에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차례로 줌렌즈모듈과, CCD 모듈 및 리어 PCB 기판이 설치된다. 상기 줌렌즈모듈은 렌즈홀더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 내에 고정되고, CCD 모듈은 렌즈홀더와 리어 PCB 기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CCD 카메라는 리어 PCB 기판에 AC 전원이나 DC 전원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AC 전원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사용될 CCD 카메라는 케이스 내에 AC 전원용 PCB 기판이 설치된다. 이 경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CCD 카메라를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지역특성상 DC 전원을 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 CCD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내에 DC 전원용 PCB 기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지역에 따라 전원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출시되는 CCD 카메라는 AC 전원용과 DC 전원용으로 구분하여 생산하여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AC 및 DC 전원 전용으로만 CCD 카메라를 제조 및 생산 판매하는데 있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모델별로 다른 생산라인 및 조립공정 등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AC 및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CCD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CD 카메라 장치는, 내부에 줌렌즈 모듈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줌렌즈 모듈을 지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지지되는 DC 전원 구동기판과; 상기 줌렌즈모듈의 후단에 연결되는 CCD 모듈과; 상기 렌즈홀더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AC 전원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후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의 분리시 상기 렌즈홀더의 후단에 직접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리어 구동기판;을 포함하여, AC 및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은, 상기 렌즈홀더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개재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하는 AC/DC 전원 구동기판과;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모듈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서로 대칭 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각 지지브라켓은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리어 구동기판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각각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리어 구동기판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공용의 나사결합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과 동시에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리어 구동기판이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의 결합시 결합위치를 결정하고, 가조립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홈이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리어구동기판 또는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의 결합시 결합위치를 결정하고, 가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구동기판 및 상기 리어 구동기판 각각에는 상기 지지돌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에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의 지지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통형의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전방을 덮도록 상기 렌즈홀더 결합되며, 상기 렌즈모듈의 렌즈가 노출되는 프런트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 판과 함께, 상기 렌즈홀더 또는 상기 AC/DC 전원 구동유닛에 결합 가능한 리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카메라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카메라 장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줌렌즈모듈(20)과, 상기 줌렌즈 모듈(20)을 지지하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렌즈홀더(30)와, 상기 렌즈홀더(30)의 측면에 지지되는 DC 전원 구동기판(40)과, 상기 줌렌즈 모듈(20)의 후단에 설치되는 CCD 모듈(50)과, 상기 렌즈홀더(30)의 후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AC 전원 구동유닛(60)과, 상기 구동유닛(60)의 후단에 결합되는 리어 구동기판(7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후방이 개방된 통형의 케이스몸체(11)와, 상기 케이스몸체(11)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몸체(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15)를 구비한다. 프런트케이스(13)에는 렌즈캡(17)이 결합된다.
상기 줌렌즈모듈(20)은 줌렌즈(21)를 포함하여 단일의 어셈블리로 조립되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이 줌렌즈모듈(20)은 상기 렌즈홀더(30)에 둘러싸여 지지된다. 이러한 줌렌즈모듈(20)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렌즈홀더(30)는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지지브라켓(31,33)을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31)은 줌렌즈모듈(20)의 좌측과 하측을 지지하 며, 제2브라켓(33)은 줌렌즈모듈(20)의 우측과 상측을 감싸서 지지한다. 그리고, 각 지지브라켓(31,33)은 서로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케이스(13)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31)(33)에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3)의 측벽에 상기 DC 전원 구동기판(40)이 결합된다. 상기 DC 전원 구동기판(40)은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어 구동기판(70)을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을 그대로 공급받아 각 전자부품을 구동하도록 전달한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3)의 상벽에는 줌렌즈모듈(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렌즈 구동 회로기판(43)이 설치된다. 또한, 제1지지브라켓(31)의 측벽에는 DSP 회로기판(45)이 결합된다. 이 DSP 회로기판(45)은 비데오 신호처리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각 지지브라켓(31,33)은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31a,33a)와,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31b,33b)를 가진다. 또한, 각 지지브라켓(31,33)은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을 가조립할 때, 위치를 결정해주는 기능과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 위치결정용 지지돌기(31c,33c)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지지돌기(31c,33c)는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을 가조립할 때, 위치 결정하는 기능으로 사용되며, 결합시에는 움직임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CCD 모듈(50)은 줌렌즈모듈(5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 CCD 모듈(50)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구성으로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차례로 OLPF(Optical Low Pass Filter) 필터(51), CCD 스페이서(52), CCD 소자(53), CCD 지지플레이트(54) 및 CCD 소자 구동 회로기판(55)이 결합된다.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은 지역에 따라서 DC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AC 전원을 사용하는 곳에서 호환적으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 공급받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AC 전원 구동유닛(60)은, 렌즈홀더(3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에 결합되는 AC/DC 전원 구동기판(63)과, 상기 하우징(61)의 후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65)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61)은 후방이 개방된 캐비넷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61)의 전면벽(61)에는 상기 각 지지브라켓(31,33)의 제1결합부(31a,33a)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61b)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면벽(61)에는 상기 각 지지브라켓(31,33)의 지지돌기(31c,33c)가 끼워지는 지지공(61c)이 한 쌍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돌기(31c,33c)는 상기 지지공(61c)에 끼워져서 지지되며, 서로(60,30)의 결합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63)은 나사에 의해 상기 하우징커버(65)와 함께 하우징(61) 내에 수용되도록 체결된다. 이 AC/DC 전원 구동기판(63)은 상기 리어 구동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AC/DC 전원 구동유닛(60)은 단일의 어셈블리로 조립되어 렌즈홀더(30)의 후방과 리어구동기판(70)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은 상기 하우징커버(63)의 뒷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리어케이스(15)와 리어 구동기판(70)이 하우징커버(65)에 동시에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커버(65)의 배면에는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63)과 함께 하우징(61)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1체결부(65a)가 상하측에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커버(65)에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70) 및 리어케이스(150)가 함께 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2체결부(65b)가 상부에 하나, 하부 양측에 두 개가 마련된다. 상기 제2체결부(65b)는 상기 지지브라켓(31,33)의 체결부(31,33b)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이 생략되더라도 리어 구동기판(70)과 리어케이스(15)가 렌즈홀더(30)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65)에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의 결합위치를 조정하고, 가지지하기위한 한 쌍의 지지돌기(65c)가 돌출형성된다. 이 지지돌기(65c)는 상기 각 지지브라켓(31,33)의 지지돌기(31c,33c)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대응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에는 지지돌기(65c)에 끼워지는 지지홈(71)이 한 쌍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리어 구동기판(70)은 상기 제2체결부(65b)각각에 대응되는 나사체결공(73)을 가진다. 물론, AC 전원 구동유닛(60)이 채용되지 않을 때 상기 렌즈홀더(30)에 리어 구동기판(70)이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체결공(73)은 각 지지브라켓(31,33)의 제2결합부(31b,33b) 각각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을 생략한 상태로 렌즈홀더(30)에 리어 구동기판(70)과 리어케이스(15)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몸체(11´)의 길이만 구동유닛(60)의 폭에 대응되는 만큼 작은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구동기판(70)은 리어케이스(15)와 함께 렌즈홀더(3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AC 전원 구동유닛(60)의 후방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AC 전원 구동유닛(60)은 렌즈홀더(30)와 리어 구동기판(70)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배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DC 전원을 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60)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CCD 카메라장치를 조립하여 공급하면 된다.
반대로, AC 전원을 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상기 AC 전원 공급유닛(60)을 추가적으로 조립한 상태로 CCD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면 된다. 즉, 지역의 전원공급 사향에 따라서, AC 전원 공급유닛(60)을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스몸체(11)의 길이만 서로 다른 모델을 준비하여 조립하면 된다. 따라서, 제품의 호환성이 쉽게 이루어지며, 제품의 생산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전체적인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CCD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AC 전원용 구동유닛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급받는 전원의 사향에 따라서 제품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제품의 생산비용 및 원가절감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내부에 줌렌즈 모듈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줌렌즈 모듈을 지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지지되는 DC 전원 구동기판과;
    상기 줌렌즈모듈의 후단에 연결되는 CCD 모듈과;
    상기 렌즈홀더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AC 전원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후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의 분리시 상기 렌즈홀더의 후단에 직접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리어 구동기판;을 포함하여, AC 및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렌즈모듈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각 지지브라켓은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리어 구동기판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은,
    상기 렌즈홀더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개재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하는 AC/DC 전원 구동기판과;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구동기판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공용의 나사결합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AC/DC 전원 구동기판과 동시에 나사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체결부와;
    상기 리어 구동기판이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의 결합시 결합위치를 결정하고, 가조립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리어구동기판 또는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의 결합시 결합위치를 결정하고, 가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구동기판 및 상기 리어 구동기판 각각에는 상기 지지돌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구동유닛에는,
    상기 리어 구동기판의 지지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장치.
  9.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통형의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전방을 덮도록 상기 렌즈홀더 결합되며, 상기 렌즈모듈의 렌즈가 노출되는 프런트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구동기판과 함께, 상기 렌즈홀더 또는 상기 AC/DC 전원 구동유닛에 결합 가능한 리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카메라 장치.
KR1020030050251A 2003-07-22 2003-07-22 Ccd 카메라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96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51A KR100962308B1 (ko) 2003-07-22 2003-07-22 Ccd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51A KR100962308B1 (ko) 2003-07-22 2003-07-22 Ccd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3A KR20050011243A (ko) 2005-01-29
KR100962308B1 true KR100962308B1 (ko) 2010-06-11

Family

ID=3722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51A Expired - Lifetime KR100962308B1 (ko) 2003-07-22 2003-07-22 Ccd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642B1 (ko) * 2005-11-03 2007-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0452804Y1 (ko) * 2009-08-06 2011-03-25 정성호 감시카메라의 렌즈모듈 마운트 어셈블리
JP5824791B2 (ja) 2010-08-16 2015-12-02 ソニー株式会社 駆動装置、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KR102358698B1 (ko) * 2017-09-06 2022-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579A (ja) 1998-09-30 2000-04-21 Nec Yonezawa Ltd 電子機器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2003199360A (ja) 2001-12-27 2003-07-11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579A (ja) 1998-09-30 2000-04-21 Nec Yonezawa Ltd 電子機器
KR200252100Y1 (ko) * 2001-08-07 2001-11-23 정운기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2003199360A (ja) 2001-12-27 2003-07-11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3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21435U (zh) 安防摄像模组
US7466360B2 (en) CCD camera apparatus
KR100383428B1 (ko) 액정 모듈 장착용 구조체와 이 구조체를 이용한 휴대용데이터 단말기 또는 정보 처리 장치
JP2000253282A (ja) 電子カメラ
KR100962308B1 (ko) Ccd 카메라장치
WO2004107296A1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US5555051A (en) Back-focus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camera
US8094233B2 (en) Imaging device for a camera
JP2008178076A (ja) 通話端末
JP3358233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9273111A5 (ko)
JP2006202817A (ja) 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電子機器
CN220139631U (zh) 一种dvs性能测试装置
CN220053679U (zh) 一种带支架的摄像头结构
JP2743948B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
KR20060008730A (ko) 자동조절이 가능한 입체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장치
JP3822019B2 (ja) 携帯型機器
JP2003111893A (ja) スロットマシン
JP4098309B2 (ja) デジタルカムコーダーの一体型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2001333310A (ja) 電子カメラ
JP3693040B2 (ja) 電子カメラ
JPH09214818A (ja) ビデオカメラ
JPH09181947A (ja) カメラ装置
JPH04137475A (ja) 回路基板への電源供給装置
JP2003207831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1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