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410B1 -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4410B1 KR100954410B1 KR1020070134085A KR20070134085A KR100954410B1 KR 100954410 B1 KR100954410 B1 KR 100954410B1 KR 1020070134085 A KR1020070134085 A KR 1020070134085A KR 20070134085 A KR20070134085 A KR 20070134085A KR 100954410 B1 KR100954410 B1 KR 100954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block body
- stone
- groove
- proc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석재블럭에 관한 것으로, 이 석재블럭은 일정 규격을 갖는 판형의 석재로 이루어져 노면에 조립 설치되는 블럭 몸체, 이 블럭 몸체의 상부면이 가공되어 요철형의 표면을 이루는 외장면, 및 상기 블럭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타일형태를 이루게 하는 구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장면은 그 표면에 브이컷 가공에 의한 다수의 V자형 가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 몸체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깊이의 조립홈이 각각 형성되어 일정 길이의 조립 플레이트를 매개로 블럭 몸체와 또 다른 블럭 몸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tone block, which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stone having a predetermined standard block body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is processed to form an uneven surface, and I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body comprises a partition groove for forming a plurality of tiles by dividing the exterior surface by the same area, the exterior surface is a plurality of V-shaped processing grooves by the V-cut process on the surface It is formed, the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are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block body and another block body via the assembly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따라서, 블럭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천연석을 가공하여 제작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블럭의 외측면을 정밀하게 가공함으로써 외적 미감을 향상시키며, 블럭과 블럭이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블럭의 부분침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블럭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블럭 시공시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Thus, by processing the natural stone made of the whole block is made, its durability is improved, semi-permanent use is possi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is precisely processed to improve the external aesthetics, and the block and the block are firmly assembled. In addition to preventing partial subsidence of the block construc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during the block construction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석재블럭, 제조장치, 외장면, 가공홈, 구획홈, 조립홈 Stone block, manufacturing equipment, exterior surface, processing groove, compartment groove, assembly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면 또는 건물주변 바닥의 마감처리를 위한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럭 전체가 하나의 천연석으로 이루어져 그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그 외관이 미려하고 블럭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일체형 석재블럭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finishing the road surface or floor around the building, and in particular, the entire block is made of one natural stone, and its durability is improved, its appearance is beautiful, and its assembly is improved,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n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일반적으로 도시의 산업화에 따라 차량은 아스팔트로 포장된 차도를 이용하고 보행자는 보도블럭으로 포설된 인도를 따라 보행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of cities, vehicles use asphalt-paved roads and pedestrians walk along sidewalks installed as sidewalk blocks.
인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보도블럭은 모래 자갈 등의 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된 금형에 채운 후에 경화시켜 사용하거나 대리석 등의 자연석을 일정한 형상의 만들어 사용하였다.A typical sidewalk block used in India is used by mixing cement with aggregate such as sand gravel and filling it into a mol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n curing or using natural stone such as marble in a certain shape.
그러나, 모래 골재를 주원료로 한 시멘트를 섞어 만든 콘크리트로 보도블럭은 고급스럽지 못하고 외관의 미가 조악하고 오수 등 수분의 침투가 쉬워 풍화현상이 조기에 발생됨으로 내구성이 비교적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대리석 등등의 자연석으로 만든 블럭은 외관은 아름답고 내구성이 강하다는 정점은 있으나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자연석을 사용하므로 대리석 등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a concrete made by mixing cement with sand aggregate as the main raw material.The sidewalk block is not luxurious, has a poor appearance, easy to penetrate moisture such as sewage, and weathering phenomenon occurs early. Blocks made of natural stone has the peak of beautiful and durable appearance, but because of the use of natural stone to the invisible par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of expensive marble.
여기서, 일반적인 보도블럭의 구성을 보면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 형상으로 시멘트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시멘트블록을 연속적으로 지반에 배열하여 구성하였으나, 시멘트블록의 변색, 표면부식, 파손, 부분침하 등으로 인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석재타일을 이용한 일반적인 공법으로 흙다짐을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잡기 미장을 한 다음, 먹줄로 기선을 치고 타일시멘트를 발라 압착으로 타일을 한장 한장 붙이고 최소한 3일 정도 밟지 않고, 그 타일이 굳은 다음에 또 다시 줄눈(메지)를 넣는 공법이 시행되었다.Here,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sidewalk block is formed by using a cement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hexagon, and the cement blocks thus formed are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ground, but the discoloration, surface corrosion, breakage, and partial settlement of the cement block are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replaced frequently due to.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a general method using semi-permanent stone tiles to compact the soil, pour concrete, make cotton wool, then steam the base line with a tile, apply tile cement and press a piece of tile by pressing. At least three days were not stepped on, and after the tile had solidified, a joint was added agai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도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은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고, 한장 한장의 타일을 붙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하절기에는 건조를 막기 위해 물을 계속 살포해 주어야 하고, 동절기 공사 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보온 덮개를 덮어주어야 하며, 사실상 타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시공이 불가능하였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idewalk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require a lot of processes, and a lot of manpower is requir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ecause it is required to attach a single piece of tile, in the summer to continue spraying water to prevent drying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freezing, the insulation cover should be covered.
또한, 기타 가스관, 통신전선, 상하수도와 같은 유관공사와 같은 지하공사가In addi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works such as related works such as gas pipes, communication cables, water supply and sewerage
필요할 경우 파손 후 재시공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If necessary, reconstruction after breakage is inevitable.
한편, 타일을 한장 한장 붙이는 공법은 벽면의 마감처리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attaching the tiles one by one is used in the finishing of the wall, but the construction period is consumed a l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여기서, 특허 제0430694호에 개시된 종래의 보도블럭을 도 1을 참조로 설명 하면, 상기 보도블럭(100)은 하나의 석재 표면에 다수의 타일(101)을 붙여서 제작하고, 상기 보도블럭(100)의 조립을 위하여 각 모서리에는 각각 연결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보도블럭(100)의 연결홈(102)에 사각형상의 연결편(103)을 삽입하여 각각의 보도블럭(100)을 서로 조립하는 것이다.Here, if the conventional sidewalk block disclosed in Patent No. 0430694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즉, 특허 제0430694호에 개시된 종래의 보도블럭(100)은 그 표면에 다수의 타일(101)이나 화강석을 붙여서 시공되기 때문에 그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내구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되어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보도블럭(100)과 보도블럭(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102)에 연결편(103)을 삽입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그 조립성이 약화됨으로써 보도블럭(100)의 모서리부가 쉽게 파손되며, 이에 따라 종래의 보도블럭(100)은 그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보도블럭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블럭 전체가 하나의 천연석으로 이루어져 그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그 외관이 미려하고 블럭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일체형 석재블럭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idewalk block, the entire block is made of one natural stone, the durability is improve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the assembly of the block is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규격을 갖는 판형의 석재로 이루어져 노면에 조립 설치되는 블럭 몸체, 이 블럭 몸체의 상부면이 가공되어 요철형의 표면을 이루는 외장면 및, 상기 블럭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타일형태를 이루게 하는 구획홈을 포함하여 일체형 석재블럭을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plate-shaped stone having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block body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is processed to form an uneven surface, and the It is formed on top of the block body to form an integral stone block including partition grooves to form a plurality of tiles by dividing the exterior surface into the same area.
또한, 상기 외장면은 그 표면에 브이컷 가공에 의한 다수의 V자형 가공홈이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exterior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shaped grooves by the V-cut process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외장면은 그 표면에 버너의 불꽃 가공에 의한 작고 얕은 엠보싱 홈이 형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is a small shallow embossed groove formed by the flame processing of the burner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블럭 몸체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깊이의 조립홈이 각각 형성되어 일정 길이의 조립 플레이트를 매개로 블럭 몸체와 또 다른 블럭 몸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assembling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so as to assemble the block body and another block body through an assembly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고, 상기 일체형 석재블럭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는 석재판이 이송 및 가공될 수 있도록 가공 테이블과 이송용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석재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인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가공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장비 본체; 상기 가공 테이블에 스탠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석재판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V자형 가공홈을 성형하는 다수의 회전커터와 이 회전커터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회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진 제1 외장면 가공기; 상기 V자형 가공홈이 형성된 블럭 몸체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구획홈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와 이 회전 블레이드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진 제1 구획홈 가공기;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블럭 몸체의 이송방향을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된 블럭 위치이동부; 상기 블럭 위치이동부에서 위치가 변경되어 이송된 상기 블럭 몸체의 양측부에 각각 조립홈이 형성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휠과 이 회전 휠과 블럭 몸체의 가공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조립홈 가공기;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가공된 구획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획홈을 가공함으로써 상기 블럭 몸체의 외장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타일형태를 이루게 하는 제2 구획홈 가공기; 상기 제1 외장면 가공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가공된 V자형 가공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V자형 가공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럭 몸체의 상부면이 요철형의 표면을 이루는 외장면이 되도록 가공하는 제2 외장면 가공기; 상기와 같이 표면이 가공된 블럭 몸체의 외장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쉬와 블럭 몸체의 외장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물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세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integrated stone block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table and a conveying conveyor so that the stone plate can be transported and processed, a plurality of processing machin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sequential processing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stone plate. Equipment installed in the main body;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rocessing table via a stand to rotate a plurality of rotary cutters for forming a V-shaped processing groove in one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tone plate an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on the rotary cutter and the rotary cutter A first exterior surface machine consisting of a motor and a belt; Rotating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plurality of partition grooves are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formed with the V-shaped processing groove,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on the rotary blade and the rotary blade A first compartment groove processing machine consisting of a motor and a belt to make; A block position moving part adapted to change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block body conveyed by the convey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Assembly consisting of a rotary wheel rotatably installed so as to form assembly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the position of which is changed in the block position moving unit and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on the processing unit of the rotary wheel and the block body. Grooving machine; The second partition groov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artition groove processing machine to form a plurality of tiles by divi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by the same area by processing the partition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groove processed in one direction. Processing machine; By forming the V-shaped process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shaped processing groove machined in one direction made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xterior surface processing machine to process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to form an outer surface forming the uneven surface A second exterior surface processing machine; It comprises a washer consisting of a rotating brush rotatably install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process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and a water jet nozzle for clea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
또한,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는 이송되는 블럭 몸체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유도 가이드가 상기 가공 테이블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도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블럭 몸체의 양측부에 접촉되는 간격유지 롤러가 다수 설치되어 가공되는 블럭 몸체의 진행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tion groove processing machine is provided with guide guides for guiding the progress of the block body to be transferr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cessing tabl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interval maintaining roller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on one side of the guide guide It is to be able to control the speed of the block body is installed and processed.
또한, 상기 블럭 위치이동부는 이송되어 오는 상기 블럭 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블럭 몸체의 진행을 멈추게 하는 엔드 라인 홀더; 상기 블럭 몸체를 엔드 라인 홀더에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통해 상기 가공 테이블 하부로 이동되는 고무 롤러;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엔드 라인 홀더에 고정된 상기 블럭 몸체를 그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밀어 옮기는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lock position moving unit is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lock body is transferred to the end line holder for stopping the progress of the block body; A rubber roller which transfers the block body to an end line holder and is moved under the processing table via a signal of the limit switch; And a transfer cylinder for pushing the block body fixed to the end line holder by a signal of the limit switc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reof.
또한, 상기 조립홈 가공기는 상기 회전 휠을 고정하는 스탠드에 회전 휠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용 핸들이 설치되어 상기 블럭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립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회전 휠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주름관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분사노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assembly groove process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handl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on the stand for fixing the rotating wheel to adjust the depth of the assembly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the water on the rotating wheel The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spray nozzle is installed through the corrugated pip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ray nozzle.
또한, 상기 장비 본체에는 상기 석재판의 상부면에 불꽃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버너가 더 포함되어, 상기 버너의 불꽃이 상기 석재판의 상부면에 분사됨과 아울러 상기 물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석재판의 상부면이 냉각됨으로써 그 외장면의 표면에 작고 얕은 엠보싱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quipment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burner to inject a fla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ne plate, the flame of the burner is spr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ne plate and to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injection nozzle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stone plate is cooled to form a small shallow embossed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exterior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석재블럭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블럭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천연석을 가공하여 제작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블럭의 외측면을 정밀하게 가공함으로써 외적 미감을 향상시키며, 블럭과 블럭이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블럭의 부분침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블럭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블럭 시공시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시공비를 낮출 수 있으며, 고품질의 석재블럭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큰 만족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stone block and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rability of the block is improved by being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natural stone made of one block as a whole, and thus semi-permanent use is possi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is precisely By improving the external aesthetics by solid machining, the block and the block are firmly assembled to prevent partial settlement of the block and to simplify the block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time. Producing blocks and providing them to consumers can provide greater satisfac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보도, 광장, 공원, 터미널 등의 바닥 마감처리에 사용되는 일체형 석재블럭을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석재블럭(1)은 블럭 몸체(2)의 상부면에 외장면(3)이 형성되고 이 외장면(3)에 구획홈(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블럭 몸체(2)는 일정 규격을 갖는 판형의 석재로 이루어져 노면에 조립 설치되고, 상기 외장면(3)은 블럭 몸체(2)의 상부면이 가공되어 요철형의 표면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구획홈(4)은 블럭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면(3)을 동일한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타일형태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n integrated stone block used for floor finishing of a sidewalk, a plaza, a park, a terminal, etc., the
즉, 상기 석재블럭(1)은 하나의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외장면(3)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면(3)을 구획홈(4)으로 나누어줌으로써 동일한 면적을 갖는 타일형의 외장면(3)을 이루도록 된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외장면(3)은 그 표면에 브이컷 가공에 의한 다수의 V자형 가공홈(5)이 형성된 것이다.The
또한, 상기 외장면(3)은 그 표면에 버너의 불꽃 가공에 의한 작고 얕은 엠보싱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여기서, 상기 석재블럭(1)의 외장면(3)은 석재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것으로 회전커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블럭 몸체(2)의 상부면에 다수의 V자형 가공홈(5)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화강석을 가공하여 타일이 부착된 것과 같은 블럭을 제작함으로써 상기 석재블럭(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석재블럭(1)은 그 면적이 대략 30 X 30cm 이고 그 두께가 5-10cm 정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석재블럭(1)의 외장면(3)에 가공되는 구획홈(4)의 갯수에 따라 타일형을 갖는 외장면(3)의 분할면적 갯수가 4개 또는 9개로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석재블럭(1)은 지반 침하에 따라 석재 블럭(1)이 파손되거나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블럭(1)과 석재블럭(1)이 조립되는 바, 이러한 조립을 위하여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깊이의 조립홈(6)이 각각 형성되어 일정 길이의 조립 플레이트(7)를 매개로 블럭 몸체(2)와 또 다른 블럭 몸체(2)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즉, 상기 석재블럭(1)의 시공시 어느 하나의 석재블럭(1)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홈(6)과 또 다른 하나의 석재블럭(1)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홈(6)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조립홈(6)들이 이루는 공간에 상기 조립 플레이트(7)를 삽입함으로써 석재블럭(1)을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석재블럭(1)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바닥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석재블럭(1)의 견고한 조립을 통해 하중에 의한 석재블럭(1)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조립홈(6)은 종래의 기술인 특허 제0430694호에 개시된 보도블럭의 단점을 보완하여 블럭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Here,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체형 석재블럭(1)을 제작하기 위한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구조를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제조장치는 장비 본체(10)의 이송용 컨베이어(11)를 이용하여 석재판(8)을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석재 가공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가공함으로써 석재판(8)에 외장면(3)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조장치는 장비 본체(10), 외장면 가공기(20,30), 구획홈 가공기(40,50), 블럭 위치이동부(60), 조립홈 가공기(70) 및, 세척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with reference to Figure 5 the structure of the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integrated
즉, 상기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장비 본체(10)는 석재판(8)이 이송 및 가공될 수 있도록 가공 테이블(12)과 이송용 컨베이어(11)가 설치되고, 상기 석재판(8)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인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가공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가공 테이블(1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가공 테이블(12)을 지지하는 다수의 스탠드(13)가 설치되고, 상기 가공 테이블(12)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1)의 장력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 조절핸들(14)이 설치된다.That is, the equipment
또한, 상기 장비 본체(10)에 설치된 제1 외장면 가공기(20) 는 상기 가공 테이블(12)에 스탠드(13)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석재판(8)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V자형 가공홈(5)을 성형하는 다수의 회전커터(21)와, 상기 회전커터(2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22) 및, 상기 회전커터(21)를 회전시키는 모터(23)와 벨트(24)로 이루어진 구조이다.In addition, the first exterior
즉, 상기 제1 외장면 가공기(20) 는 이송용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석재판(8)의 상부면에 1차로 V자형 가공홈(5)을 형성하여 외장면(3)을 이루도록 된 것으로, 상기 회전커터(2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석재판(8)의 표면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exterior
또한, 상기 제1 외장면 가공기(20) 에서 가공된 석재판(8)이 블럭 몸체(2)를 이루면서 그 다음 단계로 제1 구획홈 가공기(40)에 이송되는 바,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40)는 상기 V자형 가공홈(5)이 형성된 블럭 몸체(2)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구획홈(4)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4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 및, 상 기 회전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키는 모터(43)와 벨트(4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40)는 이송되는 블럭 몸체(2)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유도 가이드(45)가 상기 가공 테이블(12)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도 가이드(45)의 일측에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부에 접촉되는 간격유지 롤러(46)가 다수 설치되어 가공되는 블럭 몸체(2)의 진행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tion
즉,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40)는 이송용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블럭 몸체(2)의 상부면에 1차로 구획홈(4)을 다수 형성하여 상기 외장면(3)을 일정한 면적으로 나누도록 된 것으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41)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블럭 몸체(2)의 표면을 구획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rtition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외장면 가공기(20) 와 제1 구획홈 가공기(40)를 거친 상기 블럭 몸체(2)는 또 다른 가공을 위하여 그 이송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장비 본체(10)에 블럭 위치이동부(60)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블럭 몸체(2)의 이송방향을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장비 본체(10)에 설치된 조립홈 가공기(70)는 상기 블럭 위치이동부(60)에서 위치가 변경되어 이송된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부에 각각 조립홈(6)이 형성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휠(71)과, 상기 회전 휠(71)과 블럭 몸체(2)의 가공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72)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ing
또한, 상기 조립홈 가공기(70)는 상기 회전 휠(71)을 고정하는 스탠드(13)에 회전 휠(7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용 핸들(73)이 설치되어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립홈(6)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회전 휠(7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72)이 주름관(74)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분사노즐(7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assembly
즉, 상기 조립홈 가공기(70)를 통해 이송되어 온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면에 각각 일정 깊이를 갖는 조립홈(6)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조립홈 가공기(70)의 회전 휠(71)이 상기 블럭 몸체(2)의 양측부에서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조립홈(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assembling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홈(6)이 형성된 상기 블럭 몸체(2)는 이송용 컨베이어(11)에 의해 제2 구획홈 가공기(50)에 이송되는 바, 상기 제2 구획홈 가공기(50)는 제1 구획홈 가공기(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가공된 구획홈(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획홈(4)을 가공함으로써 상기 블럭 몸체(2)의 외장면(3)을 동일한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타일형태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2 구획홈 가공기(50)는 블럭 몸체(2)의 상면에 수직향으로 다수의 구획홈(4)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5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5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2)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51)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second partition
또한, 상기 제2 구획홈 가공기(50)에서 가공된 블럭 몸체(2)는 제2 외장면 가공기(30)로 이송되는 바, 상기 제2 외장면 가공기(30)는 제1 외장면 가공기(20) 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가공된 V자형 가공홈(5)에 대해 수직방향 으로 V자형 가공홈(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럭 몸체(2)의 상부면이 요철형의 표면을 이루는 외장면(3)이 되도록 가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2 외장면 가공기(30)는 상기 가공 테이블(12)에 스탠드(13)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블럭 몸체(2)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V자형 가공홈(5)을 성형하는 다수의 회전커터(31); 상기 회전커터(3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2); 및 상기 회전커터(31)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진 구조이다.That is, the second exterior
그러므로, 상기 제2 구획홈 가공기(50)는 제1 구획홈 가공기(40)에서 가공된 상기 블럭 몸체(2)의 구획홈(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한번 더 가공하는 장치이고, 상기 제2 외장면 가공기(30)는 제1 외장면 가공기(20) 에서 가공된 상기 블럭 몸체(2)의 V자형 가공홈(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한번 더 가공하는 장치이다. Therefore, the second partition
한편, 상기의 공정을 거치면서 제작된 상기 블럭 몸체(2)를 최종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기(8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세척기(80)는 상기와 같이 표면이 가공된 블럭 몸체(2)의 외장면(3)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쉬(81)와, 상기 블럭 몸체(2)의 외장면(3)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물 분사노즐(82)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세척기(80)는 우선 이송되어 온 상기 블럭 몸체(2)의 홈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상기 회전 브러쉬(81)를 통해 제거한 후, 상기 물 분사노즐(82)로 블럭 몸체(2)의 외장면(3)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완성된 석재블럭(1)를 세척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가공기에 설치된 각각의 분사노즐에는 수량 조절밸브(90)가 설치되어 분사되는 물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여 석재블럭(1)의 가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each injection nozzle installed in the process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water
따라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는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하나의 석재판(8)을 외장면(3)이 가공된 석재블럭(1)으로 제조하게 되는 바, 상기 장비 본체(10)에 설치된 제1 외장면 가공기(20) 에 의해 블럭 몸체(2)에 일방향으로 V자형 가공홈(5)이 가공되고, 상기 제1 구획홈 가공기(40)에 의해 블럭 몸체(2)에 일방향으로 구획홈(4)이 가공되며, 상기 블럭 위치이동부(6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 블럭 몸체(2)는 상기 조립홈 가공기(70)에 의해 그 양측면에 조립홈(6)이 각각 가공되고, 상기 제2 구획홈 가공기(50)에 의해 일방향 구획홈(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또 다른 구획홈(4)이 가공되며, 상기 제2 외장면 가공기(30)에 의해 일방향 V자형 가공홈(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또 다른 V자형 가공홈(5)이 가공되고, 끝으로 상기 세척기(80)를 통해 완전한 일체형 석재블럭(1)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integrated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to produce a single stone plate (8) as a stone block (1) in which the
한편, 상기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블럭 위치이동부(60)를 도 6과 도 7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블럭 위치이동부(60)는 이송되어 오는 상기 블럭 몸체(2)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61)가 설치됨과 아울러 블럭 몸체(2)의 진행을 멈추게 하는 엔드 라인 홀더(62); 상기 블럭 몸체(2)를 엔드 라인 홀더(62)에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리미트 스위치(61)의 신호를 통해 상기 가공 테이블(12) 하부로 이동되는 고무 롤러(63);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61)의 신호에 의해 상기 엔드 라인 홀더(62)에 고정된 상기 블럭 몸체(2)를 그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밀어 옮기는 이송 실린더(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when the block
즉, 상기 가공 테이블(12)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블럭 몸체(2)가 상기 고무 롤러(63)의 회전으로 전진하여 상기 엔드 라인 홀더(62)와 접촉되면서 멈추게 되고, 상기 블럭 몸체(2)의 접촉을 감지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61)가 신호를 보내어 상기 고무 롤러(63)와 연결된 작동 실린더(65)를 작동시켜 고무 롤러(63)를 상기 가공 테이블(12)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송 실린더(64)가 작동하여 상기 블럭 몸체(2)를 그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밀어 옮기는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블럭 몸체(2)가 상기와 같이 이동되면 다시 상기 작동 실린더(65)가 작동하여 상기 고무 롤러(63)를 가공 테이블(12) 상부로 이동시켜 또 다른 블럭 몸체(2)를 상기 엔드 라인 홀더(6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장비 본체(10)에는 상기 석재판(8)의 상부면에 불꽃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버너(91)가 더 포함되어, 상기 버너(91)의 불꽃이 상기 석재판(8)의 상부면에 분사됨과 아울러 상기 물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석재판(8)의 상부면이 냉각됨으로써 그 외장면(3)의 표면에 작고 얕은 엠보싱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8, the equipment
즉, 상기 석재블럭(1)의 외장면(3)을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기 대신 버너(91)를 사용하는 것으로, 우선 상기 버너(91)를 이용하여 석재판(8)의 상부면을 가열한 후, 상기 블럭 몸체(2)가 제1 구획홈 가공기(40)를 지나면서 구획홈(4)이 가공됨과 동시에 물 분사노즐(42)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블럭 몸체(2)의 외장면(3)이 작고 얕은 엠보싱 홈을 이루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립홈 가공기(70)와 제2 구획홈 가공기(50) 및 세척기(80)를 거치면서 완성된 석재블럭(1)을 제조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ocess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그 기능이 향상된 석재블럭 제조장치를 통해 하나의 석재판(8)을 간편하게 석재블럭(1)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체형 석재블럭(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품질의 일체형 석재블럭(1)을 바닥 시공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과 외적 미감이 향상된 상기 일체형 석재블럭(1)을 통해 사용자에게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the improve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on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walk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석재블럭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ton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블럭과 석재블럭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tone block and ston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블럭 위치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position moving part of the integrated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위치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lock position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석재블럭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ston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석재블럭 2 : 블럭 몸체1: Stone block 2: Block body
3 : 외장면 4 : 구획홈3: exterior face 4: compartment groove
5 : V자형 가공홈 6 : 조립홈5: V-shaped machining groove 6: Assembly groove
7 : 조립 플레이트 8 : 석재판7: assembling plate 8: stone plate
10 : 장비 본체 11 : 컨베이어10: equipment body 11: conveyor
12 : 가공 테이블 13 : 스탠드12: machining table 13: stand
14 : 컨베이어 조절핸들 20 : 제1 외장면 가공기14 conveyor adjustment handle 20 first outer surface processing machine
21 : 회전커터 22 : 분사노즐21: rotating cutter 22: injection nozzle
23 : 모터 24 : 벨트23: motor 24: belt
30 : 제2 외장면 가공기 31 : 회전커터30: second exterior surface processing machine 31: rotary cutter
32 : 분사노즐 40 : 제1 구획홈 가공기32: spray nozzle 40: first compartment groove processing machine
41 : 회전 블레이드 42 : 분사노즐41: rotating blade 42: injection nozzle
43 : 모터 44 : 벨트43: motor 44: belt
45 : 유도 가이드 46 : 간격유지 롤러45: guide guide 46: gap holding roller
50 : 제2 구획홈 가공기 51 : 회전 블레이드50: second compartment groove processing machine 51: rotating blade
52 : 분사노즐 60 : 블럭 위치이동부52: injection nozzle 60: block position moving part
61 : 리미트 스위치 62 : 엔드 라인 홀더61: limit switch 62: end line holder
63 : 고무 롤러 64 : 이송 실린더63: rubber roller 64: feed cylinder
65 : 작동 실린더 70 : 조립홈 가공기65: working cylinder 70: assembly groove processing machine
71 : 회전 휠 72 : 분사노즐71: rotating wheel 72: injection nozzle
73 : 위치조절용 핸들 74 : 주름관73: handle for position adjustment 74: corrugated pipe
80 : 세척기 81 : 회전 브러쉬80: washing machine 81: rotating brush
82 : 분사노즐 90 : 수량 조절밸브82: injection nozzle 90: quantity control valve
91 : 버너91: burn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4085A KR100954410B1 (en) | 2007-12-20 | 2007-12-20 |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4085A KR100954410B1 (en) | 2007-12-20 | 2007-12-20 |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6520A KR20090066520A (en) | 2009-06-24 |
KR100954410B1 true KR100954410B1 (en) | 2010-04-26 |
Family
ID=4099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40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410B1 (en) | 2007-12-20 | 2007-12-20 |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441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7282B1 (en) * | 2013-04-17 | 2013-12-05 | 남부산업 주식회사 | Marble tile surface manufacture method |
KR20200035697A (en) | 2018-09-27 | 2020-04-06 | 이정욱 | Assemble type sidewalk blo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65746A1 (en) * | 2011-05-31 | 2012-12-06 | 주식회사 호영하이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landscaping deck material, and deck material prepared thereby |
KR101524656B1 (en) * | 2013-11-29 | 2015-06-05 |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undary stone |
CN109834857B (en) * | 2017-12-07 | 2020-11-27 | 浡江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 Equipment for processing wall building block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804U (en) * | 1993-12-29 | 1995-08-11 | 建設省北陸地方建設局長 | Multi-natural block |
JPH08132351A (en) * | 1994-11-02 | 1996-05-28 | Noritake Dia Kk | Polishing tool |
KR20030018630A (en) * | 2001-08-30 | 2003-03-06 | 양영봉 | Assembly type til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030065243A (en) * | 2002-02-04 | 2003-08-06 |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 Tile bonded light-weight block |
-
2007
- 2007-12-20 KR KR1020070134085A patent/KR1009544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804U (en) * | 1993-12-29 | 1995-08-11 | 建設省北陸地方建設局長 | Multi-natural block |
JPH08132351A (en) * | 1994-11-02 | 1996-05-28 | Noritake Dia Kk | Polishing tool |
KR20030018630A (en) * | 2001-08-30 | 2003-03-06 | 양영봉 | Assembly type til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030065243A (en) * | 2002-02-04 | 2003-08-06 |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 Tile bonded light-weight bloc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7282B1 (en) * | 2013-04-17 | 2013-12-05 | 남부산업 주식회사 | Marble tile surface manufacture method |
KR20200035697A (en) | 2018-09-27 | 2020-04-06 | 이정욱 | Assemble type sidewalk b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6520A (en) | 2009-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410B1 (en) | Integrated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
ES2893835T3 (en) | Pattern forming device for quartz surfaces | |
CN103437521B (en) | Inner wall of building plastics external corner bead and inner wall of building negative and positive angle construction method | |
CN108952080A (en) | Concrete dense curing agent abrasion-proof terrace monolithic construction method | |
CN108412093B (en) | Modern landscape decorative rammed earth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9826396A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A grades of fire prevention artistic floors | |
CN106049539A (en) | Building project construction method | |
CN110230380B (en) | Construction method of pouring and tamping integrated grindstone terrace | |
CN102828464A (en) | Cement concrete pavement Y-shaped joint cutting device and cut joint filling and sealing process | |
CN102518222A (en) | Production process and painting equipment of composite heat-insulation board | |
US20060251862A1 (en) | Composite shaped block | |
KR101516426B1 (en) | Bridge decks surfacing apparatus | |
CN205840248U (en) | A kind of cast-type concrete abrasion-resistant ground | |
CN107060271A (en) | A kind of dust-proof hardened artiwear method for constructing terrace | |
JP2008544123A (en) | Paving paving stone, paving paving method and paving paving method | |
KR100770356B1 (en) | Latex Mixed Modified Concrete Pavement Method and Road Pavement Flat Machine | |
WO2011077188A1 (en) | Machine and process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compact or self-draining slabs and slabs obtained thereby | |
CN112727005A (en) | Production method of whole-body colorful concrete product imitating natural cracks | |
CN112814300B (en) | Coating method capable of replacing wall decoration layer | |
CN107178201A (en) | Clean power integration device and ceramic tile apparatus of plastering | |
CN212071519U (en) | Soft machine of throwing of brick face of pavior brick | |
CN210887932U (en) | Grindstone terrace | |
CN114876155A (en) | Construction technology of non-flammable fine stone concrete polished ground | |
CN106193462A (en) | Roofing Splitting Tile construction method modelled after an antique | |
CN2433291Y (en) | Dowel pressing machine for cement road surf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