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3656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656B1
KR100953656B1 KR1020090001909A KR20090001909A KR100953656B1 KR 100953656 B1 KR100953656 B1 KR 100953656B1 KR 1020090001909 A KR1020090001909 A KR 1020090001909A KR 20090001909 A KR20090001909 A KR 20090001909A KR 100953656 B1 KR100953656 B1 KR 10095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ormula
organic light
film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룡
정희성
정우석
김재용
이주화
정철우
전희철
김은아
곽노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656B1/ko
Priority to US12/654,449 priority patent/US89813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6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00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alogen atom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18Poly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5/00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5/45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t least one doubly—bound oxygen atom,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 C07C205/46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t least one doubly—bound oxygen atom,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carbon atoms of quinone r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되어 만들어진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된 투과율 조절막, 상기 투과율 조절막 상에 형성된 선택적 반사막, 상기 선택적 반사막 상에 형성된 편광판,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위상 지연판을 포함한다.
투과율 조절막, 콜레스테릭 액정막, 반사형 편광 필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특성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정공 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을 갖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들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며, 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갖는 정공 주입 전극 및 전자 주입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전극과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반사 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밝은 곳에서 사용될 때 외광 반사로 인해 검은색의 표현 및 콘트라스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하여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통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종래의 방법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도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거쳐 외부로 방출될 때 상당 부분 함께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기 발광층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되어 만들어진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된 투과율 조절막, 상기 투과율 조절막 상에 형성된 선택적 반사막, 상기 선택적 반사막 상에 형성된 편광판,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위상 지연판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 반사막은 콜레스테릭 액정막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막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막은 좌원편광 및 우원편광 중 어느 하나는 통과시키 고, 다른 하나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상기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交角)은 45일 수 있다.
상기 선택적 반사막은 반사형 편광 필름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투과율 조절막 사이 및 상기 투과율 조절막과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서로 동일한 편광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상기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交角)은 45일 수 있다.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상기 투과율 조절막은 광흡수 물질을 함유한 수지(resin)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과율 조절막이 갖는 빛의 투과율은 상기 광흡수 물질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투과율 조절막은 빛의 파장대역 별로 선별적인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 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폴리엔(polyene)계 안료, 아조(azo)계 안료, 아조메틴(azomethine)계 안료, 디이모늄(diimmonium)계 안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안료, 퀴논(quinone)계 안료, 인디고(indigo)계 안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안료, 디옥사딘(dioxadin)계 안료,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안료,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계 안료,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착물, 및 그 밖에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엔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2
상기 아조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3
상기 퀴나크리돈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4 및 5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5
상기 퀴논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6 내지 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8
상기 인디고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9 내지 11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09001439268-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1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는 하기 화학식 12 내지 1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2
화학식 1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3
화학식 1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4
화학식 1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5
화학식 1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6
화학식 1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7
화학식 1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8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기 발광층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의 파장대역 별로 투과율을 선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 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서로 합착된 제1 기판(51), 제2 기판(52), 그리고 광학 부재(58)를 포함한다.
제1 기판(51)은 기판 부재(511)와, 기판 부재(511) 상에 형성된 구동 회로부(DC)와, 구동 회로부(DC)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L1)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DC)는 일반적으로 도 2와 같은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부(DC)는 2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와 하나 이상의 저장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 칭 트랜지스터(T1)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고, 스캔 라인(SL1)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 라인(DL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T2)로 전송한다. 저장 캐패시터(C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전원 라인(VDD)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전송받은 전압과 전원 라인(VDD)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전원 라인(VDD)과 저장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저장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IOELD)를 유기 발광 소자(L1)로 공급하고, 유기 발광 소자(L1)는 출력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소스 전극(533)과 드레인 전극(532) 및 게이트 전극(531)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L1)는 제1 전극(544), 제1 전극(544)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545), 및 유기 발광층(545) 상에 형성된 제2 전극(54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1 전극(544)은 애노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546)은 캐소드 전극이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544)이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546)이 애노드 전극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L1)의 제1 전극(544)이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53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전극(544) 및 제2 전극(546) 중 하나 이상 의 전극은 반투과 또는 반사형으로 형성되어 빛을 반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소자(L1)가 유기 발광층(545)에서 제2 전극(546)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발광형으로 만들어진다.
구동 회로부(DC) 및 유기 발광 소자(L1)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광학 부재(58)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부재(58)는 투과율 조절막(585), 선택적 반사막(583), 위상 지연판(582), 및 편광판(58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 광학 부재(58)는 투과율 조절막(585), 선택적 반사막(583), 위상 지연판(582), 및 편광판(581) 순으로 유기 발광 소자에 가깝게 배열된다.
편광판(581)은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축 방향으로 빛을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편광판(581)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빛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은 흡수한다. 이에, 빛이 편광판(581)을 통과하면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판(582)은 1/4 파장판이며, 위상 지연판(582)은 편광판(581)의 편광축에서 45도 정도 틀어진 광축을 갖는다. 즉, 위상 지연판(582)의 광축과 편광 판(581)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 정도된다. 이에, 편광판(581)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이 된다. 위상 지연판(582)의 광축과 편광판(581)의 편광축 간의 교각이 45도에 가까울수록 편광판(581)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에 가깝게 된다.
선택적 반사막(583)으로는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막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선택적 반사막은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이라 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스메틱(smectic) 액정과 같이 층상 구조를 형성하지만 장축의 분자는 면 내에서 네마틱(nematic) 액정과 유사한 평형 배열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평면 내에서는 가늘고 긴 분자가 장축(長軸)의 방향으로 가지런히 배열하여 있고, 그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분자 축의 배열 방위가 약간씩 벗어나 있는 구조, 즉 분자가 배열한 방향이 나선(helical) 모양을 선회하는 듯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액정 전체로서는 나선 구조를 하고 있다. 이에, 콜레스테릭 액정은 선광성(旋光性), 선택 광 산랑, 원편광 2색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콜리스테릭 액정막(583)은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일예로,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은 우원편광은 투과시키고, 좌원편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투과율 조절막(585)은 통과하는 빛의 일부를 흡수하여 투과율을 조절한다. 투과율 조절막(585)은 광흡수 물질을 함유한 수지(resin)으로 만들어진다. 따라 서, 투과율 조절막(585)은 광흡수 물질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투과율 조절막(585)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중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투과율 조절막(585)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폴리엔(polyene)계 안료, 아조(azo)계 안료, 아조메틴(azomethine)계 안료, 디이모늄(diimmonium)계 안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안료, 퀴논(quinone)계 안료, 인디고(indigo)계 안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안료, 디옥사딘(dioxadin)계 안료,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안료,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계 안료,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착물, 및 그 밖에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s) 중 하나 이상의 광흡수 물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투과율 조절막(585)은 여러 종류의 광흡수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광흡수 물질은 종류에 따라 특정한 파장대역의 빛을 흡수한다. 따라서, 투과율 조절막(585)은 포함되는 광흡수 물질에 따라 빛의 파장대역 별로 선별적인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반사를 억제하고자 하는 외광이 포함하는 주된 색상 또는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방출되는 빛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특정 파장대의 색상을 중심으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투과율 조절막(585)은 전술한 광흡수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투과율 조절막(585)에 사용될 수 있는 광흡수 물질들 중 몇가지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투과율 조절막(585)은 후술할 광흡수 물질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대역의 투과율을 선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먼저, 폴리엔(polyene)계 안료는 아래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19
화학식 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0
여기서, 화학식 1은 도데커프레노 베타 카로틴(dodecapreno-beta-carotene)이라 하며, 대략 480nm 내지 530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는 트랜스 스틸벤스(trans stilbenes)라 하며, 파장이 대략 525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 아조계 안료는 아래의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1
여기서, 화학식 3은 파장이 대략 518nm인 빛을 흡수 할 수 있다.
다음, 퀴나크리돈계 안료는 아래의 화학식 4 및 화학식 5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2
화학식 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3
여기서, 화학식 4는 파장이 대략 523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4는 파장이 대략 528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 퀴논계 안료는 아래의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8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4
화학식 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5
화학식 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6
여기서, 화학식 6은 파장이 대략 528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7은 파장이 대략 549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고, 화학식 8은 파장이 대략 508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 인디고계 안료는 아래의 화학식 9 내지 화학식 11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9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7
화학식 10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8
화학식 1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29
여기서, 화학식 9는 파장이 대략 546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10은 파장이 대략 505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고, 화학식 11은 파장이 대략 534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 방향족 탄화수소는 아래의 화학식 12 내지 화학식 18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0
화학식 1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1
화학식 1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2
화학식 1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3
화학식 1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4
화학식 1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5
화학식 1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6
여기서, 화학식 12는 파장이 대략 523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13은 파장이 대략 512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4는 파장이 대략 510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15는 파장이 대략 519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6은 파장이 대략 534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화학식 17은 파장이 대략 523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고, 화학식 18은 파장이 대략 521nm인 빛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기판(52)은 유기 발광 소자(L1) 및 구동 회로부(DC)가 형성된 제1 기판(51)을 커버한다. 즉, 제2 기판(52)은 제1 기판(51)에 대향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1, T2), 축전 소자(C1), 및 유기 발광 소자(L1) 등이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한다. 이때, 제2 기판(52)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봉합제를 통해 제1 기판(51)과 서로 합착되어 양 기판(51, 52)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또한, 제2 기판(52)은 유기 발광 소자(L1) 상에 형성된 광학 부재(58)도 함께 커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광학 부재(58)는 제2 기판(5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광학 부재(58)는 제1 기판(51)과 제2 기판(52)이 서로 합착되어 형성하는 밀봉 공간 밖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58)의 위치는 유기 발광 소자(L1) 상이라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기 발광층(545)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빛의 파장대역 별로 투과율을 선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체적인 빛이 이용 효율이 좋아져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 시 장치(100)의 광학 부재(58)가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면서 유기 발광층(545)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광학 부재(58)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빛의 경로를 살펴본다.
외부의 빛은 편광판(581)을 통과하면서 편광판(581)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선평광이 된 빛은 다시 1/4 파장판인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한다. 이때, 위상 지연판(582)의 광축은 편광판(581)의 편광축보다 45도 만큼 틀어져있다. 즉, 위상 지연판(582)의 광축과 제2 편광판(581)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이와 같이, 선평광된 빛의 축방향과 위상 지연판(582)의 광축 방향이 간의 교각이 45도를 이루므로, 선편광된 빛이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원편광은 우원편광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한 빛이 좌원편광이 되도록 위상 지연판(582)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우원편광된 빛은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그대로 통과한다.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은 우원편광된 빛은 통과시키고 좌원편광된 빛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은 좌원편광관 빛은 통과시키고 우원편광된 빛은 반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한 빛이 좌원편광이어야 한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은 반드시 편광판(581)과 위상 지연판(582)을 거쳐 원편광된 빛을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면서 일부 소멸된 후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에 반사된다. 또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뿐만 아니라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도 반사될 수 있다. 이때, 투과율 조절막(585)은, 투과율 조절막(585)이 포함한 광흡수 물질의 종류에 따라, 통과하는 빛의 일부를 파장대역 별로 골고루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도 있고, 파장대역 별로 선별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도 있다.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 반사되면서 좌원편광으로 위상이 180도 변한다. 그리고 좌원편광으로 변한 빛은 다시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여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으로 향한다. 이때에도,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소멸된다.
다시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한 좌원편광된 빛은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에서 반사되어 또다시 투과율 조절막(585)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또다시 투과율 조절막(585) 통과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 또 반사되면서 다시 우원편광으로 위상이 변한다.
다시 우원편광된 빛은 또다시 투과율 조절막(585)으로 향하게 되며, 투과율 조절막(585)은 통과한 우원편광된 빛은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통과하여 위상 지연판(582)으로 향하게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82)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한다. 이때, 선편광된 빛의 축방향은 편광판(581)의 편광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그대로 편광판(581)을 통과하여 외부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빛이 광학 부재(58)를 거친 후,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 반사되어 다시 광학 부재(58)를 거쳐 외부로 향하기 까지 전부 네 번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외광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할때마다 소멸된다. 즉, 외광은 여러 차례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면서, 상당 부분 소멸된다.
이때, 투과율 조절막(585)은 외광 중 특정 파장대역의 빛만을 선별적으로 일부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유기 발광층(545)(도 1에 도시)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경로를 살펴본다.
유기 발광층(545)에서 방출된 빛은 제2 전극(546)과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여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으로 향한다. 이때, 빛은 다양한 위상이 혼재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통과하면서 일부 소실된다.
투과율 조절막(585)은 통과한 빛 중 우원편광 성분의 빛은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그대로 통과하여 위상 지연판(582)으로 향하고, 좌원편광 성분의 빛은 반사되어 다시 투과율 조절막(585)으로 향한다. 여기서,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에서 반사된 우원편광 성분의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거쳐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 반사되면서 좌원편광으로 변한다. 좌원편광된 빛은 다시 투과율 조절막(585) 및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차레로 거쳐 위상 지연판(582)으로 향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한 번 또는 세 번 거쳐 위상 지연판(582)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경우, 외부에서 유입된 빛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나갈때는 전부 네 번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85)을 거치는데 반해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85)을 한번 또는 세 번거치게 된다. 즉, 투과율 조절막(585)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는 큰 반면,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될때 투과율 조절막(585)에서 손실 되는 양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유기 발광층(545)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유기 발광층(545)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휘도를 향상시키거나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 치(200)는 서로 합착된 제1 기판(51), 제2 기판(52), 및 광학 부재(59)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59)는 위상 지연판(596), 투과율 조절막(595), 선택적 반사막(DBEF)(594), 그리고 편광판(59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에서, 광학 부재(59)는 위상 지연판(596), 투과율 조절막(595), 선택적 반사막(584), 및 편광판(581) 순으로 유기 발광 소자(L1)에 가깝게 배열된다. 그러나, 위상 지연판(596)의 위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과율 조절막(595)과 선택적 반사막(594)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 반사막(594)으로는 반사형 편광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선택적 반사막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이라 한다.
반사형 편광 필름(DBEF)(594)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빛은 통과시키나,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은 반사한다. 즉, 편광판(581)은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빛을 흡수한다는 점에서 반사형 편광 필름(594)과 차이가 있다.
편광판(591)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과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그리고, 위상 지연판(596)의 광축과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 간의 교각(交角)은 45도이다.
투과율 조절막(595)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기 발광층(545)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효율적으로 유기 발광층(545)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휘도를 향상 시키거나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광학 부재(59)가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하면서 유기 발광층(545)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광학 부재(59)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빛의 경로를 살펴본다.
외부의 빛은 편광판(591)을 통과하면서 편광판(591)의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선평광된 빛은 실질적인 손실 없이 그대로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통과하여 투과율 조절막(595)으로 향한다.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통과한 선편광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하면서 일부 소멸된 후 위상 지연판(596)으로 향한다. 이때, 투과율 조절막(595)은 투과율 조절막(595)이 포함한 광흡수 물질의 종류에 따라 통과하는 빛의 일부를 파장대역 별로 골고루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도 있고, 파장대역 별로 선별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도 있다.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한 선편광된 빛은 1/4 파장판인 위상 지연판(596)을 거치면서 원편광으로 변한다. 이때, 위상 지연판(596)의 광축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보다 45도 만큼 틀어져있다. 즉, 위상 지연판(596)의 광축과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 간의 교각은 45도이다.
이와 같이, 선평광된 빛의 축방향과 위상 지연판(596)의 광축 방향이 간의 교각이 45도를 이루므로, 선편광된 빛이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원편광은 우원편광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한 빛이 좌원편광일 수도 있다.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에 반사되면서 좌원편광으로 위상이 180도 변한다. 또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뿐만 아니라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도 반사될 수 있다. 그리고 좌원편광된 빛은 다시 위상 지연판(596) 및 투과율 조절막(595)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좌원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한다. 이때, 선편광된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에 대해 90도 틀어진 축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선편광된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다시 투과율 조절막(595) 및 위상 지연판(596)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선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좌원편광으로 바뀐다.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여 좌원편광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 반사되면서 우원편광으로 변한다. 그리고 우원편광된 빛은 또다시 위상 지연판(596) 및 투과율 조절막(595)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우원편광된 빛은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다시 선편 광으로 변하는데, 이때 선편광된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과 동일한 축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선편광된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 및 편광판(591)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빛이 광학 부재(59)를 거친 후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및 그 밖에 여러 배선들에 반사되어 다시 광학 부재(59)를 거쳐 외부로 향하기까지 전부 네 번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하게 된다. 즉, 외광은 여러 차례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하면서, 상당 부분 소멸된다.
이때, 투과율 조절막(595)은 통과하는 외광 중 특정 파장대역의 빛만을 선별적으로 흡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층(545)(도 1에 도시)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경로를 살펴본다.
유기 발광층(545)에서 방출된 빛은 제2 전극(546), 위상 지연판(596), 및 투과율 조절막(595)을 차례로 통과하여 반사형 편광 필름(594)으로 향한다. 이때, 빛은 다양한 위상이 혼재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빛은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하면서 일부 소실된다.
투과율 조절막(595)을 통과한 빛 중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과 동일한 성분의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통과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다시 투과율 조절막(595)으로 향한다. 여기서,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통과한 빛은 선편광된 다. 그리고 선편광된 빛은 편광판(591)을 실질적인 손실 없이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반사형 편광 필름(594)에서 반사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95) 및 위상 지연판(596)을 차례로 거쳐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로 향한다. 그리고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빛은 원편광으로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원편광된 빛은 유기 발광 소자(L1)의 전극들(544, 546) 또는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에서 반사되면서 위상이 180도 변한 후 다시 위상 지연판(596)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이 된다. 이때, 선편광된 빛은 반사형 편광 필름(594)의 편광축과 동일한 축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이후 투과율 조절막(595), 반사형 편광 필름(594), 및 편광판(591)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경우, 외부에서 유입된 빛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나갈때는 전부 네 번에 걸쳐 투과율 조절막(595)을 거치는데 반해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은 투과율 조절막(595)을 한번 또는 세 번거치게 된다. 즉, 투과율 조절막(595)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는 큰 반면,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될때 투과율 조절막(595)에서 손실 되는 양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유기 발광 소자(L1)에서 발생된 빛은 광학 부재(59)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손실을 가지고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효율적으로 유기 발광층(545)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휘도를 향상시키거나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아래 표를 참조하여 실험예 1, 실험예 2, 그리고 비교예의 광학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비교예는 일반적의 구조의 편광판과 위상 지연판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험예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투과율 조절막(585) 및 콜레스테릭 액정막(583)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실험예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투과율 조절막(595)과 반사형 편광 필름(594)을 더 포함하고 있다.
비교예 실험예 1 실험예 2
투과율 [%] 44.9 54.9 55.4
반사율 [%] 4.6 8.5 8.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비교예에 비해 10% 이상의 상당히 높은 투과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비교예보다 반사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는 비교예에 비해 약간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반사율도 10% 이내이므로, 외광 반사에 의해 시인성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상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비교예 비해 반사율이 소폭 상승되었으나 시인성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며,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비교예에 비해 10% 이상의 상당히 높은 투과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적절한 외광 반사 억제 효과를 가지면서도 비교예에 비해 더욱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거나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투과율 조절막(585, 595)의 파장대역 별 투과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살펴본다. 실험은 투과율 조절막에 포함된 광흡수 물질의 종류 및 함량을 서로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도 8은 여러 실험예들에 따른 투과율 조절막의 파장대역 별 투과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3의 투과율 조절막은 청색 계열의 색상과 적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투과율은 높은 반면, 녹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광은 녹색 계열의 색상이 강하므로, 실험예 3의 투과율 조절막은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생된 빛은 청색 계열의 색상이 약하므로, 청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험예 3의 투과율 조절막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실험예 4의 투과율 조절막은 실험예 3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청색 계열의 색상과 적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투과율은 높고 녹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투과율은 낮지만, 각 색상별 투과율의 차이가 실험예 3의 투과율 조절막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예 5의 투과율 조절막은 상대적으로 색상별로 골고른 투과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투과율 조절막은 함유된 광흡수 물질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투과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부 및 유기 발광 소자의 회로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은 외부에서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유입된 빛의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외부에서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유입된 빛의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사용된 투과율 조절막의 파장대역 별 투과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0)

  1.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되어 만들어진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된 투과율 조절막;
    상기 투과율 조절막 상에 형성된 선택적 반사막;
    상기 선택적 반사막 상에 형성된 편광판;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위상 지연판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선택적 반사막은 콜레스테릭 액정막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막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막은 좌원편광 및 우원편광 중 어느 하나는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반사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편광판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상기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交角)은 45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선택적 반사막은 반사형 편광 필름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투과율 조절막 사이 및 상기 투과율 조절막과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서로 동일한 편광축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상기 위상 지연판을 통과 하면 원편광으로 변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1/4 파장판이며,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과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 간의 교각(交角)은 45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투과율 조절막은 광흡수 물질을 함유한 수지(resin)로 만들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투과율 조절막이 갖는 빛의 투과율은 상기 광흡수 물질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조절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투과율 조절막은 빛의 파장대역 별로 선별적인 투과율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광흡수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폴리엔(polyene)계 안료, 아조(azo)계 안료, 아조메틴(azomethine)계 안료, 디이모늄(diimmonium)계 안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안료, 퀴논(quinone)계 안료, 인디고(indigo)계 안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안료, 디옥사딘(dioxadin)계 안료,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안료,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계 안료,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착물, 및 그 밖에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폴리엔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7
    화학식 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8
  16. 제14항에서,
    상기 아조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39
  17. 제14항에서,
    상기 퀴나크리돈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4 및 5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0
    화학식 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1
  18. 제14항에서,
    상기 퀴논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6 내지 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2
    화학식 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3
    화학식 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4
  19. 제14항에서,
    상기 인디고계 안료는 하기 화학식 9 내지 11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9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5
    화학식 10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6
    화학식 11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7
  20. 제14항에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는 하기 화학식 12 내지 1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12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8
    화학식 13
    Figure 112009001439268-pat00049
    화학식 14
    Figure 112009001439268-pat00050
    화학식 15
    Figure 112009001439268-pat00051
    화학식 16
    Figure 112009001439268-pat00052
    화학식 17
    Figure 112009001439268-pat00053
    화학식 18
    Figure 112009001439268-pat00054
KR1020090001909A 2009-01-09 2009-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095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09A KR100953656B1 (ko) 2009-01-09 2009-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2/654,449 US8981349B2 (en) 2009-01-09 2009-12-1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09A KR100953656B1 (ko) 2009-01-09 2009-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656B1 true KR100953656B1 (ko) 2010-04-20

Family

ID=4222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909A Active KR100953656B1 (ko) 2009-01-09 2009-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1349B2 (ko)
KR (1) KR100953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91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539505B1 (ko) * 2012-12-04 2015-07-24 애플 인크. 조정 가능한 원형 편광자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13B1 (ko) * 2009-08-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09083A (ko) 2011-03-24 2012-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08501B1 (ko) * 2011-12-07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0928B1 (ko) * 2012-08-07 2015-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4130352A (ja) * 2012-12-2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有機発光表示装置
CN104319282B (zh) * 2014-09-23 2018-02-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显示面板
CN107250087B (zh) 2015-02-03 2022-01-18 株式会社Lg化学 电活性材料
KR102664156B1 (ko) * 2018-08-14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74A (ko) * 2001-01-15 2002-07-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JP2004086145A (ja) 2002-06-24 2004-03-18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50018401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형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2168T2 (de) * 1995-05-12 2004-08-12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Verfahren zum Färben von hochmolekularen organischen Kunststoffen in der Masse mit löslichen phthalocyaninen Precursoren
JP2003121835A (ja) 1998-03-03 2003-04-23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DE69905003D1 (de) * 1998-03-03 2003-02-27 Citizen Watch Co Ltd Flüssigkristallanzeige
JP2001357979A (ja) 2000-06-15 2001-12-26 Toshiba Corp El素子
JP3748406B2 (ja) 2001-12-18 2006-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TWI314947B (en) * 2002-04-24 2009-09-21 Eastman Kodak Comp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with improved operational stability
JP3852931B2 (ja) 2003-03-26 2006-12-06 株式会社東芝 発光表示装置
JP4184189B2 (ja) * 2003-08-13 2008-1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発光型表示装置
WO2005051044A1 (en) * 2003-11-18 2005-06-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electroluminescent devices including a color conversion element
US7440044B2 (en) * 2004-11-29 2008-10-21 Arisawa Manufacturing Co., Ltd. Color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0703157B1 (ko) * 2005-09-15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080186428A1 (en) * 2007-02-06 2008-08-07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apparatus, image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74A (ko) * 2001-01-15 2002-07-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JP2004086145A (ja) 2002-06-24 2004-03-18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50018401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형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05B1 (ko) * 2012-12-04 2015-07-24 애플 인크. 조정 가능한 원형 편광자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들
US10249262B2 (en) 2012-12-04 2019-04-02 Apple Inc. Displays with adjustable circular polarizers
KR20150078391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11502B1 (ko) 2013-12-30 2020-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6382A1 (en) 2010-07-15
US8981349B2 (en)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65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652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8255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83976B1 (ko) 투명 표시장치
EP21483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003244A (ko) 휘도 향상을 위한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040227698A1 (en) Display device
KR2018004733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6417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2328630A (ja) 表示装置
CN103390633B (zh) 显示装置
US816938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823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1483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140346494A1 (en) Optical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009825B1 (ko) 표시 장치
JP7203027B2 (ja) フォルダブル円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Nakamura et al. 51.3: 2.1‐inch QCIF+ Dual Emission AMOLED Display having Transparent Cathode Electrode
JP4938047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CN119894311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